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申遺腹傳>의 설화 수용 양상과 영웅소설사적 의의 : The acceptant shape of legendary and the hero novel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nyoubokjeon>

        곽정식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신유복전>은 설화 모티프가 작품의 구성 요소로 수용되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작품 전체를 이루는 바, 그 내적 기능은 삽화적 기능을 지니는 경우와 작품 전편의 플롯을 주도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신유복전>은 주인공이 비범한 능력을 지닌 채 시련을 겪다가 뒤에 영달하는 이야기로 初窮晩達 모티프가 작품 전편의 플롯을 주도하는, 구조 원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는데, 이는 영웅소설이 고대의 민간전승을 작품화한 데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작품의 전반부는 知人之鑑, 婚事障碍 모티프를 수용하여 삽화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인물이 겪는 시련과 비범성을 두 축으로 서사가 진행되고, 비범한 인물이 시련을 겪고 뒤에 영달하는 것을 주제적 의미로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의미지향과 구조적 측면에서 영웅소설과 표리관계, 상동관계에 놓여있다고 하겠는데, 이 같은 원리에 따라 이들 모티프를 수용하여 작품 전반부의 삽화를 구성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신유복전>이 지인지감, 혼사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문헌 및 구비설화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게 된 까닭은 조선 후기 귀족적 영웅소설이 현실문제에 크게 관심을 기울인 결과로서, 가공의 인물을 내세워 이상적인 욕망성취에 관심을 가지는 한편, 현실문제와 관련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웅소설사에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ceptant shape of legendary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hinyoubokjeon>. First, I inspected the acceptant shape of legendary on <Shinyoubokjeon> by dividing the functions of legendary’s motives into an episodical function and plot-leading function. A chogungmandal motive is leading the plot of the work and it has a strict relationship with the existence of hero story that has been realized by accepting the ancient legendary. The other side, <Shinyoubokjeon> is completed by positive acceptance zijinzigam and honsazangae motives in composing the episode in the first half of the whole work and two motives a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legendary. As well as I inspected the principle or the theory of accepting the legendary in the work. Zijinzigam and honsazangae motives are based on the trials and unusual ability of a person. In addition they had been utilized commonly to describe the characters who are early bitter trials and late advancement. Therefore they have a similarity in the meaning-inclinati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Lastly, acceptance of legendary on the work means deep concern in the actual matters of aristocratic hero novel and in this point <Shinyoubokjeon> has a definite significance in the hero novel history.

      • KCI등재

        저승설화의 전승 양상과 현실주의적 성격

        곽정식(Kwak Jung-sik)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spect of transmission and the realistic character of the Underworld Legendary. I epitomize the subject matters which discussed in the upper parts as following. First, concerning the aspect of transmission in the Underworld Legendary, the story of moral was appeared in reflection moral demands which means a judgement of virtue and vice during one’s lifetime. The hell and heaven which are described in the Underworld Legendary contributed to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an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t assumed a different aspect gradually as that a dead person accumulated virtuous deeds by borrowing property of other people’s storehouse in the Underworld. The story of life-lengthen is that a person born a short life lengthens oneself lifetime actively. and it takes high specific gravity in the Underworld Legendary, 〈Dongbangsag〉 story is regarded as a typical one in the story of life-lengthen. The story of the Underworld officials is that a person of this world after death is becamed a Underworld official. However the story of the Underworld officials displayed a various changes according as the a dead person’s rebirth by mistake of Underworld messenger is transfigurated towad promotion the interest. Last, the story of joking is appeared in the later ages. it is mostly untrustworthy joking. but it has wit and tact, or criticizes absurdity, fault, and lack of enlightenment of person or society. So l think that the story of joking is formed in the later ages concerning the secularization of society in the whole. In the mean time, the Underworld is called the Underworld vaguely as it is in the Underworld Legendary. But in such a case of explanation or description, it appeared as extremely human and actuality-experiential shape. so we cannot distinguish between the Underworld and the human society. also in the subjective meaning the Underworld Legendary heading toward the human society of this world, configurating general human needs of macrobiosis and showing that it cannot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Underworld officials and the human of this world, it exhibits the realistic character or attitude obviously. moreover the story of joking shows the realistic character or attitude because of the innuendo’s purpose and the target.

