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파를 활용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기록 방법 연구

        허문녕,이영현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0 야외고고학 Vol.0 No.38

        Producing photographs or plans is a challenging task in the underwater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as it is hard to ensure the visibility underwater. However, underwater geophysical prospecting equipment using sonar is not much affected by turbidity level. In this chapter, underwater geophysical prospecting equipment is employed to complement the recording at site. It was employed at the waters of Taean Dangampo, Yeonggwang Nakwoldo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 in 2017-2019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results of research exploiting the equipment was studied. In 2017, side-scan sonar, multibeam echo sounder, and scanning sonar were deployed at the underwater archaeological excavation site in the waters of Taean Dangampo after the sediment removal,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equipment. Adaptation of side scan sonar at 1250kHz frequency appeared to have relatively high resolution but distortion occurred during the process. Multibeam echo sounder did not have many distortions but had a low resolution. Scanning sonar had revealed decent results in both resolution and distortion level, nonetheless, time consuming covering a wide area.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scanning sonar underwater where the visibility is low, scanning sonar images were exploited to produce the plans of the archaeological site at Yeonggwang Nakwoldo Island (2018)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 (2019). The site at Nakwoldo Island was 120m east-west, 220m north-south and 11 scanning sonar images were assembled to confirm the site. At the waters of Myeongnyangdaecheop-ro, the method of placing reflectors and using them as reference points in layering the scanning sonar images was experimented. Through these series of experiments, the application of scanning sonar at murky underwater site presented to produces more effective plans than the ones from past surveys. 수중발굴조사에서는 수중이 혼탁한 경우 사진이나 도면을 남기기 어렵다. 반면, 음파를 이용한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는 수중 탁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음파의 이런 특징을 활용하여 수중발굴조사 기록을 보완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2017년~2019년 태안 당암포 해역, 영광 낙월도 해역,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해양지구물리탐사장비를 운용하고, 탐사장비를 활용한 조사기록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어떤 해양 지구물리탐사장비가 수중발굴조사 기록에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2017년 태안 당암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측면주사음파탐지기, 다중빔음향측심기, 스캐닝소나를 운용하여 제토조사 구간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측면주사음파탐지기는 주파수1250kHz를 사용하였을 때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보여주었으나, 조사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중빔음향측심기는 왜곡은 크게 발생하지 않았지만 해상도가떨어졌다. 스캐닝소나는 비교적 왜곡이 적고 결과물도 양호하여 제토조사 구간을 기록하기에 적당하였다. 하지만 넓은 범위를 조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혼탁한 수중환경에서 진행하는 수중발굴조사에서 스캐닝소나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2018년 영광 낙월도 해역과 2019년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스캐닝소나 영상을 이용하여 조사도면을 작성하는데 활용하였다. 낙월도 해역에서는 동서120m, 남북 220m라는 넓은 조사구역의 해저모습을 11개의 스캐닝소나 영상을 이어 붙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는 해저에 반사체를 설치하여 스캐닝소나 영상을 이어 붙이는 기준점으로 삼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이런 일련의 실험을 통해 혼탁한 수중발굴조사 현장에서도 스캐닝소나를 운용하면 기존수중발굴조사에서 작성한 도면보다 더 효과적인 기록을 남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진도 명량대첩로 해저 출수 특수기종의 생산지 문제

