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玄逸의 四端七情論

        李明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3 No.-

        The debate over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or the “Four-Seven Debate”) is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disput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is debate broke out at first between Yi T’oegye (1501-1571) and Ki Kobong (1527-1572), and then between Yi Yulgok (1536-1584) and Sung Ugye (1535-1598). This then caused a confrontation between two Confucian schools, namely the so-called “li-centered school” and “ki-centered school.” As a representative of the “li-centered school,” Yi Hyeonil (1627-1704) wrote an article entitled “Criticism of Yi Yulgok’s views on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and thereby defended Yi T’oegye’s points of view about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Besides the preface and the postscript this article includes 19 paragraphs. Each paragraph is composed of a text from Yi Yulgok’s letters to Song Ugye and Yi Hyeonil’s own remarks thereupon. In this paper, I analyze Yi Hyeonil’s remarks with a view to uncovering the threefold misunderstanding implicated in them. First, Yi Hyeonil was not aware that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did not conform to Mencius’ original position. Secondly, Yi Hyeonil neglected the fact that Yi T’oegye’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could not fit within the parameters of Zhu Xi’s learning, whereas Yi Yulgok adhered to Zhu Xi’s standpoint throughout. Thirdly, Yi Hyeonil did not realize that Yi T’oegye’s view on this topic was actually closer to Mencius’ view, just because it could not fit within the parameters of Zhu Xi’s learning. The debate over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or the “Four-Seven Debate”) is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disput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is debate broke out at first between Yi T’oegye (1501-1571) and Ki Kobong (1527-1572), and then between Yi Yulgok (1536-1584) and Sung Ugye (1535-1598). This then caused a confrontation between two Confucian schools, namely the so-called “li-centered school” and “ki-centered school.” As a representative of the “li-centered school,” Yi Hyeonil (1627-1704) wrote an article entitled “Criticism of Yi Yulgok’s views on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and thereby defended Yi T’oegye’s points of view about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Besides the preface and the postscript this article includes 19 paragraphs. Each paragraph is composed of a text from Yi Yulgok’s letters to Song Ugye and Yi Hyeonil’s own remarks thereupon. In this paper, I analyze Yi Hyeonil’s remarks with a view to uncovering the threefold misunderstanding implicated in them. First, Yi Hyeonil was not aware that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did not conform to Mencius’ original position. Secondly, Yi Hyeonil neglected the fact that Yi T’oegye’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could not fit within the parameters of Zhu Xi’s learning, whereas Yi Yulgok adhered to Zhu Xi’s standpoint throughout. Thirdly, Yi Hyeonil did not realize that Yi T’oegye’s view on this topic was actually closer to Mencius’ view, just because it could not fit within the parameters of Zhu Xi’s learning.

      • KCI등재

        從丁茶山對孟子心性論的詮釋看其四端七情論

        리밍훼이(李明輝)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9 다산학 Vol.- No.35

        The problem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was the most important and controversial issue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lthough Jeong Yak-yong(Tasan) had only two essays entitled “Investigation into the Issues of Li and Qi”(1801) which directly referred to this issue, his views on this issue underwent a developmental process. In addition, he made a speci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four buddings” in his Essential Meaning of the Mencius(1814). He interpreted the word “duan” as “beginning” and opposed interpreting it as “clue,” as Zhu Xi did. Accozzzzzzrdingly, he interpreted the “four buddings” as the ground for the extension of “liangzhi”(original knowing), and viewed humanity(ren), righteousness(yi), propriety(li), and comprehension(zhi) as the outcomes of this extension. Regarding the issue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Jeong originally agreed with Yi Yulgok’s thesis that there is only one way, namely qi(material force) issues and li(principle) directs it. But later due to the influence of Yi Pyok he began to turn to Yi Toegye’s theory of the “mutual issuance of li and qi” and tried to mediate the views of Yi Toegye and Yi Yulgok. At first, Jeong pointed out that when Yi Toegye and Yi Yulgok discussed the issue of the “four buddings” and “seven feelings,” they talked about “li” and “qi” from different perspectives: Yi Toegye talked about “li” and “q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heart-mind and Yi Yulgok from the perspective of ontology, and both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Secondly, Yi Toegye’s thesis that “the four buddings issue from li and the seven feelings issue from qi” was revised to read that “the four buddings generally issue from li and the seven feelings generally issue from qi.” In the end, Jeong gave Yi Toegye’s theory of the issuances of li and qi a practical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lf-cultivation. 「四端七情」問題是朝鮮儒學史中最重要的爭論議題。 丁茶山只有兩篇題為〈理發氣發辨〉的短文直接涉及這個問題, 但他對這個問題的見解有一個發展的過程。 丁茶山在其《孟子要義》之中對「四端」有特殊的詮釋。 他將「端」字解釋為「首」, 而反對朱熹將它解釋為「端緒」。 據此, 他將四端解釋為擴充之本、 之始, 而仁、 義、 禮、 智四德只是擴充工夫之結果。 至於「四端七情」的問題, 丁茶山最初贊同李栗谷的「氣發理乘一途」之說。 後來由於李檗的影響, 他開始轉向李退溪的「理氣互發」之說, 並試圖調停兩人的觀點。 首先, 丁茶山指出:李退溪與李栗谷在討論四七問題時, 是從不同的角度談論理氣:李退溪從心性論的角度, 李栗谷則是從存有論的角度談論理氣, 兩者並不衝突。 其次, 丁茶山將李退溪的主張「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修訂為「四端大體是理發, 七情大體是氣發」。 最後, 丁茶山從修養功夫的角度賦予李退溪的「理發」、 「氣發」說以實踐的意涵。

