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농악단을 통해 본 근대 연예농악의 양상

        권은영(Kweon Eun-Yeoung) 실천민속학회 2008 실천민속학연구 Vol.11 No.-

        여성농악단이 활동했던 1960~1970년대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한국의 근대화가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인 측면에서 안착하는 시기였고, 이러한 서구적 근대화와 조응ㆍ변천해간 농악은 형태ㆍ기능ㆍ성격 등이 전근대와 달라졌다. 일제강점기부터 마을공동체의 제의나 노동과 분리된 독자적인 공연물로서의 농악이 늘어가는 추세였으며, 농악이 대중적인 공연물로서 공연되자 전북지역의 각 국악원 중심으로 여성농악단이 만들어졌다. 여성농악단 단원들은 임금노동자와 같이 농악공연이라는 노동력을 제공한 대가로 급료를 받았고, 이들의 공연은 ‘입장료’라는, 화폐와 교환되는 상품이었다. 농악공연이 상품으로 판매되자 유통시킬 시장이 필요했고, 이에 도시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의 농악을 여성공연자들이 중심이 되어 공연했던 것은 성적 상품화를 통해 농악 공연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상품’으로 유통된 여성농악단의 농악은 마을공동체 내에서의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 부분이나 상품적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부분들은 과감하게 탈락시키고 기술 중심의 대중취향적인 농악을 공연하는 등 이전의 호남우도농악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성농악단의 농악은 근대 연예농악의 양상을 잘 드러내는 대상이라 할 수 있겠다. The period of 1960’s and 1970’s, in which Yeoseong-nongakdan (the female farm musical bands) performed their activities, was when Korea’s modernization, which star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ettling down in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following this trend of westernization, the Nongak(farm music-performance) changed its form, function and characteristic from the pre-modern er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ngak started to increase as an independent performance art separate from the duties and labors involved in town communities. As Nongak started to be performed as a popular mass art, each traditional music center in Chonbuk area started to create Yeoseong-nongakdan. The members in Yeoseong-nongakdan received their wage in return of their labor service provided in the form of Nongak performance, and to see their performance required one to pay a ‘entrance fee,’ which was a separate product exchanged with the currency. Selling Nongak performance as a product also required a market for distribution, and therefore, the activities of Yeoseong-nongakdan we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Also, the reason why the female performers played Nongak which was traditionally played by male performers is likely to be an intention for increasing the commercial value of Nongak performance by making it a sex product. Nongak performed by Yeoseong-nongakdan was distributed as a ‘product,’ and thus it boldly removed the components which were related to the functions in town communities and did not have enough commercial value. This type of Nongak showed a technique-oriented popular performance and is different from Honam Wudo Nongak(the farm music-performance in the west area of Honam province) performed in the past. Nongak performed by Yeoseong-nongakdan can be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Nongak performance.

