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계숙(Gyesook Yoo),박하영(Hayoung Park),송금란(Keumran Song)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7 No.2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overall trends of perception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and anxiety related to spousal bereave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men and wome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ir relationshi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31 married men and women aged 50 and over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metropolitan areas, and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than women. As for the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men were more worried about dependence on the spouse, loneliness, and feelings of being abandoned than women, who were more worried about living expenses, financial secur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than men. Secondly, 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according to a greater dependence on the spouse whereas wo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according to a greater dependence on the spouse and loneliness. Finally, gender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and spousal bereavement anxiety. The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issues had more impacts on spousal bereavement anxiety in women than men.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o anticipate difficulties related to spousal bereavement in middle and old age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to enable stable and autonomous lives even after bereavement.

      • KCI등재

        노년기 배우자 사별스트레스와 다차원적 적응: 이중과정 대처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장수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0 No.-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u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and three indicators of psychosocial adjustment-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PWB), and personal growth (PG)-were examined. Further, the moderating effects of following three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pou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and adjustment were examined: “loss-orientation coping”(LOC), which is defined as coping with one’s loss; “restoration-oriented coping” (ROC), which is defined as coping with the secondary resulting from one’s loss; and social support (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8 widows and widowers who were aged 60 years and abo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ou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ed PWB; however,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G. With regard to the main effects of the moderating variables, LOC and ROC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SS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Further, whereas LOC had negative effects on PWC, ROC and SS had positive effects. LOC, ROC, and SS also had positive main effects on PG. Finally, the findings showed that LOC, ROC, and S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and depression, and that ROC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bereavement-related stress and PWB and PG. These results a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multidimensional adjustment indicators, attributes of the two types of coping, and characteristics of spousal bereavement in later adulthood. 본 연구에서는 사별노인의 사별스트레스와 세 가지 심리사회적 차원의 사별적응 지표(우울, 심리 적 안녕감, 사별후성장)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별에 대한 이중과정대처와 사회적지지가 각각 사별스트레스와 세 가지 사별적응지표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였다. 60세 이상의 배우자 사별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같다. 먼저 사별스레스는 우울을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을 낮추었으나, 사별후성장에 대한 유의미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중재요인들의 주효과를 보면, 우울에 대해서는 상실중심대처, 회복중심대처의 정적효과, 사회적지지의 부적효과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서는 상실중심대처의 부적효과, 회복중심대처 및 사회적지지의 정적효과가 제시되었다. 사별후성장에 대해서는 상실중심대처, 회복중심대처, 사회적지지의 정적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 검증결과, 우울에 대해서는 상실중심대처, 회복중심 대처,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사별후성장에 대해서는 회복중심대처의 조절효과만 유의미하게 제시되었다. 유의미한 조절효과들 가운데 사별스트레스 완충효과는 사회적지지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다차원적 사별적응 지표가 갖는 의미, 이중과정대 처가 갖는 속성, 노년기 배우자 사별의 특징 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유지영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spousal bereavement and complicated grief level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The sample consisted of 1,998 adults who were aged 65 or older.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the Death Anxiety Scale-Korean version (DAS-K).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with both spousal bereavement and the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Korean version (ICG-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djusting for demographics, psycho-social and health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ath anxiety level was lower among the bereaved with normal grief (p<.01) than non-bereaved. In contrast, death anxiety level was higher among the bereaved with complicated grief than non-bereaved (p<.01). The study result suggests that the most risky factor for death anxiety is complicated grief rather than the bereavement. Although the bereavement can be a universal experience,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symptoms after the bereavement may not be general. The unhealed emotional and physical pain after the bereavement stimulates death anxiety, and senior citizens who suffer from complicated grief often fail to integrate the bereavement and loss into reality, therefore, may not accept the death phenomenon itself. Anxiety and fear of death can emerge when they cannot acknowledge the bereavement. To manage complex sorrows and mitigate death anxiety,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adaptability to the bereavement.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 수준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죽음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에 사용된 연구표본은 2014년 춘천노인생활실태조사 자료의 65세 이상 노인 1,998명이다. 종속변수는 죽음불안(DAS-K), 독립변수는 배우자 사별여부와 복잡성비애(ICG-K) 수준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건강관련 변수를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 사별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정상 비애군(normal grief)은 죽음불안 수준이 낮으며(p<.05), 복잡성 비애군(complicated grief)은 죽음불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죽음불안에 가장 위험한 요인은 ‘배우자 사별’보다는 ‘복잡성 비애’라고 할 수 있다. 사별 자체는 보편적인 경험이라고 해도 사별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나 증상의 심각도 및 지속기간은 보편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잡성비애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사별자 대상 상실․애도프로그램과 사별자 자조모임 등이 확산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년기의 배우자 사별 이후 적응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심푸른(Pureun Sim),김경신(Kyeongshin Kim) 한국노년학연구회 2021 한국 노년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생애사건 중 하나인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별 이후 홀로서기 적응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그 목적은 사별 이후 노인들의 새로운 삶의 적응을 돕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광주광역시, 전남 및 충남 지역에 거주하는 10명의 65세 이상 고령자, 배우자를 상실한 시점은 60세 이상, 그리고 배우자와의 사별기간이 3-10년 경과한 자들이었다. 이들에 대해 심층면접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로 얻은 자료는 Colaizzi(1978)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배우자 사별 이후 노년기 삶의 현상과 적응과정을 탐색한 연구 결과는 ‘사별의 슬픔’, ‘홀로 남은 현실’, ‘극복과 적응’ 및 ‘미래의 자아 찾기’의 4개 범주 및 16개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배우자를 사별한 노인은 사별 직후의 위기를 딛고 적응 기간을 거친 이후 홀로서기를 위한 자신의 새로운 삶을 이해하고 삶의 적응을 위해 노력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시간이 흐를수록 극복 정도가 모두 향상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사별 초기뿐만 아니라 사별 이후 경과기간이 오래된 노인들에게도 사회적인 관심과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배우자와 사별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가 시급하며,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복지정책 역시 요구됨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older widow/widowers’ adaptation and help their adjustment to a new and single life in olde age after experiencing spousal bereavement. The study was designed qualitatively to us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vestigating the phenomena of the life encountered by them and their adjustment process to the bereavement. The participants were 10 older adults who aged between 65 and 86 years old, residing in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or Jeonnam and Chungnam Provinces. The participants, who bereaved their spouses at the age of 60 years or older, were only included in order to focus on exploring the phenomena of adjusting to spousal bereavement in old age. The duration of the bereavement for them ranged between 3 to 10 years. Data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method. As results, there found the main four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4 categories were ‘sorrow at the loss of a spouse’, ‘the reality of being left alone’, ‘overcoming and adaptation’, and ‘searching for a future self.’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lderly widow/widowers endeavored to adjust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by overcoming and coping with the crisis of bereavement, and to find a new life of living single after the spousal loss. It was discussed that most of them needed social supports, and thus a variety of services, programs, or welfare policies should be provided or developed for their effective adjustment to spousal bereavement.