      • KCI등재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와 의의

        이경동 ( Lee Kyung-d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를 통해 율곡학파를 중심으로 전개된 이이 인식의 시대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이 사후 그의 문인들은 이이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학문 계승에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들은 서원의 건립과 문집 간행 등을 통해 ‘스승’ 이이에 대한 현창 활동을 병행하였다. 『율곡집(栗谷集)』은 이이 사후 성혼 등이 편성을 시작하여 문인인 박여룡·김장생에 의해 1611년 소현서원(紹賢書院)에서 간행되었다. 이이의 정치적·학문적 입장을 계승한 서인은 1623년 인조반정을 계기로 정계의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이이 또한 ‘문성공(文成公)’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성학집요』· 『격몽요결』과 같은 이이의 별저류들이 조정에서 간행되었다. 김집·송시열 등은 이이에 대한 행적을 정리하고자 『율곡연보』 편성에 착수하기도 하였다. 『율곡집』의 간행 또한 이러한 경향에 더하여 중간되었다. 대체로 초간본을 복각하는 형태로 진행된 중간 사업은 서인계 산림(山林)들이 거주하고 있던 충청 및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이 문집 간행은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율곡집』에 수록되지 못한 자료를 재정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박세채는 기존에 간행된 『율곡집』이 이이의 행적과 유문을 담아내기에 오류와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율곡속집』, 『율곡외집』, 『율곡별집』 편성에 착수했다. 『율곡속집』은 『율곡집』에 미처 수록되지 못한 이이의 詩文을 수집하였고, 『율곡외집』은 『율곡속집』에 수록하지 못한 시문과 함께 당시 필사본 형태로 전승되어 오던 이이의 대표적 저작인 「경연일기(經筵日記)」를 수록하였다. 『율곡속집』과 『율곡외집』이 이이 유문의 수집과 정리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면, 『율곡별집』은 진위논란이 있는 「태극문답(太極問答)」과 이이와 관련한 일화나 행적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율곡별집』에 수록된 사항들은 송시열계의 반발을 가져왔다. 송시열계는 해당 사항이 ‘스승’ 이이에 대한 왜곡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서술은 이이를 의도적으로 폄훼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판단했다. 지속된 논란을 거쳐 이이가 문묘에 최종적으로 종사된 갑술환국 이후 『율곡별집』이 수정되기까지 이르렀다. 18세기 송시열의 학문적 입장을 계승한 노론계에서는 이이의 성리설을 토대로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18세기에는 기존에 간행된 이이 문집들과 『성학집요』ㆍ『격몽요결』 등 별본들을 재편성하여 종합하여 『율곡전서』로 간행되었다. 『율곡전서』는 처음에 이재에 의해 1744년 38권으로 편성되었다. 이재는 송시열로부터 계승된 이이 인식을 토대로 한 문집 편성을 추진하였다. 이 작업은 편성의 완료에도 불구하고 이재 생전에는 추진되지 못하였으며, 사후 1746년에 영조의 명으로 『율곡전서』 간행이 추진되었다. 『율곡전서』 간행의 전반적인 과정은 이재의 문인이었던 홍계희가 주도했으며, 홍계희는 이재가 편성하지 않은 이이의 저작들을 습유라는 형태로 삽입하여 이재가 편성한 원집 38권과 함께 습유 6권으로 『율곡전서』를 구성하여 간행하였다. 습유에는 이재가 탈락시킨 이이 유문을 수록하거나 「경포대부(鏡浦臺賦)」와 같이 검증이 필요한 자료도 모두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이재가 정립하려고 했던 이이 인식의 분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som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Yiyi’s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After Yiyi’s death, his disciples started their endeavor for remembrance and succession of him. Their academic activity was centered by Eunbyeong-Jeongsa where Yi Yi pursued his studies, and they printed Yulgokjip, a collection of Yi Yi’s works. This endeavor of his disciples was spread throughout to scholars and bureaucrats who sympathized with the study of Yi Yi, and this was later grown into his school. In the late of 17th century, however, we can see an internal conflict among them toward the revised version of collections of Yiyi’s works. That is, a division of a way of understanding Yulgok between Song Siyul(宋時烈) and Park Sechai(朴世采). In the mid-18th century, it chose to aggregate the works of Yi Yi, collected and published from the early years of 17th century. They published Yulgok Jeonseo (栗谷全書, Complete Collection of Yulgok) having the identical structure with the collection of Er Cheng (二程, Two Chengs), who were metaphysical scholars of China, and tried to establish Yi Yi as the one they recognized. Nonetheless, there was a gap between Yi Jae(李縡), the first planner of the project and Hong Gyehee(洪啓禧), the last planner of the project. This showed a possibility of rift on the recognition on Yi Yi inside his very school.

