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문승규,이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4

        In this study, we developed vocational value cards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reasonable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and checked effectiveness and properness of the vocational value cards for college students. To develop the vocational value cards for college students, we first singled advisory committees out for confirming properness of overall development procedures. The analysis of vocational value was performed from the following three viewpoints. First, we analyzed the existing seven vocational value card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fields. Second, we analyzed the twenty-two references related to the study of vocational value. Third, we analyzed open-questionnaires about vocational value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three analyses, three career experts including us choose 102 vocational value names and their definitions as the first-order vocational values through processes of evaluation and decision. And then, five advisory committees excluding us reclassified the 102 first-order vocational values based on value area and meaning, and we collected the re-classification results and choose 61 vocational values as the second-order vocational values. Five professionals evaluated the 61 second-order vocational values and their definitions via the delphi technique. As a result, the vocational values score 6.59 out of 7 in average and definitions of the vocational value score 6.58 out of 7 in average, and the professionals confirmed that the selected vocational values are reasonable. Thus, we choose the second-order vocational values as the final vocational values. With the final vocational values, we made 50 sets of vocational value cards. And then, we asked active career advisors for evaluating the cards in terms of representativeness, name, definition and card design. As a result, the developed cards score 4.25 out of 5 in average. Also, 26 college students, who took part in card classification activity using the developed vocational value cards,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value cards is proper, names of the vocational value are clear, definitions of the vocational value help to understand the vocational value and the card classification activity also helped to understand the vocational value. Consequently, the developed vocational value cards in this study are effective and proper for career advisors and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ard classification activity. 본 연구는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가 타당한 절차와 방법에 의해 개발되었고, 개발된 직업가치카드가 대학생들이 활용하기에 적절하며 효과적인지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먼저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 개발을 위하여 전반적인 개발과정과 절차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는 자문위원을 선정하였고, 직업가치에 대한 분석은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기존에 개발되어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7종류의 직업가치카드에 대한 분석을 하였고, 둘째,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와 관련된 22개의 문헌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셋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와 관련된 개방형 설문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의 진로전문가의 평정작업을 거쳐 102개의 직업가치명과 각각의 직업가치명에 대한 직업가치정의를 1차 직업가치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자를 제외한 5인의 자문위원 각자가 102개의 1차 선정 직업가치에 대하여 직업가치영역이 비슷하거나 의미가 겹치는 것을 중심으로 재분류하게 하였고, 이것을 본 연구자가 취합한 결과 61개의 직업가치가 2차로 선정되었다. 2차로 선정된 61개의 직업가치와 직업가치정의에 대한 타당도를 5명의 전문가에게 델파이기법으로 평정한 결과 7점 척도에서 직업가치는 평균 6.59, 직업가치정의는 평균 6.58로 평가되어 대체로 타당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므로 2차 직업가치를 본 연구에서의 최종 직업가치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가치카드를 실험적으로 50세트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진로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진로상담사에게 직업가치의 대표성, 직업가치 명칭, 직업가치정의, 카드디자인의 적합성 등에 대해서 5점 척도로 평정하게 한 결과 평균 4.25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업가치카드를 활용한 카드분류 활동에 참여한 대학생 26명에 의한 평가 결과 대체로 직업가치카드 개수가 적당하고, 직업가치의 명칭은 명료하며, 직업가치정의는 직업가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카드분류 활동은 직업가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업가치카드는 이를 활용하는 진로상담사와 카드분류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진로교육에서 직업카드 활용의 현황과 과제

        김봉환(Kim, BongW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직업카드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 및 활용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카드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합리화와 효율화를 위하여 앞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먼저 직업카드와 관련된 문헌과 자료 그리고 개발된 직업카드와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FGI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에 처음으로 직업카드가 개발 된 이후로 지금까지 14종의 직업카드가 개발되었고, 활용 대상은 초.중등학생과 성인 등 매우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대상을 겨냥해서 개발된 직업카드와 분류 활동 등을 종합해 보면 대체로 적용 대상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측면에서 제안된 사항으로는 대상에 특화된 보다 다 양한 종류의 직업카드 개발, 직업카드 분류 방법의 다양화와 정교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집단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직업카드 분류활동에 대한 효과검증 연구의 활성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vocational card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reasonable and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acts and figures of vocational cards in Korea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econd, how is the current research trend in Korea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ird, what should we consider in the future for the rationalization and efficiency in developing and utilizing vocational cards?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and material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and existing vocational cards and theses. Next, this study conducted FGI three times with expert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2002 when a vocational card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a total of 14 vocational cards have been developed so far and the subjects comprised many classes such 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ults. Second, considering the vocational cards developed for various classes and sort activities, it was shown that vocational card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ird, the suggestions presented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clude development of more specified and diverse kinds of vocational cards. The verification and preciseness of vocational card sort, and activ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career guidance program utilizing vocational cards. It is also suggested that activation for research on effect verification of vocational card sort, including various variables is conducted.

