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붓다론

        김형효(Hyong-hyo Ki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이 글은 붓다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에세이다. 물론 이 글이 의존하고 있는 철학적 사조는 존재론이고 해체주의적 경향을 말한다. 여기서 말한 존재론은 소유론에 대비한 존재론이고, 해체주의는 진리를 발견하고 구성하기 위한 기존의 철학 방법론적 사고방식에 대하여 완전히 전도된 입장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붓다론은 철학적 가치론을 옹호하기 위함이 아니다. 철학적으로 가치론은 늘 어떤 가치를 옹호하고 주장하기 위한 소유론의 일종이라고 읽어도 무방하겠다. 정신적 가치를 결정하여 그것을 옹립하고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를 소유하려는 정신적 태도를 말한다. 우리가 도덕적 가치를 옹호하는 것은 그 가치의 소유를 의미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가치론과 그 도덕론은 다 정신적 소유론의 입장과 유사하다. 그런 점에서 붓다는 인간에게 어떤 정신의 가치를 소유하라고 역설하는 그런 가치론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불 수 있다. 그러므로 붓다의 교설은 어떤 가치로서 이 세상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그런 의미를 역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붓다의 사상은 세상을 새로운 가치의 발견으로 새 세상을 만들어야 하다는 당위의 설법이 아니고, 도덕윤리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거듭 주장하는 당연의 원칙을 설파하는 것도 아니다. 붓다의 주장은 세상을 도덕적으로 개조하자는 주장도 아니고, 타기해야 할 허위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준칙을 세상에 반포하는 것도 아니다. 이런 모든 주장은 다 소유의식의 잔재에 해당한다. 붓다의 교설은 철두철미 존재론적 사고방식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론은 반(反)소유론적 마음의 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재래의 가치철학은 이 가치의 소유에서 저 가치의 소유에로 소유개념의 이전을 의미하는 것에 불과하다 하겠다. 철학적 도덕론은 가치소유의 한 관점을 역설하는 소유론에 불과하다. 그런 소유론은 철학적 진리론의 한 장르로서의 구성주의의 세계관과 다르지 않다. 붓다의 가르침은 철두철미하게 존재론의 차원에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재래의 존재자적 형이상학의 차원으로 읽혀져서는 곤란하다. 존재자적 형이상학은 모든 존재를 명사적 존재자로 해석하여 동사적 행위와 같은 존재를 명사적이고 실체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로 여기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는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와 존재자를 엄밀히 구분하는 의미로 읽혀져야 한다. 존재는 존재자와 달리 의미의 가치 고유소를 지니고 있지 않다. 존재는 무(無)와 마찬가지로 자기 의미를 전혀 갖고 있지 않으나, 무(無)와의 직관적인 차이를 노정하는 기호일 뿐이다. 즉 기호는 자기 의미를 갖는 개념적 의미와 달라 단지 다른 기호와의 차이를 띨 뿐이다. 무(無)가 없으면, 존재는 이해되지 않는다. 존재가 없다면, 무(無)도 직관되지 않는다. 존재와 무(無)는 생멸의 행위와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존재는 무(無)와 같은 차원에서 순간적 행위라고 읽을 수밖에 없다. 존재는 실체로서 명사적 개념으로 잡히는 존재자와 달리 존재하려는 욕망의 순간적 표현과 같다. 붓다는 이 우주를 존재론적으로 관찰하였고, 그 우주의 존재론은 존재하려는 삼라만상의 욕망과 같다고 읽었다. 즉 삼라만상은 생멸하고, 그 생멸은 곧 공(空)으로부터 치솟는 공의 파도와 같다. 존재는 욕망의 치솟는 행위에 불과하다. 한국불교는 욕망을 너무 소유론적으로 읽는다. 이것은 시정되어야 한다. 삼라만상은 존재하려는 욕망을 선천적으로 띤다. 이것이 자연의 법이다. 욕망은 존재와 소유의 경계에 처해 있다. 붓다의 가르침은 욕망을 지능적 소유로 해석하려는 인간의 오랜 습관을 버리고, 본능적 자연의 존재방식으로 치환할 것을 요구하는 사상이다. This is a philosophical essay for understanding Buddha. The philosophical thought on which it is depending is deconstructive and ontological. Ontology talked here is contrary to possessionism (that is to say having), and deconstructionism signifies the attitude perfectly different and inversive from all kinds of philosophical mentality tenaciously conserved through its history. Philosophically my essay is not to defend any value whatever it is. As a matter of fact, the theory of value would be interpreted as a kind of having consciousness, because that theory is made for defending having and justifying it. For to stand for a certain spiritual position is to help occupying a place favorable for having the spiritual value. The case being so, all kinds of value and its