      • KCI등재

        『순언』에 드러난 율곡의 『노자』 해석의 지평 -『대학』을 통한 『노자』 이해-

        김학재 ( Hak Ze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연구 Vol.0 No.48

        율곡은 『노자』 본문의 상당량을 생략하고 40장으로 편집·주석하여 『순언(醇言)』을 편찬하였다. 본 논문은 주자학자인 율곡이 왜『노자』를 연구하고 재편집했는지, 『순언』의 『노자』 재편집은 어떠한‘구조’, 즉 어떠한 ‘의도’를 지닌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체계’를 포함하고 있는지, 그러한 ‘구조’가 있다면 그러한 구조는 그의 신유학적 사유 및 저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논의한다. 또한 그러한 『순언』과 신유학적 시각의 만남은 어떻게 가능했던 것인가를 논의한다. 율곡은 무엇보다도 『노자』가 수신(수기, 치기)에 대한 풍부한 함의를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노자』에서 보이는 고원한 형이상학도 수양에대한 실천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이유로 율곡은『순언』을 편찬하였는데, 본 논문은 『순언』에 신유학적 사유에 근원한일종의 구조가 내재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대학(大學)』의 수기(修己)-치인(治人)의 구조이다. 문제는 그러한 신유학적 학문관을 『노자』에 적용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었는가이다. 이 문제에 대해 대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율곡이 자신의 작품을 위해 자료집으로 사용했던 남송의 도사였던 동사정(생존연대 미상, 1246∼1260활동, 호:圭山)이 편찬한 『도덕진경집해(道德眞經集解)』을 논의한다. 동사정의 저작을 통해 율곡은 하상공(河上公) 계열의 『노자』 판본과 하상공의 『노자』 이해를 받아들였다. 하상공의 저작은 주지하듯이 한(漢)대의 절충적 사조를 반영한다. 즉, 수기-치인의 합일을 강조하여 유교와의 대결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대학』 역시 한 대의사조를 반영하며 수기-치인의 합일 구도를 강조한다. 또한 하상공의영향을 받은 동사정은 송(宋) 대 도교(道敎)의 삼교합일(三敎合一)적 경향을 보이며 수기-치인의 구도를 통해 유교와의 대결의식을 보이지않았다. 정리하자면 율곡은 송 대 신유학의 계승자로서 당연히 『대학』의 수기-치인의 구도를 내면화하고 있었고 하상공과 동사정의 ‘종합적 경향(synthesizing)’의 『노자』 이해를 전승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본 논문은 율곡이 수기-치인의 합일이라는 관점에서 『대학』과 『노자』의 지평(horizons)을 융혼(fusion)시켰던 것은 우발적인 것이 아닌 자연스런 해석의 귀결이었지도 모름을 제안한다. An orthodox Neo-Confucian sholar of the Joseon, Yi Yi 李珥 (1536~1584, styled Yulgok 栗谷) left an unusual work, the Sun-Eon 醇言, or the Purified words of Laozi 老子. This work is unusual in that Yulgok re-edited and rearranged the Laozi, making it into a renewed classic.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why Yulgok, a Neo-Confucian paid his attention to the Laozi, whether there was an underlying structure or thought in the new recension of the Laozi by him, and what made possible his re-editing of the Laozi.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n-Eon, this article holds that Yulgok paid attention to philosophy of Laozi because of its implication for self-cultivation(governing one`s self); he thought that even the metaphysical thought of Laozi function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elf-cultivation. And it suggests that his re-editing and re-arranging of the laozi was conducted on the structure of the Daxue 大學, or the Great Learning, which was none other tha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on learning; the Great Learning strongly emphasizes the ideal of Confucianism, namely the unity of self-cultivation and ruling others. And it discusses that Yulgok did not simply impose a Confucian framework arbitrarily on the Laozi; rather, there was the huge cultural background that had been formed since the Han period and enabled Yulgok`s association of the Great Learning with the Laozi. Yulgok used the Daodezhenjing Jijie 道德眞經集解 by the Song, as the resource for the Sun-Eon, Dong`s work and thought was based on the legacy of Heshang gong of the Han. In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Heshang gong`s 河上公 and Dong Sijing`s works,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Yulgok`s Laozi was basically Heshang gong`s Laozi, which shared the similar ideal with the Great Learning; both works reflect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ethos of the Han period. Second, the Laozi Daodejing Heshang gong zhangju 老子道德經 河上公章句 still strongly influenced the Song culture because of the socio-political instability and the growth of Daoism; Heshang gong`s vision is transmitted to Yulgok through Dong Sijing. Third, the spirit of the Great Learning is already engraved in Yulgok as a successor of Song Learning (songxue 宋學). And when Yulgok received the Laozi through Heshang gong1s and Dong`s vision, he could have found out the affinity between the Great Learning and the Laozi in terms of their ideal of learning, i.e., the unit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the people. In conclusion, for Yulgok, it might be necessary to fuse the horizons of the Great Learning and the Laoz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the people.