      • KCI등재

        대상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직업카드 개발의 방향 탐색

        유형근(Yu Hyeong Keun),오정희(Oh Jung hee),정윤희(Jung Yun hee),이강찬(Lee Gang chan),최명운(Choi Myeong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학교 급을 중심으로 대상별 직업카드 개발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자 및 현장 전문가들에게 대상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직업카드의 선택 및 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카드’, ‘카드개발’을 주제어로 수집된 직업카드 개발 연구 총 1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카드의 개수, 기입내용, 개발과정의 구성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직업카드 개발이 시작된 이후 대상의 학교·급별에 따라 다양한 직업카드가 개발되고 있었다. 학교·급별 직업카드의 개수, 기입내용에 차이가 있었지만 학교·급에 따른 일관된 기준을 발견하기 어려워 대상의 진로발달을 고려한 직업카드의 개수 및 내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직업카드 개발과정의 경우 연구자들 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카드개발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자문위원 구성 및 타당화 과정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대상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직업카드 개발방향 및 개발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for each subject, focusing on the school level, and to provide researchers and field experts who develop vocational cards with practical information and tasks on the selection and use of appropriate vocational cards. To do this, 12 studi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of Vocational Cards and Cards Development ,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number of cards, the content of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various vocational card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ince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ds in Korea.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and writing contents of the vocational card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t is difficult to find a consist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sistent standard consider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process, researchers have different ways of developing the card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composition and validation of the advisory committee is emphasized recent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vocational cards considering the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교육에서 활용가능한 직업카드 개발

        김덕화,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신의 진로탐색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며,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직업카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직업카드의 직업명을 선정하여 구성하는데 기존 연구와 다르게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중분류 비율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이는 한국고용직업분류는 같은 직무유형의 직업을 하나의 중분류에 배치하여 오분류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때문이다. 둘째, 직업카드분류 활동을 통해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카드 앞면에는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직업코드(중분류), 직업명, Holland 유형, 하는 일, 적성 및 흥미를 제시, 뒷면에는 채용 시 요구되는 훈련(자격 혹은 면허), 향후 전망, 관련 직업명, 관련 직업정보(QR코드)를 제시하였으며 직업카드 개수를 100장으로 제시하였다. 직업카드 뒷면에 3개의 관련 직업을 QR코드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많은 학생들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QR코드에 접속하면 직업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시되고, 웹사이트(워크넷, 네이버)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학생, 현장교사,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직업카드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ocational cards, which might creat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careers and vocations, and might help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vocations. First, configuration by selecting the vocation names of the vocational cards was to appl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rate of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medium classification.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is to minimize the risk of misclassification and to promote user convenience by placing a vocation with the same vocation types in a single classification. Second, it is arrange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vocational cards. They include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occupational code (medium classification), vocation names, Holland type, job(duty), aptitude and interest on the front side of the cards. The back includes required training (qualification or license), prospect of future, related occupations, and related job information (QR code). The number of vocational cards is 100. On the back of the vocational cards, there are three related vocations with a QR code. When connected to a QR code, there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job. However, there is further information on websites (like Worknet and Naver). Third, needs of the student, the teachers' opinion, the experts' review were reflected for selecting the vocation names and developing the vocational cards. It reflected the results that experts of vocational cards and the teachers' review about the vocation names, the shape, the written contents of vocational cards, and student questionnaire survey.