      • KCI등재

        여성농악의 아우라 형성과 공연지식의 학습

        권은영(Kwon E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여성농악(Yeoseong-nongak)은 전국을 순회하며 공연을 했던 대중연예적인 성격의 농악이었다. 이것은 마을이나 지역이라는 장소적인 맥락에서 벗어난 농악이었기 때문에 그 장소의 역사나 생태적 특징에서 비롯된, 장소가 부여하는 아우라(aura)에 의지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여성농악에서는 공연자를 중심으로 공연 자체의 심미적인 아우라를 계발하는 방향을 취함으로써 공연의 예술적 가치를 높였다. 공연예술은 공연자의 신체를 매개로 형상화되므로, 공연의 아우라는 공연자의 아우라와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여성농악이 작품의 아우라를 계발하는 방식은 공연자의 공연지식 학습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여성농악의 공연지식 학습은 대략 외적-신체적 훈련과 내적-심리적 훈련으로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심신의 훈련을 통하여 여성농악 공연자들은 공연능력을 키우고, 실제공연에서 그 능력을 발휘한다. 또한 공연자들은 공연상황에 몰입함으로써 강력한 아우라를 발산하고, 관객들은 그 아우라를 지각하면서 심미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반복되는 훈련과 공연으로 공연자들은 예술가로서의 아비투스(habitus)를 갖게 되었다. 여성농악 공연자들은 특히 전라도 지역의 민속공연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일상생활이 공연을 향해 수렴되는 삶을 살았다. 또한 능력에 대한 보상에 민감하면서동시에 공연을 위해서는 어떤 고통도 감내하는 성향적인 특징을 보였다. Yeoseong-nongak was a form of nongak performed around the country with popular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As this style of nongak lay outside of the contexts of locations such as villages or regions, it could not rely on the auras granted by its locations or by the history o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locations. Therefore, Yeoseong-nongak heightened the artistic value of performances by developing the aesthetic aura of the performances themselves with a focus on the performers. Performance art is shaped by the physical bodies of performers as its medium and thus the aura of performances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aura of performers. Therefore, the methods through which Yeoseong-nongak develops the aura of work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knowledge learning of performers. The performance knowledge learning of Yeoseong-nongak can roughly be divided into external-physical training and internal-psychological training. Through such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performers of Yeoseong-nongak develop their performance skills and display these abilities in actual performances. Also, performers emit strong auras by immersing themselves in performance situations and audience members have aesthetic experiences as they perceive that aura. Through repetitive training and performances, performers came to have habitus as artists. Yeoseong-nongak performers particularly have cultural tastes based on the folk performance arts of the Jullado area and their daily lives were wholly lived converged towards performances. Also, they displayed propensity characteristics that were sensitive to rewards given for abilities and that simultaneously endured any type of pain for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농악 연예인의 흥행 전략, 여성농악의 무대의상

        권은영(Kwon E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여성농악단은 1950년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 호남우도농악을 중심으로 대중적인 민속예술을 공연했던 연예단체였다. 1950년대 주 소비층이자 지지기반인 후원자(patron)들의 지원이 줄자 권번의 후신인 국악원의 예인들은 새로운 소비자로서 ‘대중’을 인식하였고, ‘여성농악’이라는 새로운 공연 아이템을 내놓았다. 여성농악단은 대중들에게 공연 상품을 판매하는 소규모의 ‘기업’으로서, 공연활동에 종사하는 예술가-노동자를 고용하였다. 흥행을 위해 10, 20대의 여성들이 공연자로 고용되었고, 이들은 매스미디어가 발달하기 이전의 대중 연예인이었다. 이들이 생산하는 ‘공연’이라는 비물질상품은 질의 문제가 중요했기 때문에 여성농악 연예인들은 예능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였고 그런 맥락에서 예술가로서의 표현뿐 아니라 대중들의 시각적 쾌락까지도 고려하여 무대의상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민족과 전통을 강조하던 당시 시대상황에서, 전통과 흥행은 여성농악을 관통하는 핵심어였다. 무대의상에서도 전통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엄밀한 고증을 통한 전통의 복원이나 재현은 아니었다. ‘흥행’이라는 사업적 목적을 위해, 당대의 패션과 대중들의 미적 취향을 고려하면서 전통적 요소들을 브리콜라주(bricolage)하였다고 볼 수 있다. Yeoseong-nongak Band is an entertaining group performing folk arts publicly centering around Honam Woodo Nongak from the end of the 1950 s until the 1970 s. In the 1950 s, support from patrons, the major consumers and support grounds, reduced, and entertainers from the Classical Music Institute formerly known as Gwonbeon recognized ‘the public’ as new consumers and released a brand new performance item called ‘Yeoseong-nongak’. Yeoseong-nongak Band was a small-size ‘company’ selling performing products to the public and hired artists-laborers engaged in performing activity. For promotions, women in their 10’s or 20’s were hired as performers, and they were, in fact, public entertainers before mass media were developed. Since quality did matter in ‘performances’, the nonmaterial products produced by them, entertainers in Yeoseong-nongak strived to enhance their artistic expertise. Within this context, they made a lot of efforts to express as artists and also better stage costume considering the public’s visual pleasure as well. In that era when ethnicity and tradition were stressed, tradition and promotion were the Keywords penetrating Yeoseong-nongak. In stage costume, too, tradition was stressed, but it was not the restoration or reproduction of tradition based on precise investigation on history. To attain their business goal of ‘promotion’,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trends or the people’s aesthetic taste while bricolaging traditional elements.