      • KCI등재

        율곡의 인격과 공부에 관한 견해 검토

        박균섭 ( Kyoon Seop Park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2

        성리학의 교육사상은 성인을 스스로 기약하는 일(聖人自期論)과 이의 실현을 위한 공부의 체계(工夫論)를 중심으로 짜여져 있다. 누구나 수양과 공부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성인이라는 인격의 내적 표준을 확보할 수 있다. 율곡의 인격과 공부에 대한 설명은 이기의 기본적 구성, 즉 이기론의 일반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여기에 율곡철학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기발이승일도설``과 ``이통기국론``은 인격과 공부에 대해 구조적·정합적 설명력을 갖는다고 확언하기 어렵다. 율곡은 이기의 기본적 구성에 주목하는 가운데, 교육의 목적은 덕성 함양과 인격 완성을 본연의 과제로 삼으며, 이는 지식과 행위의 병진관계와 교호작용을 통해 실현될 있다고 보았다. 성리학의 세계에서 인격에 대한 담론이 사상된다면 거기에서 진정한 교육을 거론하기는 어렵다. 교육의 본연은 단순한 교과서적 지식의 집성과는 결을 달리하며 삶의 내재적·본질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양과 공부의 과정을 중시하는 데 있다. 지식의 집성만으로는 인간의 활동과 교육의 목적에 기여할 수 없으며, 인간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반교육의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 율곡은 수양과 공부를 삶의 본질적인 사태로 규정하였다. 공부는 덕성 함양과 인격 완성을 전제로 하는 기획이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종신사업이다. 율곡철학에서 규정하는 인격과 공부의 과제는 지식의 전수나 기술의 습득이 아니라 모든 삶의 맥락을 규율하는 윤리적 원칙의 내면화라고 말할 수 있다. In neo-Confucianism, the highest and most ideal man is the sage. If our self-cultivation is carried out thoroughly, we will be equipped with the inner requirements of the sage who is an exemplary man. In my estimation, the elucidation of the discourse on moral character and self-cultivation through yi-gi paradigm is not the appointed task of neo-Confucianist. Yulg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mperamental change to cultivate character. It is based on the basic structure of yi-gi paradigm. But Yulgok`s special philosophical expertise such as gi-bal-yi-seung and yi-tong-gi-guk has not an active role in the discourse on moral character and self-cultivation. I think the educational aims of neo-Confucianism are not derived from a special philosophical expertise. According to Yulgok Yi Yi`s philosophical paradigm, moral character is categorized as the collaboration of knowledge and virtuous conduct. Knowledge and virtuous conduct must exist side by side for they are like the two wheels of a cart or the two wings of a bird. The end of neo-Confucian education is the building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without moral character is meaningless. The essence of education is not the collection of mere bookish knowledge but the concentration of the mind. Mere collection of knowledge will not serve any purpose in the field of life and education. That knowledge would degrade the moral character. An educated person should not have bad qualities and must not indulge in bad deeds. Self-cultivation is not limited to strict time schedules. Yulgok emphasized self-cultivation is the essence of life and education. Self-cultivation is what constantly interacts within the spatio-temporal situ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The major goal of Yulgok`s philosophy is not so much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or the learning of skills as the internalization of a set of ethical principles which governs human behavior in all conceivable situations.

