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outube를 활용한 기악합주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준희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mental Music Ensemble Classes Using Youtube on 6th grad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26 students of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these students were intentionally chosen as a sample group.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paper, class videos, portfolio, students’ musical production,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s journals. First, the Youtube program showed an effect on the 6th grader’s cognitive-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erform a music ensemble, the students collectively devised numerous strategies and applied their cognitive skills to effectively improve their ability to perform. Second, the Youtube program affected the 6th grader’s motivate-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tudents also felt a great sense of achiev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as they were able to bolster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instrumental music ensemble by Youtube. Third, the instrumental music ensemble by Youtube affected the 6th grader’s behavior-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tudents were able to manage their own behavior to effectively work with other students as part of an instrumental music ensemble. Students’ time management skills also increased as they were able to plan, in advance, a time to practice, record and learn. These indicators of success were also self-regulated. The students asked for help at numerous points whilst completing assignments. Fourth, the Youtube program also affected collaborative efforts within the group. Compared to traditional music programs, a instrumental music ensemble program with Youtube indicated an increase in teamwork among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made effort to complete performances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when posting such performances on Youtube. An interesting observation was also made that smaller groups had mor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when compared against larger groups. Fifth, the Youtube program also affected the 6th grader’s ability to effectively utilize technology in a music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Youtube를 활용한 기악합주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음악교육을 분석하고, Youtube를 활용한 기악합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참여자는인천광역시 부평구 소재 G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남 13명, 여 13명)이고, 2019년 3월부터 6 월까지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 학생 인터뷰, 수업 녹화 영상 및 전사 결과물, 학생 활동 결과물, 교사의 수업관찰일지 등을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Youtube를 활용한 기악합주수업은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아효능감, 협력적 배움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YouTube 품질요인이 이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은,유한주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최근들어 동영상 컨텐츠와 상거래가 연동된 신규수익 모델이 출현하고, TV 컨텐츠 및 인터넷 동영상 컨텐츠와 연계된 상거래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의 트랜드에 맞추어 YouTube 영상의 품질요인이 몰입과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YouTube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20-30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총 182부에 대해 R-programming의 PLS-SEM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품질, 감성(유희) 품질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나 서비스 품질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5분 이내 영상을 선호하는 집단에 있어서 YouTube 품질요인 중 서비스 품질, 감성(유희)품질 요인이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콘텐츠 품질은 몰입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6분-14분 영상을 선호하는 집은 YouTube의 모든 품질요인이 몰입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끼쳤다. 15분 이상의 영상을 선호하는 집단은 YouTube 품질요인 전부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기업에게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공한다. 기업은 브랜디드 콘텐츠의 길이와 YouTube 품질요인을 접목시켜 보다 소비자의 몰입을 이끌어내는 광고를 만들어낼 수 있다. Recently, a new revenue model in which video content and commerce are linked has emerged, and commerce associated with TV content and Internet video content has been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quality factors of YouTube image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immersion and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the trend of society. For this study, we surveyed 20-30s who consume the most YouTube. A total of 182 parts except 8 unsatisfactory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PLS-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R-programming As a result, the content quality and entertai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but the service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In the group who prefer video within 5 minutes, the quality factors except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In the group who prefer video within 5 minutes, only the cont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For groups who prefer 6-14 minutes video, all quality factors on YouTub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For those who prefer more than 15 minutes of video, all YouTube quality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This study provides a new marketing strategy for companies. This allows companies to combine YouTube quality factors based on the length of branded content to create ads that engage consumers more.

      • KCI등재

        유튜브 상품 리뷰채널 구독자의 상품태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장영일,정유수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2