      • KCI등재

        깨어지는 꿈, 선유(仙遊)의 환상 - 조선후기유선시(朝鮮後期遊仙詩)의 성격 변화와 관련하여 -

        윤재환 ( Yoon Jae-hwan )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51 No.-

        우리나라의 유선시는 고려시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일부 작자들에 의해 간헐적으로 창작되다가 조선 중기인 16~7세기 무렵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 시기 유선시의 창작이 활성화된 이유로 정치적 혼란과 전란이라는 외적 요인과 그에 따른 작자 계층의 의식 변화, 학당풍의 진작과 도교에 대한 관심의 증폭, 서인의 몰락 등이 거론된다. 그런데 조선 후기 특히 18세기 이후로 오면서 한시 속의 신선세계는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전 시기까지 유지되어 왔던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이상세계에서 점차 世俗化되는 모습을 보인다. 조선 후기의 한시에서도 이전 시기와 같은 유형의 유선시를 볼 수 있지만, 이전과 다른 모습을 지니는 작품들을 상당수 찾을 수 있다. 이런 변화의 원인을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조선 후기의 유선시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분명 이전 시기까지와는 다른 모습이다. 조선 후기 새로운 유형의 유선시가 등장하게 된 이유를 당풍과 도교에 대한 관심의 쇠퇴와 산문의 대두,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로 보기도 하지만 이렇게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당풍과 도교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았던 인물들에게서 이전 시기와 같은 유형의 유선시를 찾을 수 있고, 조선 후기 당대 새롭게 대두된 산문에서도 선계에 대한 동경과 비판이라는 상반된 의식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는 유선시 뿐만 아니라 모든 문학 양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 유선시의 성격 변화는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규정할 경우 새로운 유형의 유선시는 작자 개개인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시대정신과 문학사조에 작가의식이 영향 받을 수는 있지만, 반드시 시대정신이나 문학사조와 작가의식이 함께 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작가의식의 형성에 시대정신이나 문학사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학사조가 대두된 조선 후기의 유선시는 이전과 다른 양상을 지닐 가능성이 적지 않다. 조선 후기에 등장한 실질적이고 이성적인 현실 중심의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학사조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과 낭만에 가득한 신선의 세계를 현실세계로 끌어내렸다. 이와 같은 변화는 시대의 추세로 볼 때 타당하고 또 당연한 것이지만 작자와 함께 독자들이 문학 특히 시를 통해 잠시라도 현실을 벗어나 환상의 세계를 거닐 수 있는 방법의 하나를 없애 버렸다는 점에서 아쉬움 역시 적지 않다.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of Korea was created intermittently by some authors from the 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t was in its heyda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mid-Joseon., The reasons for the activation of the creation of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during this period are the external factors of political confusion and war,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author class,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a tendency to learn poetry of poetry of Tang style and Taoism, and the fall of the western man. However,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 the Chinese poetry gradually changes as it com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since the 18th century.,It shows a gradual change in the romantic and fantastic ideal world that has been maintained until the previous period.,In the late Joseon period, we can see the same type of wire poetry as before, however, we can find a lot of works that have different shapes from before.,It is difficult to assert the cause of this change. however, the appearance seen in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reason why the new type of wire poetry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seen as the decline of interest in Tang Dynasty`s Poetry Trend and Taoism, the rise of prose, and the change of the spirit of the times, literary trend, and writer's consciousness, but it is difficult to assert like this., It is because the characters who did not pay attention to Tang style and Taoism can find the same type of wire poetry as before, and the contradictory consciousness of longing and criticism of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in the prose newly emerg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nge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duces the change of all literary styles as well as the wire poetry. However, despite such problems, the change in the poem`s character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due to the change i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trend, and the artist's consciousness.,It is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can be influenced b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s, but not necessarily the spirit of the times, literary trends and writers' consciousness.,However, in the sense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tre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artist's consciousne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et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ere the new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s emerged, will have a different aspect from before. The new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 of the real and rational reality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rought down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full of emotion and romance to the real world based on scientific and logical analysis. Such a change is reasonable and natural in view of the trend of the times, but it is also regrettable that readers have removed one of how they can walk away from reality for a while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poetry.