morality represent the attitude to maintain positively their having in the deep bottom of the unconscious. So we can affirm that Buddha has not proclaimed to human being to have a certain value. At the same time, we can say he has not taught us to try to construct our world on our new ideas. Buddha's main teachings do not consist in the fact that we should remake the world by our new brilliant ideas. His affirming ideas neither consist in reconstructing the world on moral ideology, nor in abandoning false consciousness. All these correspond to some residues of having-consciousness. Buddha's mention corresponds essentially to the way of ontological thinking. This means an anti-having's mental attitude. Therefore traditional theory of value points out no more than a simple space-moving from having this side of value to having that side of value. We should like to say Buddha's teaching must be understood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This means that if we try to interpret metaphysically and ontologically his mention, we would not be able to attain him correctly. Ontological metaphysics consists in misunderstanding Being(Sein) as entities(Seiendes) in the Heidegger's sense of meaning. Ontological or metaphysical way of thinking, different from ontological thinking is like to think Being as something substantive or individualistic. Our affirmation should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Heidegger's philosophy. Being different from entities does never have any property of significance.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does not in the least have any meaning come from itself. But Being does show itself intuitively to be different from nothingness. Conceptually Being is not different from nothingness, because Being is conceptually at the same dimension as nothingness; they don't have any meaning. They are no more than the signs in semiotics. Sign does not have its own proper meaning on the contrary to the concept, but shows up difference only in the relation with the other signs. Without nothingness, Being cannot be understood. Likewise nothingness is not able to be intuitive without Being. Being and nothingness are not different from the acts coming out of life and death. Being as well as nothingness cannot be read otherwise than instantaneous acts. Being, apart from the substantive entities taken as concept, is like instantaneous expressions through which Being is desiring to show itself up into existence. Buddha has observed this cosmos ontologically, and his ontology has read Being like an immense filet de désirs which are eager to exist.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live and die; such living and dying are like waves existing from sunyata. Being is no more than act of desire existing from sunyata. Korean Buddhism is in general reading too much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This point of view should be revised.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show up apriori the desire eager to exist. It is the law of the universe. Desire exists between Being and having. The teaching of Buddha lets us abandon traditionally old-fashioned and accustomed way of thinking which has wanted to see and confine desire under the chain of having.