        YouTube is the most popular platform for online video viewers. A lot of YouTube users prefer contents that deals with informations about how to use or buy a product. So YouTube is an ideal marketing channel for marketing managers who want to confirm potential customers. In this respect there should be a need to look at what factors of YouTube channels attract the users' attention. This study has built and examined a model that describes the YouTube users’ content viewing motivation and their attitude formation process for product review contents. As a result of path analysis, the information neutrality and the professionalism of YouTube creator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redibility of YouTube creators. The entertainment and interaction of the YouTube channel also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nel engagement. YouTube's entertainment and interaction as a platform can create a good attitude toward a product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YouTube creators who produce the product’s review. From now on Marketing managers have to capture th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image of their products by identifying YouTube's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content creators. 온라인 동영상 시청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플랫폼은 유튜브로 상품에 대한 정보는 많은 유튜브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컨텐츠로 꼽힌다. 때문에 잠재고객을 확보하려는 마케팅 관리자들에게 유튜브는 이상적인 마케팅 채널이다. 따라서 어떤 요인을 갖춘 유튜브 채널이 사용자들의 주목을 받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본 연구는 상품 리뷰 컨텐츠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동기와 상품에 대한 태도 형성 과정을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유튜브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 제작자의 정보중립성과 전문성은 구독자가느끼는 채널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채널의 엔터테인먼트와상호작용은 채널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플랫폼으로서의 유튜브가 가지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와 상호작용은 컨텐츠 제작자의 개인적 특성과 만나면상품에 대한 좋은 태도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마케팅 관리자는 미디어로서의 유튜브 특성과 컨텐츠 제작자의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여러 가지 촉진 활동을 통해 자사 상품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인플루언서의 유튜브 채널 운영과 수익 창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김영락 ( Kim Young Lag ),박상혁 ( Park Sang Hyeok ),조재희 ( Cho Jae Hee ),박정선 ( Park Jeong Sun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1 情報시스템硏究 Vol.30 No.4

        Purpose This study explored overall phenomena in context such as YouTube channel operation, strategy, and profit gener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wo research participants who started their own businesses and are recognized as influencer on YouTube and analysis of viewer responses to uploaded contents.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YouTube content provision and use, previous studies on YouTube are only being conducted individually on YouTube's content, influence, and content providers, so it is need to explore YouTube channel operations and the effect of revenue generation in context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grated model that provides a specific process by contextually linking the factors and results influencing YouTube channel operation and revenue generation phenomena to individuals and companies who are trying to operate YouTube channels for the first tim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systematized and structured the overall phenomena in context such as YouTube channel operation, communication strategy, effect on revenue generation, and YouTube channel operation results by selecting interview subjects and collecting data through interviews, and analyzing viewer reactions (likes, comments, etc.). Due to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exploring integrated phenomena, research analysis used Strauss & Corbin (1998)'s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presented inductive research methods to discover new theories by structuring concepts and categories based on detailed observation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interviewees. Findings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ile previous studies are conducted as individual studies on YouTube's content, influence, and content provider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YouTube content provision and use are exploding, it integrally explores and presents an integrated model throughout the process.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found in the aspect of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n inductive theory approach that establishes a new theory. The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at it presented practical directions to beginners who want to start operating YouTube channels by identifying operational preparations,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viewers, and response management strategies.