      • 전주농악의 정체성 변화양상과 여성농악단의 역할

        김성식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3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9 No.-

        본 논문은 전주에서 연행되어 온 농악의 변천 양상을 살펴본 내용이 다. 근대 이후 전주농악은 몇 차례의 굵직한 변화과정을 거친다. 그 양 상에 따라서는 정체성의 변화를 가져올 정도로 특기할 만하다. 근대시기 이후 전주농악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1967년에 홍현식, 김천흥, 박헌봉에 의해서 조사되고 문화재관리국에서 발간한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湖南農樂 이다. 이 보고서는 전주농악의 성격 과 관련된 최초의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의 핵심은 전주농 악을 이른바 ‘웃녘굿’으로 보고 호남좌도농악이라고 규정한 데에 있다. 두 번째 변곡점은 1954년도에 전주농고에서 시작한 「전주농고 농촌 예술반」 활동이다. 전주농고는 정형인 명인을 초청하여 전주농고 학생 들을 대상으로 무용, 삼현육각, 민요, 농악을 가르친다. 이때 농악 강사 로는 정읍과 김제에서 활동하던 우도농악인이 투입된다. 이 시점부터 전주농악은 호남우도농악으로 선회하는 계기가 된다. 세 번째 변곡점은 1960년대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모았던 여성농악단 시대이다. ‘남원여성농악단’을 필두로 ‘호남여성농악단’, ‘전북여성농악 단’, ‘전주여성농악단’ 등 수많은 여성농악단 시기를 거치면서 전주는 일거에 우도농악 거점도시가 된다. 여성농악단 지도자들도 전주농고와 마찬가지로 정읍과 김제 출신의 우도농악 명인들이었다. 여성농악단은 이른바 ‘연예농악’이라는 새로운 공연양식을 창출하였 다. 전주농악은 이때의 기억이 강렬하게 남아 있다. 그들이 현시기 전 주농악의 새로운 전통이 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흥행을 앞세우기는 했 으나 치배를 여성만으로 구성하는 전복적(顚覆的) 사고와, 기존의 마당 판 놀음을 무대양식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전통양식의 근대성 실현이라 는 점 등에서 평가할 만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Nongak that have been performed in Jeonju. Since modern times, Jeonju Nongak has undergone several major changes. Depending on the aspect, it is remarkable enough to bring about a change in identity. The data that can confirm the reality of Jeonju Nongak after the modern era is the “Honam Nongak,”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urvey report conducted by Hong Hyun-sik, Kim Cheon-heung, and Park Heon-bong in 1967 and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report can be said to be the first report related to the nature of Jeonju Nongak. The core of this report lies in the fact that Jeonju Nongak was regarded as the so-called “Utneokgut” and defined as Honam Jwado Nongak. The second inflection point is the activities of the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Jeonju Nonggo) “Rural Art Class”, which began in 1954 at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 invites Jeong Hyeong-in, a master, to teach dance, Samheonyukgak, folk songs, and Nongak to students of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At this time, Udo Nongak, who was active in Jeongeup and Gimje, will be appointed as Nongak instructors. From this point on, Jeonju Nongak serves as an opportunity to turn to Honam Udo Nongak. The third inflection point is the era of the Women’s Nongak Band (Yeoseong-nongakdan), which has gained explosive popularity since the 1960s. Starting with the “Namwon Women’s Nongak Band,” Jeonju has become a hub city for Udo Nongak at once through numerous women’s Nongak periods such as the “Honam Women’s Nongak Band,” “Jeonbuk Women’s Nongak Band,” and so on. Like Jeonju Agricultural High School, the women’s Nongak Band leaders were Udo Nongak masters from Jeongeup and Gimje. The Women’s Nongak Band created a new performance style called “Entertainment Nongak.” Jeonju Nongak has a strong memory of this time. This is because they became a new tradition of Jeonju Nongak during this period. Although it put the box office ahead, it is worth evaluating in that it is a subversive thinking that consists of only women and the modernity of the traditional style by reconstructing the existing Madangpan nori into a stage style.

