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in the Urban Structure -Focused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 of the Existing Gardens in Suzhou-

        이영,김덕삼 한국전통조경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9 No.-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蘇州) are the representative of the accomplishment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t. This paper analyses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in the old city area of Suzhou,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 of the gardens. We find som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s’ distribution in association with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in terms of their size and time of the con- struction. The majority of thes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are located in its old urban area, which has developed through a long history with its specific urban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from the perspective of its urban context, tries to learn the formative external fac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study reveal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played particularrole i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Suzhou gardens, which consequently merits more attention.

      • 도시구조로 본 전통중국정원에 관한 연구 -소주의 정원들의 분포적 특징을 중심으로-

        ( Young Lee ),( Duk Sa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9 No.2

        소주의 전통정원은 전통중국정원예술이 이루어온 대표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주의 옛 도시지역 안의 전통중국정원을 분석함에 있어, 정원의 분포적 특징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시 구조의 역사적 변화와 정원 축조의 시기와 규모에 관한 특징들의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원의 대 부분은 소주의 구도시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도시의 구조적 특징과 함께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축조되어져 왔다. 전통정원을 도시적 문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전통정원의 외부적 형성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도시구조 변화가 정원의 형성에 특별한 영향을 끼쳤음을 밝힐 수 있었다. 명나라 청나라 때에 축조된 소주의 전통정원은 송나라 때의 주요 정원이 도시 남쪽에 위치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대부분 구도시 지역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것은 송나라 때에는 관아 등의 주요 시설이 도시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정원이 관아의 부속 공간으로 축조된 배경과 관계가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 특히 청나라 때에는 도시 북서쪽이 상업지구로 확산되면서 사대부나 부호들이 정원을 대대적으로 소유하게 됨에 따라 북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정원들이 축조되었던 바, 정원 축조 및 분포가 도시의 공간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원의 규모면에 있어서는 명나라 때에 축조된 정원이 청나라 때에 축조된 정원보다 큰 규모였는데, 이것은 청나라 시대로 내려오면서 일부 운하의 상실과 인구 급증, 급속한 경제성장 따른 토지 사용의 부족 및 정부의 통제가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蘇州) are the representative of the accomplishment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t. This paper analyses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in the old city area of Suzhou,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 of the gardens. We find som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s` distribution in association with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in terms of their size and time of the con- struction. The majority of thes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are located in its old urban area, which has developed through a long history with its specific urban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from the perspective of its urban context, tries to learn the formative external fac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study reveal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played particularrole i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Suzhou gardens, which consequently merits more attention.

      • KCI등재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 Yoonjin Ryu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시설물, 식재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시설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시설, 휴식시설, 농업시설, 경관시설 비중이 높아졌으며 경계시설, 이동시설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시설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시설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시설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시설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 오면서 시설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등 활동이 나타나는 시설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s and Gardens was implemented last July, and forest and garden industries have been received the Blue Ocean design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gardens belong to individuals, constructing gardens is directly related to a local society``s environmental development. Further, thi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ich emotions. In fact, it is the oldest expression method of civilization. The garden in a private residence is an open space-the site left after the building site has been excluded;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s lives. Although a personal garden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referenc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standards, methods, and management of garden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garden in a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value and construction method pertaining to gardens of the fu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in existing gardens. (Metho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on 60 gardens (i.e., 30 traditional gardens and 30 modern gardens) throughout the nation; accordingly,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were analyzed. (Results) In terms of facilities, management facilities, rest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cenery facilities were analyzed; it was noted that modern garden facilities have fewer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options than traditional gardens. In fact, boundaries decreased by 1.5% for modern gardens, although ratios remained almost the same. Traditional gardens usually have facilities for living, whereas modern gardens have facilities for relaxing or engaging in activities. Regarding plantings, traditional gardens contain more fruit trees, whereas modern gardens incorporate more plants for their appreciation value, related activities, and seasonal events. Concerning space composition, both traditional gardens and modern gardens reflect a preference for flooring, though the amount of flooring decreased by 18.2% in modern gardens. However, the size of plantings increased by 17.3%. (Conclusion) Space composition, facilities, and planting methods that allow various activities in a single space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a garden culture. Regarding space composition, relaxation or orchestration of activities can be encouraged by increasing the size of a lawn or kitchen garden. Concerning planting, trees that can present the changes of seasons should be used to make create sceneries that incorporate benches, pergolas, or swings.