      • KCI등재

        유튜브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 특성과 인기 채널 분석 및 함의점 고찰

        변현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YouTube is one of the world's largest media platforms as well as social media, where personal creators and MCN (Multi-Channel Network) operators earn revenue based on the value of their contents. Its strengths include the ease of searching based on Google, the ease of self global marketing, relatively low barriers to entry, and ad revenue guarantees for creators. YouTube's strength in viewership is the variety of free content. The reason why YouTube places the highest ranking in Korea is that users can watch videos made in anywhere on earth for free of charge.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T technology have affected the growth of the platform on YouTube. Photo and image editing applications have became popular, and the importance of video contents, due to mobile technology increased, has resulted in prosumer and influencer. The residential space design trend has also changed. Since the popularization of color TVs in the 20th century, personal living-rooms designed mostly TV centered living-rooms until about 20 years ago. However, nowadays, designing living room without TV or home-cafe style living-room are currently popular. I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ccelerate mobile-friendly environment. Morever, the channel type setting category in the YouTube platform is assigned to 15 categories. After analyzing over 200 popular channels, actual YouTube content creators are subdivided into more diverse categories to run channels differently. The main categories of detail are classified into 43 user-friendly categories by the author. She has classified popular channels and collect cases to derive channel success factors. As a result, YouTube video-content can be successful if creator could apply the success factors. After analyzing the growth rules of YouTube channel, the following four factors were derived. First, creative content planning, second, concise and well-edited content editing, third, continuous operation management, and fourth, to build trust with viewers through communic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YouTube platform are creating new occupation areas like YouTube creators, content uploaders or content businesses. 세계 최대의 미디어 플렛폼인 유튜브는 개인 크리에이터들과 MCN(Multi Channel Network) 사업자들이 영상의 가치에 따라 수익을 얻는 미디어 플랫폼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유튜브는 일종의 소셜미디어(Social-Media)다. 제작자 입장에서 볼 때 유튜 브의 강점은 구글 기반의 검색의 편의성 및 글로벌 진출의 편리성, 비교적 낮은 진입 장벽, 광고 수익 보장 등이 있다. 시청자 입장에서의 유튜브의 강점은 무료 콘텐츠의 다양성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튜브 사용량이 최고 순위에 있는 이유도 전 세계 어디 서 제작한 영상을 무료로 시청 가능하고 콘텐츠 내용도 갈수록 폭 넓고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IT기술의 발달과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한 콘텐츠의 제작·이용 환경 변화가 유튜브의 플랫폼의 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사진·영상편집 기술이 대중화되었 고,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중요도도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프로슈머와 인플루언서가 등장하였다. 주거 공간 디자인 트렌드도 변화하였다. 칼라 TV의 대중적 보급 이후 최근 20여 년 전 까지 개인 가정은 거실 풍경은 한국적 특수성에 기반 한 TV 중심 의 거실 문화였다. 하지만 현재 TV없는 거실, 홈카페형 거실 등의 TV비중이 낮아진 주거 공간과 질 좋은 스마트폰의 보급 등 이 모바일 친화적 환경을 가속화시키는 데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현재 유튜브 채널 유형 설정 카테고리는 15개의 카테 고리로 지정되어 있다. 200여 개의 인기 채널을 분석해 본 결과, 실제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들은 더욱 다양한 카테고리로 세분 화 하여 다채롭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세부 장르를 분류해 보면 43개 인기 카테고리로 분석이 된다. 인기 채널을 분류 하고 사례를 수집하여 함의점인 채널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성공 채널은 고정 시청자와 팬을 확보하게 되며 경제적 수익으로 보상을 받는다. 유튜브 영상은 입체적 시점으로 제작한 것들이 성공을 거두며, 유튜브 콘텐츠는 서로 경쟁이 아닌 협동 관계 환 경에 놓여 있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유튜브 채널 성장 법칙은 첫째, 독창적 콘텐츠 기획, 둘째, 간결하고 잘 전달되는 내용 편 집, 셋째, 지속적인 운영 관리, 넷째, 소통으로 시청자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유튜브의 이러한 특성들로 현재 전 세 계적으로 유튜버, 크리에이터, 콘텐츠 업로더 혹은 인플루언서라는 새로운 직업 영역을 창출하고 있다.

      • KCI등재

        YouTube 뷰티/패션 썸네일 이미지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 표현효과 분석

        강민지 ( Kang Min J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유통까지 할 수 있는 1인 미디어의 개념을 탄생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YouTube는 전 세계적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YouTube 내에서는 콘텐츠 경쟁이 가열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개인들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은 자신의 콘텐츠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동영상을 제작하고 있으며, 그 중 사용자들로 하여금 클릭을 유도하기 위한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인 썸네일 제작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YouTube에서 사용되는 썸네일, 그 중에서도 타이포그래피의 공간감을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YouTube 크리에이터와 YouTube를 사용하여 홍보를 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콘텐츠 제작을 하는데 있어 이로운 기초자료가 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YouTube의 다양한 카테고리 중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카테고리인 뷰티/패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위부터 10위까지의 구독자수 채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유형은 타이포그래피의 공간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작업 하였다. YouTube 썸네일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뷰티/패션에서는 카테고리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이목을 끌고 개성 있고 다채로운 영상으로 전개 될 콘텐츠라는 것을 암시하기 위하여 양감 v의 발달 유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뷰티/패션영역의 영상에서 거리 d의 발달 유형과 같이 무난하게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한 비율이 더 많았지만 양감 v의 발달 유형처럼 타이포그래피에 덩어리, 구조, 질감 등을 활용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표현한 방식의 영상들이 조회 수가 월등히 높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치열한 콘텐츠 경쟁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양감 v의 발달유형과 이질적 차원 발달 유형 등과 같은 타이포그래피의 사용과 표현연구가 더욱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advancement of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have created concept of Me media in which individual person plans, creates and distributes contents by themselves. In this situation, YouTube has become a worldwide video sharing platform, and naturally, content competition is heating up within YouTube. Not only individual persons but many enterprises have created various video to make their contents standing out and put so much work into making thumbnails which are representative video image to attract users to clic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umbnails in YouTube, particularly a sense of space of typography, and provide useful basic data in making contents to YouTube creators and enterprises where want to promote. In this study, the beauty/fashion category was chosen from various categories as it’s most popular for Z generation from late teens to early 20’s and especially, the channels ranked from 1st to 10th for number of subscribers were analyz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sense of space of the typography, the types were classified for analysis. Types for analysis were classifi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the spatial sense of typograph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YouTube thumbnail image, it is judged that beauty/fashion mainly uses the dDevelopment of Volume to suggest that it is a content that will attract users' atten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y and unfold in a unique and colorful image. In order to draw the attention of users in the fierce content compet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use of typography and expression stud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Volume and the Development of unreal Dimension, etc. will be more important.

