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치료제에 관한 연구: 제품 사례 분석과 제언

        이영승,김윤상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2

        Recently, due to the prolongation of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ftware market, the number of products of overseas digital therapeutic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roducts of digital therapeutics is increasing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rends and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 products by classifying domestic digital therapeutics product cases,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cases of domestic digital therapeutic products and propose directions for digital therapeutics products. 1)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digital therapeutics were summar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xisting digital therapeutics. 2) Based on the summarized results, the trend was confirmed by classifying domestic digital therapeutics product cases. 3)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digital therapeutics were suggested. 최근 COVID-19의 장기화 및 소프트웨어 시장의 발전으로 인해, 해외 디지털 치료제의 제품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디지털 치료제의 제품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디지털 치료제 제품 사례들을 분류하여, 디지털 치료제 개발 경향 및 추세를 확인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디지털 치료제 제품 사례들을 분류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1) 기존 디지털 치료제 관련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디지털 치료제의 정의 및 분류 기준을 정리하였다. 2) 정리한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디지털 치료제 제품 사례들을 분류하여 추세를 확인하였다. 3) 향후 디지털 치료제의 발전 및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치료제의 지식재산권법적 보호 : 특허법적 보호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상욱(Lee Sangwook),전성태(Jeon Seong-tae)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2

        디지털 치료제란 “의학적 장애 또는 질병을 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근거 기반 치료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치료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VR/AR, 전자의무기록을 포함한 넓은 영역의 다양한 제품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과 관계된 지식재산도 다양하며,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 저작권 등이 고려된다. 그러므로 디지털 치료제 분야가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디지털 치료제 관련 발명 또는 지식재산을 어떻게 보호하여야 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이이 따라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지식재산권법적 보호 현황을 검토하였다. 디지털 치료제의 특성을 감안할 때, 특허법과 저작권법 중 어느 법률이 주도적으로 기술과 콘텐츠가 융합된 새로운 영역을 보호할 것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기능성 콘텐츠를 통해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기기 또는 의약이라는 점에서 기술과 콘텐츠가 융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융합에 있어 콘텐츠를 표현하는 방식보다는 치료기전에 해당하는 기능이 디지털 치료제를 완성하는데 중요하다는 점에서 특허법에 우선 포섭하여 보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를 특허법으로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치료제 특허 판단 기준 명확화 방안과 치료적 기능성을 가진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청구범위 작성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디지털 치료제의 시장 및 경제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디지털 치료제 관련 발명에 대한 특허법상의 보호를 강화하는 방안 마련이 중요한 시점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therapeutics means “providing evidence-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s powered by high-quality software programs to prevent, manage, or treat a medical disorder or disease”. Digital therapeutics encompass a wide range of products including mobile applications, wearables, VR/AR,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refore, the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them is diverse, and patent rights, design rights, trademark rights, and copyrights are considered. Therefore, as the field of digital therapeutics grows rapidly, how to protect inventions or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is a problem.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for digital therapeutic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herapeutics, it is important to decide which law, For example, patent law or copyright law, to choose to protect the new area where technology and content converge. Digital therapeutics can be seen as a fusion of technology and content in that they are medical devices or drugs that treat patients through functional content. However, in the convergence, it is desirable to apply protection by first subscribing to the Patent Act in that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mechanism is more important to complete the digital treatment tha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contents. From this point of view, in order to construct a strategy for protecting digital therapeutics under the patent law,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of clarify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patents for digital therapeutics and a method of supplementing claims for digital content with therapeutic functionalit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is an important time to prepare a plan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digital therapeutics-related inventions under the Patent Act in consideration of the market and economic value of digital therapeutics.