        한정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s implemented for underwater excavations and research about 5 times and an emergency investigation from 2012 to 2017 in Jindo-County Myeongnyang route of the seas, which were excavated about Earthenware·Pottery, Celadon, Metal, Stone, Bone Carving, Wood and so on about 982 of all. The count of Celadon from all of underwater excavated relics was overall 726 relics which possessed overwhelmingly approximately 73.5% of underwater excavated comparing to whole relics. Seeing as inscribed pattern technique of design and shape, the breath of facture period is wide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to 14th Century. The period of 12~13th century when is the prime of celadon which is the most excavation of percentage achieves the center. The area of celadon production from 12~13th century in Buan and Gangjin is typical. The both of area is mentioned to discuss Celadon from 12~13th century. However, actual study are mostly comparison examination cases about focusing on the area of Gangjin Celadon. Earlier Studies related with Celadon from underwater excavations in Myeongnyang route area assumed that most of celadon made in Gangjin by this period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excavation cases in Buan not to mention. However, no one can guarantee the production, departure, use, destination, and use of the class for underwater excavated relics. Since the 12th and 13th centuries celadon wa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not only in Gangjin, Jeollanam-do, but also in Buan, Jeollabuk-do, its correlation with excavated relics in the region should be closely examined. Therefore, from this study, assuming that Celadon made in Buan about underwater excavations of Myeongnyang route in 12~13th century on specific types as five for An incense burner with celadon shaped like a shapes, A pen rack celadon, A shape of square celadon flowerpots, A celadon bottle, A celadon jar with inlaid plum blossom, bamboo, cloud and crane design and so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Goryeo celadon kiln site No. 12 in Buan, Yucheon-ri will be closely compared with those excavated. Through this, Buan, the representative site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is also likely to have produced a variety of high-quality celadon of special types a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sea routes.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진도군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2012년~2017년까지 긴급탐사와 5차례 수중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토도기류, 자기류, 금속류, 석제류, 골각류, 목재류 등 총 982점이 발굴되었다. 출수유물 중 청자의 수량은 총 726점으로 전체 유물 중 약 73.5%의 출수율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문양시문기법과 기형 등으로 보아 제작 시기는 11세기 후반~14세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폭이 넓은데 가장 많은 출토량을 보이는 시기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13세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12~13세기 청자 생산지로는 부안과 강진이 대표적이다. 두 지역은 12~13세기 고려청자를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곳이지만 실제 연구에서는 강진지역 청자를 중심으로 비교 검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관련 청자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도 이 시기 청자를 대부분 강진지역에서 생산한 것으로 추정하였고, 부안지역의 출토 예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언급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출수유물의 생산지, 출발지, 용도, 도착지, 사용계층에 대해서는 누구도 장담하기 어려우며, 12~13세기 청자는 전남 강진뿐만 아니라 전북 부안에서도 대량으로 생산했기 때문에 이 지역 출토품과의 상관관계도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12~13세기 고려청자 중 부안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형청자 향로, 필가, 방형 화분, 장경병, 청자상감매죽로운학문호 등 특수기종 다섯 가지를 대상으로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 요지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과 면밀히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12~13세기 고려청자 생산의 대표지인 부안에서도 특수 기종의 고급 청자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해로를 통해 전국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함을 밝혀보고자 한다.

      • KCI등재

        수중출수된 고선박의 구조와 목재수종의 변화

        김응호,홍순재,김병근,한규성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해양문화재 Vol.14 No.-