      • KCI등재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 경험 연구

        안유숙 ( You Sook Ah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있으며, 사별위기에 대한 대처로서 종교적 신앙과 의미부여의 역할이 여성노인의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 그들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을 위한 목회상담 및 돌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67세에서 80세의 7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17개의 하위 구성요소, 최종적으로 7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사별의 충격과 고통’, ‘부부관계’, ‘개인내적 자원’, ‘사회적 지지’, ‘상실에 대한 종교적 의미부여 과정’, ‘삶의 변화와 영적 성장’, ‘삶의 만족감’ 7개의 구성요소들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기독교 여성노인들이 사별 후 적응하는 과정에서 종교적 신앙이 의미부여의 중요한 경로임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적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사별의 위기적 사건을 경험한 후 삶의 변화와 영적 성장에 이르게 된 의미부여 과정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spousal bereavement adaptation experience of elderly Christian women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 as it is. For the coping strategy for bereavement crisis, this study sets out to explore the role of religious belief and meaning making that affect growth in the process of adapting after loss and uses this as a basis to provide a means of pastoral counseling and care for bereavement adaptation of elderly Christian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ven elderly Christian women between the ages of 67 and 80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of their spouse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5 through November 2015.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ies. Seventeen lower component factors and ultimately 7 comprising factors were deduc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deduced were “shock and pain after loss,” “marital relationship,” “intra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religious meaning making process of loss,” “changes and growth of life,” and “satisfying life.”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elderly Christian women show positive changes and spiritual growth by religious meaning making after the loss of their spouse. They lower the grief and pain in this crisis of life by religious belie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religious meaning making offers an important path to cope with bereavement of a spouse. This study shows that religious belief and meaning making are effective coping strategies in spousal bereavem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송재현(Jae-Hyu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를 사별한 결혼이주여성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으며,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에 대해 처음으로 그들의 관점에서 경험적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배우자 사별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 7명을 심층면담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사별 경험은 20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5개의 범주는 ‘행복했던 결혼생활’, ‘참고 살았던 결혼생활’, ‘남편의 사별’, ‘혼자 살아내야 하는 삶’, ‘희망이 있어 견딜 수 있는 삶’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들의 배우자 사별 경험은 모든 것을 남편에게 의존하던 삶에서 사별 후 스스로 삶의 변화에 적응해 가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내기 위해 노력하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배우자 사별 결혼이주여성이 사별 후 한국사회에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실질적 방안 마련과 사회복지 지원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ost their spouse,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empirical perception on the recently newly-focused issue, bereave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their perspective for the first time.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im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their spouse and analyzed i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can be classified into 20 topics and 5 categories: happy marriage life, marriage life they had put up with, death of spouse, life to be lived alone, and bearable life with hope.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was found to be a transition from the life in which they depended on their spouse in every aspect to the one where they make efforts to live an independent life adjusting to changes in their life after the loss. Based on this, the study will be a fundamental source of practical measures and social welfare support for them to live a better life in Korean society after their bereavement.