      • KCI등재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진혜영 ( Hye Young Jin ),송정화 ( Jeong Hwa Song ),신지훈 ( Ji Hoon Shi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4

        This Study has intended to extract traditional elements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through survey on the experts and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urvey form includes questions about representative type of traditional garden,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garden, and necessary elements for making traditional garden,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re palace and villa gardens. 2) the available traditional facilities should be applicable with contemporary culture only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3) the major traditional facilities are water-scape such as ponds and mountain streams with traditional pavilions. 4) plants should be selected in spontaneous plants in Korea bu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species recorded in old documents. It is difficult to suggest the method of layout and design strategies in this study,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will be helpful to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uitable in contemporary landscape.

      • KCI등재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공간변화 양상 및 특성 연구

        이경미,배준규,신현실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3

        This study tracked the changing proces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by using the form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gardens as the prototype of each garden, investigated the spatial value of the garden, and discussed the historical spatial value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terms of inheritance and change of traditional gardens. To this end, targeting o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Gangwon-do, which are in danger of preserving their garden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dismantled, the pattern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patial change of the garde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were able to inherit and maintain the form of a traditional garden, being located in a clan village. The garden space was divided by the influenc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omponents of the garden, tree species and planting methods appear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use of gard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atus hierarchy appeared. Second, space reduction was continuously confirmed at four target sites.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building of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ird, eight old big trees over 100 years old were identified in three of the four target sites, and the garden components such as stone water tanks, quickset doors, and pond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heriting the historicity of the traditional garden. 본고는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조영 당시 형태를 각 정원의 원형으로 삼아 미등록 민가정원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여 정원의공간적 가치를 규명하고 전통정원의 계승과 변화라는 관점에서 미등록 민가정원의 역사공간적 가치를 논구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지정문화재의 해제 수량 증가로 인해 정원의 보존 또한 위기에 처해 있는 강원도의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정원의 공간변화를 통하여 미등록 민가정원의 양상을 규명하고 그 특성 및 가치를 천착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은 집성촌 지역에 입지하여 전통정원의 형태를 계승 유지할 수 있었다. 정원공간은 유교적 철학의영향으로 공간이 구획되고 정원의 구성요소와 수종 및 식재방식이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신분적 위계에 따른 정원 구성요소의 사용이나타났다. 둘째, 대상지 4개소에서 공간의 축소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축소된 공간들은 정원공간들로서 도로의 신설과 환경개선 사업으로정원의 일부가 국가로 귀속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대상지 4개소 중 3개소에서 수령 100년 이상의 노거수 8주가 생육하고 있고 정원 구성요소들은 한중일 삼국에서 조선시대와동시대에 사용되었던 석수조, 취병, 지당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어 전통정원의 역사성을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윤영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Koreanesss, preference factors 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rom adjacent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for foreign visitors of Seoul gardens, a Korean traditional garden located within the Marzahn garden in Berlin, Germany. Overall, the Chinese garden and the Japanese garden were better known to most visitors than the Seoul garden due to their earlier construction. The awareness of the specialty to the Korean garden was at an average level indicating most visitor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among the traditional gardens constructed from other countries. These less awareness on the Korean garden was because the traditional gardens of the three countries are located adjacent to the park in a continuous landscape with similar plant species created through natural planting techniques. This means the Korean garden is required for considering diversity and representativeness of planting species, uniqueness in space composition and recognition of Korean oriental garden culture in an initial design project stage. Visitors without prior information has better understanding on Korean garden and higher revisit intention resulting in increasing publicit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Among the preference factors representing Koreaness of the Seoul gardens, the waterfall, stream, pavilion and natural stone within the water landscape were visitors favorite interests due to design concept with a representative Korean stream scenery of Dokrack-dang and Byeolseo garden resulting in differences from the landscape displaying technique for other oriental gardens. Thes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dominant landscaping of garden architecture from surround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the garden displaying technique derived from Korean natural landscape can be recognized as an unique garden element for foreign visitors.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문화에 대한 인지성 분석 등 다각적인 차별화 방안이 향후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문 전후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 결과는 사전정보 없이 방문한 이용객의 경우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고, 재방문의사도 높게 나타나 서울정원이 한국전통정원의 홍보와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성을 표출하고 있는 서울정원의 선호요소 중 수경관의 폭포와 계류, 정자와 자연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계개념에서 제시한 독락당과 별서정원의 입지구조, 독락당 전면 너럭바위와 계류를 모티브로 한 한국정원의 경관연출기법이중국과 일본의 전통정원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리적 환경에서 지배적인 정원 건축물에 대한 양식적 차이와함께 한국적 자연경관 형성을 통한 정원의 연출은 외국인에게 독특한 정원요소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권진욱 ( Jin Wook Kwon ),박은영 ( Eun Yeong Park ),홍광표 ( Kwang Pyo Hong ),황민하 ( Min Ha Hw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 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develop a universal way for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to have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s part of efforts to distribute and promote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developing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have individuality when they are established overseas and on establishing directional rules for planners. Although traditional Korean gardens may vary in form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spatial scal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should incorporate emotions that are well-matched with Korean landscapes and that their design language should be easi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to everyone. The basic spatial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hibition(fair) type, the garden type and the park type. These basic types serve as prototypes that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the gardens.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cale, the exhibition(fair) type is set as the minimum unit for composition, and suggested basic facilities include trees, a well, a pond and an island in the pond, flower beds and f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designi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 KCI등재