        Starting with the excavation of the Sinan Shipwreck, a total of 14 Shipwrecks were excavated. 12 of them except the Sinan Shipwreck and Jindo Shipwreck are Korean Shipwrecks and prams with a flat bottom. Their age was estimated by scientific methods, such as the chronology based on associated relics, radiocarbon dating, and tree-ring dating. As a result, the Yeongheungdo Shipwreck was the oldest, dating back to the 8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followed by the Sibidongpado Shipwreck (11th-12th century), the Wando Shipwreck (12th century), the Taean Shipwreck (12th century), the Daebudo Shipwreck No.2 (12th-13th century), the Mado Shipwreck No.1 (13th century), the Mado Shipwreck No.2 (12th-13th century), the Daebudo Shipwreck No.1 (12th-13th century), the Mado Shipwreck No.3 (13th century), the Dalido Shipwreck (13th~14th century), and the Anjwa Shipwreck (14th century), which dates to the Goryeo Dynasty. The Mado Ship No.4 dates back to the 15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 change was found in the curved longitudinal stringer(Mangokjongtongjae), a member between the bottom board and the outer board. The member directly connects these boards. Shipwrecks of the 11th and 12th centuries have a curved longitudinal stringer between the bottom and outer boards. In the Shipwrecks from the 13th century, this curved member disappeared, and the outer board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board takes a simple form of a cylindrical log. Those from the 14th century have a thick plate instead of a cylindrical log, like the Shipwrecks from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hull structur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 the species of each structure do not appear to have changed significantly. The hul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bottom board, the curved longitudinal stringer, the outer board, the stempost, and the sternpost is mostly made of pine tree(Pinus spp.). The pine tree is a specie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are easier to process than hard broad-leaved trees. It has low specific gravity and is buoyant, which is good for shipbuilding. For some structures, woods such as oak(Fagaceae), torreya(Torreya nucifera S. et Z.) and idesia(Idesia polycarpa Max.) were used. It is presumed that the Wando Shipwreck and the Mado Shipwreck No.1 were built in the Jeonnam region given the regional features of torreya and idesia. Although it is not known exactly why other species were used, we reckon that they were easy to get when the Shipwrecks were built and large enough to be used as a structure instead of pine woods, which were insufficient at that time. This is confirmed from the length of the bottom board member of the Mado Shipwreck No.1 and the literature from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 woods used for the internal structure of Garyong and Chagaryong, and the connecting structure of wooden pegs(Jangsak and Pisak) were mostly from broadleaf trees such as oak(Quercus spp.), chestnut(Castanea spp.), and zelkova [Zelkova serrata(Thunberg) Makino]. They are hard and strong enough to be used as a structure that provides the necessary stiffness and strength to resist force. These findings show that most of the woods used for the Shipwrecks can be easily found in Korea, and the species suitable for each structure were used for shipbuilding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신안선 발굴을 시작으로 총 14척의 고선박이 발굴되었다. 그 중 신안선과 진도선을 제외한 12 척의 고선박이 한선으로 바닥면이 평평한 평저선으로 되어있다. 공반유물을 통한 편년과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및 연륜연대 등 과학적 방법을 통해 연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영흥도선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로 가장 이른 시기로 나타났다. 십이동파도선(11~12세기), 완도선(12세기), 태안선(12세기), 대부도2호선(12~13세기), 마도1호선(13세기), 마도2호선(12~13세기), 대부도1 호선(12~13세기), 마도3호선(13세기), 달리도선(13~14세기), 안좌선(14세기)은 고려시대로 연대추정이 되었으며, 마도4호선은 조선시대인 15세기로 확인되었다. 저판과 외판 사이의 부재인 만곡종통재에서 저판과 외판이 바로 연결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11~12세기의 고선박에는 저판과 외판사이에 만곡종통재가 존재한다. 13세기고선박에서는 만곡종통재가 사라지고, 저판과 직결되는 외판이 원통형 통나무 형태의 단순한 형태로 나타난다. 14세기 고선박은 원통형 형태에서 두터운 판재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조선시대의 선박에서도 발견된다. 시기에 따라 선체 구조의 모습은 변하였지만, 각 구조의 수종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몸체구조인 저판, 만곡종통재, 외판, 선수재, 선미재는 대부분 소나무과 소나무속 소나무류(Pinus spp.)로 구성된다. 소나무류는 한반도 전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종이며, 단단한 활엽수종에 비해 가공이 용이하다. 비중이 낮은 편이며, 부력이 좋아 선체 제작용으로 적합한 성질을 나타낸다. 일부 구조의 경우 참나무류(Fagaceae),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 et Z.), 이나무(Idesia polycarpa Max.) 등의 목재가 사용되었다. 비자나무와 이나무의 지역적 특징으로 완도선과 마도1호선이 전남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다른 수종이 사용된 이유는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선박을 제작할 당시 쉽게 구할 수 있고, 구조로 사용할 정도의 큰 나무로서, 부족한 소나무재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마도1호선 저판부재의 길이와 고려 및 조선시대 문헌을 통해 나타난다. 내부구조인 가룡목과 차가룡, 그리고 연결구조인 장삭과 피삭 등에 사용된 목재는 참나무과참나무속 상수리나무류(Quercus spp.), 참나무과 밤나무속(Castanea spp.),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 느티나무[Zelkova serrata (Thunberg) Makino]와 같은 활엽수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비교적 단단하며 강도가 있는 수종으로 힘을 받는 구조물로 사용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고선박을 이루는 대부분의 목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각 구조에 적당한 수종이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선박 건조 과정에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 한국 주요 수중발굴 성과와 명량대첩로 수중발굴