      • KCI등재

        동사구 외곽구조에 근거한 동사구 삭제와 Be/Have(조동사)구 삭제 간의 이질적인 허가

        윤영옥 ( Young Ok Y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1 외국어교육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출발은 생략 중에서 특히 영어 동사구 삭제의 통사적 허가가, 삭제되는 요소의 형태소적 자질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생략구문은 최소주의(minimalist) 관점에서 볼 때 접합점(interfaces)에서 완전 해석(Full Interpretation)을 받기위해 통사적으로 허가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Lasnik(1995b)의 주장과 관련하여 영어동사가 그 종류에 따라 어휘 부에서부터 다른 형태로 도출된다는 이론 보다는 동사구 생략의 비대칭성과 관련하여 Chomsky(1993)의 어휘론적 최소주의 접근(Lexicalist-minimalistapproach)을 따르며 Chomsky(1999)의 국면(phase)과 일치(Agree) 개념을 토대로 외곽 동사구(VP-shell) 구조에서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동사와 조동사 Be/Have가 동사구 삭제와 관련하여 어떻게 허가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각각 경동사구 (υ*(υ)P)의 핵과 시제구의 핵에 [ellipt] 자질을 설정하여 동사 이동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ellipt] 자질은 문장구조를 만들어 갈 때 필요한 [EPP] 자질을 살펴보면서 동기화되었다. [EPP] 자질은 어떤 요소의 이동과 더불어 그 자질이 삭제되는 성질이 있는 반면에 [ellipt] 자질은 문장 성분의 삭제와 더불어 이를 허가해 줌으로써 사라지고, 어휘 동사의 경우 원형이 삭제될 때는 제자리에서 삭제되고, 굴절형태소를 취하고 있는 경우 경동사로 이동하면서 일치 전에 생략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조동사 Be/Have의 경우 시제구의 핵에 [ellipt] 자질을 설정하여 핵에 병합되는 Be/Have 구를 삭제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fferent licensing between the VP-deletion and Be/Have(Aux)P-deletion, analyzing the deleted part rather than the remaining left element. The deleted parts sometimes show different morphological forms. I will argue that this aspect must be reflected in the syntactic licensing property for the VP-deletion. Bare forms of main verbs need not to move in the scope of the deletion. VP-deletion including a bare form of a main verb will occur under identity with its antecedent. While, the inflected forms of main verbs must move to the affixal light verb. The VP-deletion including an inflected form will occur under identity with its antecedent before Agree after the movement to the light verb. Be/Have as an Aux seems to originate under the Aux. The phrase including Be/Have is licensed by the functional category ``T``, rather than υ*(υ). Be/Have is derived from the lexicon as the complex of features like main verbs. The AuxP-deletion must occur after Agree under identity with the antecedent.