      • KCI등재

        대학생용 직업카드 개발과 타당화

        김봉환 ( Bong Whan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이 연구는 대학생용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것이 대학생들에게 활용하기에 적절하고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학생용 직업카드 개발은 개발위원회 구성, 자문위원 선정, 직업선정 기준 설정, 1차 직업 선정, 전문가 평정, 자문위원 자문과 2차 직업 선정, 직업카드 개수 결정, 직업카드 기입 내용 결정, 계열 분류, 직업카드 규격과 디자인 결정 등의 절차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앞면에는 카드 번호와 홀랜드 유형, 직업명과 하는 일, 한국직업전망 대분류를 기입하고, 뒷면에는 홀랜드 유형, 교육정도와 자격요건, 업무수행능력을 기입한 대학생용 직업카드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용 직업카드의 타당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검증되었다. 첫째, 대학생용 직업카드의 구성과 기입내용의 타당성을 대학의 상담전문가 20명에게 설문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5점 척도에서 평균 4.53으로 평가되어 대체로 타당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둘째, 직업카드에 기입된 직업에 대한 설명이 대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적합한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113개 각 카드별 기입내용에 대해서 5점 척도로 평정하게 한 결과 평점이 모두 4.4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참여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향상에 유의미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카드 분류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5점 척도에서 평균 4.49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긍정 응답률은 92%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개발된 직업카드는 대학생들에게 활용하기에 적합하고, 활용효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et of vocational cards for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cards` feasibility of use.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organizing the development committee, appointing consultants, setting criteria for occupations to be included in the set, preliminary selection of occupational titles, expert-rating, consultation and finalization of occupational titles, filling out cards` contents, etc. A survey of 20 practitioners on card`s composition showed that the contents were adequate(4.53 points out of 5). Another survey of 60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 job descriptions on each of the 113 cards were easy to comprehend(all cards rated over 4.40 points out of 5). Outcomes of pilot programs utilizing the set were also positive; a group of 2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areer guidance program developed in the research, and t-Test results show that students` career ident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Another group of 80 students participated in Vocational Cards Sort programs and gave average of 4.49 points out of 5 on post-activity satisfaction surveys, with positive response rate reaching 92%. Thus, the developed set of vocational cards seems suitable for college students with its utilizations showing positive effects.

      • KCI등재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 참여자 만족도 차이 분석

        정선정(Sun-Jeong Jeong),최영섭(Young-Sup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훈련사업의 훈련생 만족도를 전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고용노동부 지원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실시되는 5개 훈련 사업을 선정하고, 2021년 종료된 훈련과정의 HRD-Net 훈련생 만족도 응답자료(531,563명)를 수집하여, 집단간 평균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론은 첫째, 전체 훈련생 만족도는 4.64로 매우 높으며, 사업별로는 일반고 특화훈련(4.76)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실업자 일반직종(4.66), 근로자훈련(4.65), 실업자 기간전략직종(4.52) 순이며, 실업자 K-DT(4.3)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훈련생 특성 중 성별은 만족도 차이를 보이지 않고 남녀가 유사하였지만(각 4.64), 연령은 60대 이상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40~50대(4.69), 10대(4.68) 순이며, 20~30대(4.58)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훈련과정 특성 중 방식에서는 집체훈련(4.67)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혼합훈련(4.51)이 높고, 원격훈련(4.2)이 가장 낮았다. 시간에서는 350h 미만(4.72) 과정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140h 미만(4.61), 700h 미만(4.56), 700h 이상(4.55) 순이었다. 넷째, 훈련기관 특성 중 인증등급에서는 5년 인증 최우수기관(4.75)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3년 인증 일반기관(4.67)과 3~5년 인증 우수기관(4.65)이 높고, 인증유예기관(4.58)이 가장 낮았다. 지역에서는 수도권 외 지역(4.71)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경기·인천(4.67)이 높고, 서울(4.51)이 가장 낮았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rainees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operated as the National Individual Training Support Card. The analysis target was to select 5 training program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National Individual Training Support Card, collect HRD-Net trainee satisfaction response data (531,563 trainees) from the training course that ended in 2021, and verify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considering the training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 a very high satisfaction rate for all trainees (4.64). Evaluating the programs revealed the highest rating for specialized training for general high schools (4.76), followed by general job training for the unemployed (4.66), training for workers (4.65), and basic strategic job training for the unemployed (4.52); the K-DT (4.3) of the unemployed was relatively the lowest rated program. Examination of the traine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gender did not impact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4.64 each for both men and women), but satisfaction differences were obtained with age; 60s and older had the highest (4.79), followed by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4.69), and teens (4.68), whereas 20s and 30s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4.58). Among the training course characteristics, collective training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4.67), followed by mixed training (4.51), and remote training (4.2) the lowest. Evaluating time, the satisfaction level was the highest for courses less than 350h (4.72), followed by less than 140h (4.61), less than 700h (4.56), and more than 700h (4.55).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especially accreditation grade, 5-year accreditation best institution (4.75)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3-year accredited general institution (4.67), 3-5 year accreditation excellent institution (4.65), and accreditation deferred institution (4.58) was the lowest. In terms of regions, satisfaction of non-metropolitan areas was the highest (4.71), followed by Gyeonggi and Incheon (4.67), and Seoul (4.51) the lowest.