      • KCI등재

        夢遊錄과 唐 傳奇의 비교연구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김옥란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2 No.-

        환몽구조의 당 전기소설과 朝鮮朝의 夢遊錄은 모두 꿈 모티프로 현실생활 가운데서 인간관계와 사회모순, 그리고 사대부들의 의식형태를 반영하고 있다. 조선조의 몽유록은 작가의식이나 유·불·도사상과 서사적 구조면에서 모두 당 전기소설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다. 조선조 사대부들의 의식이나 그들의 작품에서 유교사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佛·道경향은 당 전기소설보다 미약하다. 당 전기소설에서는 儒·佛·道사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것은 그때의 사회상황과도 연관되어 있다. 몽유록과 당 전기소설은 특히 서사적 구조면에서 相似点도 많지만 相異点도 적지 않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환몽구조의 당 전기소설과 朝鮮朝의 夢遊錄은 작품의 도입부와 결말부에서 史傳式을 도입한 점이 상당히 비슷하다. 당나라 때는 詩와 史가 正統文學이었기 때문에 傳奇小說도 史傳式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조선조 사대부들은 虛構를 지극히 싫어했으나 史傳式은 그들의 口味에 맞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적극 취용하여 몽유록을 창작했을 것이다. 사건전개과정에서 相似點도 많지만 相異點도 적지 않다. 그 중 相異點을 예를 들면 몽유록은 입몽, 시연, 토론, 각몽의 고정된 액자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리가 당 전기소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평면적이지만 당 전기소설은 비교적 복잡하고 굴곡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두 민족의 관습과도 연관되어 있다. 본고에서 申光漢의<安憑夢遊錄>, 沈義의 <大觀齊夢遊錄>과 李公佐의 <南柯太守記>, 沈旣濟의 <枕中記> 이 네 작품으로 비교연구를 하였다. 주로 縱·橫의 비교방법으로 구체적인 작가, 작품, 시대배경에 천착하여 비교하였다. legendary novel in Tang period and the story of wandering in dreams(夢遊錄) in Joseon period both use a dream as their motif, through which they reflect human relations, social conflicts, as well as the official ideology of real life. In the aspects of writers’ thought, the style of making us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narrative structure the story of wandering in dreams(夢遊錄) in Joseon period has gotten a big affection from Tang’s legendary novel. Through the Joseon period Confucianism has been the mainstream ideology inthe consciousness of literati and their works. But in case of legendary novel through Tang period the affection from Buddhism was stronger than the one from Confuci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have mixed in Tang period’s legendary novel. And this point just is the characteristic of Tang period’s legendary novel. It was also associated with that temporal social phenomenon There are many similarities on the aspect of the narrative structure between the legendary novel in Tang period and the story of wandering in dreams(夢遊錄) in Joseon period, but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This point is worthy of paying some attention. And the two literature forms both used the form of historic biography in the development and results of the story. During the Tang period the poem and historic biography has been the Orthodox literature, so legendary novel used the form of historic biography. And the literati in Joseon did not have friendly feelings toward fictional things. But the form of historic biography suited their taste, so they adopted the form of historic biography to write works very actively. In the process where the incident starts and develops there can be detectde so muc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Give an example that is from differences. Fromentering into dream, conviviality, discussion to waking from dreamthe story of wandering in dreams(夢遊錄) in Joseon period has its fixed format. But in these parts the story of wandering in dreams(夢遊錄) in Joseonperiod is relatively simpler than the legendary novel in Tang period. Tang period’s legendary novel is more complicated and its plot is also more flexuous. It also got the two kinds of customs together. This research report has researched 申光漢’s <安憑夢遊錄>, 沈義’s <大觀齊夢遊錄>, 李公佐’s <南柯太守記> and 沈旣濟’s <枕中記> four works with a comparative method. The mailn comparative method is that making some specific comparative study on the author, work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전설 자료집의 간행과 전설 범주의 설정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4