        문환석(Moon Whan Su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6

        우리나라에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는 1976년 신안해저발굴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건이 이루어져 고선박 14척을 포함하여 10만여 점에 이르는 수중유물을 발굴하였다. 신안해저발굴은 9년 동안 이루어진 장기조사로 그 결과, 고선박을 포함하여 송ㆍ원대 도자기류, 동전, 고급 목재인 자단목(紫檀木), 후추 등 다량의 유물이 출수되었다. 발굴 유물을 고찰해 보면 1323년 중국 영파항에서 일본 큐슈 하카다[博多]항으로 항해하던 중 신안 해안에서 침몰했음이 밝혀졌다. 특히 다량으로 발견된 화물표인 목간을 통해 출항시기와 화물의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간헐적으로 수중발굴이 이루어지다 2007년도에 정부조직으로 수중발굴 전문조직이 만들어진 후 태안 해역에 대한 연차발굴 조사를 하게 되었다. 또한 2012년부터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도 연차적으로 수중발굴을 통해 임진왜란과 관련된 해전 유물들이 최초로 출수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중발굴조사인 신안해저발굴조사를 포함하여 태안 대섬, 태안 마도1호선과 진도 명량대첩 해전유적에 대한 조사과정과 이에 따른 성과를 간단히 소개하였다. 특히 학술적인 성과와 함께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으로 정리하였으며, 신안선을 제외하고 직접 현장에서 느낀 그대로를 소개함으로써 수중문화재의 보존 필요성도 공감하도록 하였다. The Underwater Archaeology has excavated 25 of sites, it includes approximately 100,000s of objects and 14 of shipwrecks since the 1976 Shinan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The Shinan underwater excavation was long-term investigation for nine years. This excavation recovered a shipwreck, ceramics, coins, and red sandal wood of Song and Yuan dynasties. The study of objects revealed the truth that the ship was depart from Youngpa port(寧波港), China in 1323 heading to Kyusu Hakada port(博多港), Japan. In particular, a great quantity of wooden tablets make it clear the seasons and purpose of departure. Occasional underwater excavation conducted until profess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underwater archaeology had built in 2007. Therefore, this organization has excavated in Taean area as annual plans, and Jindo Myeongnyangdaecheop-ro(鳴梁大捷路) from 2012. The result of Myeongnyangdaecheop-ro excavation recovered naval battles objects which are related wit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report will introduce the representative result of underwater excavation in Korea such Shinan, Taean Deseom, Taean Mado Shipwreck No.1, and Myeongnyangdaecheop-ro. In addition, it uses a story telling style for easy understanding for everyone, and makes people realism and sympathy of necessary of conservation for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태안해역 고려 침몰선 발굴과 출수 목간

