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에서의 전열교환 및 바닥매립 환기시스템 적용에 따른 에너지절약 성능평가

        김종원,이정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전열교환 및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적용시 냉·난방기 외기온 변화에 따른 실내 송풍온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환기로 인해 손실되는 열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의 실내 송풍온도는 냉방기에 평균 25.91℃, 난방기에 평균 17.50℃로 나타났다. 난방기 최저 외기온도 -15℃에서도 영상의 송풍온도를 나타냈다. 2)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실내 송풍온도는 냉방기에 평균 25.08℃, 난방기에 평균 22.04℃로 나타났다. 3)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의 손실열량은 냉방기의 경우 -16.29~-35.69Wh, 난방기의 경우 53.19~117.83Wh로 나타났다. 제1종 환기방식 대비 평균 74.27% 에너지 절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총 손실열량을 계산해 보면 냉방기 -46.33~-126.38Wh, 난방기 235.35~520.38Wh로 제1종 환기방식과 근소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전열교환 환기시스템과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손실열량을 비교해보면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이 바닥매립 환기시스템 대비 평균 74.87% 에너지 절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환기시스템의 적용에 따른 냉·난방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의 적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indoor supplied temperature according to variation of outdoor temperature in cooling and heating seasons was drawn when the heat recovery system and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were applied. Besides, the heat loss due to ventilation was analyzed by using the draw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ndoor supplied temperature of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as averagely to be 25.91℃ during the cooling season and 17.50℃ for a during the heating season. It showed the supplied temperature above zero even under the lowest outdoor temperature of -15℃. 2) The indoor supplied temperature of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was averagely to be 25.08℃ during the cooling season and 22.04℃ for a during the heating season. 3) The heat loss of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as found to be -16.29~-35.69Wh in case of a cooling season and 53.19~117.83Wh in case of a heating season. It was found that it could save the energy of 74.27% on average compared to the Type 1 ventilation system. 4) The heat loss of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were calculated, it was found to be -46.33~-126.38Wh for a cooling season and 235.35~520.38Wh for a heating season, which similar to the Type 1 ventilation system. 5) Compared the heat loss of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that of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ould save the energy of 74.87% on average compared to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is appropriate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energy for cooling and heat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 KCI등재

        패시브환기외피를 적용한 공동주택의 자연환기 및 열성능 예측평가

        이태철,손유남,윤성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숨쉬는 벽체를 공동주택에 적용하였을 경우 연간환기성능과 에너지절감효과를 VE-Macrof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비교․검토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0.7ACH미만, 0.7ACH이상~2.0ACH미만, 2.0ACH이상 등으로 구분하여 연간환기량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공동주택모델에 적용한 숨쉬는 벽체의 환기량이 단실모델을 대상으로 연간환기량을 예측한 것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5%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숨쉬는 벽체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중부, 남부, 제주도의 에너지절약형에 해당하는 유효개구면적을 대상으로 열손실량을 0.7ACH의 환기횟수를 만족하는 기계환기와 비교한 결과 대체로 환기횟수 1.0ACH미만에서는 기계환기의 환기부하가 크고 1.0ACH이상에서는 숨쉬는 벽체를 적용한 경우가 환기부하가 크다. 숨쉬는 벽체가 적용된 주택의 경우는 기계환기의 경우와 비교해서 환기부하의 변화폭이 크다. 이는 외기의 조건에 대한 환기량의 의존도가 크기 때문이다. 3) 주택에 숨쉬는 벽체적용시 에너지 절감효과를 총열손실량으로 검토한 결과 기계환기 적용시의 환기부하와 동일조건에서 비교하였을 때 14%정도 절감효과를 볼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sis effects of energy saving using and annual ventilation performance VE-Macroflo simulation in case of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Ventilation rate of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increased by 5% compared with predictive value of annual ventilation performance of single-room model. 2) Results of the heat loss from corresponds to the energy saving type αA20cm2/m2 (Central Region), αA10cm2/m2 (South Region, Jeju-Island) housing model compared with mechanical ventilation to review energy saving of breathing wall showed that ventilation load of mechanical ventilation is bigger than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in case of under 1.0ACH, in case of above 1.0ACH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is bigger than mechanical ventilation. In case of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differences of ventilation is bigger than mechanical ventilation. The reason why natural ventilation has a high level of dependence on weather condition. 3) Ventilation load of breathing wall applied to apartment house from total heat loss decreased approximately 14% compared with load of mechanical ventilation.