        This paper examines the collection of Joseon legend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analysis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endary categories and category settings applied to the Legendary collection. First of all, the name and terminology of legend a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name legend has been used in Joseon society for a long time,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used close to the legend in the classification of tales today. However, considering the series of situations identifi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did not seem to lead to the modern Korean academic system. In 1913, Chosun Government-General published a report entitled “Legendary Fairy Tale Survey” by examining legends and fairy tales across Korea. Old stories are collect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 collection of materials is named "Legend", and the category of Joseon legend is very limited. Since then, more than 10 books on Joseon legends have been published. And the legendary category established by Chosun Government-General spreads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process, the perspective of recognizing Joseon mythology as a category of legend is also understood. These points are noted in connection with the legendary book published by the Koreans and the future of the legend that will walk the path of popularization.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및 일본인이 발간한 조선전설 자료집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들 자료집에 적용된 전설의 규정과 범주는 무엇이며, 그 범주 설정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설이라는 명칭과 용어의 용례를 일제강점기 이전의 문헌, 일제강점기의 잡지, 신문 등을 대상으로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설이라는 명칭은 이전부터 조선 사회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 학문적 설화 분류상의 전설에 근접하여 사용된 점도 확인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자료에서 파악되는 일련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전설에 대한 우리의 자생적 인식이 근대 한국의 학문 체계로 이어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1913년에 조선총독부는 조선 전국을 대상으로 전설과 동화를 조사하여 『전설동화조사사항』이라는 자료조사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를 계기로 일본인들에 의해 ‘조선전설’이 본격적으로 포착되기 시작되고, 아울러 전설을 모아 놓은 자료집의 서명(書名)에 전설이라는 명칭이 널리 부여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조선전설에 대한 범주는 조선총독부의 조선 식민통치 정책에 따라 몇몇 작품 및 내용들만 포함하는 등 매우 제한적으로 정립된다. 이후 일본인에 의한 조선전설 자료집이 10여 권 이상 발간되면서 조선총독부가 정립해 놓은 전설 규정과 범주에 대한 인식은 일제강점기 내내 조선 사회에서 지속·확산된다. 그 과정에서 조선신화를 조선전설의 범주로 인식하려고 한 특징도 면면히 계승된다. 일제강점기에서의 이러한 전설 규정과 범주에 대한 인식은 해방 전후 조선인이 발간한 조선전설 자료집이나 1960년대 이후 방송 매체를 통한 전설의 대중화 등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한 체계적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가능세계의 양상 논리 시스템을 활용한 전설 서사 분석 모델 연구

        오세정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71

        This study develops a new analysis methodology for legendary narratives based on the possible world theory. As part of this, it develops a narrative analysis model. Unlike “traditional narratology,” possible world theory enables new and diverse approaches related to narrative by establishing various worlds created through stories, and it allows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hypotheses and theories. Particularly, it provides a methodology for a new understanding of narratives that are difficult to establish in literature or history, such as legendary narratives. Legends are often regarded as fictional narratives that have a certain degree of historicity with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and evidence but are differentiated from history. However, according to White, history is also a fictional narrative that creates a specific world by constructing a plot and indicates a specific ideology or meaning. Finally, historical narratives are simply narratives related to the history of actual events, whereas legendary narratives are non-historical narratives about a world believed to have existed. B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f mimesis and assuming various possible worlds, we can plan a new methodology for narrative research by examining the worlds presented by narratives. In this discussion, a model for analyzing legend narratives was presented using Doležel's modal logic system. The alethic, deontic, axiological, and epistemic plots were established as segmented units and analysis items that operate in the story world. The modes of each stage of the narrative were analyzed and connected to create meaning in the form of a single sentence. This analysis model was applied to Song Si-yeol legends handed down in the Goesan region to analyze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the narrative text and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By applying the secondary narrative analysis model using a modal logic system,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semantics of the story world within a systematic framework, rather than simply finding the primary indicative meaning or subjective and abstract commentary of the legendary narratives.