      • KCI등재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권요셉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mentary potential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transactio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are : First, relationships, especially family relationships, form the foundation of life script in transactional analysis and self-narrative Jeong Un-Chae describes narrative as ‘epic’ but here just narrative. in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symptoms of both life script and of self-narrative are generally caused by either too much or not enough repetition behavior and unconscious formation of emotion due to family relationships. Third, the essences of both parent ego and parent-narrative incorporate nurtur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directive nurture and protective nurture. Fourth, the essence of both child ego and child-narrative are adaptiv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free and adaptive. Fifth, therapeutic processes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literary therapeutics are very similar. That is ‘➀ self-distancing from life script and self-narrative ➁ finding elements to be modified, and ➂ creating new possibilities for fresh self-narrative’. Despite of their similaritie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 First, in transactional analysis, a counselor intervenes in the life script of his or her counselee and in literary therapeutics, works of literature and self-narrative are applied by the counselor to the self-narrative of the counselee. Second, adult ego in transactional analysis mediates between parent ego and children ego rationally but in literary therapeutics, there is no concept of an adult ego. ; rather, all narratives in literary therapeutics can be integrated into one ego. Third, according to the mode of human relations, literary therapeu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narrative groups, dividing narrative, pushing narrative, recover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the concepts of pushing narrative or recovering narrative but focuses instead on divid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Fourth, literary therapeutics includes the concepts of choice in man’s and women’s narratives, and the concepts of endurance in the narrative of wives and husbands.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any similar concep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tudy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can influence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the narratives of literary therapeutics can influence transactional analysis. 이 논문은 교류분석과 문학치료학을 비교 연구함으로 문학치료학의 실증성 및 보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두 학문의 상호보완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류분석의 인생각본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와, 교류분석의 세 가지 자아 개념을 문학치료학의 네 가지 서사 개념과, 교류분석의 재결정이론을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와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슷한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의 인생각본도 문학치료학의 저기서사도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특히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생각본도 자기서사도 한정된 인간관계를 통해 습득된 과하거나 부족한 자기만의 행동과 감정이 삶에서 반복되어 증상을 유발하며 이렇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인생의 시나리오 패턴을 스스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셋째, 교류분석의 부모자아와 문학치료학의 부모서사는 모두 양육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이 양육은 지시적 양육과 보호적 양육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넷째, 교류분석의 아이자아와 문학치료학의 자녀서사는 모두 순응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순응하지 않으려는 시나리오와 순응하려는 시나리오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다섯째, 교류분석의 재결정 개념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 개념은 모두 새로운 시나리오를 각각 인생각본과 자기서사에 만들어 가는 것을 치료의 개념으로 삼는다. 재결정과 서사의 길내기 모두 ‘자기 시나리오를 거리두고 보기–문제를 발견하고 수정요소 찾아내기–새로운 시나리오 만들어가기’의 순서를 갖는다. 다른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은 상담자가 직접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개입해야 하는 반면에 문학치료학은 작품서사와 상담자의 자기서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개입한다. 둘째, 교류분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는 어른자아는 부모자아와 아이자아를 균형 있게 조율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자아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른자아의 역할을 하는 개념이 없고 부모, 자녀, 부부, 남녀 서사가 한 자아로 형성되었다고 간주한다. 셋째, 문학치료학에는 인간관계 방식에 따라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 되찾기서사와 감싸기서사가 있다. 교류분석에는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은 있으나, 갈등하는 서사의 개념으로 나타난 밀치기서사와 되찾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다. 넷째,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개념을 규정하는 의미로서 양육과 순응 외에도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도 필요하다고 보고 각각 남녀서사와 부부서사 개념을 사용하지만 교류분석에서는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자아가 따로 없다. 비교한 결과, 두 학문의 유사성을 통해 문학치료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두 학문의 다른 점을 통해서는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보였다. 교류분석이 갖고 있는 존재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문학치료학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문학치료학의 지속과 상담자의 서사에 대한 연구는 교류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Digital Therapeutics: Emerging New Therapy for Neurologic Deficits after Stroke

        Mi Joo Choi,Hana Kim,Hyun-Wook Nah,Dong-Wha Kang 대한뇌졸중학회 2019 Journal of stroke Vol.21 No.3