      • KCI우수등재

        다중이용업소의 환기방법에 따른 냉·난방에너지 소비량

        장소미,고유진,민준기,홍희기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8

        Recently, the pandemic virus COVID-19 causing many infections and cases of infection by from being in the same space with an individual or individuals without direct contact has been alarmingly increasing. Referring to COVID-19’s virulent propagation mechanism, it may be inadequately safe to maintain a distance of 1 to 2 m from an infected person to prevent infection, and frequent, effective ventilation is necessary to remove more virus particles. In this paper, a cafe was selected as a typical multi-use store. TRNSYS18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values with the different types of ventilation methods. The analyses were: ventilation not performed, forced ventilation performed at 1500 CMH continuously for 24 hours (simple forced ventilation), forced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O2 (reasonable forced ventilation), ventilation using a crossflow plate, and rotary energy recovery ventilation. Compared to the reasonable forced ventilation, the plate and the rotary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howed reduction ratios of 6.3% and 20.9% respectively. The heating loads increased by 16.1 times for simple forced ventilation and 6.2 times for reasonable forced ventilation compared to when ventilation was not performed. Conversely, the plate and the rotary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howed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two times only.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업소를 대상으로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와 강제환기를 할 경우, 그리고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사용하여 환기를 할 경우에 대해 냉․난방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강제환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냉․난방부하 모두 증가하였다. 단순 강제 환기의 경우 냉방부하는 2.1배 증가하였으나 난방부하는 16.1배로 크게 증가하였다. 창호를 개방하건 환기팬을 가동하건 일단 금년 여름은 환기량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본격적인 난방철이 되기 전에 환기량 확보와 난방에너지 저감을 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설치를 권고한다. (2) 하계 운전 시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현열부하는 별로 달라지지 않는 반면에 잠열부하가 환기량에 따라 크게 증가한다. CO2 농도에 따라 합리적으로 환기량을 제어하는 강제환기에 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사용하면 판형 6.3%, 회전형 20.9% 냉방부하가 감소한다. 다중이용업소에서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냉방하는 경우 에너지 낭비가 매우 크나, 건물 조건에 따라서는 1인당 30 CMH 이하의 환기량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및 안정적인 환기량 확보를 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도입은 필수적이다. (3) 동계 운전 시 환기를 하면 현열부하와 잠열부하가 모두 증가하며, 특히 현열부하가 큰 영향을 받는다.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단순 강제환기의 현열부하는 112.0 GJ로 약 15.3배, 합리적 강제환기시(44.3 GJ)에도 6.1배 증가한다. 판형과 회전형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도입하면 현열부하는 각각 14.7 GJ, 14.0 GJ로 합리적 강제환기 대비 각각 66.8%, 68.4%의 감소율을 보인다. 환기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도 열회수형 환기장치를 도입하면 난방에너지는 2배 정도 증가하는데 그친다. 다중이용업소와 유사한 환경이 학교와 종교시설 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절기에는 연속적으로 창문을 열고 난방을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미 경험한 바와 같이 한두 시간 밀폐된 상태에서 냉난방하고 간헐적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며, 밀폐된 공간에서의 급격한 확산을 피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환기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약과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환기량 확보를 위해 열회수형 환기장치의 도입이 법제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공동주택 전열교환 및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난방 에너지소비량 분석