      • KCI등재

        栗谷 性理學과 21세기 리더십

        손흥철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oday in the 21st century desperately needs a leader and leadership that will lead to the right The Change.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ing the leadership of Yulgok(栗谷) Lee-Yi(李珥, 1536~1584)'s ideas and exploring its modern feasibility. In this article, I first studied the academic spirit of Yulgok along with the course of his academic achievement. Yulgok did extensive reading the Three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Through this, I argued that the study of Yulgok, which sought truth extensively, could be the basis for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Second, I explained that Yulgok’s the theory of the all penetrating Li(理) and defining Qi(氣) became a metaphysical basis for enabling the special meaning and universal communication of things and people. Third, we looked at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Yulgok and his the view of dealing with worldly affairs. Here I confirm that Yulgok has fulfilled its patriotism, respect for humanity and justice through religious piety. Fourth, it is a thorough sense of mission to national society. The reason why Yulgok opposed the party was because of the national interest. Yulgok proposed many reform theories, such as the Daedongbeop,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is is the spirit of practical philosophy. Lastly, Yulgok's philosophy is not truly evaluated due to its academic research attitude, such as heresy and the enemy of disrupting Confucianism(斯文亂賊).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that is needed in this era. However, the philosophy of Yulgok contains a genuine academic spirit, patriotism and leadership needed in this era, which should be revived as a problem of today. 21세기 현대는 올바른 변혁을 이끌어 갈 지도자와 지도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대유학자이면서 위대한 경세가(經世家)였던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와 그의 사상에 담긴 지도력을 탐구하고 그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율곡의 학문성취 과정과 함께 그의 학문 정신을 연구하였다. 주지하듯이 율곡은 유·불·도(儒佛道) 삼교를 섭렵하였다. 필자는 이를 통하여 폭넓게 진리를 추구한 율곡의 학문은 소통과 융합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율곡의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이 사물과 사람의 특수(特殊)와 보편(普遍)의 의미 및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근거가 됨을 설명하였다. 셋째, 율곡의 경세(經世)와 처세관(處世觀)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율곡이 종교적 경건함으로 애국정신, 인간존중, 정의를 실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국가사회에 대한 투철한 사명의식이다. 율곡이 붕당을 반대한 이유는 국익(國益)을 위해서였다. 율곡은 국가와 백성을 위하여 대동법과 같은 많은 개혁적 이론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실천철학의 정신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철학은 이단(異端)과 사문난적(斯文亂賊)과 같은 편 가르기식의 학문연구 태도 때문에 진정한 평가를 받지 못한다. 그러나 율곡의 철학에는 진정한 학문 정신과 애국정신 그리고 이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이 담겨있으며, 이를 오늘의 문제로 되살려야 한다.