        마샤 마 패션에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 건축미학 특성 확장에 대한 논의 - 마샤 마(Masha Ma) 2014 S/S ~ 2016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이애진 ( Li Ai-zhen ),김현주 ( Kim Hyun-joo ),한설아 ( Han Sul-a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국 소주 전통 정원 건축의 특성을 재해석 하여 현대적으로 표현한 마샤 마의 컬렉션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녀의 디자인과 소주 전통 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주 전통정원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적 패션, 그리고 해체주의에 관련한 이론 고찰 및 소주 전통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특징 분석에서 출발하여, 마샤 마의 2014S/S ~ 2016 S/S 마샤 마의 파리 컬렉션 작품서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의 재해석 과정과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샤 마의 패션 디자인은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 문화를 용합하여 새로운 방향성의 건축적 패션 디자인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창조의 방형성은 다음의 세 가지 흐름 안에서 압축 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문화를 용합한 음양(陰陽)적 색채 사용과 배색 특성을 보였다, 둘째, 중국 전통 건축의 기학 미의식(美意識)을 재해석 하여, 이를 패션디자인 조형 방식의 변화 및 착장 순서의 변화, 문양 등을 통해 그 특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소주 전통정원의 치경(置景)적 특성은 문양, 시스루 소재를 통한 레이어링 기법 등으로 재해석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마샤 마 디자인에 있어서 전통 건축 조형요소와 미학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방식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그녀가 중국 전통 건축과 문화에 현대 패션의 미의식을 접목 시켜 새로운 중국식패션 디자인 흐름의 단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도 중국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세계 전통문화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어, 패션 디자인에 다각도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hinese modern costume designer Masha Ma`s collection has been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rom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design and the modeling and aesthetics of Suzhou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starting poin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fashion of traditional garden of Suzhou, and researches the Masha Ma`s 2014 S/S~2016 S/S Paris`s collection that had been presented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fashion`s modeling features at the Suzhou garden. In order to know the impact of traditional garden culture and Yin - Yang theory for Masha Ma`s fashion design, a new way of architectural fashion design is conducted, the creative direction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by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the Yin-Yang mainly use opposite colors matching Yin and Yang includes brown, blue, white, black, etc. Seco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architectural geometry is reinterpreted. Geometric mainly utilize modelling of asymmetry which differs from other traditional architecture of Suzhou gardens. Third, the Suzhou garden scenery featur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fabrics and other forms is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modeling elements and aesthetic understanding of Masha Ma`s fashion design can be said that the new directions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design. It unfastens a new way of Chinese-style fashion design which fuse the architecture and culture of traditional China and fashion beauty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for the world`s traditional culture, it also deeper research the levels and aspects of modern modeling fashion design`s features.