        김종원,이정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5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절약적 환기시스템인 전열교홤 및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에 대한 정량적인 성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량적인 환기시스템의 효과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제 냉·난방기기의 에너지소비량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량적인 환기시스템의 효과를 제시하기위해 실내·외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는 난방기에 대하여 환기시스템 가동시 보일러의 에너지소비량을 측정하였다.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적용에 따른 시간당 난방 에너지소비량을 분석하면 1,392Wh/cycle(0℃), 1,973Wh/cycle(-12℃), 2,299Wh/cycle(-15℃)로 나타났다. 바닥매립 환기시스템의 시간당 난방 에너지소비량은 2,040Wh/cycle(0℃), 2,747Wh/cycle(-12℃), 3,292Wh/cycle(-15℃)로 나타났다. 총 에너지소비 증가량을 비교하게 되면 전열교환 환기시스템이 84.06%(0℃), 80.91%(-12℃), 78.18%(-15℃) 에너지 절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heat recovery &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s which is energy saving ventilation systems. To present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needs to analyze the real energy consumption of the heating & cooling equipment. So, when operating the ventilation system, the study measured boiler energy consumption in heating season with large difference temperature between indoor and outdoor. The energy consumption per hour of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s was to be 1,392Wh/cycle(at outdoor temp. is 0℃), 1,973Wh/cycle(at outdoor temp. is -12℃), 2,299Wh/cycle (at outdoor temp. is -15℃). And then, The one of the floor embedded ventilation system was to be 2,040Wh/cycle(at outdoor temp. is 0℃), 2,747Wh/cycle(at outdoor temp. is -12℃), 3,292Wh/cycle(at outdoor temp. is -15℃). As a result of comparing two ventilation systems, Th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could save 84.06%(at outdoor temp. is 0℃), 80.91%(at outdoor temp. is -12℃), 78,18%(at outdoor temp. is -15℃).

      • KCI등재

        The Feasibility of Natural Ventilation i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Using Rock Cavern Disposal Method

        Jin Kim,Sang-Ki Kwo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3 No.3

        자연환기는 처분장의 작업 환경 및 위생, 부유 방사성 핵종의 노출 등과 같은 안전문제에 있어 자연환기 자체만으로는 기계적 강제 환기에 비해서 덜 효과적이지만 처분장 내의 수분제거, 작업 환경 조성과 관련하여 라돈 (Rn) 가스의 희석과 같은 향후 처분장의 장기적 환경을 위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환풍기와 같은 환기 설비를 이용해야하는 기계환기에 비해 경제적으로 매우 효과적 일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처분장의 건설 및 운영 기간동안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처분장에 스스로 생기는 자연 환기의 타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자연 동굴을 통한 자연환기 유사에 의해 밝혀진 증거들과, 수직갱을 갖는 산악 도로터널에서의 자연 환기 측정, 그리고 주어진 자연환기 압력에 의한 공기 발생량 계산 등을 통해서 자연 환기는 한국형 지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잠재적으로 매우 유익함을 알 수 있다. 효과적으로 유도된 자연 환기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내에 발생하는 열과 습도, 그리고 라돈 가스를 제어하기에 경제적으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자연환기를 통해 처분장의 전반적 열적 특성은 개선될 수 있고, 수분으로 포화된 공기는 효과적으로 건조되고 그 건조상태 유지 기간은 확장 될 수 있을 것이다. Natural ventilation in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is considered to be less efficient than mechanically forced ventilation for the repository working environment and hygiene & safety of the public at large, for example, controlling the exposure of airborne radioactive particulate matter. It is, however,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nd may be fairly efficient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pository over the duration of its lifetime, for example, moisture content and radon (Rn) gas elimination in repository. This paper describes the feasibility of using natural ventilation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repository itself,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periods of reposito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Evidences from natural cave analogues, actual measurements of natural ventilation pressures in mountain traffic tunnels with vertical shafts, and calculations of airflow rates with given natural ventilation pressures indicate possible benefits from passive ventilation for the prospective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Natural ventilation may provide engineers with a cost-efficient method for heat and moisture transfer, and radon (Rn) gas elimination in a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The overall thermal performance of the repository may be improved. The dry-out period may be extended, and the seepage flux likely would be decreased.

      • KCI등재

        Ventilation System Strategy for a Prospective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Jin Kim,Sang-Ki Kwo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3 No.2