      • KCI등재

        李栗谷思想中的 「理」 與 「心」

        후지미치아키 ( Michiaki Fuji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율곡(栗谷) 사상 중 ‘무형무위(無形無爲)’의 리(理)의 성질, 심성관계,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의 이론적 구조 등의 문제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풍부한 성과가 있다. 필자의 짧은 소견으로 볼 때, 과거의 연구에서는 율곡의 ‘리’의 ‘무형무위’라는 이 성질에 과도하게 주목하여 율곡 사상의 특색이 리의 활동성이라는 점을 부정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율곡의 문제의식은 리가 ‘활동하느냐’ ‘하지 않느냐’라는 문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기호발(理氣互發)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 가지 본체, 두 가지 근원이 성립될 수 있는가이다. 율곡은 인간의 심정의 근원은 오직 하나이며, 즉 ‘리기혼합(理氣混合)’,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 생각했다. 리기 양자는 혼융 일체되어 상호 협조하여 하나의 본체, 근원을 형성한다. 이 본체, 근원은 만약 한쪽이 부족하면 성립될 수 없다. 분석해 보자면, 기(氣)는 이 본체가 작용할 때 동력의 근원이며, 리(理)는 이 본체의 자원과 정보 내용이다. 여기서 설사 ‘리’ 스스로 활동성을 갖추지 못하여도 전혀 장애가 없다. 왜냐하면 ‘리기혼합’의 구조에서 리는 기의 동력으로 인해 여전히 자기의 내용을 발휘할 수 있고 본체로서의 역할을 유지한다. 율곡은 비록 리를 ‘무형무위’로 규정하였지만, ‘리의 발용’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인정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려면 ‘리기혼융불상리(理氣渾融不相離)’의 관점을 소홀히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인심도심설에 관하여 필자는 율곡이 이해하고 있던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은 인간의 심정에 대한 서로 다른 분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율곡의 이해에 따르면, 사단칠정은 단순하고 움직이지 않는 심정의 종류로 서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가운데서 특수한 부분을 골라낸다. 칠정이 가리키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전체이다. 사단이 가리키는 것은 그 가운데 선(善)의 부분이며, 칠정 중에 사단을 포함한다. 양자의 관계는 바로 전체와 부분이며, 그러므로 대립 모순되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인심도심은 심정이 발생시키고 형성한 구조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인심, 도심은 모두 동일한 성리(性理; 天性)에 근거한 심지용(心之用), 정지발(情之發)이다. 양자의 차별은 바로 ‘발(發)’을 일으키는 동기에 있다. 다시 말해 도심은 ‘도의(道義, 理義)를 위해 발하는 것’이며, 인심은 ‘구체(口體, 食色)을 위해 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심은 ‘성명지정(性命之正)’에 따라 생겨난 ‘도덕정감(道德情感)’이며, 인심은 ‘형기지사(形氣之私)’에 따라 생겨난 ‘자연정감(自然情感)’이다. 양자의 성질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인심도심은 서로 겸할 수 없고 서로 종시(終始)를 이룬다”, “도심은 인심이 아니며, 인심은 도심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이 율곡에게서 시종일관 변화가 없으며 주자에 부합하는 본인의 이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ties of Li(理) which is invisible and inactive,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Yi Yulgok’s thought. Based on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tructure of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Li and Qi(氣) are one substance in Yi Yulgok’s thought and never be apart. It will not form only have one of Li and Qi without the other. Qi is the force of this substance, and Li is the content of it. There is no any problem even if Li has no activity, since Li can exert its content through Qi in the structure of substance. Therefore, for Yi Yulgok, Li concretely exist and has the meaning of being substance. I think that we can not ignore Yi Yulgok’s thought about Li and Qi if we want to repute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 KCI등재

