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레이의 『애가』: 소박한 삶과 사회적 성공 사이의 갈등

        김옥수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9 중세근세영문학 Vol.19 No.2

        This essay views Gray’s Elegy as a struggle between the simple life and the social success. This struggle seems to be related to Gray’s choice between a life of retirement and the great world in his life. Gray declined the offer of the poet laureateship and preferred a life of retirement, but hoped to achieve his poetic fame. In the Elegy, Gray is seen as having a choice between a corrupt world of social success and a simple life. He contrasts the simple life of the humble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great throughout the poem. First of all Gray idealises the poor of the hamlet. But in the next three stanzas he says that we should value them because they might have possessed the talents we see in the great. This is to accept the standards of the great as a means of valuing the rustics. Here we see the poet pulled between the simple life and the social success. And when he talks about memorials, he does not fully accept simple memorials. It means that he is not satisfied with the simple life of rustics which he has just commended. He seems oriented towards the social success, because we all desire to remembered. Once again we see the tension between the simple life and the social success. At the end of the poem the epitaph suggests that the dead “youth to Fortune and Fame unknown” is akin to the unhonored dead and those of “destiny obscure” who lack elegy or fame. In this sense the epitaph is seen to commemorate the simple life and the obscure destiny of the poor. Finally the poet leaves the choice between the simple life and the social success to God. In conclusion, the poem shows a struggle between the simple life and the social success. The tension seems related to the poet’s own choice between a life of retirement and poetic fame. This struggle also appears to reflect the historical tension where the Romantic sympathy towards the limitations of the poor collides with the Neoclassic attitude which insists on being resigned to fate and accepting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 Surprise, Image and Life: Take the “life lost” event in the Oriental life world as an example

        Li Xiaoyun,Wang ping,Hou jialin 아시아사회과학학회 2021 Jo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5 No.3

        In the face of images, people s feelings are not necessarily rich, but may also be confused. Whether it is rational or aesthetic. Because emotionally, what they bring is tiredness and boredom. They are narrow-minded and not full. The simple idea of life world is the perfect existence. Even the “life lost”event can also “transform” our spirit. Simple life, not simple life.

      • KCI등재

        묵자 ‘생사관(生死觀)’이 지닌 본질과 의의 고찰

        황성규 ( Hwang Seong-kyu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묵자는 「비명(非命)」, 「귀의(貴義)」, 「명귀(明鬼)」, 「절장(節葬)」편 등을 통해 생사(生死)와 관련한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먼저 그는 인간이란 철저히 자신의 힘[力]에 의존하며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점을 부각하면서 절대적 존재에 의해 인간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다는 점을 강력히 부정한다. 그에 의하면 ‘잘 사는 삶’, 즉 삶의 가치는 단순한 육체적 연명이 아닌 주체적 노력으로써 자신과 공동체가 처한 곤궁함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다. 둘째, 묵자는 ‘의(義)’를 구현하며 삶을 영위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본다. ‘의’는 천하의 해로움을 없애고 이로움을 구현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삼고 있다. 동시에 그는 ‘의’를 구현하기 위해 죽음마저 불사하는 것이 ‘잘 죽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죽음의 가치가 어디에 있는지에 주목 하였다. 셋째, 묵자는 귀신(鬼神)의 존재를 인정한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사후 귀신이 되며, 귀신 존숭을 위한 제사를 중시해야 한다. 귀신은 인간의 현세적 삶의 이로움을 돕고, 해로움을 벌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넷째, 묵자의 생사관의 본질은 절장(節葬)을 통해 여실히 드러난다. 그는 후장(厚葬), 구장(久葬)이 지닌 허례(虛禮)와 허식(虛飾)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 모두를 위한 측면에서의 장례를 주장한다. 절장 이론은 단순한 절용(節用) 차원의 주장이 아니며 삶과 죽음 모두에 대해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묵자 사상이 삶과 죽음에 대해 어떤 견해를 지니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은 ‘잘 사는 것’이란 어떤 것이며, 또한 ‘삶을 잘 마무리하는 것’ 은 또 어떤 것인지를 알고자 하는 우리에게 설득력 있는 실마리를 부여한다. Mozi expresses his opinion related to ‘Life and Death’ at his writings: Disbelieve in Fate(非命), The importance of Righteousness(貴義), Identification of a Ghost(明鬼), Simple Funeral(節葬). First of all, he emphasizes that human beings are completely dependent on their own power, and strongly denies that our fates are determined by the absolute beings. According to him, “A good life”, that is the value of life, is not just a physical life but overcoming the hardships of oneself and community by independent efforts. Second Mozi regard a life of practicing righteousness as an ideal existence. ‘The Righteousness’ is based on eliminating the harmful effects of the world and realizing the benefits. At the same time, he noted where the value of death lies, arguing that even the death to realize ‘justice’ is to die well. Third, Mozi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ghost(鬼神). According to his opinion, humans become ghosts after death, and the ancestral rites for ghosts should be valued. This is because ghosts are beings that help the benefits of human life and punish the harms. Fourth, the essence of Mozi’s ‘View of Life and Death’ is evident in his writing, ‘Simple Funeral(節葬)’. He is critical of ‘the ostentatious display of courtesy(虛禮虛飾)’ in ‘Grand Funeral(厚葬)’, ‘Long Funeral(久葬)’. And he insists on a funeral for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The theory of ‘Simple Funeral(節葬)’ is not just an argument at the level of Saving(節用), but it gives a certain meaning and value to both life and death. The work of identifying the view of Mozi’s thoughts on ‘Life and Death’ gives us a convincing clue to find out what it is to ‘living well’ and ‘ending life well’.