        방사성 폐기물의 지층 처분장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개념 선정 단계에서는 폐기물 운반 및 거치뿐 아니라, 처분장의 건설/운영/폐쇄 기간 동안 지하 처분장의 작업 환경 및 위생, 안전, 그리고 처분장내의 수분 제거와 같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처분장 환기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동굴처분 방식의 중-저준위 처분장 및 지하 심부에 위치하게 될 고준위 처분장에 대한 환기시스템 개념설계 기준 및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이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 시스템에서 가장 주된 기본 설계 개념은 처분장 건설과 폐기물저장을 위한 작업활동을 위해 각각 독립적이고 분리된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시스템의 설계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환기회로 모델링 방법, 자연 환기, 환기 모니터링 시스템과 실시간 환기 시뮬레이션, 화재 시뮬레이션 및 비상 방재 시스템에 관한 사항도 논의하였다 In the stage of conceptual design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geologic repository for radioactive wast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 repository ventilation system which serves the repository working environment, hygiene & safety of the public at large, and will allow safe maintenance like moisture content elimination in repository for the duration of the repositories life, construction/operation/closure, also allowing safe waste transportation and emplace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possible ventilation system design criteria and requirements for the prospective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with emphasis on the underground rock cavity disposal method in the both cases of low & medium-level and high-level wastes.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concept is separate ventilation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waste emplacement (storage) activities. In addition, ventilation network system modeling, natural ventilation, ventilation monitoring systems & real time ventilation simulation, and fire simulation & emergency system in the repository are briefly discussed.

      • KCI등재

        환기처리에 의한 수박의 시듦증 발생 기작

        조일환(Ill-Hwan Cho),안중훈(Joong-Hoon Ann),이우문(Woo-Moon Lee),문지혜(Ji-Hye Moon),이주현(Joo Hyun Lee),최병순(Byung-Soon Choi),손선혜(Seon-Hye Son),최은영(Eun-Young Choi),이상규(Sang-Gyu Lee),우영회(Young-Hoe Woo)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수박(Citrullus lanatus L.)의 시듦증은 생리장해라고 알려져 있다. 품질 및 수량을 저하시키고 큰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이 증상은 주로 한국의 수박 주산지인 의령이나 함안 지역에서 기온이 높아지는 3월 중순 이후부터 시작하며 해에 따라 발생 양상이 차이가 있다. 수박 생리장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시듦증의 발생 기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듦증 발생 기작을 해명하기 위하여 강제환기 처리를 하였으며 경남 의령군 용덕면에서 2009년 1월-5월까지 수행하였다. 관행처리에 비해 강제환기 처리는 시설내 기온, 엽온 및 근권부의 온도를 각각 약 4.5, 5, 3℃정도 낮게 유지시켰고 포차도 낮게 유지시켰다. 전 생육기간 동안 관행 및 강제환기 처리 모두에서 과실생육속도가 최대를 보이는 시기가 두 차례 관찰되었고 관행에서 그 속도와 시기가 더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고, 첫 번째 최대기는 착과 후 12일에(350g/일), 그 두 번째는 착과 후 24일에(350g/일) 관찰되었다. 시듦증은 착과 후 22일에 관행처리 에서만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강제환기 처리에서 과실 생육최대기는 관행처리에서 보다 4일 늦게 관찰되었다 (350g/일). 동시에 식물체 생육속도도 강제환기가 관행처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강제환기가전 생육기간 동안 엽온 및 포차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식물체 및 과실의 생육속도를 조절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강제환기가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고 식물체의 증산을 조절함으로써 엽과 과실간 수분경합을 줄여 시듦증을 방지시킨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금후 직접적이고 정밀한 실험을 통해 강제환기효과에 대한 식물체내의 수분균형의 연구가 기대 된다. Occurrence of wilted symptom in watermelon plant (Citrullus lanatus L.) is known to be caused by physiological disorder. The symptom results in the loss of fruit production and thus the economical loss of watermelon growers. The incidence of symptom is often found from the middle of March to the end of May in the major watermelon crop production areas of Korea (i.e. Uiryeong, Gyeongnam (lat 37˚56′64″N, long 126˚99′97″E)). Despite of extensive information about the physiological disorder, littl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wilted symptom and accompanying environment factors (e.g. temperatu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mended by a forced-ventilation system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and incidence of the wilted symptom. Watermelon plants were grown from January to May, 2009 with either the forced-or natural-ventilation treatment in a greenhouse located in the Uiryeong. In the result, the forced-ventilation treatment decreased the air, leaf and root-zone temperature approximately 4.5℃, 5℃ and 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atural-ventilation. The fruit growth rate was maximized twice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The higher rate of fruit growth was observed under the natural-ventilation than the forced one. Maximization of the fruit growth rate (approximately 430 g per day) was first observed by 12 days after fruiting under the natural-ventilation treatment, while the second one (approximately 350 g per day) was observed by 24 days after fruiting. The wilted symptom started occurring by 22 days after fruiting under the natural-ventilation, whereas no incidence of the symptom was found under the forced-ventilation treatment. Interestingly, the forced-ventilation lowered the fruit growth rate (approximately 320 g per day) compared to the natural one. Maximization of the fruit growth rate under the forced-ventilation was found at 4 days later than that under the natural one. This result coincided with a slower plant growth under the forced-ventilatio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orced-ventilation slows down extension growth of fruit and plant,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lowering leaf temperature and saturation deficit. We suggest the hypothesis that the forced-ventilation may alleviate stress of the wilted symptom by avoiding extreme water evaporation from leav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thus by reducing competition between leaves and fruits for water. More direct and detailed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forced ventilation.