      • KCI등재

        미디어와 소비자간 새로운 플랫폼으로서의 유튜브의 역할

        허태성,임정주,송다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2

        YouTube realistically shows fake news and biased content based on facts that have not been verified due to low entry barriers and ambiguity in video regulation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media and YouTube on individual behavior and their relationship. Data from YouTube and Twitter are randomly imported with selenium, beautiful soup, and Twitter APIs to classify the 31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Based on 31 keywords class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YouTube, Twitter, and Naver News, and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s were classified and quantified with NLTK's Natural Language Toolkit (NLTK) Vader model and used as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negative value of news, the more positive content on YouTube, and the positive index of YouTube content is proportional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n Twitter. As a result of this study, YouTube is not consistent with the emotion index shown in the news due to its secondary processing and affected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processed YouTube content intuitively affects Twitter's positive and negative figures, which are channels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ed that YouTube plays a role in assisting individual discrimin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ccurate judgment of information has become difficult due to the emergence of yellow media that stimulates people's interests and instincts. Youtube는 낮은 진입장벽과 영상물 규제 기준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검증되지 않은 사실을 기반으로 한 가짜뉴스, 편파적 콘텐츠 등이 사실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론과 Youtube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영향과 이들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selenium, beautiful soup, Twitter API로 Youtube와 Twitter의 데이터를무작위로 가져와 가장 자주 언급되는 키워드 31개를 분류한다. 분류된 31개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Youtube, Twitter, 네이버 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 후, NLTK(Natural Language Toolkit)의 Vader 모델로 긍정, 부정, 중립감정을 분류 및 수치화하여 분석 데이터로 사용했다. 데이터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뉴스의 부정수치가 높아질수록 Youtube에서는 긍정적인 콘텐츠가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Youtube는 2차로 가공하여 전달되는 특성으로 인해 뉴스에서 나타나는 감정 지수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즉, 가공된 Youtube 콘텐츠는소통의 창구인 Twitter의 긍정, 부정수치에도 직관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결과는 사람들의 흥미와본능을 자극하여 시선을 끄는 황색언론의 등장으로 정보의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진 현 상황에서, 자극적이고부정적인 영상으로 사회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되어있는 Youtube가 도리어 개인의 식별력을 보조하는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YouTube 품질요인이 이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은(Kim, Jieun),유한주(Yoo, Hanjoo)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 No.