      • KCI등재후보

        기독교철학과 상담심리와의 만남 인간의 존재 방식과 관계에 대한 고찰 -마틴 부버의 『나와 너』와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를 중심으로-

        변복수 ( Bok Soo Byu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2 No.-

        This study focused on Martin Buber`s ``I and Thou`` and Erich Fromm`s ``To Have or To Be`` concerning the way of human beings and relationships, Buber would say that no one exists in isolation as just an I and no I exists without a Thou. That is, I only exists in relationship to the other. Buber understands I as a ``between existence``. Erich Fromm classified the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according as existing patterns. Both existing patterns and ways of life would be altered when one`s existence focuses on either possessive manner or existential one. Buber shared Fromm`s view; we always exist in one of two relationships, and only when being as a ``between existence``, the existence could be a real one that is dematerial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and existence has an unconditional impact in counseling. If you meet a client who had been branded as a possessive object, materialized one or diagnoses. Understanding the existence has an impact on someone`s attitude to relationship, eventually it affects the consequences of counseling. In conclusion, contemplating the way of human beings and relationships make counselors being more mature for themselves, respectful of clients and treating human beings to uphold their dignity in all areas of life as well as having wide recognition to have new relationships.

      • KCI등재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본 EXO의 〈으르렁〉

        김광식(Kim, Kwa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5

        〈으르렁〉은 젊은 세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노래 가운데 하나다. 이 노래는 젊은 세대에게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는 철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노래다. 으르렁대는 야만적인 무한경쟁의 심리가 드러나 있다. 이 논문은 그 노랫말을 니체와 프롬의 철학으로 되짚어 보고 그 철학적 까닭과 해법을 찾아보았다. 니체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시기, 곧 타자 부정이며, 그 해법은 긍정, 곧 자기 긍정이다. 자기가 사랑하는 이성을 사랑하는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 대는 까닭은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열등감과 시기심이 깔려 있다. 무엇보다 먼저 자기를 가치 있는 사람으로 긍정하면, 열등감과 시기심에 빠지지 않고, 자기보다 뛰어난 이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프롬의 철학으로 보면, 그 철학적 까닭은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며, 그 해법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다. 다른 동성들에게 으르렁대는 까닭은 이성을 독차지하려는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 때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가지면, 사랑의 존재, 곧 사랑의 과정 및 경험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성을 독차지하지 못하거나 잃어버릴까봐 불안해할 필요가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으르렁대지 않을 거다. 〈으르렁〉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우리 젊은 세대는 자긍심보다 열등감이나 시기심이 강하고,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보다 소유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이 강한 경향이 있다. 우리 나이든 세대의 유산일 게다. 걱정되는 것은 그러한 경향이 더 노골적이고 거칠어졌다는 점이다. 철학자만의 잘못은 아니다. 무한경쟁을 낳는 사회 구조적 원인이 가장 큰 탓이다. 하지만 철학자의 탓이기도 한 만큼 우리 철학자들이 젊은 세대의 자긍심이나 존재를 지향하는 삶의 마음가짐을 북돋우는 데 힘써야 한다. The song is one of the songs that represent the pop music of the young generation. Because the song has gained huge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This song is philosophically “so dangerous”. The song has the mentality of the growling barbarous unlimited competition. I analyzed the lyrics of the song in the philosophy of F. W. Nietzsche and E. Fromm and explored the philosophical reasons and solutions. I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jealousy, this is the negation of others, and the solution is the pride, this is self-affirmation.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 people who love his beloved partner is the anxiety or the fear to a man superior to himself, which is based on the inferiority feeling or the jealousy. First of all, if he affirms himself as a worthy person,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don"t have to feel inferior to or jealous of a man superior to himself and to feel anxious or fear. In the philosophy of Fromm, the philosophical reason i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and the solution i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The reason why he growls to others is because he has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which make him desire to monopolize his beloved partner. First of all, if he has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he won’t growl to others, because he regards the existence of love, namely the process or experience of love as important and therefore he don’t have to feel anxious or fear lest he can’t monopolize her or loses her. According to guessing from the song <Eureureong>, I guess that our younger generations tend to have inferiority feeling or jealousy rather than the pride and to have the attitude of the having-oriented lifestyle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It is the legacy of our old generation. Worrying is that such trends are more explicit and rough-hearted. It is not just a philosopher"s fault. That is mainly due to social structural causes. However, as a philosopher, we must strive to encourage our young people to have the pride and the attitude of the being-oriented lifestyle, because it is also a philosopher"s fault.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이삼형 ( Sam Hy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고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독서율이 OECD 국가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는 문제가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관을 에리히 프롬이 말하는 존재양식의 독서에 찾고 있다. 즉, 우리의 독서와 독서교육은 소유양식의 독서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독서가 지식을 소유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존재양식으로 승화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의 독서계는 문학 독서와 설명적 글의 독서를 전혀 다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 작품의 독서에서는 삶의 고양과 같은 목적을 명시하는데 반해 설명적 글의 독서에서는 단지 정보처리에 주된 관심을 둔다. 그러나 프롬의 설명대로 문학 작품의 독서나 설명적 글의 독서에 소유양식과 존재양식이 모두 가능하다면, 설명적 글의 독서라고 해서 정보처리라는 울타리에 가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를 위해서 독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먼저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이란 사실적 독해와 같은 기초적인 독해력을 충실히 양성하고 비판적 독해와 같은 고수준의 독서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독서교육이 기존의 입시 위주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독서 경험이 자신의 관심과 삶과 관련을 맺고, 독서가 끝이 없는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이며 몰입하여 기쁨을 누리는 과정이라는 의미 있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이 중심이 되는 독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Our country`s reading rating of adult is the lowest in OECD. This article makes it a important task which the teaching of reading as a lifelong education settles matter. Our standpoint of reading is fixed at reading as a mode of ``to be`` of Fromm`s term. In additionally, our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have a tendency that concentrated on the model of ``to have``. To conquest this matter, readers have to sublimate their attitude that the mode of ``to have`` in the mode of ``to be``. We also have a tendency that literary reading and non-literary reading are very different. Reading of the literary text has a goal that enhancing the life, on the other hand, reading of non-literary concerns on information processing mainly. However, according to the Fromm`s saying that all the things that reading of literary and non-literary could operated as both mode of ``to be`` and ``to have``, non-literary reading does not limit the category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reading, teaching of reading has to be systemized. The systemized teaching of reading is that training a basic literacy like a literal reading substantially first, then, goes forward to the critical reading gradually. In additionally teaching of reading has to get out of preparing-centered for an entrance examination and pursuits that reading experience concerned with readers` life and interest. So teaching of reading has to make everyone who reads the books could get a pleasure, a meaning of life in the reading and realize that reading is the process that pursuing meaning infinitely.