      • KCI등재

        A Study on Ventilation System of Underground Low-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Young-MIn Kim,O-Sang Kwon,Chan-Hoon Yoon,Sang-Ki Kwon,Jin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7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5 No.1

        지하 동굴식 처분장의 건설, 운영 및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한 이후 발생하게 되는 오염물질(Rn, CH CO, HS, Radiolysis에 의한 방사능 가스 등)은 적절한 공기량을 필요로 한 곳에 정확히 분배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도록 하여야한다. 특히 지하 처분장은 여러 개의 진입 터널, 저장 터널, 공기 유입-배기 터널, 수직갱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회로망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적절한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접근을 위해 미국의 WIPP (Waste Isolation Pilot Plant)처분장과 스웨덴의 SFR (Slutforvar for Reaktoravfall) 중-저준위 처분장을 모델로 하여 두 처분장의 소요환기량을 선정하고 설계상 통풍로의 단면적, 길이, 표면 거칠기 등을 고려한 환기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수학적으로 계산되는 각 회로의 저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선풍기의 용량과 수직갱 운용방안을 설계하였다. 두 처분장의 지형상의 규모 및 환기시설 비교 결과, SFR 처분장에 비해 WIPP 처분장에서와 같이 병렬구조가 많을수록 처분장 전체의 저항이 감소되며 이러한 결과로 환기시스템의 운용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처분용량 증대를 위한 대단면의 SFR 처분장 구조와 전체 저항 감소를 위한 WIPP 처분장의 병렬구조를 조합한 형태가 가장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ollutants (Rn, CH, CO, HS, radioactive gas from radiolysis) were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underground repository, and after disposal of low-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inside there must be controlled by a ventilation system to distribute them in area where enough air is supported. Therefore, a suitable technical approach is needed especially at an underground repository that is equipped with many entry tunnels, storage tunnels, exhaust-blowing tunnels, and vertical shafts in complicated network form. For the technical approach of such a ventilation system, WIPP (Waste Isolation Pilot Plant) in U. S and SFR (Slutforvar for Reaktorafall) low-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in Sweden were selected as the models, for calculating the required air quantity, organizing a ventilation network considering cross section, length, surface roughness of the air passage, and describing a calculation of resistance of each circuit. Based on these procedures, a best suited ventilation system was completed with designing proper capacity of fans and operating plan of vertical shaf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repositories based on the geometry dimensions and ventilation facility equipment operation, more parallel circuit as in WIPP, brought decrease in resistance for entire system leading to reduce of operating costs, and the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FR, the greater the percentage of disposal capacity. Accordingly, the mixture of parallel circuit of WIPP repository for reducing resistance and SFR repository formation for enlargement of disposal capacity would be the most rational and efficient ventilation system.

      • KCI등재

        횡류식 도로터널 급배기구 개도율 최적화 기초연구

        조형제,전규명,민대기,김종원,백종훈 한국자원공학회 2016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3 No.2

