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교육에서 직업카드 활용의 현황과 과제

        김봉환(Kim, BongW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직업카드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 및 활용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카드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합리화와 효율화를 위하여 앞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먼저 직업카드와 관련된 문헌과 자료 그리고 개발된 직업카드와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FGI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에 처음으로 직업카드가 개발 된 이후로 지금까지 14종의 직업카드가 개발되었고, 활용 대상은 초.중등학생과 성인 등 매우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대상을 겨냥해서 개발된 직업카드와 분류 활동 등을 종합해 보면 대체로 적용 대상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측면에서 제안된 사항으로는 대상에 특화된 보다 다 양한 종류의 직업카드 개발, 직업카드 분류 방법의 다양화와 정교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집단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직업카드 분류활동에 대한 효과검증 연구의 활성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vocational card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reasonable and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acts and figures of vocational cards in Korea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econd, how is the current research trend in Korea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ird, what should we consider in the future for the rationalization and efficiency in developing and utilizing vocational cards?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and material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and existing vocational cards and theses. Next, this study conducted FGI three times with expert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2002 when a vocational card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a total of 14 vocational cards have been developed so far and the subjects comprised many classes such 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ults. Second, considering the vocational cards developed for various classes and sort activities, it was shown that vocational card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ird, the suggestions presented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clude development of more specified and diverse kinds of vocational cards. The verification and preciseness of vocational card sort, and activ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career guidance program utilizing vocational cards. It is also suggested that activation for research on effect verification of vocational card sort, including various variables is conducted.

      • KCI등재

        입국 초기 새터민의 진로개발을 위한 직업카드분류법의 적용 연구

        노경란,전연숙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ilities of vocational card sort as a leaning method for the North Korea defectors at entrance early stage to improve their career decision status. To achieve this objective, vocational card sort was performed for 331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had taken assessment test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level before and after performing vocational card sort.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of career indecision level between pre-participation and post-participation.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ir career indecision level decreased after taking part in vocational card sort. Second,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were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on except only motivation factor. Concretely, it was shown effective to improve lack of determination, deficiencies in knowledge of career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conflict between career and themselves, conflict between surroundings and themselves. Third, it was demonstrated different chang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ttribute such as education background, the length of their stay third countries, whether having children or not. 이 연구의 목적은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을 적용하여 활동 참여자 개인적 변인에 따라 진로미결정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해 봄으로써 새터민 진로개발의 구체적 학습방법으로서 직업카드분류법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활용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고자 입국 초기 새터민 31명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 활동을 전개한 후, 진로미결정 수준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입국 초기 새터민은 직업카드 분류 활동을 참여하기 전에 비하여 참여한 후에 진로미결정 수준이 낮아졌다. 둘째, 진로미결정 수준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동기 부족 요인을 제외하고 결단성 부족,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자신에 대한 이해 부족,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 외적인 조건들과 자신간의 갈등 등의 요인에서 참여 전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업카드 분류 활동 참여 전후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과 가족동반 입국 상태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학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과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다. 또한 제3국가 체류의 기간이 짧을수록 직업카드 분류 활동 후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상태가 더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집단과 남한에 거주 중인 동거 예정 가족이 있는 집단에서 결단성 부족의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은 짧은 시간 내에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② 직업카드분류법에의 참여는 새터민들로 하여금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정보 부족을 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③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을 활용할 때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세분화는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직업카드 분류 결과와 홀랜드 코드 간의 분석