        최근들어 동영상 컨텐츠와 상거래가 연동된 신규수익 모델이 출현하고, TV 컨텐츠 및 인터넷 동영상 컨텐츠와 연계된 상거래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의 트랜드에 맞추어 YouTube 영상의 품질요인이 몰입과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YouTube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20-30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총 182부에 대해 R-programming의 PLS-SEM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품질, 감성(유희) 품질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나 서비스 품질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5분 이내 영상을 선호하는 집단에 있어서 YouTube 품질요인 중 서비스 품질, 감성(유희)품질 요인이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콘텐츠 품질은 몰입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6분-14분 영상을 선호하는 집은 YouTube의 모든 품질요인이 몰입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끼쳤다. 15분 이상의 영상을 선호하는 집단은 YouTube 품질요인 전부가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기업에게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공한다. 기업은 브랜디드 콘텐츠의 길이와 YouTube 품질요인을 접목시켜 보다 소비자의 몰입을 이끌어내는 광고를 만들어낼 수 있다. Recently, a new revenue model in which video content and commerce are linked has emerged, and commerce associated with TV content and Internet video content has been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whether the quality factors of YouTube image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immersion and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the trend of society. For this study, we surveyed 20-30s who consume the most YouTube. A total of 182 parts except 8 unsatisfactory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PLS-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R-programming As a result, the content quality and entertai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but the service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In the group who prefer video within 5 minutes, the quality factors except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In the group who prefer video within 5 minutes, only the cont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For groups who prefer 6-14 minutes video, all quality factors on YouTub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For those who prefer more than 15 minutes of video, all YouTube quality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This study provides a new marketing strategy for companies. This allows companies to combine YouTube quality factors based on the length of branded content to create ads that engage consumers more.

      • KCI등재

        사적 미디어로서의 유튜브 플랫폼에 의한 콘텐츠 삭제에 관한 논의

        노현숙 언론중재위원회 2022 미디어와 인격권 Vol.8 No.1

        YouTube is an online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with virtually no barriers to entry and allows users to become consumers and producers who create, post, and enjoy desired content. The YouTube spac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public, private, and the user’s own secret spaces. As public and private spaces, where free expression could potentially be limited because of the content’s publicized nature, the YouTube space is deeply related to issues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There are cases where YouTube content is deleted by YouTube platforms at home and abroad, and censorship or deletion of YouTube content can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right to know. Censorship is further classified into constitutional and private. In general,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are a problem in constitutional censorship, but there is room for issues of freedom of expression in private censorship as well. YouTube may censor or delete content of its own volition or at the request of administrative agencies. Superficially, YouTube deletes content, but in truth, YouTube’s censorship would constitute a restriction on freedom of expression if administrative agencies censor the content. Even when content is deleted for YouTube’s own purposes, the opacity of YouTube’s censorship standards could pose a problem. Before using the YouTube platform, the user agrees to YouTube’s policy. Such a policy potentially violates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this consent be obligatory (i.e., necessary to becoming a YouTube user). Because YouTube features various content by free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activate the user’s autonomous filtering rather than regulate each content on YouTube. When YouTube deletes content,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its censorship by clearly identifying and publicly explaining the YouTube standards being applied and what is being violated by the deleted content. Through transparent processes, users would better understand YouTube’s content deletion criteria. Thus, it is expected that YouTube content can be filtered autonomously at the user level by creating and uploading filtered content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se criteria. 유튜브는 이용자 누구나 소비자이자 생산자가 되어 직접 원하는 콘텐츠를 창작하고 게시하거나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개인방송이다. 유튜브 공간은 공적 공간, 사적 공간, 이용자 자신만의 은밀한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적 공간 및 사적 공간으로서의 유튜브 공간에서는 콘텐츠가 공개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표현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표현의 자유의 문제와 관련이 깊다. 국내외적으로 유튜브 플랫폼에 의하여 유튜브 콘텐츠가 삭제되는 사례들이 있고 유튜브 콘텐츠의 삭제는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 검열은 헌법상 검열과 사적 검열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현의 자유의 제한은 헌법상 검열에서 문제가 되지만 사적 검열에서도 표현의 자유의 문제가 제기될 여지가 있다. 유튜브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유튜브 콘텐츠를 삭제하기도 하고 행정기관이나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콘텐츠를 삭제하기도 한다. 표면적으로는 유튜브 플랫폼이 콘텐츠를 삭제하지만 사실상 행정기관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삭제하는 경우라면 표현의 자유의 제한에 해당할 수 있다. 유튜브 플랫폼의 자체적인 목적에 의하여 콘텐츠를 삭제하는 경우라도 유튜브의 삭제 기준의 불투명성이 문제가 된다. 유튜브 플랫폼을 이용하기 전에 이용자는 유튜브 정책에 동의한 후 이용하는데, 유튜브를 이용하기 위한 불가피한 동의인 경우라면 표현의 자유의 침해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보인다. 유튜브는 자유로운 참여 및 자유로운 표현에 의한 다양한 콘텐츠를 특징으로 하는 만큼 유튜브 콘텐츠에 대하여 유튜브 플랫폼에 의하여 규제하기보다 이용자 스스로 자신이 창작한 콘텐츠를 검토하는 자율적인 필터링을 활성화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튜브 플랫폼에 의하여 콘텐츠가 삭제되는 경우에 유튜브 플랫폼이 어떠한 기준을 적용하고 콘텐츠의 어떠한 부분에 문제가 있음을 유튜브 채널 측에 명확하게 통지하고 공개적으로 게시하여 삭제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투명한 절차를 통해 이용자는 콘텐츠 삭제 기준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유튜브 플랫폼의 삭제 기준을 고려하여 향후 콘텐츠를 창작하고 업로드함으로써 콘텐츠의 창작 단계에서부터 자율적으로 유튜브 콘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수익 창출 측면에서의 유튜브 역사 분석 -유튜브와 크리에이터 영상미디어 채널의 수익 증진 현황-