      • KCI등재

        서정주 시에 나타난 웃음의 탈근대적 의미

        김미선(Mi sun Kim)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서정주 시에서 웃음을 유발시키는 설화적 상상력의 전개로 드러나는 전통이 그가 인식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었음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질마재 神話』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웃음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그의 시가 추구하는 삶의 방향은 근대를 초월하는 곳에 이르고 있었다. 서정주가 『질마재 神話』를 통해 제안하고 있는 삶의 양상은 세 가지 유형으로 그 모습이 드러나고 있는데 그것은 복잡하지 않은 간소한 생활의 삶과 스스로 만족할 줄 아는 삶, 그리고 마음에 여유가 있는 삶이다. 먼저, 서정주 시에 나타나는 간소한 생활은 몸과 정신의 통합과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불러온다. 이는 정신과 몸이 분리되고 자연이 정복의 대상이 되었던 근대 이성주의 사회를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서정주 시에서 웃음은 시적 인물들이 자족하는 생동감 있는 현실에서 우러나온다. 과거의 시간과 공간에서 재래의 생활 방식으로 일구어진 민중의 일상생활이 그 배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에서는 경제발전에 가속도를 내며 성장한 근대 자본주의 사회가 갖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고착된 불만족을 극복하고자하는 염원이 깃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정주 시에서 웃음은 이야기 속 인물들을 통해 너그럽고 유연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이해와 포용의 힘을 담아내고 있다. 인물들이 보이는 타인과 삶에 대한 포용력 있는 자세는 이분법적 사고가 강화된 근대적 사유 방식을 넘어서는 자리에 이른다. 이와 같은 삶의 내용이 담겨 있는 『질마재 神話』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에서 창작되어 어떻게 살아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웃음으로 드러내는 삶의 양상은 시인이 지향하고 사유하는 의식의 동향이 되고 있다. 황폐한 근대적 삶의 가치를 간접적으로 비판하며 탈근대로 향하는 사유는 근대적 삶이 갖는 한계를 넘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revealed a tradition that has placed the object into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magination, causing laughter in the poems of Seojeongju saying he had been the way to overcome the recognized reality. When looked at through the laughter that appear prominently in 『Jilmajae myth』 way of life to pursue his poetry he was reached where transcending modernity. Seojeongju the aspects of life that are offered through the 『Jilmajae myth』 as there are three types that look revealed the life it knows how to satisfy ourselves with simple uncomplicated life life, and the life of the mind is free. First, the simple life appears at the poems of Seojeongju comes up the integration and harmony of nature and the human body and spirit. It can be seen that the mind and body to separate and indirectly criticized the social nature of the modern rationalism has been the target of conquest. Next, the laughter comes from the poems of Seojeongju lug in reality a lively poetic figures that are self-sufficient. The daily life in the camp of the people cultivate the traditional way of life in the past of time and space that has become the background. In this poetry you can see that the desire to overcome the social tension and dissatisfaction fixed in a modern capitalist society has grown into place with an acceleration in economic growth that contains feathers. Finally, from the poetry has put smiles Seojeongju put the power of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with the story taking place in a generous and flexible people in mind. Inclusive attitude towards other people and life figures have look-digit reaches beyond the dichotomous thinking how modern reason is strengthened. How 『Jilmajae myth』, the contents of which contained such live the creative life in question is believed to do that and suggest how to live that way. Revealing aspects of life, laughter has become a tren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oriented and reason. Bleak modern life, the value of indirectly criticizing Postmodern reason to have the means to provide direction to move beyond the limits of reason with modern life.