        Digital therapeutics is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using high-quality software, with the sole purpose of treatment. As many healthcare systems are encountering high demands of quality outcomes, the need for digital therapeutic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clinical field. We conducted review of the implications of digital therapeutics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eficits for stroke patients. The implications of digital therapeutics have been discussed in four domains: cognition, speech and aphasia, motor, and vision. It was evident that different forms of digital therapeutics such as online platforms, virtual reality trainings, and iPad applic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in many trials to test its feasibility in clinical use. Although digital therapeutics may deliver high-quality solutions to healthcare services, the medicalization of digital therapeutics is accompanied with many limitations. Clinically validated digital therapeutics should be developed to prove its efficacy in stroke rehabilitation.

      • 디지털 치료제 현황분석과 디지털 작업치료 발전을 위한 함의

        김영근 ( Kim¸ Young-geu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2

        서론: 본 연구는 디지털 치료제가 도래한 사회에 작업치료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정책 방향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디지털 치료제의 목적, 중재 원리, 대상군을 제시하고, 둘째, 디지털 치료제와 작업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셋째, 디지털 작업치료의 발전을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론: 디지털 치료제는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로 환자의 질병과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며 관리하는 것이 목적으로 작업치료의 중재접근방법과 유사하다. 디지털 치료제의 중재 원리는 인지행동치료, 신경 재활, 복약관리 및 조정, 습관훈련으로 작업치료 이론의 틀과 관련 있다. 디지털 치료제 대상 환자 역시 정신사회 질환자와 신경계 질환 등 작업치료 주요 환자군과 유사하다. 작업치료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치료제인 전산화 인지재활 시스템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결론: 디지털 치료제는 21세기 미래 보건·의료산업을 이끌고 갈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작업치료는 변화를 수용하고 능동적인 태도로 대응하는 것이 변화하는 시대에 생존과 더불어 선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치료제 시대와 더불어 디지털 작업치료의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현명한 정책적 방향이라 판단한다. Introduc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olicy direction for a preemptive action to occupational therapy in a society where digital therapeutics has arriv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ly to present the purpose, intervention principle, and target group of digital therapeutics, seco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herapeutics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third, to sugges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occupational therapy. Body: Digital therapeutics are high-quality software, similar to the interventional approach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the goal of preventing, treating, and managing patients’ diseases and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inciple of digital therapeutics i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neurorehabilitation, medication management and adjustment, and habit training, which are related to the framework of occupational therapy frames of reference. The patients subject to digital therapeutics are also similar to the main patient groups of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psychosocial disorders and neurological diseases. The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which is a digital therapeutics used in occupational therapy sites, needs to be developed by fusion with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cloud. Conclusion: Digital therapeutics is a new paradigm that will lead the future health and medic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Occupational therapy believes that accepting change and responding with an active attitude can lead to development along with survival in a changing era. It is judged that it is a wise policy direction to prepare for the era of digital occupational therapy along with the era of digital therapeutics.

      • KCI등재

        치매 관리를 위한 디지털치료기기 국가 연구 개발 현황

        윤의열(Ui Yeol Yoon),김유신(Yushin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2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4 No.1

        Backgroud: Dementia management is driving interest in digital therapeutics. Advanced countries have recently implemente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to enhance the launch of the digital therapeutics market; however, the R&D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s in Korea still needs to be discover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D status of digital therapeutics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considered the direction of related national projec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R&D projects for dementia-related digital therapeutics from 2010 to 2022. Results: Among the 34 projects corresponding to the study criteria,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was the most active, with 28 projects and an investment of 23.7 billion KRW. The most used keywords were Cognition, “System”, “Diagnosis”, “Data”, “Treatment”, “Preven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valuation”, “Platform”, “Brain”, “Content”, “Early”, “Arbitration”, “Virtual reality”, and “Daily life”. The national R&D projects focused on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oul emerged as the most common location, with most participating researchers being male engineers holding a bachelor’s degree.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R&D in digital therapeutics for patients with dementia in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le digital therapeutics show potential as a viable solution for dementia management, challenges such as establishing clear indications for digital therapeutics and addressing the shortage of specialized personnel still remain.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and workforce development are necessary.