      • KCI등재

        여성농악의 발생과 남원의 권번 문화

        권은영(Kwon Eun-young)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남원에서 처음 발생한 여성농악에는 ‘권번’이라는 문화적 배경이 존재하였다. 권번은 기생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알선하는 매니지먼트 일과 학습생들을 교육하는 공연예술 교육기관의 일을 맡아 하였다. 해방 후 남원 문화계의 리더들은 권번의 운영 체계를 정비하여 남원국악원을 설립하였다. 남원국악원은 공식적으로는 공연예술의 교육기관임을 표방하고 강조함으로써 유흥 사업과 결부되어 있는 권번의 부정적인 이미지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매니지먼트 수익이 줄어들자 남원국악원에서는 운영비를 벌기 위해 여성농악단을 별도로 기획하여 창단하고 운영하였던 것이다. 남원의 여성농악 단체들은 교육과 공연 활동 면에서 권번의 문화적 습속을 따르고 있었다. 입문 과정, 학습 종목과 교육 절차 면에서는 권번에서 동기(童妓)들을 교육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었고 남원 권번에서 처음 시작했던 춘향제의 주역으로 참여함으로써 여성농악이 권번의 문화적 영향 속에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처럼 여성농악은 남원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마을 농악과는 다르게 권번 문화를 배경으로 생성되고 전개되었다. Yeoseong-nongak, which originated in Namwon, had the cultural background of Gwonbeon. Gwonbeon served the role of a management company that supports and finds jobs for Gisaeng, Korean geisha, and w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that taught students performing ar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ultural leaders of Namwon reorganized the operational system of Gwonbeon and established Namwon Gukak Center. This newly built center publicly claimed that it i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performing art and tried to discard the negative image of Gwonbeon related to entertainment industry. During the process, the profit from management business decreased, so in order to make money for the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Namwon Gukak Center organized and operated the Yeoseong-nongak bands, female musicians who performed traditional farmers’ music. Yeoseong-nongak bands in Namwon followed the cultural conventions of Gwonbeon in terms of education and performances. Regarding the introduction process, subjects of study, and educational procedure, the methods used in Gwonbeon for teaching young gisaengs were adopted. Also, by participating in Chunhyang Festival, which originated from the Gwonbeon of Namwon, Yeoseong-nongak bands publically showed that they were under the cultural influence of Gwonbeon. As seen from above, Yeoseong-nongak was born in Namwon, but unlike village nongak, it was creat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ulture of Gwonbeon.