      • KCI등재

        동아시아 정원문화에 기반한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모색 - 공동체성과 통합성을 중심으로 -

        안명준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3

        경관과 정원은 현대 도시에서 중요한 실천 매체로 부각되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정원을 프레임으로 도시를 살펴본다. 정원은 도시민의 활동 매체로 재설정되고 있으며, 도시 재생과 도시형 마을 만들기의 중요한 실행 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에서 본 논문은 정원을 매개로 나타나는 도시 구조와 도시민의 행태, 그 과정 및 결과에 집중하여 볼 때 현시대 우리에게 적합한 조경이론으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제안한다. 이것은 한 세기 넘도록 진화해온 조경을 되돌아보며, 조경의 정체성을 되묻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먼저 정원과 도시 사이에서 조경의 씨앗을 품어둔 바 있는 에벤에저 하워드(Ebenezer Howard)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에 주목하며 ‘작동하는 경관과 감응하는 풍경’이 도시의 기본적 요소이자 조경이론의 시작이었음 을 정원도시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지난 세기를 지나며 그들의 이상이 도시에 모두 구현되지는 못하였으나, 현재는 동아시아 도시에서 전통 정원문화에 기반한 정원의 원형이 형성되고 있음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는 조경이론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버전의 정원 개념은 우리 도시에서 생활 인프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것이 작동하기 위한 새로운 정원도시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장별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논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현대 도시에서 나타나는 정원과 동아시아 정원문화의 가치는 공동체성(community)과 통합성(integrity)을 주제로 형상화되고 있다. 둘째, 아파트로 대표되는 한국적 공동체성은 가드닝(gardening)으로 표출되며 도시와 생활의 재결합과 그것을 지원해줄 전문분야로서 조경의 역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셋째, 동양적 자연관에 기초한 도시 기반, 일상생활, 정원 매체, 즉 도시-생활-정원이 유기적인 실천론으로서 통합적 정원도시론을 검토하고 고민해 본다. 결과적으로 현대의 정원과 도시는 동아시아 조경문화, 정원문화에서 아직 재발견이 필요한 중요한 요소와 가치들을 찾고 있음이 확인된다. 통합적 정원도시론의 제안이 조경의 지속을 담보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계기로 조경뿐만 아니라 도시와 관련한 모든 분야가 협업하며 정원도시를 고민하는 기회는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도시 또는 밀집 도시에 적합한 정원과 도시의 개념, 공동체성에 기반한 정원문화의 확산과 지원 방안, 생활방식과 지형조건에 적합한 조경이론/설계이론의 진화, 기후변화 대응이 가능한 지속가능한/회복탄력적인 정원도시론 모색, 그리고 21세기 조경의 새로운 역할 설정” 등이 본격적으로 고민되길 기대한다. Landscapes and garden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dium of practice in contemporary cities.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s the city through the frame of gardens. This is because gardens are being reconceptualized as a medium of activity for urban residents and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action in urban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urban villa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and proposes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landscape theory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by focusing on the urban structure and the behavior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e medium of garde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is both a process and a result of looking back at the evolution of landscape for over a century and rethinking the identity of landscape. We first examined garden city theory, noting that Ebenezer Howard and Frederick Law Olmsted's posi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cities were not so different, and that "working and responsive landscapes" were fundamental to cities and the beginning of landscape theory. We also examine how their ideals have not been fully realized in cities over the past century, but the prototype of gardens based on traditional garden culture is now being formed in East Asian cities, and the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 in response. The conclusion is that a new version of the garden concept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living infrastructure in our cities, and a new garden city theory is needed to make it work. To this end, each chapter examines three arguments, as followsFirst, the values of gardens and East Asian garden cultures in contemporary cities are shaped by the themes of community and integrity. Second, Korean communality, represented by apartments, is expressed through gardening and requires the reconciliation of city and life and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pecialized field to support it. Third, we examine and consider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as a theory of practice in which city-based, everyday life, and garden mediums, i.e., city, life, and garden, are organic, based on an oriental view of na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ontemporary gardens and cities are looking for important elements and values that still need to be rediscovered in East Asian landscape and garden cultures. Although the proposal of an integrated garden city theory cannot guarantee the continuation of landscaping, it can be an opportunity for all fields related to cities, not just landscaping, to collaborate and consider garden cities. Through this, it ishoped that "the concept of garden and city suitable for metropolitan or dense cities, ways to spread and support garden culture based on community, evolution of landscape theory/design theory suitable for lifestyle and terrain conditions, search for sustainable/resilient garden city theory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stablishing a new role for landscape in the 21st century" will be seriously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