        李栗谷思想中的 「理」 與 「心」

        후지 미치아키(藤井倫明) (사)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ties of Li(理) which is invisible and inactive,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Yi Yulgok’s thought. Based on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tructure of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Li and Qi(氣) are one substance in Yi Yulgok’s thought and never be apart. It will not form only have one of Li and Qi without the other. Qi is the force of this substance, and Li is the content of it. There is no any problem even if Li has no activity, since Li can exert its content through Qi in the structure of substance. Therefore, for Yi Yulgok, Li concretely exist and has the meaning of being substance. I think that we can not ignore Yi Yulgok’s thought about Li and Qi if we want to repute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율곡(栗谷) 사상 중 ‘무형무위(無形無為)’의 리(理)의 성질, 심성관계,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의 이론적 구조 등의 문제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풍부한 성과가 있다. 필자의 짧은 소견으로 볼 때, 과거의 연구에서는 율곡의 ‘리’의 ‘무형무위’라는 이 성질에 과도하게 주목하여 율곡 사상의 특색이 리의 활동성이라는 점을 부정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율곡의 문제의식은 리가 ‘활동하느냐’ ‘하지 않느냐’라는 문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기호발(理氣互發)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 가지 본체, 두 가지 근원이 성립될 수 있는가이다. 율곡은 인간의 심정의 근원은 오직 하나이며, 즉 ‘리기혼합(理氣混合)’,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 생각했다. 리기 양자는 혼융 일체되어 상호 협조하여 하나의 본체, 근원을 형성한다. 이 본체, 근원은 만약 한쪽이 부족하면 성립될 수 없다. 분석해 보자면, 기(氣)는 이 본체가 작용할 때 동력의 근원이며, 리(理)는 이 본체의 자원과 정보 내용이다. 여기서 설사 ‘리’ 스스로 활동성을 갖추지 못하여도 전혀 장애가 없다. 왜냐하면 ‘리기혼합’의 구조에서 리는 기의 동력으로 인해 여전히 자기의 내용을 발휘할 수 있고 본체로서의 역할을 유지한다. 율곡은 비록 리를 ‘무형무위’로 규정하였지만, ‘리의 발용’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인정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려면 ‘리기혼융불상리(理氣渾融不相離)’의 관점을 소홀히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인심도심설에 관하여 필자는 율곡이 이해하고 있던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은 인간의 심정에 대한 서로 다른 분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율곡의 이해에 따르면, 사단칠정은 단순하고 움직이지 않는 심정의 종류로 서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가운데서 특수한 부분을 골라낸다. 칠정이 가리키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전체이다. 사단이 가리키는 것은 그 가운데 선(善)의 부분이며, 칠정 중에 사단을 포함한다. 양자의 관계는 바로 전체와 부분이며, 그러므로 대립 모순되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인심도심은 심정이 발생시키고 형성한 구조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인심, 도심은 모두 동일한 성리(性理; 天性)에 근거한 심지용(心之用), 정지발(情之發)이다. 양자의 차별은 바로 ‘발(發)’을 일으키는 동기에 있다. 다시 말해 도심은 ‘도의(道義, 理義)를 위해 발하는 것’이며, 인심은 ‘구체(口體, 食色)을 위해 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심은 ‘성명지정(性命之正)’에 따라 생겨난 ‘도덕정감(道德情感)’이며, 인심은 ‘형기지사(形氣之私)’에 따라 생겨난 ‘자연정감(自然情感)’이다. 양자의 성질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인심도심은 서로 겸할 수 없고 서로 종시(終始)를 이룬다”, “도심은 인심이 아니며, 인심은 도심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이 율곡에게서 시종일관 변화가 없으며 주자에 부합하는 본인의 이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기호학파에 있어서 농암의 퇴율절충론

        이영자(Lee Young-Ja)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29

        본고에서는 농암 김창협의 퇴율절충론의 특징을 퇴ㆍ율 성리학과의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농암은 남인과 노론의 학설을 절충하고자 하였던 절충론자의 대표적 인물이다. 농암이 살았던 17세기 후반은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간의 대립이 학문상의 차이를 넘어 정치적 붕당으로 심화되었던 시기였다. 농암은 노론의 거두였던 김수항의 둘째 아들이면서, 율곡의 적전이었던 우암 송시열에게 수학했다는 점에서 기호학파라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농암은 단순히 율곡사상을 계승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여러 측면에서 율곡 학설의 미비점을 찾아 비판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퇴계의 견해를 수용하여 절충하고자 하였다. 농암은 사실의 존재 영역과 인간 도덕의 영역을 구분하고, 같은 개념도 그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고자 하였다. 농암은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의 논리로는 이러한 의미를 잘 나타낼 수 없으며, 사단과 같은 순수한 정, 인간 본성에서 그대로 나온 정서를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존재론에 있어서는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을 긍정하면서도, 도덕론에 있어서는 퇴계의 호발설의 입론 형식을 긍정하였던 것이다. 결국 농암은 도덕론적 측면에서의 리의 절대성과 선행의 자발성을 확보하기 위해 퇴계의 호발설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이를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의 틀 안에서 보고자 하였다. 농암의 퇴율절충론은 율곡의 약점을 퇴계의 설에서 수용하는 단순한 절충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퇴율성리학의 재구성을 추구하였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Nongam Kim Changhyop was among the most staunch eclectics who attempted to reconcile the theories of Namin and Noron. The latter part of the 17th century in which he lived was a period when the academic conflict between the Teo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led to the formation of political cliques. Nongam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Yulgok School in that he was the second son of Kim Suhang, a prominent advocate of Noron, and was educated under Wooam, the legitimate successor of Yulgok. However, he didn"t just echo the thoughts of Yulgok but criticized the shortcomings of Yulgokism and attempted to supplement it with Teogye"s ideas. He separated the area of facts and that of human morality. He suggested that Yulgok"s Ki-bal-yi-seung-il-do theory cannot well express these meanings and perfectly explain feelings and emotions from human nature like Sa-dan. He accepted Yulgok"s Ki-bal-yi-seung-il-do theory in relation to cosmology while accepting the argument form of Teogye"s Ho-bal theory in relation to ethics. In order to ensure the absoluteness of Ri in light of ethics and the spontaneousness of good conduct, Nongam partly accepted Teogye"s Ho-bal theory within the frame of Yulgok"s Ki-bal-yi-seung-il-do. He had an eclectic academic attitude of supplementing Yulgok"s shortcomings with Teogye"s theory.