      • KCI등재

        포프의 「호라티우스풍의 제2권 제2편 풍자시」 연구

        김옥수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코기토 Vol.- No.99

        The essay examines Pope’s “Second Satire of the Second Book of Horace Imitated” as a search for the simple life of the country gentleman. The poem opens with Bethel’s sermon about the simple life that Horace praised in his poem. Bethel presents his viewpoint about the simple life. He at first puts emphasis on simple dinner. Then he mentions the virtues of the country gentleman like feeding the poor and giving alms to them. Pope says that he will follow Bethel’s sermon and imitate him. After that Pope describes himself as a country gentleman. His house is presented as a center of hospitality. Pope shows the ethics of hospitality by saying that he will not close the door against strangers and welcome anyone to his house. He will offer his guests homegrown fruit or local produce. In short, Pope sees himself living the life of the ideal country gentleman. But Pope realizes that he can’t follow the ideal country gentleman’s life like Bethel’s becau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Bethel and him. While Bethel has his own house and land, Pope does not have his own house or land. Since he has no land to rent to tenants, he can’t live like a country gentleman. In conclusion, he can’t follow the ideal of the country gentleman who shows the true hospitality and puts emphasis on the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y, so he wants to be satisfied with the pursuit of a simple life in retirement. 포프는 은둔 생활을 강조하는 호라티우스의 시를 모방하여 「호라티우스풍의 제2권 제2편 풍자시」를 쓴다. 호라티우스가 시골에서 은둔 생활하며 소박한 삶을 누리는 오펠루스를 예찬한 것처럼, 포프도 그러한 삶을 묘사하고자 한다. 호라티우스가 주제로 다룬 은둔 생활은 포프를 매료시킨 것으로 보인다. 사실 포프 자신도 런던에서 멀리 떨어진 트위크넘에서 자신의 저택에 석굴을 지어 이곳에서 은둔 생활을 즐기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호라티우스는 그의 풍자시에서 수신인인 오펠루스가 추구하는 소박한 삶의 가치들을 묘사하며 시골에서의 은둔적인 삶의 즐거움을 그리고 있다. 포프도 호라티우스가 주제로 다룬 소박한 삶에 매료되어 이 시를 모방하나, 이 시의 화자로 시골농부가 아니라 시골신사인 휴 베설을 내세운다. 여기서 포프가 농부가 아니라 시골신사를 화자로 사용함으로써 소박한 삶을 예찬하면서도, 소박한 삶이 시골사회에 대한 시골신사의 봉사와 헌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테면 포프는, 베설이 열망하는 소박한 삶이 지역사회에 베푸는 시골신사로서의 덕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먼저 이 시에서 화자인 베설은 옛날의 소박함이 사라진 것을 슬퍼하며 소박한 삶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베설은 지역사회에 시골신사로서의 덕목을 실천하며 소작농들을 도와주고, 그들이 경제적 곤궁에 처해 있으면 그들에게 일자리를 구해주고자 한다. 포프 자신도 베설의 이러한 모습에 감명 받아 베설을 모방하고자 결심한다. 그러나 포프는 자신은 베설과 같은 이상적인 시골신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베설은 땅과 저택을 소유한 시골신사로서 그 덕목을 실천할 수 있으나, 포프 자신은 가톨릭 교인으로서 받는 법적 제재로 인하여 땅과 저택을 소유할 수 없는 입장이다. 시골신사의 물질적 토대인 땅이 없는 포프는 지역민들에게 땅을 임대해주거나 경제적으로 그들을 도울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포프 자신은 진정한 시골신사가 아니라 시골신사의 그림자와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 이러한 자기발견은 가톨릭 교인으로서 겪는 과도한 세금 부담과 사회적 박탈감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가 시골에서의 은둔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베설처럼 시골신사의 덕목을 실천하는 삶이 아니라 소박한 삶의 추구가 최선이라는 현실적인 인식에 이른다.