      • KCI등재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상담적 개입의 치료 효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을 비교하는 데 있다. 이 비교를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곧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의 비교를 시도하는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춰 이뤄진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 사이의 비교가 가능한 것은 이 두 이론이 모두 인류의 역사를 통해 남겨진 고전과, 신화, 민담과 설화와 같은 문학작품을 치료적 자원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데 있다. 많은 세대에 걸쳐 읽혀진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은 인간 삶에 대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기에 인간 마음에 치료적인 기능을 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방식에 의해 그런 치료적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는가? 문학작품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비교적 상세하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상담적 개입이 갖는 치료적 효과와 연결지어 설명할 수 있다. 이런 비교작업을 통해, 본 연구는 상담적 개입이 마음의 문제에 치료와 회복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가 내적 경험 세계의 반영과 상담에서의 새로운 요소의 도입에 의한 그것의 변화와 창조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먼저, 본 연구는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이 가정하는 인간 내적인 심층세계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이 두 이론은 인간의 정신병리와 심리문제의 기저에 인간의 행동과 사고, 느낌과 감정에 강력하게 영향끼치는 심층세계의 문제가 존재하며, 그것을 다룰 수 있어야 보다 근본적인 치료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는 각각 그 심층세계를 집단무의식과 서사라는 개념으로 묘사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집단무의식은 인류의 태생적이고 유전적인 인류 보편적 원형으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반면, 문학치료는 그 심층세계가 다양한 인간관계의 양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 서사로 구조화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분석심리학과 문학치료 이론은 문학작품이 바로 이런 인간 내적 세계에 자리잡고 있는 심층세계의 단면들을 보여주고 드러낸다.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집단무의식의 원형은 개인내적경험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인류 고전과 같은 문학작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될 수 있다. 문학작품 속 이야기를 통해 사람은 자신의 내적 세계에서 소외되었던 마음의 영역을 통합시킬 수 있다. 문학치료는 문학작품 속 작품서사는 읽는 독자의 자기서사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변화와 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문학치료는 공명이란 개념으로 체계화시켰다. 이 두 이론의 비교를 통해, 문학작품이 읽는 독자의 내적 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의 지침과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문학작품의 이야기는 독자들의 삶을 공감하고 반영하여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한다. 하지만, 이에게 한걸음 더 나아가 문학작품은 읽는 독자들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삶과 인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지혜와 통찰을 담고 있다. 곧, 비교심리학과 문학치료는 문학작품과 인간의 내적 세계의 이야기 사이의 유사성을 통한 반영의 경험, 그리고 문학작품의 새로운 요소에 의한 심층세계의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경험이 치료적 효과를 설명한 두 차원임을 보여준다. 상담의 치료적 성격 또한 이런 공감과 모델링에 의한 것임을 본 연구는 주장하며, 이를 자기심리학에서는 거울, 쌍둥이, 그리고 이상화 자기대상 개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by comparing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This comparison is possible is because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both make frequent use of classic works of literature, myth, and folktale as therapeutic resources. One can easily surmise that those stories play a therapeutic role because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into human lives. Then, how can the stories work as therapeutic materials?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concretely explai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ose works of literature whose discussion helps to unravel clues on how the therapy cures psychological problems. This study shows that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comes from mirroring the world of inner experiences and introducing a new dimension in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assumptions about analytic psychology and literary therapeutics regarding the in-depth human inner world. Both see the in-depth inner world as a place that not only powerfully influences pathological behaviors, thoughts, and emotions but should also be dealt with in therapeutic settings to reach the fundamental cure. Both conceptualize the inner world as collective unconscious and epic. Analytic psychology understands the collective unconscious as an intrapsychic realm composed of hereditary, genetic, and universal archetypes. Literary therapeutics asserts that the inner world is made up of epics representing various human relationships. Both similarly understand that works of literature contain the hidden and unknown aspects of the human mind, and that is why they induce growth and maturation of human minds. Therefore, works of literature not only reflect the inner worlds of readers but also provide a better way of life. They make it possible for readers to experience catharsis by echoing the readers internal dimensions. However, they contain wisdom and insight used for improving human relationships. The stories contained within the literature create an in-depth human inner world as well as mirror the readers’ daily liv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This article explain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herapy by introducing concepts of self psychology; in other words, mirroring, idealizing, and the twinship selfobjects.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 이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나지영 ( Na Ji 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0 No.-