      • KCI등재

        여성농악의 문화적 의미망과 위상 재인식

        이영배(Lee, Youngbae) 한국민속학회 2015 韓國民俗學 Vol.61 No.-

        현대사회에서 여성농악의 재인식이 필요한 지점은 그것을 통하여 공연자와 관객이 공동체 내에서 문화적 호흡을 같이했다는 점이다. 그러한 협동의 메커니즘 속에서 여성농악은 구성원들의 욕구와 좌절, 가치관을 공연 실행의 영역으로 풍부히 포섭할 수 있었다. 공연 주체와 수용자 대중 사이의 높은 친밀성은 민속문화의 본질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여성농악 공연자들이 직업적 예능인으로서 그들의 전문성을 자각했다는 점과, 단장 및 사업부장 등의 사업가(기획자, 관리자 등)로서 공연자들의 예술적 성과를 비즈니스 영역으로 유인했다는 점 등은 여성농악의 문화적 위상과 관련하여 주목을 요하는 점이다. 특히 상업 자본과 결탁을 유도하는 사업자적 성격과, 공동체의 소속감을 바탕으로 창작의 독립성을 고수하려는 예술가적 속성 사이의 협력적 견제는, 그것이 융성했던 당대의 대중사회 속에서, 여성농악의 특이성을 보여준다. 여성농악이 당대 대중의 민속적인 감수성을 그 시대에 체현한 문화현상이라고 할 때, 그것을 수행하는 여성은, 무(巫) 문화의 계보를 잇는 민속적인 공연문화의 주체로서 그 대중적인 성격과 사회적인 성격을 체현한 존재성을 갖는다. 요컨대 여성농악 공연자는 그 시대의 전형적인 공연적 존재로서, ‘여성’의 성적 정체성을 구현하거나 상품화되는 존재라기보다는, 무(巫) 문화 속에서 계보화된 여러 시대적 판본들을 창조하고 존속시키는 다중적인 존재성의 현실태인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tatus of yeoseong-nongak(the female farm music). In the period 1960’s and 1970’s, yeoseong-nongak performed its activities by yeoseong-nongakdans(the female farm musical bands). The periods were when korea’s modernization which started from th Japanese colonial period settling down in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following this trend of westernization, the nongak(farm music) changed its form, function and characteristic from the pre-modern era. The modern cultural system is a temporal culture system making money into the measure of value. In this temporal system, the members in yeoseongnongakdan received their wage in rturn of their labor service provided in the form of nongak performance. Selling nongak performance as a product also required a market for distribution, and a technique-oriented popular performance. In this process, nongak performed by yeoseong-nonakdan wa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that is traditional, creative, and hybrid) of modern nongak performance as popular-culture.

      • KCI등재

        1950~60년대 남원 ‘권번예술’ 패트론의 후원 문화와 여성농악단의 발생ㆍ분파와의 연관성

        권은영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7 No.-

        Gwonbeon Art’ is a term that encompasses vocal music, instrumental music, and dance that were passed down in Gwonbeon. This term includes the range of time from the 1910s to 1971 when the name and system were changed to the Gisaeng Association, Gwonbeon, or Gugak Center. ‘Namwon Female Nongak Band’ and ‘Chunhyang Female Nongak Band’ are the same in that they are both female Nongak bands generated in Namwon. But they contrast in terms of the purpose or the subjects of operation of the groups. The operating groups of the two organizations both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of Namwon Kwonbeon Art and cooperated with each other on regional issues. However, they showed opposing characteristics:patrons vs. artists, Confucianism vs. Shamanism, and the superiority of power vs. the superiority of cultural capital. The outbreak and division of the two female Nongak bands can be interpreted as a symbolic event showing conflict and competition among the patron forces related to the Namwon Gugak Center in the 1950s and 1960s and ‘the Kang family’, the artist group. ‘권번예술’은 권번에서 전승되었던 성악ㆍ기악ㆍ무용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이 말에는 기생조합ㆍ권번ㆍ국악원으로 명칭과 체제가 변경되었던 1910년대부터 1971년까지의 시간적 범위가 포함되어 있다. ‘남원여성농악대’와 ‘춘향여성농악단’은 남원에서 발생한 여성농악단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단체의 목적이나 운영 주체 면에서 대조적이었다. 두 단체의 운영 집단은 공통적으로 남원 권번예술의 전승에 기여하였고 지역 현안에 서로 협력하였다. 하지만 패트론 대 예술가, 유교 대 무속(巫俗), 권력의 우위 대 문화자본의 우위라는 대립적인 특성을 보여주었다. 두 여성농악단의 발생과 분파는 1950~60년대 남원국악원과 관련되어 있던 패트론 세력과 예술가 집단인 ‘강씨 일가(一家)’ 사이의 갈등과 경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