      • KCI등재

        구미호에 대한 다층적 상상력과 문화혼종

        이명현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formation, expansion, and new derivation process of imagination about the “specificity” and “difference” of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through the quotes, re-quotes, and counterarguments of her old stories. Imagination about a special fox expands in a way of adding unrealistic divinity to her, deriving from i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objects. Her specificity is revealed through holiness and devilishness, mixture of holiness and devilishness, ambivalent nature of the same be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religion, confrontation, or combination. As more elements are added to them including people’s awareness of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social contexts, counterargument to the old stories, and hybrid with a new cultural phenomenon, imagination about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develops in various ways. The specificity of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works as the source of divinity to transcend experiences in reality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cause of “difference” to define her as something different from human beings. When there is a focus on her “difference,” people get to emphasize differences between realistic experiences and everyday beings and define her as a monster outside the boundary. New stories, however, emerge to deconstruct the hierarchy between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 and refuse to accept the boundary between them as counterarguments to the dichotomous perceptions of “subject and object” and “man and monster.” Such derivations, expansions, and counterarguments present the construction and creation process of new imagination and narratives as heterogeneous things are connected together and systematized with the resulting systems forming complex relations each other. The present study led these discussions to escape from the old approach to figure out the creation or transformation process of a legendary fox with nine tails with diachronic logic and see her as a rhizome that has divided irregularly with no center rather than a single homogeneous entity. 이 글에서는 구미호의 ‘특별함’과 ‘다름’에 대한 상상력이 형성되고 확장되면서 새롭게 파생되는 과정을 기존 이야기에 대한 인용, 재인용, 반론으로 분석하였 다. 특별한 여우에 대한 상상은 비현실적인 신이성(神異性)을 첨가하는 방식으 로 확장되면서 대상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파생된다. 신성과 마 성, 신성과 마성의 혼재, 동일한 존재의 양면적 성격, 종교와 대립 혹은 습합을 통한 변형 등의 방식으로 특별함이 나타난다. 여기에 인간의 구미호에 대한 인 식, 사회적 맥락, 이전 이야기에 대한 반론과 새로운 문화 현상과의 혼종 등에 의해 구미호에 대한 상상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펼쳐진다. 구미호의 특별함은 현실 경험을 초월한 신이함으로 작동함과 동시에 인간과 다른 존재로 규정하는 ‘다름’의 원인이 된다. 구미호의 ‘다름’에 주목하면 현실적 경험과 일상적 존재와의 차이를 강조하고, 경계 밖의 요괴로 구미호를 규정하게 된다. 그러나 ‘주체와 타자’, ‘인간과 요괴’의 이분법적 인식에 대한 반론으로 인 간과 비인간 사이에 위계를 해체하고 경계를 거부하는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파생, 확장, 반론은 이질적인 것들이 접속하여 새롭게 계열화되고 계열들 이 복잡하게 관련 맺으면서 새로운 상상력과 서사가 구성⋅창조되는 과정이다. 이상의 논의는 기존에 구미호의 형성, 혹은 변모과정을 통시적 논리로 파악하 려던 것에서 벗어나서, 구미호를 동질적인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중심 없이 불 규칙하게 분열된 뿌리줄기(Rhizome) 같은 것으로 보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양산 지역 구비문학의 전승양상과 지역적 특성

        김구한(Kim, Gu-ha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0 民俗硏究 Vol.0 No.20