      • KCI등재

        배우자와의 사별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를 통한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의 영향 분석

        원혜진,송신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4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pathway of the effect of spousal bereavement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differs between men and women by using various factors that are known to affect depression in old age. The data used here, on men and women 65 and older, are from the fif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First analysis to verify the factor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shows that the more help is needed for household chores, the worse the health and economic conditions, in case of no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in the absence of a spouse, the degree of depression is worsen. However, gender-based analysis shows that the degree to which men and women are affected by each factor is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ajor depressive factors between men and women. The main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pousal bereavement on the depression shows that the factors which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exes are “the help for household chores” and “social activity”. For women, the more help is needed for household chores, the more depressed they are in the spouse group. For men, social activities are more helping to reduce the depression in the nonspouse group. From this, it is found that the spouse loss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men and women in different way, and the traditional gender norms seem to influence the result. 본 논문은 배우자와의 사별이 고령층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남녀간에 어떻게 상이한지를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다양한 우울 유발요인들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5차 고령화패널의 65세 이상 남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고령층의 우울 유발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분석 결과 전체 샘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집안일에 도움이 더 필요할수록, 건강상태와 경제적 환경이 악화될수록,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우울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남녀가 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정도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남녀간의 주요 우울 유발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분석결과, 배우자와의 사별의 영향이 성별간에 차이가 두드러진 요인은 집안일 도움 변수와 사회활동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집안일에 도움이 필요할수록 유배우자그룹에서 우울이 증가하고, 남성의 경우 사회활동을 하는 것이 무배우자그룹의 우울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배우자와의 사별이 남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상이하며, 그 바탕에는 전통적인 성역할 수행에 대한 기대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신혼기에 남편 사별을 경험한 아내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진숙(Jin Sook Ryu),서미아(Mia Seo)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2

        인간이 경험하는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 중 하나인 배우자와의 사별은 어떤 발달단계에서 경험하느냐에 따라 그 경험의 내용과 적응해야 할 과제들이 다르다. 본 연구는 신혼기에 남편과 사별한 아내들의 삶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결혼한 지 5년 이내인 신혼기에 남편과의 사별을 경험한 5명의 여성 참여자들로부터 5~7회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했다. 사별한 신혼기 아내들의 사별경험과 그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 Smith(1995, Smith & Osborn, 2008)가 제시한 귀납적·현상학적 방법에 의해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으로부터 단계적으로 핵심적 주제를 추출했다. 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안식처와 안전 기지를 잃다> <신혼에 한쪽 날개가 부러지다> <관계가 재구성되다> <아이가 살아야 할 의미에 불을 지피다> <안개가 서서히 걷히다> <홀로서다>의 여섯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신혼기에 사별한 아내들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여 좀 더 효율적인 사별상담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Death of a spouse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stressful experiences in life. Depending on the stage of life in which people experience the death of their spouse, the content of their bereavement experiences and adaptational tasks may be largely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kind of the experiences the newlywed wives report about their spouse s death and what kinds of meanings they give to their bereavement experiences. Methods: Narr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to seven interviews with five femal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spousal bereavement in the honeymoon stage, that is, within five years of marriage. In order to interpret the bereavement experiences and meanings identified by the newlywed widows, we extracted key themes from the participants interviews in an inductive and phenomenological way suggested by Smith(1995, Smith & Osborn, 2008). Results: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wives who have been bereaved in the honeymoon stag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osing the sanctuary and safety base (2) Becoming a one-wing, broken, pathetic bird, (3) Expanding the horizons of relationships, (4) Only child becoming the meaning for living, (5) The fog is gradually lifted, (6) Standing alone. Conclusions: This study may be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plores the wife s experience of bereavement among newlyweds, and it can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further study on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in newlyweds, as well as on the adaptation process. Furthermore,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counseling and interventions to alleviate the sadness and pain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in the honeymoon stage.