      • KCI등재

        직업카드 개발 모형 구안

        유형근(Yu Hyeong Keun),이강찬(Lee Gang chan),최명운(Choi Myeong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진로교육과 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직업카드 개발 모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이전에 개발된 직업카드들의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직업카드 개발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업카드 개발 모형은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모형이 개발되었다. 최종 직업카드 개발 모형에서는 개발 절차를 4개의 단계와 10개의 과정, 30개의 세부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개발 준비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개발팀 구성 및 선행연구 분석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단계는 ‘카드 구안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직업 및 기입 내용 선정, 카드 초안 제작, 카드 초안 타당화, 카드 제작 등의 4개 과정이 수행된다. 세 번째 단계는 ‘매뉴얼 구안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활동 목표 및 내용 선정, 매뉴얼 초안 구안, 매뉴얼 타당화, 매뉴얼 제작 등의 4개 과정이 수행된다. 네 번째 단계는 ‘효과검증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카드 및 매뉴얼의 적용 및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해구안된 직업카드 개발모형은 지금까지 직업카드개발모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가의 타당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연구자들이 이 모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직업카드와 교육 및 상담 관련 도구들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at can be used fo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of previously developed vocational ca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eveloped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rough the professional validation process. In the final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the development process consisted of 4 steps, 10 processes, and 30 detailed activities. The first step is the ‘development preparation step’. At this step, the development team is composed and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is conducted. The second step is the ‘card making step’. In this step, four processes are conducted: job and entry details, card drafting, card validating and card making. The third step is the ‘manual design step’. At this step, four processes are performed: selection of activity goals and contents, manual drafting, manual validating, and manual making. The fourth step is the ‘validating step’. In this step,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cards and manuals are performed.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 of this study is develop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vocational cards development models so fa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arious vocational cards and tool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후보

        중학생용 직업카드 개발과 타당화

        강진령,이현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중학생용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시했을 때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실태 및 직업카드와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직업선정기준 및 카드개수 결정, 직업 선정, 카드 기입 내용 및 규격의 결정 순으로 직업카드를 개발하였다. 중학생용 직업카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업카드의 적합성에 대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중학생용 직업카드 활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직업카드의 구성 및 기입내용이 중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적합한 언어로 진술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 중 태도와 능력(p<.001), 행동(p<.01)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중학생용 직업카드는 구성과 내용 면에서 타당하고 중학생의 발달단계에 적합해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적용되었을 때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t of vocational ca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ere discussed and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After the literature on vocational cards was reviewed, the criteria of job selection and the number and size of card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criteria a set of vocational cards were developed. In order to test the validity of the vocational card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the obtained statistical data were analy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a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performed by using the vocational cards for validation. As result,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 vocational cards were understand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001).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vocational cards exercise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ir attitude/ability (p<.001) and behavior (p<.01),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vocational cards geared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ppropriate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and that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ose cards was effective in taking their career maturity to another level.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이윤우,진석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vocational card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cards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their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The first half of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sses of developing a new set of vocational cards, such as organizing counseling committee, establishing the standards for vocation selection, analysing selected vocations, review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cards, determining design, and exemplifying how to utilize the cards in the field. The latter half of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vocational cards by applying the cards to 105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ing questionnaire to the subjects. This study developed 119 occupational cards with the specific purpose of assisting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a career by helping them to find their vocational interest and aptitude, and search and decide their career or occupation by themselves. And, the analyses on the questionnaires show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vocational card sorting activity as well as the developed cards themselves. Feedbacks from the counselors who guided the vocational card sorting activities were positive.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심보영,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vocational cards for career education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verify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using the cards on students’ career awareness. Vocational cards have 50 cards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jobs by the Holland’s career types considering job characteristics, changes in occupational worl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sired careers. We developed the 8 session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according to 2nd grades, and applied this program to 25 2n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city. We carried out the pre-post tests on experimental group using a career awareness test t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tudents’ career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using the vocational cards affects on the career awareness development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significantly. Second, the career education using the vocational cards were assessed positively in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told the program was very interesting and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vocational worlds and themselves. The results suggest the vocational cards developed with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can be used usefully o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는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특성,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포함하여 50장으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직업카드를 활용하여 8차시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2학년 수준에 맞게 개발하였고, 이를 ○○시 □□초등학교 2학년 25명에게 적용하였다.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진로인식의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로인식 검사지를 이용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진로인식 발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성적 분석을 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발달 단계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개발된 직업카드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교육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