        이 글은 경남 동부지역에 해당하는 양산시의 구비문학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살펴본 글이다. 양산은 70년대 이후 산업화로 공동체 문화가 급격하게 와해된 지역이다. ‘전통문화’와 ‘산업문화’가 충돌하면서 빠르게 ‘산업문화’가 중심을 잡은 도시이기도 하다. 산업화로 인해 구비문학적 자산이 어떻게 변모했는지, 또 어떻게 향유되고 있는지를 파악 하는 것은 지역학은 물론이거니와 구비문학의 전국적 상황을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먼저, 설화에 나타난 지역적 특성은 인물설화, 사찰연기설화, 지명설화 등이 대표적이다. 인물설화나 사찰연기설화, 지명설화의 대부분은 원효대사와 관련되어 있다. 그 내용은 원효대사의 신이함이나 영험함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민중들이 자신들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구복신앙적 요소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통도사를 창건한 인물이 자장율사임에도 이 지역에서는 원효대사라고 굳게 믿고 있다. 또한 원효대사가 죽지 않았다는 것은 설화의 전승자들이 그의 초월적 영험함을 지속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지역 민중들은 원효의 신통한 능력에 대해서 절대적 경외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찰연기설화중 신물(금송아지)이 나와서 통도사가 창건되었다는 것은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 통도사 창건 설화와는 다른 유형이다. 신물은 설화에서 정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음으로 임진왜란과 관련된 인물설화들이다. 양산은 부산과 지리적으로 가까웠기 때문에 임진왜란의 피해를 많이 본 고장이기도 하다. ‘농부’를 ‘장군’으로 격상시켜 영웅의 출현으로 전란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민중들의 의지가 강하게 드러나 있다. 전란의 고통 속에서도 왜적을 물리치고자 하는 민중들의 소망과 죄절을 동시에 드러내는 설화들이 주를 이룬다. 지명설화 중 특징적인 것은 용신설화다. 양산지역은 대부분 내륙지방인데 원동면만 낙동강을 끼고 있어 용신사상을 드러내는 용과 용궁에 관한 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역에서 용의 상징적 의미는 민중들이 자신의 삶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현실인식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양산지역 민요 중에서는 농산노동요가 가장 많이 불리고 있다. 양산지방에서 가창되고 있는 농산노동요 가운데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모심기소리〉를 들 수 있다. 양산지역의 농산노동요들은 농업 방식의 현대화와 더불어 농사짓는 현장에서는 거의 듣기 어려운 노래가 되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 웅상농청장원놀이는 〈보리타작〉에서 〈모심기〉와 〈논매기〉까지의 모든 농사 진행과정에서 불려지는 농산노동요를 종합하여 연희 형태화한 대표적인 놀이다. 양산지역은 양산만이 가지고 있는 독립된 구비문학의 형성은 미흡한 반면, 다른 지역과 유사한 구비전승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나마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그 어떤 곳보다도 빠르게 구비문학의 전승현장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ral literature of Yangsan City located in the eastern Gyeongsangnam-do. Yangsan is the region where community culture has been rapidly collapsing owing to industralization since 1970s. In Yangsan traditional culture clashes with industrialist culture but the latter has won.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changes have gone in oral literature resources and how they have been maintained. In so doing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literature of the region and the nation as well. Legendary narratives of Yangsan are represented by narratives related to persons, to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s, and to place names. Most of these narrative legends ate connected with the Great Master of Wonhyo depicted as having a supernatural or magical power. This is also a good example that the public take Wonhyo for their religious icon and for wishes of making their dream come true. It was Jajang the Great Teacher of Buddhist Precepts who established Tongdo Temple but locals have a firm conviction that it was Wonhyo. Wonhyo is described immortal in narratives for locals want to continue Wonhyo’s role of a legendary hem. In short this reveals that locals have a great awe and respect of Wonhyo’s transcendental and supernatural power. Among legendary narratives related to establishing temples, there is a magical object, a golden calf that built Tongdo Temple and this legend is different from ocher legendary of establishing the temple. The magical object is an essential element in securing legitimacy in the narrative legend. Narratives of persons are mainly related to the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Yangsan is located close to Busan, Yangsan was more war batted than any other regions in Korea. A ‘farmer’ is depicted as a hero ‘General’ to express hopes of the public for diminishing the sufferings of the war. As such most of the narratives portray locals’ wishes and frustrations involved in defeating Japanese soldiers. Of legendary narratives related to place names, a ‘dragon god’ legend is prevailing. The region Yangsan is mostly inland areas except Wondong-myeon which lies along the Nakdong Rivet. Tales about a dragon and a dragon palace ate handed down expressing locals’ aggressive approaches to solving everyday problems. Among folk songs of Yangsan, agricultural work songs ate most sung. In particular the songs accompanied with rice planting are mostly sung in the region, which ate hardly heard these days in handed down sites such as rice paddies because agriculture has become modernized ‘Ungsang Nongcheongjangwon Nori’ however should be given a special attention as it is a representative of work songs in a form of play that is comprised of all the songs sung in the process of rice fanning from ‘barley threshing’, ‘rice planting’ to ‘weeding a rice paddy’. In conclusion, although the Yangsan area preserve sufficient of orally transmissional traditional culture similar to that of other regions, it is lack of forming its own unique oral literature. It is regretable that the handed down is disappearing at an alarming rate in the course of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 KCI등재

        몽골 교환창 민요 ‘숨야 노용’과한국 가면극 ‘노장 과장’에 대한 비교연구

        노로브냠 한국몽골학회 2023 몽골학 Vol.- No.72

        In traditional Mongolian dramatized folk song are called “legendary antiphonal folk songs”. In this legendary dramatized folk song “Nobleman Sumya”, the story of the love between a frivolous woman, apostate monk and a rich gentleman is similar to the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Korean troupe Mask drama “Nojang kwajang”. This is an example of reflecting social problems in folk song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phenomena of each countr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fter stydying the source materials of both countries, Korean material Nojang-gwajang depends on the time before “Sumya Noyon”, so it is possible that such content transferred to Mongolia and new works were created and devoloped.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lace of Mongolia in the traditional history of East Asia. This will also serve as a good example for cultural exchange and the creation of new culture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