      • KCI등재

        중년여성의 배우자 사별과 애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은경,최연실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가족과 가족치료 Vol.30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ousal bereavement and mourning experiences among middle-aged women.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four middle-aged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death of their spouse for more than six years, over four separate interviews with each respondent. As a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was applied. Results: The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thematic elements: “discrimination and sacrifice”, “half-pushed marriage”, and “family that needed to protect in times of crisis” in the life before the spouse’s death; “unprepared parting” and “I’m sorry! Thanks! I love you!” from the experience of spousal bereavement; and “the pain and guilt by other people’s viewpoints”, “bearing the weight of life alone”, “reconstructing relationships”, “the path to self-discovery of healing and recovery”, and “leading my own life” in the mourning experience. Conclusio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effective engagement in the counseling of mourning marital and family recovery by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iddle-aged women who were bereaved of their spous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배우자 사별과 애도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배우자와 사별한 지 6년 이상 된 중년여성 4명이며,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 면담은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4회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으로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중년여성의 배우자 사별 과정과 애도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내러티브의 주제는 배우자 사별 이전의 삶에서 ‘차별 그리고 희생’, ‘자의 반, 타의 반의 떠밀린 결혼’, ‘위기 속에서 지키고 싶었던 가정’, 사별 경험에서 ‘준비되지 않은 이별’,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그리고 애도 경험에서 ‘타인 시선의 괴로움 그리고 죄책감’, ‘삶의 무게를 홀로 감당하기’, ‘재구성되는 관계’, ‘스스로 찾은 치유와 회복의 길’,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배우자와 사별한 중년여성의 경험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이들의 회복을 돕는 애도 상담 및 부부·가족상담에서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하는 데 기여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 : 질병으로 인한 배우자 사별을 중심으로

        김현숙,손철우 한국목회상담학회 2022 목회와 상담 Vol.38 No.-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실체이론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아내를 사별한 기간이 3년이 경과 되지 않은 8명의 중년남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151개의 개념과 4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에서의 인과적 조건은 ‘간병으로 지쳐가는 고달픈 삶’, ‘아내의 완치를 바라는 절박감’, ‘엄습해오는 아내임종의 위기감’, ‘아내죽음을 맞이하며 허망함’이었고, 중심현상은 ‘붕괴된 자신의 세계로 인한 절망감’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홀로 감내해야하는 가장역할의 한계’, ‘타인의식으로 위축된 대인관계’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개인의 적응적인 내적 자원’, ‘삶의 버팀목이 되어준 가족’, ‘사회적 지지망의 지원’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사별현실에 의식적 거리두기’, ‘아내와 지속되는 내적관계’, ‘삶을 살아내려는 현실적 노력’으로 도출되었다. 결과로는 ‘사별에 대한 자기수용력 증진’, ‘삶의 재구조화를 정립해 감’ 그리고 ‘진행 중인 사별의 삶’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상처(喪妻)한 절망을 안고 사별현실을 마주하며 살아냄’으로 나타났으며, 과정 분석 결과는 ‘압도 단계’, ‘회피 단계’, ‘접촉 단계’, ‘직면 단계’, ‘재정립 단계’의 총 5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을 이해하며, 사별 후 유가족들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끌어내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우자를 사별한 중년남성의 심리적 건강을 지원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목회상담학적 접근과 지지체계를 세우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