        이병호 ( Lee Byo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3

        현대는 영상 관련 활동가들의 전성시대다. 그러나 현실은 충분한 수익을 보장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1인 제작 환경인 유튜브 채널 활동을 통한 유튜브와의 수익 공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오픈 플랫폼인 유튜브의 수익 창출 구조와 역사에 대해 분석했다. 최초로 회사의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와 나누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유튜브의 큰 업적이다. 광고 수익의 공유는 많은 크리에이터가 탄생한 배경이다. 저작권을 갖고 있는 1인 제작자가 공급하는 콘텐츠는 유튜브의 필수 구성 요소이고, 수익을 나누는 유튜브의 정책은 당연해 보인다. 왜냐하면 유튜브 수익의 대부분이 광고료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오리지널 콘텐츠를 공급하는 크리에이터나 유튜브 모두의 입장에서 최대 수익을 도모하고 있다. 개인들의 자구책과 더불어 MCN과 오프라인 사업을 결합한 채널 JustKiddingFilms를 통해 미국 유튜버들의 수익 증진 현황을 분석했다. 또 수익 다변화를 추구하는 유튜브의 자구 노력에 대해서도 서술했다. 크리에디터가 받는 광고 수익 배분의 정확한 액수는 유튜브만이 알고 있다. 45퍼센트의 구글컷을 제외하고도 상당한 액수가 유튜브의 내규에 따라 공제되고 크리에이터에게 지급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고가의 장비 구입과 제작비에 더해 채널들은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그래서 유튜브 내의 지명도를 이용해 오프라인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고 활동 폭을 다른 온라인 사이트로 넓히고 있다. 또 유튜브 자체도 광고 수입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수입 창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다. 유튜브 레드는 그 시도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더 다양한 콘텐츠가 필요하게 됐고, 대규모 저작권 업체들과의 협업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The present age is ths golden age of media-related activists. The reality is that the situation does not ensure sufficient revenue. What to look for revenue sharing with YouTube is significant through activity of YouTube channel creator as one man production. It was analyzed for the revenue structure and history of the open platform of YouTube. It is the first company to build a system for sharing revenue with content creators on YouTube is a great achievement. Share of advertising revenues is a background of birth of lot of creator. Original contents that one man productions having copyright supply are essential component of YouTube and YouTube``s revenue sharing policy with creators seems to be natural. Because most of company revenue occurs in commercial advertising paying by client. YouTube creator who supply the original contents and YouTube both promote maximum revenue. In addition to individual creators efforts to promote revenue it analyzed current status of US creator’s promotion to increase revenue through the model JustKiddingFilms combined MCN and offline business. Another study was also self-rescue efforts, YouTube seeking to diversify revenue. The exact amount of advertising revenue-sharing creator receives only knows this Youtube. Except for the 45% Google Cut, it is an open fact that revenue sharing with creators is paid to be deducted additionally by the bylaws of YouTube itself. In addition to the purchase of expensive equipment and production costs, channels are pursuing a higher income. So with the popularity engaged in YouTube channels are broaden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to offline businesses and online web-sites. And YouTube itself is trying to create a more diverse portfolio of revenue away from ad revenue. YouTube Red is part of the er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work with major original contents distributors like music, movie etc. and these contents supply will be further expanded as a form of channel in YouTu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