        노경정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9

        The underwater excavation of Korea has a history of about 40 years since the excavation of shinan shipwreck, which started in 1976. A total of 25 underwater excavations have been made in the meantime, and a variety of artifacts including the sunken ship of the Goryeo dynasty have been excavated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underwater archaeology in Korea. Especially, in waters of Taean, since 2007, a lot of wooden tablets have been excavated along with the Goryeo dynasty shipwrecks. These wooden tablets allow us to know not only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ip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about shipments. Due to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waters of Taean are constantly being investigated and many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re expected in the future. 한국의 수중발굴은 1976년 시작된 신안선 발굴 이후 약 4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동안 총 25차례의 수중발굴이 이루어졌으며, 고려시대 침몰선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이 출수되어 우리나라 수중고고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특히, 태안해역에서는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고려시대 침몰선과 함께 다량의 목간들이 출수되었다. 이 목간들로 인해 선박의 역사적 성격뿐만 아니라 선적된 화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었다. 태안해역은 지리적,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침몰선에 대한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많은 수중고고학적 성과가 기대된다.

      • 부산 동삼지구 수중문화재 시굴조사

        김진후(Jin-Hoo Kim),김현도(Hyun-Do Kim)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

        A trial excavation of underwater cultural properties at Dongsam site in Busan has been conducted. The site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Dongsam shell mound. The trial excavation consists of the shore investigation and the underwater investigation. For the shore investigation four trenches were digged. For the underwater investigation twenty boreholes were cored, and sediments at four predetermined sites were removed by air lifting technique. From the trial excavation a stump of a tree with many pieces of wood, and a few fragments of earthenwares were found.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trail excavation might furnish data for studying ancient coastal environment.

      • KCI등재

        서해 중부해역의 수중발굴 성과와 연계 교육 방안 :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을 중심으로

        윤소록(Sorok Yo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수중발굴을 담당하는 문화재청 소속 연구기관이다. 유물은 목포와 태안에 소재한 연구소 소속 전시관에서 보관·전시 중이다. 이중 태안에 건립된 전시관인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은 서해 중부해역 출수 유물을 관리한다. 서해 중부해역은 충청남도와경기도에 접한 바다를 말하는데, 배 8척 및 연꽃줄기 무늬 매병과 죽찰 등 3 점의 보물이 발굴된 중요한 해역이다. 특히 수중문화재가 집중 분포된 태안은 현재까지도 곳곳에서 주민의 신고, 탐사, 발굴조사를 통해 유물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수중문화재에 대한 이해와 관심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전시관은 2018년 개관과 동시에 지역 어린이·청소년·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 종료 후에는 운영 효과와 개선점을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작성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교육 전에는 기관의 존재 여부와 수중문화재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였던 참여자들이 교육 후에 높은 만족도를 표시하여 인지도와이해도가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이미 기관의 존재와 수중문화재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사람이 많았고, 개별 의견으로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운영해달라는 요청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에 성인 교육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주제 변경이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하였지만 큰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연계성이 부족한 개별 주제의 교육을 운영하기보다는 전시관이 지닌 고유기능에 중점을 둔 통일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기타 교육 요청이 지속된다면, 이는 문화시설이 부족한 환경이 원인일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서해 중부해역의 수중문화재는 유물의 출토 양상과 각 지역이 담고 있는이야기가 풍부하므로 단일 주제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주제에서 파생되는 소주제가 매우 다양하여 교육 주제가 지니는 잠재성이 크다. 그러나 COVID-19 확산으로 인하여 체험과 답사에 제한이 생기면서 교육 운영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현재의 문화재 교육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실견(實見)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있다. 시간과 공간, 안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수중발굴을 참여자에게 실제로 경험시키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교육 참여자가 전시관을 방문할 경우 VR 및 AR 체험 공간을 활용한 교육이 가능하지만, COVID-19로 개관일정이 유동적인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메타버스를 통해 참여자 주도형 교육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지 못한 고령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의 특성상순차적으로 교육을 개편하고, 사전 교육으로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안내를진행하는 등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과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을 기획·운영하는 학예인력은 기술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여, 교육 참여자에게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NRIMCH), under the contro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is in charge of the subsea excavation of maritime relics. The relics that it excavates are kept and displayed at the museums of the institute in Mokpo and Taean. The Taean National Maritime Museum deals with relics excavated from the waters off the mid-west coast area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Gyeonggi-do Provinces, where a total of eight sunken boats and three classified ‘Treasures’ have been excavated so far. Even now, relics are being discovered and identified in this part of the sea as a result of local people’s reports or the work of exaction surveys. The authorities concerned are striving to raise locals’ interest in the cultural heritage objects excavated from the bottom of the sea through periodic education. Since its opening in 2018, the museum has provided education for local people from of all walks of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based survey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0, this highly satisfying education has helped to rais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efforts of the institutions concerned to excavate and preserve relics. Under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which has resulted in restrictions being placed on hands-on experience programs and field surveys related to relics, the education on cultural heritage needs to be chang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find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 on maritime relics that can replace first-hand observation.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enable ordinary members of the public to fully experience subsea excavation, which entails diverse problems related to time, space, and safety.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the metaverse, which is not affected by time or space, and educational sessions at which the attendees can take the lead role. Given that there are many senior citizens in Taean who lack skills in using digital technology, this paper suggests that a transition period is needed in which new methods could be adopted, including reorganization of the relics-related education system, and local people could receive pre-education. Curators and other people in charge of planning and running such education nee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relevant skills in order to be able to cope with changes in the situation and provide adequate help to the people who attend the educational sessions.