      • KCI등재

        후안 라몬 히메네스의 『플라테로 와 나』와 느림 예찬

        나송주(Na, So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플라테로와 나』는 히메네스의 대표적인 시집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사실이 말해주듯이 문학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동시라는 느낌마저 드는 대중적인 작품이다. 이 시집은 평이한 문체와 내용으로 단순하면서도 자연 속에서 소박한 삶의 의미를 다시 한 번 환기시켜주는 작품이다. 그러나 또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느끼는 반감의 표현이고, 시인 내면의 뿌리 뽑힌 듯 한 고독감, 우울과 번뇌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그의 태도는 발전과 진보의 신화에 사로 잡혀 있던 20세기의 근대적 삶의 태도에 반론이고, 생의 활력에 대한 좌절과 슬픔인 것이다. 그는 비도덕적이고 유혹으로 가득 찬 퇴폐적인 도시의 삶에서 흉물스러운 삶이 아니라 해가 뜨고, 비가 오고, 눈이 오는 자연의 변화를 느낄 줄 알고 자연과 하나 되는 삶의 의미를 다시 되찾아 준다. 이는 욕망이 일상화 되어 있는 도시라는 현실의 어두운 그림자에 대해 회의 하고, 반복적이고 당연시 되는 일상적인 삶의 의미와, 그 현실 안에서 정신적인 위안과 소통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런 의미에서 히메네스가『플라테로 와 나』에서 그리고 있는 느림과 여유로움, 자연과의 합일은 현실의 부정이나 도피가 아니라 현실의 대안이다. 이는 타락으로부터 순수로 돌아감이며 부자연스러운 것에서 자연스러운 것으로 돌아가는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위태롭고 희망이 사라진 고단한 현실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직접적으로 대안에 대한 탐구이고, 황폐한 현실 앞에서 고통스러워하고 사회적인 갈등의 폭발이라는 절망에 빠진 시대를 치유하기 위한 몸짓인 것이다.『플라테로 와 나』는 우리에게 자연에 대한 사랑과 소통을 통해 어두운 시대, 불안한 시대를 헤쳐 나가는 위로를 얻게 해주고 역동적인 힘을 얻게 해준다. Platero y yo is thought of as a children’s book and yet it’s one of the best work of Nobel Prize-winning writer Juan Ramón Jiménez. It shows not only that the work has an extraordinary literary quality but that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for its popularity. The poem evokes the meaning of simple life in nature in plain word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onveys the antagonism towards the society where the poet failed to adapt, sense the loneliness of the uprooted, melancholy and agony. This attitude came from the hostility to the modern life which was fascinated by the myth of progress. It also can be interpreted as frustration of life. Jiménez tried to restore the value of living in communion with nature in contrast to degenerate life in the city. To him, the city is a place full of temptation and immorality. The writer expresses his skepticism about the dark side of the city life which represents the excessive desir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daily lives, spiritual comfort, and communication is emphasized in the poem. That’s why the contact with nature and serenity in Platero y yo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not denial or escape. What he suggests is going back to innocence from degeneration, to naturalness from unnaturalness. Platero y yo i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alternatives to the hopeless reality on the verge of collapse. It is his attempt to fix and console the broken society. It guides us to find the strength and comfort in nature that are needed when we’re going through the uncertain and dark times.