        문학치료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문학치료 이론연구의 흐름을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적인 개념들과 방법론이 어떠한 논의과정 속에서 그 체계를 구축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인 `서사`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서사이론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고, 3절에서는 문학치료의 방법론이 어떻게 체계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이 치료적인 기능을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서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문학치료 이론의 핵심은 `서사`이다. 그런데 문학치료에서 사용하는 `서사`라는 용어는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을 갖고 있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에서 말하는 서사는 작품 그 자체가 아니다. 마치 `배경설화`처럼, 작품보다도 먼저 만들어져서, 작품을 존재하게 해주는 것이다. 문학치료에서는 작품이 만들어진 배경과 전후맥락을 이해하게 해주는 것의 실체가 `서사`라고 본다. 문학치료학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도 문학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인간과 작품 모두 서사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본다. 문학치료 서사이론은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더 이상 우리의 문제를 `심리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고 `서사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문학치료는 인간은 문학에 의해 통제되는 존재라는 전제하에 문학을 통해 영향을 주어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학치료학을 `문학을 통한 치료`가 아니라, `문학을 문학으로써 치료`하려는 학문으로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Understanding the stream of the theoretical study in literary therapeutics is very important for practicing literary therapy properly.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ssential concept of literary therapeutic theory. In the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reason literature has therapeutical ability is that literature has `epic`. `Epic` is the core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meaning of the term `epic` is different from `narrative`. It has its unique meaning. When `epic` is used as term of literary therapeutics, it is not like `literary work` itself. `Epic` is not on the text, nor shown on the surface. It has to be analyzed through the text. `Epic` is like `background tale`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text. It provides us the logical connection or the context, so we can understand literature coherently.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literary therapeutics is that human are treated as literature. Literary therapeutics has furnished the perspective that human and literary work are samely organized by epic. That`s why both are dealt as literature. Therefore, Literary therapeutics is not `curing the human`s problem by literature`, but `curing the literature by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나주연 ( Na Joo-ye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1 No.-

        본고는,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점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통적 치료학은 검증된 이론적 기반과 임상경험을 갖고 있고, 새로운 치료학은 현재적 감각과 실재에 맞는다는 점에서 각각 장점이 있다. 하여 둘의 장단점을 점검, 상호 보완하여 우리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수 있다. 먼저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의 인간관계론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이 공통적으로 인간관계 중심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했는데, 사주학은 남녀의 차가 있었고, 부모와 나의 관계를 어머니와 아버지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며, 나와 형제와의 관계도 나와 부모와의 관계에 예속시키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의 처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처방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사주학은 많은 부분, 문제가 되는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관계의 회복을 위한 적극적 강구는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인차를 인정하는 등, 문학치료학이 본받을 만한 점도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운명론적 접근이냐 개척론적 접근이냐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사주학과 문학치료학은 이론과 실재에 있어 상호보완하여 치료학으로서 각각 더욱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places its purpose in searching the points of mutual supplementation between the study of Saju and literary therapeutics. Since traditional therapeutics has a verified theoretical foundation along with clinical experiences and new therapeutics are suited to contemporary sensibilities and realities, both have their own respective advantages. Therefore, by checking and mutually supplementing the disadvantages and advantages of both, they can contribute to our healthy lives. First, the human relationships of the study of Saju and literary therapeu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we came to know that the study of Saju and literary therapeutics were both commonly centered on human relation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everal parts: in the study of Saju, there were distinctions between men and women, and it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one`s parents by dividing it into mother and father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one`s siblings was not includ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one`s parents. Next, the prescription methods for the study of Saju and literary therapeu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prescription; regarding human relations which become problematic, the study of Saju, in many areas, seems not to seek an aggressive contrivance for the recovery of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as also an aspect which was worth literary therapeutics learning from such as the acknowledg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 Such discrepancies seem to show up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fatalistic approach or a frontier approach. The study of Saju and literary therapeutics will be able to improve even more respectively as therapeutics by mutually supplementing each other in theory and reality.