      • KCI등재

        연기교육에서 ‘집중’의 확장된 의미 : ‘존재’를 향한 연기자의 심미적 절정경험

        김수기(Kim, Soo G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5

        과학기술문명이 중심이 된 현대사회에서 현존재는 존재적 실존보다 소유적 실존에 치중한 삶을 살아간다. 사상가들은 정신적 파국의 위험에 처한 현대인에게 소유 지향적 실존의 위험을 경고하지만, 예술조차도 과학과 이성, 성과 중심의 사회적 흐름 속에서 존재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대학의 연기교육도 연기에 내재한 존재론적 가치 탐구보다는 연기 기술의 습득과 전달에 교육적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논문은 연기자의 존재론적 경험에 대한 논문으로서 연기자가 인물로서 고도로 집중된 상태에서 체험하는 심미적 절정경험 상태가 연기자에게 미치는 존재론적 의미와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기자가 기술을 넘어 ‘진정한 실재’인 ‘자신의 존재’에 다가가는 체험은 심미적 절정경험의 순간이고, 그 순간에 연기자는 자신의 존재를 자각한다. 집중훈련을 통한 집중력의 개발은 연기자를 심미적 절정경험으로 이어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록 연기자가 체험하는 심미적 절정경험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 일시적인 상태일지라도, 진선미가 통한된 절정경험은 연기자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신성한 존재로서의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자기실현을 향한 중요한 순간이다. In a modern society centered on science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human beings live a life more focused on having mode of existence than on being mode of existence. Thinkers warn modern people who face the risk of mental catastrophe of having-oriented life, but even art does not clearly reveal the importance of being in the social flow centered on science, reason, and achievement. Act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also focuses on the acquisition of acting skills rather than ontological value inherent in acting. An aesthetic peak experience is a moment of approaching ‘one s being,’ ‘one s reality.’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plores the ontological meaning and effect of the aesthetic peak experience state on actors. An actor can be aware of his/her being in a state of peak experience immersed in the character. The experience of an actor approaching ‘his/her being,’ ‘his/her reality’ beyond acting techniques, is a moment of aesthetic peak experience, and a that moment, the actor is aware of his/her being. The development of concentration through intensive trai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actors to aesthetic peak experiences. Even if the aesthetic peak experience state experienced by the actor does not persist, the peak experience in which truth, goodness and beauty are integrated is a moment for self-realization that can change the actor’s consciousness and recognize him/herself as a sacred being.

      • KCI등재

        나한(羅漢)의 사지(四智)에 대한 일고(一考)