        김병숙,김수정,김보인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2

        Recently it is diverting from the positivistic view point of 20th century to the contextualism of post modernism. The career study and counseling should definitely switch the method to understand the human behaviors in the context. The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Holland codes through the Occupational Card Sort as a qualitative assessment tool and the decision making ability and the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ccupational Card Sort had been implemented to 18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258 university students. We operated the Occupational Card Sort to 17 subjects one to one for the case studi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 distribution in the interest area of Social and Artistic Environment, whi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it in the Enterprising and Social Environment. The 48.6%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44.2%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d low consistency in the codes or none. Many information had been able to collected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number of the cards that were categorized; self-concept, the level of comprehensiveness about the job world, cognitive process and career attitude. And also the amount of time to finish the whole sorting process provided the first step to search the decision making pattern while the analysis of life-career themes showed the career maturity level. This study is an attempt toward the possibility of the contextual view point in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reer interest type, decision making pattern, career attitude, self-concept, view of the job world, career maturity level of the students with the qualitative assessment tool, Occupational Card Sort. 현대는 20세기 실증주의 관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주의로 전환 중에 있으므로 진로교육에서 진로연구와 진로상담에 대한 맥락상의 행위설명을 확립하기 위해서 구안된 방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사정도구인 직업카드 분류를 통하여 홀랜드 코드의 관계와 의사결정 및 진로태도를 관찰하고 사례를 분석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183명과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및 일반인을 위한 직업카드분류’를 사용하여 직업카드 분류를 실시하였고, 그 중 17명은 개인 사례분석을 위해 1:1로 카드 분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생의 높은 분포의 흥미 영역은 사회형과 예술형, 대학생은 진취형과 사회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중 중․고등학생 48.6%, 대학생 44.2% 등이 홀랜드 코드의 일관성이 없거나 낮은 일관성을 보였다. 사례분석 시 관찰을 통하여 직업카드분류 수에 따라 자기개념, 직업세계 이해정도, 인지과정, 진로태도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카드분류 시간에 따라 의사결정 형태를 분석할 수 있고, ‘좋아하는 직업’과 ‘싫어하는 직업’에 대한 주제를 분석하여 진로성숙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고․대학생의 진로흥미유형, 의사결정, 진로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실증주의에서 벗어나 자기개념, 직업세계관, 진로성숙의 정도, 의사결정유형, 직업세계의 이해정도, 인지과정의 복잡성 등을 분석해 냄으로써 진로교육의 맥락주의적 관점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이윤우,진석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vocational card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cards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ir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The first half of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es of developing a new set of vocational cards, such as organizing counseling committee, establishing the standards for vocation selection, analysing selected vocations,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cards, determining design, and exemplifying how to utilize the cards in the field. The latter half of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vocational cards by applying the cards to 105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ing questionnaire to the subjects. This study developed 119 occupational cards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assisting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a career by helping them to find their vocational interest and aptitude, and search and decide their career or occupation by themselves. And, the analyses on the questionnaires show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vocational card sorting activity as well as the developed cards themselves. Feedbacks from the counselors who guided the vocational card sorting activities were positive.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탐색활동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윤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career searching program using vocational cards for helping career searching and career 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o form their career identity and make decision of career on increas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divided female students attending in the faculty of Liberal Arts into two groups (i.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30 students and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30 students), and then carried out career searching program for each 10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s one group for 2 hours and 30 minutes for two days. For confirming that these 60 students are included in cohort group, this study carried out career identity test as a pre-test and career decision making test in the classroom one day before card sorting activity, and, as a post-test, career identity test and career decision making test were performed for 60 students in the classroom one week after career searching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as a post-test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nd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proces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in increasing career ident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of the Experiment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aspect of statistics. This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make correction of wrong recognition of career which has been considered vaguely and simply, or any prejudice as well as to understand and search the world of occupations. In addition, career searching activities served to enhance career identity that enables a person to establish a goal and plan for her career by identifying her interest in occupation and aptitude through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occupations and the ground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enhanced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much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 of statistics. This result showed that career searching activities using vocational card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find a preferred (desired) occupation out of various occupation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that help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Furthermore, these career searching activities proved to be effective activities in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 making b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selecting career or occupation through a process of recording the top 10 preferred occupations and determining the final 3 occupations among them. Meanwhile, if a student already determined her career but the final occupation is different from the occupation determined by her, these activities can provide such student with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whether such occupation is suitable for her interest and aptitude. Furthermore, if such occupation is not suitable for her and she may suffer inner conflict and confusion, these activities can provide her with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establish her career more firmly.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roup career searching activity of this study is an effective activity that can enhanc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고 진로를 결정하여 취업을 준비해야 할 여대생의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여주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모대학교 교양학부 강좌를 듣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두 그룹 즉, 통제집단 30명, 실험집단 30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은 2시간30분 동안 이틀에 걸쳐서 한 집단에 10명씩 배정하여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들 60명을 동질성 집단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인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진로탐색활동 전날 본교 강의실에서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진로탐색활동 일주 후에 본교 강의실에서 60명전원이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를 공변량(ANCOVA) 분석으로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막연하고 단순하게 생각했던 진로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선입견을 바로 잡는 계기가 되어 현실적으로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업을 분류하고 이유를 찾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직업흥미와 적성을 확실히 알게 됨으로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진로정체감을 높여줄 수 있는 진로탐색활동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활동이 직업에 대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직업들 중에서 선호(희망)직업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선호직업에서 가장 좋아하는 직업 10개를 찾아 순위를 기록하고 그 중에서 3개의 최종직업을 판정하는 과정을 통해 진로나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서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이미 진로를 결정한 학생이 최종직업이 다를 경우 이미 선택한 직업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인지 되돌아보게 되고, 만약에 맞지 않는 직업이라면 갈등과 혼란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자신의 진로를 더욱 확고히 재정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음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집단 진로탐색활동은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인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화 연구