      • KCI등재

        고려시대 해양실크로드 거점정(據點亭)과 수중발굴

        김병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해양문화재 Vol.14 No.-

        There are various maritime cultural relics such as official residences, remaining of ancestral rites, the site of a temple, a place that was used as signal-fire and ports in major base islands located on the west coast waterway. In particular, pavilions(亭) were installed in major islands during Goryeo Dynasty. At that time, the pavilions provided convenience to the travel to Gaegyeong, which was the capital of Goryeo, and held a reception event for foreign envoys. Pavilions such as Heuksan Pavilion, Byeokpa Pavilion, Gunsan Pavilion, Anheung Pavilion, Gyeongwon Pavilion and Byeokran Pavilion were the stopover on maritime silk road.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relics discovered in recent underwater excavation support this. In addition, the ports where pavilions were installed played the role of a shelter or port of call in addition to the role of an official reception. Most of the relics reported or confiscated are concentrated in the west coast, so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lics are connected to base pavilions. This represents the active maritime activities on the sea. The Sinan Ship, which represents the medieval maritime silk road, sank in the sea route with the background of base pavilion. As such, domestic and overseas exchanges on the maritime silk road centered around the base pavilion were active during the Goryeo Dynasty. 서해안 뱃길에 위치한 주요 거점 섬에는 관사터, 제사유적, 절터 등을 비롯해 봉수터, 포구 등다양한 해양문화유적이 있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주요 섬에 정(亭)을 설치하였다. 당시 수도인개경을 잇는 노정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외국 사신들의 접견행사를 거행하였다. 흑산정(黑山亭), 벽파정(壁波亭), 군산정(群山亭), 안흥정(安興亭), 경원정(慶源亭), 벽란정(碧瀾亭) 등이 해양실크로드 중간기착지였다. 최근 수중발굴 결과 다양한 국내외 유물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정이 설치된 지역의 항은 공식적인 접대의 기능 이외에 선박의 피항이나 기항역할을 하였다. 신고·압수유물은 대부분 서해안에 집중되어, 상당 부분이 거점정과 연결된다. 이는 바다를 통한 활발한 해상활동을 대변한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는 거점정을 중심으로 한 항에서 국내외 해양실크로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KCI등재

        고려의 뱃길과 섬, 최근의 연구 동향

        윤용혁(Yoon, Yonghye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3 島嶼文化 Vol.0 No.42