        강대현(Kang, Dae-hyun)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6 No.-

        깨달음에 이른 사람을 아라한(阿羅漢, arahant) 이라고 한다. 불교에서의 최초의 아라한은 석존이다. 즉 석존도 한 인간으로서 지난(至難)한 수행과정을 거치고 아라한이 된 사람이다. 만약 석존이 성도했을 때의 양상을 더듬어 볼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나한의 사지’를 떠 올리면 될 것이다. 즉 “생사를 이미 여의었고, 청정행도 이미 이루어졌으며, 해야 할 바도 이미 다 하였으며, 다시는 몸을 받지 않는” 사람인 것이다. 이 게송은 석존이 자증한 바를 아라한과에 이른 제자들에게 교시한 문답에 처음으로 등장하여서 거의 모든 수행관련 불교문헌에 나타나지만 초기불전에서는 그 개념의 정의없이 한 묶음의 게송으로 전승된다. 그러던 것이 대승불전에서 ‘사지(四智)’라고 언급된다. 그 대표적 문헌이 『대승의장(大乘義章)』이다. 즉 『대승의장』「사지의(四智義)」에서 ‘사지’를 ‘세 맥락으로 분별[三門分別]’하면서, 첫째는 대상을 준거(準據)로 파악하고, 둘째는 그것의 체(體)와 상(相)으로 판정하고, 셋째는 진지와 무생지를 들어 분별하고 있다. 여기서 사지라고 말하는 것은, ‘아생이진(我生已盡)ㆍ범행이립(梵行已立)ㆍ소작이판(所作已辦)ㆍ불수후유(不受後有)’ 이 네 가지이다. 이 넷은 사성제의 지(智)와 같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비바사들의 논서와 『승만경 』, 『열반경』을 인용하면서 그러한 ‘사지’와 사성제를 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지’에 대한 사성제의 배당이 비록 표면상 불전마다 다르나, ‘사지’의 증득이 곧 사성제의 진리인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구(句)가 불전마다 다른 배당은 결국 사성제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석존의 근본교설이 어떤 교설보다도 중요한 불교의 정신이라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나한의 사지’도 그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하였던 ‘나한의 사지’라는 개념의 재조명(再照明)은 물론 수행의 근본적인 바탕으로서 ‘나한의 사지’를 이해하여서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word arahant is used to refer to enlightened people. The first arahant in Buddhism is the Buddha, Seokjon [釋尊, Śākyamuni]. In other words, the Buddha, Seokjon became a arahant through a underwent deep meditative practice also, as human beings. If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e Buddha's understanding upon attaining enlightenment, one may think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羅漢之四智].’ Namely, arahants are people who have “extinguished the production of selfhood,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done what was necessary to be done to realize enlightenment, and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The four verses of this passage [gāthā] first appeared in a question and answer of the Buddha to other disciples who had reached the level of arahant. These verses appear in nearly all of the Buddhist literature on practice, but the bundle of verses is copi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without any definition of those concepts. These are then mentioned in the Mahāyāna Buddhist scriptures which refer to them as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 representative such work is Huiyuan of Jinyingsi Temple's (523∼592) Essay on the System of Māhāyāna [大乘義章].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n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is ‘divided into three contexts [三門分別].’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wisdom based on Four Noble Truths [四聖請]. Second, the wisdom's essence[体] and characteristics[相] are determined. Third, it is classified into ‘eradication wisdom [盡智]’ and ‘cognition of non-arising [無生智].’ Her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refers to ‘understanding that one has been born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suffering [我生已盡].’ ‘the understanding that the arahant has completed the necessary practices of purity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that suffering is at an end [梵行已立]’. ‘the understanding that task of the arahant have been well performed,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leading to enlightenment [所作已辦]’. ‘the understanding of the arahant that there will be no further rebirths,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of the causes of suffering [不受後有]’. It is also said that these four is the same as the cognitions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Essay on the System of Mahāyāna cites portions from Vibhāsā's śāstra [毘婆沙論書], Srimaladevi-simhanada-sutra [勝鬘經] and Nirvāna Sūtra [涅槃經] assign Four Noble Truths to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lthough the exact mapping of the Four Noble Truths to the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differ among these scriptures, it is undeniable that the attainment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in fact the attainmen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the different mappings of every verse in each text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Four Noble Truths. Therefore, if the fundamental doctrines of. the Buddha is the spirit of Buddhism and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doctrine, then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is equal in importance. Therefore, this calls for a re-illumination of the previously neglected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nd an understanding of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s a fundamental base for practice, and further study is indicated.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의 인간학(人間學) 고찰(考察)

        손흥철 ( Heung Chul S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고봉 기대승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로, 필자는 존재론적 관점과 도덕적 관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먼저 고봉은 존재론적으로 인간을 자연적 인간(Homo-Natural)로 보고, 그 구체적 내용을 천인합일(天人合一)과 천인감응(天人感應)으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덕적 인간관으로서 고봉의 심통성정(心統性情)과 사단칠정 인심도심론을 연구하였다. 특히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주체가 되는 心·性·情·意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고봉의 이론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고봉은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사단과 칠정 등은 性에 내재되어 있지만 이들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실천하는 주체는 마음이라고 주장하였다. 고봉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인간의 주체적 자아의 모습과 타자와의 소통근거에 대한 형이상학적 인식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상호간의 소통을 위하여 고봉은 마음의 역할을 매우 중시한다. 왜냐하면 마음이 도덕적 행위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봉의 인간관은 자연적 인간(Homo-Natural)의 의미와 도덕적 인간(Homo-Moralis)의 의미를 종합한 우주적 인간(Homo-Cosmic)으로 이해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studied Gobong(高峰) Gi, Daeseung(奇大升. 1527 - 1572)`s the view of a human being. In there I researched that by ontological and moral viewpoint. First, Gobong thought that the Human being is Homo-natural being, and explained it concretely with "the theory that the heaven and human beings have same inner principle(天人合一)" and "inductive cor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天人感應)". Secondly, studied Gobong`s "the theory of xin tong xing qing(心統性情)", "the theory of the Four Origins(四端) and the Seven Emotions(七情)" and "the will of people and pure mind(人心道心)". Specially, researched about the perception of Mind(心), human nature(性), emotions(情) and thinking(意) in Gobong`s the moral view of human being. As result, Gobong emphasized that "the Four Origins and the Seven Emotions" exist in the Human nature(性), and the Mind take the initiative in doing the Four Origins and the Seven Emotions. In this Study, I found a sense of true sovereignty and the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ing Gobong`s metaphysical epistemology. And Gobong emphasized the role of Mind for mutual understanding. Because the Mind is the main body of moral behavior. So, I conclude the Gobong`s the view of human being is "the Homo-Cosmic" synthesizing "the Homo-Natural" and "the Homo-Moralis".