      • KCI등재

        문학치료의 `사회서사` 시론

        손석춘 ( Shon Seok-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발전과 사회적 소통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제안들에 공통적으로 비어있으면서도 각각의 제안들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지평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 다름 아닌 사회적 지평이다. 그 사회적 지평을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의 기초서사 이론을 보완할 수 있는 `사회서사`로 개념화하고 이론적 모색을 시도했다. 사회서사 개념은 문학치료의 핵심개념인 자기서사나 작품서사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기초서사의 중심인 `인간관계`에서 그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사회적 인간의 인간관계`를 다루자는 제안이다. 사회서사는 `(사회적)인간이 사회와 맺는 관계의 형성과 위기와 회복에 관한 이야기`다. 사회서사는 우리 내면에 깃들어서 삶을 운영하고 작품의 심층을 지배한다. 인생과 작품의 심층에 있는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탐색할때 기초서사와 함께 사회서사를 논의하거나 진단한다면 문학치료학이 더 풍부해질 수 있다. 자기서사와 작품서사 모두 기초서사와 사회서사를 지니고 있어서다. 그 점에서 사회서사는 문학치료학 이론의 수정이 아니라 이론적 추가이다. 인간도 문학도 사회적이라면, 그 인간과 작품의 심층에 있는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도 사회적이다. 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개개인이 사회적 삶을 운영하는 심층서사는 지금의 사회 질서, 곧 객체적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와 주체적 의지에 따라 적응, 순응, 관조, 실천 네 가지 관계로 나눠진다. 각각의 서사에는 탐학, 굴종, 방관, 독선의 부정태가 나타날 수 있기에 치료가 필요하다. 인간이 사회와 맺는 병리적 관계를 치료해나간다면 문학의 가치는 더 높아지리라고 기대한다 This essay presents a new approach to academic development and social communication of literary therapeutics. Literary therapeutics is meaningful achievements in the short ter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ry therapeutics requires social dimension. In this paper, the social dimension was conceptualized as `Social Epic` and based on this concept a new theory on literary therapeutics was added. The core of the Epic is human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Social Epic presupposes a framework of Self-Epic as the key ideas of literary therapeutics. Social Epic focuses on the fact that humans are social beings. In short, this proposal deals with human relationships as social beings. This means suggesting complements rather than making modifications to the Epic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concept of Social Epic is clear. it is the story of formation, crisis, recovery of human and social relations. Social Epic operates in a deep dimension of human life and dominates the depth of literary works. By analyzing the Social Epic to navigate the deep dimension of life and literature, literary therapeutics may be more abundant. The Epic that individuals lead a social life on a deeper level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se are further characterized by two main criteria for category distinction. One is the perception of reality as an object of social order and the other is subjective will. The four categories are adaptation, compliance, contemplation, and practice. Social Epic of the four categories has negative aspects such as greed and servility, neglect, and self-righteousness. To treat this negative aspects, literary therapeutics is required. When treating a pat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society, literary therapeutics and literature is more valu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