        고려시대는 한국의 해양문화 연구에 있어서 의미 있는 요소를 담고 있는 시기이다. 뱃길을 통하여 서울과 지방을 연계하는 조운제라는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국내외 뱃길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요 거점 섬에 객관 제도를 운용하였다. 수도를 섬으로 옮겨, 섬을 거점으로 40년을 국가를 운영한 것도 고려시대이다. 그럼에도 바다와 섬은 그동안 고려시대사 연구의 관심권에서 벗어나 있었다. 근년 고려시대 연구에 있어서 해양사 연구의 진전은 괄목할만한 점이 있다. 여기에는 고려시대 선박과 해양사 자료를 지속적으로 확인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수중 발굴조사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다량의 청자 자료, 선상 도구, 생활용품, 다양한 식문화 자료, 수 척에 이르는 고려 선박,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 목간(죽찰)까지 동반 출토함으로써 역사적 검토의 구체성을 더욱 높였다. 본고는 조운제도, 해로와 객관, 선박, 목간 자료 등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성과와 그 경향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검토함으로써, 고려 해양사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논의를 출발할 수 있는 계기를 조성하였다. 동시에 마도선의 연대와 성격 등에 관련하여서도, 나름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 Goryeo Dynasty is a period with significant elements in study on Korean marine culture. A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settled which connected Seoul and other provinces through waterways and the inn system was operated on major islands to enhance utilization of waterways home and abroad. It was also Goryeo Dynasty when the capital was transferred to an island and the nation was managed for 40 years with the island as the national base. In spite of that fact, the sea and islands have been out of research subject on Goryeo history in the meantime. In recent studies on Goryeo history, research on marine history has been remarkably advanced. In this respect, underwater excavatio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has served as important momentum which consistently confirmed data on ships and marine history of Goryeo. Concreteness of historical study has been further improved with excavated wooden tags (bamboo tags) through which period can be estimated along with a great deal of Goryeo celadon materials, on-board tools, daily supplies, various materials on eating culture and several Goryeo ship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start new discussions on Goryeo marine history by organizing and reviewing recent research results and trends based on materials related to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seaways and inns, ships and wooden tags. At the same time, it also presents some views on the period and qualities of a ship excavated from Mado.

      • KCI등재

        태안선과 마도3호선의 침몰 연대

        윤용혁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4

        The underwater investigations into Goryeo’s Ships have been going on in the Taean sea area since 2006. After starting of the investigations into the Taean ship, the years of the sinking of the Goryeo’s ships, such as the Mado ships No.1, No.2, No.3, were almost confirmed so that their relics were found to date back to the time of the Goryeo’s military regime. However, there have been conflicting opinions over the chronicles of the celadons found in the Taean ship, so that the gap of their estimated years of the sinking of the Taean ship could be as big as one century. In the case of the Mado ship No.3, they said the year could be somewhere between 1265 and 1268. I, the author, had suggested before that the sinking of the Taean ship could be possibly related with the Gulpo canalization in 1132 (the year 12 of King Injong in the Goryeo Dynasty). Later, Lim Gyeonghui announced that some letters on the wooden bathtub, found in the Taean ship, was deciphered to be either ‘Sinhae (辛亥)’ or ‘Sinmi (辛未).’ Sinhae is 1131 (the year 9 of King Injong) and Sinmi is 1151 (the year 5 of King Uijong). If it is ‘Sinhae’, it means three years before the Gulpo canalization. Then a hypothesis can be made that the accident of the Taean ship called for some countermeasures and finally resulted in the canalization in 1234. If the hypothesis is true, the year of the sinking of the Taean ship could be 1121 (the year 9 of King Injong). The year of the sinking of the Mado ship No.3 was confirmed somewhere between 1265 and 1268 by Lim Gyeonghui. This study examined Yoo Cheon Woo’s tenure of office and it stressed that the time is highly likely to be the year of 1265.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year of the sinking of the Taean ship would be 1121 (the year 9 of King Injong) and the Mado ship No. 3, 1265. Since the year of the cargo loading would probably be the same as the year of the sinking, the years related to the loading would naturally be the years of the sinking of the 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