      • KCI등재

        토니 모리슨의 신앙 여정:『가장 푸른 눈』과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를 중심으로

        권혁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3

        본 논문에서는 토니 모리슨의 첫 번째 소설 『가장 푸른 눈』과 최근 소설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에서 설명하는 두 가지 실존양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작가의 신앙관을 추적하였다. 1970년에 발표된 『가장 푸른 눈』에는 세 명의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인 폴린과 제럴딘 위트콤이 등장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종교를 이용하고 피콜라의 정신분열 발생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2015년에 발표된 『신이여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서 부커의 고모 퀸은 ‘존재양식의 신앙인’으로 브라이드가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부커와의 사랑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독교 신앙의 주요 속성을 ‘베푸는 사랑’으로 규정해온 토니 모리슨은 평생 ‘소유양식의 신앙인’들을 질타하고 ‘존재양식의 신앙인’이 되도록 촉구하며 독자들의 정신적인 성숙을 이끌어온 ‘존재양식의 신앙인’이다. 작가는 말년의 작품에서 기독교인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태아를 향한 축복기도를 작품의 제목으로 삼을 만큼 신앙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trace Toni Morrison’s religious dimens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ristian characters in her first novel and her latest novel based on Erich Fromm’s two modes of existence in To Have or To Be. In The Bluest Eye, her first novel, ‘the Having Mode’ of religion characterizes three African-American characters, Pauline, Geraldine, and Elihue who exploit others and bring about the ruin of the protagonist Pecola, a young black girl. In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Queen is characterized by ‘the Being Mode’ of religion. She plays a crucial role in helping Bride find her true identity and recover her love with Booker. Morrison who has understood the Christian religion as that of a generous love during her life denounces ‘the Having Mode’ of religion and promotes ‘the Being Mode’ of religion, As depicted in her rendering of Queen, Morrison, who also has ‘the Being Mode’ of religion, reveals optimistic faith in Christians to the point of ending her work with a player of blessing over the newborn as the title of her latest novel God Help the Child implies.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의 버리고 떠나기(Abgeschiedenheit) 신비사상의 성격

        서동신(Dongshin, Seo) 한국종교학회 2021 宗敎硏究 Vol.81 No.2

        The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ystical theory and practice in the Characteristics of Letting-go(Abgeschiedenheit), implied in a central theme in Christian mystical thought of Meister Eckhart(1260-1327/1328). In his Mystical Theory of Letting-go thought, there is ‘God as One’, ‘God as absolute Nothingness’ and ‘God as Being’, ‘God as Intellect’. The Doctrine of the Soul is based o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 in the soul: separation, nothingness, purity, activeness and image of God. In his Mystical Practice, there is three-fold of poverty as follows: Letting-go, Letting-be(Gelassenheit), and Break-through(Durchbruch). In his Letting-go mystical thought, Mystical Theory as doctrine of the theory of soul about ‘Separation’, ‘Nothingness’, ‘Purity’, ‘Activeness’, ‘Image of God’ in intellect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Mystical Practice based on Letting-go as ‘Non-wanting’, Letting-be(Gelassenheit) as ‘Non-knowing’ and break-through (Durchburch) as ‘Non-having’. Therefore, a noble human being who has experienced the spiritual horizon transformed in a transcendental way breaks through into Godhead. Then one can finally be free from attachment and selfishness, intellectually recognizes the Birth of Son(Sohnesgeburt in der Seelen) in the Soul, shows one’s true self during one’s daily life, and lives a mystical life as a child of God whilst practicing a spiritual life with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