      • KCI등재

        율곡(栗谷)의 "이기지묘(理氣之妙)"적 관점에 근거한 몸 인식과 교육적 함의

        문미희 ( Mi Hee Moon ),황시요 ( Shi Yao Hu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1

        이 논문은 율곡의 철학을 이해하는 틀인 ``이기지묘(理氣之妙)``를 통해 율곡의 몸에 대한 인식을 재고해보고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율곡은 이(理)와 기(氣)의 역할을 재고함으로써 각각의 고유성과 상보성을 인정했으며 이러한 관점은 ``이기지묘``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으로 발전했다. 율곡의 이기지묘에 대한 이해는 수단적 가치를 넘어서는 몸의 의미를 발견했으며, 그의 교육관에 깊이를 더하는 요소로써 몸에 주목하게 했다. 율곡의 몸 인식은 몸이 이와 기의 묘합인 소우주로 세계와 동일한 이(理)를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율곡은 몸을 본질로써의 이(理)가 현상으로써의 기(氣)와 만나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지각의 기초이자 마음을 담는 집이라 인식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몸이 지식의 추구과정에서 감각기관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마음과의 관계에 있어서 수단적 가치에 그치는 것만은 아님을 시사한다. 그런 까닭에 마음과 몸의 관계맺음은 마음교육과 몸교육이 동시에 일어나는 활동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수렴(收斂)을 통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렴을 통한 교육은 진리만을 탐구하는 지적 추구활동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상의 시간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소학 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즉, 율곡의 이기지묘적 관점은 몸이라는 기제가 교육에서 주목받아야 하는 필연성을 일상이라는 시간적·공간적 요소와의 관계성 속에서 설명하며, 이는 곧 습관의 형성이라는 의미획득 과정으로 연결지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awareness of human bod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principle of ``Yi-Gi-Ji-Myo(理氣之妙)``,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Yulgok, who recognized the uniqueness and mutual complement of Yi (理, reason, logic, justice) and Gi(氣, vitality, force, utility), which has led into the in-depth study into and interpretation of ``Yi-Gi-Ji-Myo``. Yulgok`s understanding of Yi-Gi-Ji-Myo went beyond its instrumental value and found the meaning of human body and took note of the human body as a factor that deepens his view of education. Yulgok`s awareness of human body proceeded from the premise that our body is the microcosm, a delicate combination of Yi and Gi with Yi(理) equal to the world. Yulgok recognized the human body as the basis of awareness and a house that contains spirit that can be effectively manifested by a combination of Yi(理) as essence and Gi(氣) as phenomenon. This point of view implies that a human body is more than just an important sensory organ and instrumental value in terms of its relations with spirit from both physical and mental perspectives. This is why he emphasized tha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pirit and body is an activity of educating both spirit and body simultaneously, which requires convergence training of our body and spirit in harmony. He also emphasized, however, that the education through convergence training is not restricted to the intellectual activity in pursuit of truth and that it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education of Sohak (Minor Learning) that is conducted in time and space of everyday living. That is, the Yulgok`s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Yi-Gi-Ji-Myo explains the necessity of our mechanism of physical body that needs to be highlighted in education is expla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atial elements of everyday life and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acquiring a meaningful factor, that is, the formation of a hab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