        도심터널의 환기구는 그 지역의 복잡한 지상여건 및 민원 때문에 설치가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환기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환기구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환기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환기구역 전체에 균일한 외기 공급 및 오염물질 배출을 위해 환기 포트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포트의 설치기준 및 사례를 조사하고, 환기연장 및 포트 설치의 다양한 조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에 따라, 대부분의 포트 설치간격이 주로 5∼100 m 이하로 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기구간 연장이 증가할수록 환기효율은 13.39∼36.04% 감소하였다. 또한 개도율 조정여부에 따라 12.44∼96.7% 의 환기효율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환기구간 연장이 증가함에 따라, 환기 포트의 효율적인 설치간격 선정및 개도율 조정을 위한 최적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o decide tunnel ventilation shaft location is difficult in the densely populated urban area because of public complaint and geographically complicated conditions. If ventilation section becomes long from these reasons, ventilation efficiency de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arrange ventilation ports efficiently for uniform air supply and exhaust over ventilation section. In this study, the standards and cases for port installation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the performance of port with various lengths of ventilation sections was analyzed.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port spacing is in the range of 5 to 100 m. Ventilation performance decreases in the range of 13.39% to 36.04% with the increase of ventilation section length, while ventilation performance increases in the range of 12.44 % to 96.7% by the adjustment of opening ratio.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optimization for port spacing and opening ratio is required.

      • KCI등재

        단동 비닐하우스의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 개선이 참외생육 및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여경환(Kyung-Hwan Yeo),유인호(In-Ho Yu),최경이(Gyeong Lee Choi),이성찬(Seong-Chan Lee),이재한(Jae-Han Lee),박경섭(Kyoungs Sub Park),이중섭(Jung-Sup Lee),Khoshimkhujaev Bekhzod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의 개선에 의한 작물 재배효과를 검증하고자 농가현장에서 개선 지붕 환기방식과 관행 환기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선 지붕 환기방식은 참외재배 단동 플라스틱 온실(폭 5.6m, 길이 108m, 측고 1.1m, 동고 2.2m)에 지붕 환기팬(용량 38㎥/min)과 환기통(지름 60㎝)을 각각 15m와 6m 간격으로 설치하였고, 대조구로서 관행 지붕 환기방식은 각각 20m와 8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관행 및 개선 지붕 환기 방식에 따른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과 환기팬 처리에 비해 개선 환기통과 개선 환기팬 처리에서 경경, 엽장, 엽병장, 및 엽폭의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기 전반부에 관행 환기통 처리는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절간장이 다소 길게 발달하였는데 이는 착과수가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적었고, 착과수 감소로 인해 동화산물이 잎과 줄기의 신장부로 좀 더 이동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재배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과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처리는 관행처리에 비해 과중은 약간 작았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전체 수량은 높게 나타났다.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설치 하우스에서는 관행 지붕 환기 하우스에 비해 상품과율이 높았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8,391㎏, 7,283㎏ 으로 나타나 관행 지붕 환기에 비해 개선 환기팬 처리는 661㎏, 개선 환기통 처리는 487㎏ 더 증가하였다. 개선 환기팬 처리는 고온기에 암꽃수와 착과수가 가장 많았고, 낙과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관행의 환기통 처리에 비해 과실의 크기는 작았다. 시기별 환기방식에 따른 참외 과실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 환기에서 과중, 과경, 과폭, 및 과육두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폭, 과육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odified installation methods of roof ventilation devices, derived from the previous experiment (‘investigation into the optimum capacity of roof ventilation devices and their deployment’), the conventional and modified (improved) roof ventilation systems were installed in th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for growing oriental melons. The roof vents (60ϕ) and roof fans (maximum air capacity of 38㎥/min) were installed in the spacing of 15m (FT, modified ‘side vent+roof fan’ ventilation) and 6m (TT, modified ‘side vent+roof vent’ ventilation) respectively on the roof of greenhouses for the modified roof ventilation treatments, and 20m (FC, conventional ‘side vent+roof fan’ ventilation) and 8m (TC, conventional ‘side vent+roof vent’ ventilation) for the conventional ones. The stem diameter, leaf blade lengh, petiole length, and leaf width were lower in the FT and TT treatments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reatments, FC and TC. Although the fruit weight and total yields were slightly lower in the FT and TT treatments, the marketable fruit ratio (%) were higher, as a result of increased fruiting ratio (%) in these treatments, than those of FC and TC. The marketable yields (㎏/10a) in the FT and TT treatments were 8,391 ㎏/10a and 7,283 ㎏/10a, which were respectively 661 ㎏/10a and 487 ㎏/10a higher than those in the treatments of FC and TC. The modified installation methods of roof fan resulted in production of more female flowers and lower fruit drop ratio (%) compared to conventional meathods. In the treatment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with roof vent, the fruit weight, fruit length & width, and flesh thickness were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uit width and flesh thickness among the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