        김수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dea that the work value of college students who are in a transitional period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The research involved 1,500 students of thirteen 4-year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10 items among the career themes of vocational card sort that appeared in work value analysis as the sub-dimension and the questions were composed by using the expressions that were actually used by the study subjects. The creation of work value subtypes was carried out by K-average method, one of the most well-known 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to ensure accuracy of the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five work value groups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efore naming them tepid exploration group, enthusiastic innovation group, conservative status-seeking group, passive stagnant group, change-oriented creativity group. By suggesting phenomenal pattern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career path, the subtypes of work valu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direction in intervention for future career counseling. 본 연구는 진로발달단계의 전환기에 처해 있는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가 향후 진로적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분석하여 현상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직업카드분류의 누적된 사례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선호직업의 특성을 추출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가치의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500명이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른 대학생의 22개 진로주제 항목 중 언급 횟수의 빈도가 높은 10개 항목을 채택하여 하위차원으로 설정하고 실재 연구대상이 기술한 진로주제의 표현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유형화는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이 개인에게 어떻게 체계화되어 존재하고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비계층적 군집화 방법인 K-평균법을 통해 직업가치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직업가치는 5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였고, 그들을 각각 미온적 탐색형, 진취적 도전형, 보수적 지위추구형, 수동적 안주형, 변화지향적 창의형 등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5가지 직업가치 유형은 상담의 장면에서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이슈에 따라 차별적이고 적확한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의미가 있으며, 직업카드분류를 질적 도구의 활용법에 충실히 적용한 경험적 연구가 아직 전무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진로상담분야 연구에서 이론적․경험적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연구

        노경란 ( Roh Kyung-ran ),서현주 ( Seo Hyon-ju ),강옥희 ( Kang Ohk-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2

        이 연구는 직업카드 개발 단계별 의사결정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직업카드 개발과정의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직업선정 기준, 직업정보의 종류, 직업카드의 개수 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직업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직업흥미유형`, `청소년 직업선호도`, `직업의 유망성`, `인력수요 전망에서의 유망성`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하는 일`, `되는 길`, `관련 학과/전공`, `업무수행능력`, `직업흥미유형`, `미래 전망` 등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직업정보로 도출되었다. 셋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주요 의사결정 요소 중 하나인 직업카드(사실상 직업)의 적절한 개수 범위는 81-120개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안된 직업선정 기준의 의미, 기존 적용되었던 직업선정기준과의 차별점 등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더불어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riteria for selecting an occupation, the sort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appropriate numbers of occupations (card) for developing employed.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vocational interest types, occupation preferences of youths, occupation opportunities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in-demand jobs were established 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occupations. Second, duty and tasks, how to get a job, major, necessary job ability, vocational interest types, and future outlook were suggested as compulsory items for understanding occupational information. Third, the appropriate range of occupations was proposed from 81 to 120.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ncluded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vocational cards for youth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