      • 교회법전에 나타난 재화의 나눔

        곽종식(Jong-Sik KWAK)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sharing of the temporal goods of the Church’ through the teachings of the code of canon law. Can. 222 § 2 of the current code of canon law states that “Christ’s faithful are also obliged to promote social justice and, mindful of the Lord’s precept, to help the poor from their own resources.” In this study, we first studied the classical law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literature and the old code(1917) that talks about sharing goods. The concepts of ‘common reserve’(c. 1274, § 4), ‘common life’(c. 280) and ‘simple way of life’(c. 282 § 1) that appeared in the current canon law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we looked first at the formation of laws on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duty to help the poor from their own resources’ as stated in the current code of canon law. We also looked specifically at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lause. The expression ‘obligation(duty)’ mentioned in can. 222. § 2 of the code is rooted in natural law. This ‘obligation(duty)’ is accepted by all, but for christians who have been baptized, there is a priority and a special obligation.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practicing compassion for the poor’ inevitably call for sharing goods. These demands are, above all, preferentially and intrinsically working for Christians who must live with evangelical missions. Christians include clerics. Therefore, not only the members of the consecrated living community who vow poverty, but also the clergy who are invited to voluntarily choose poverty, should refrain from vanity and extravagance in the use of goods. And clerics should help the poor in the use of goods.

      • KCI등재

        피에르 라비의 생태 사상 연구

        송태현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9

        This paper studies the ecological ideas of Pierre Rabhi, one of France's most influential environmental activists. Since this study is the first paper to deal with Rabhi in Korea, outlines the process of forming Rabhi's life and ideas. Later, we examine the 'agroecology' he proposed based on the "Mother Earth" concept while criticizing modern mechanical nature views and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Next, we examine what Ravi's diagnosis of modern civilization that caused the ecosystem crisis and what "degrowth" and "simple life" are suggested as prescriptions for it, and whether his perspective is persuasive.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 the limitations of Rabhi's ideas and their contributions. He has a limitation that he is neither a thinker who presented a clear ecological theory nor a thinker who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e theory of degrowth. Rabhi's main contribution is to spread 'agroecology'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internationally, and to meet the public through books and lectures, and to establish and lead organizations that pursue ecological life, which led many to join the ecological vision for a new civilization. 본 논문은 프랑스의 가장 영향력 있는 환경운동가 가운데 한 명인 피에르 라비의 생태 사상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우선 라비의 삶과 사상 형성 과정을 개관한다. 연후에 그가 현대의 기계적 자연관과 관행 농법을 비판하면서 ‘어머니 대지’ 관념에 토대를 두고 제시한 ‘농업 생태론’을 고찰한다. 이어서 생태계 위기를 초래한 현대 문명에 대한 라비의 진단과 그에 대한 처방으로 제시한 ‘탈성장’과 ‘단순한 삶’이 과연 무엇이며 또한 그의 관점이 과연 설득력이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라비 사상의 한계와 그의 공헌을 제시한다. 그는 정연한 생태이론을 제시한 사상가도 아니며 탈성장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사상가도 아니라는 한계를 지닌다. 라비의 주된 공헌은 농업 생태론’을 국내적으로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확산하고, 책과 강연을 통해, 그리고 생태적 삶을 추구하는 단체들을 설립하고 주도함으로써 많은 이들을 새로운 문명을 위한 생태적 비전에 동참하게 한 점이다.

      • KCI등재

        노래와 고향의 재창조 ― 20세기 전반기 민요운동과 그 외

        쓰보이히데토 ( Suboi Hideto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6 한국문학연구 Vol.0 No.30

        1914년에 발표된 문부성 창가 「故(ふるさと)」는 어쩌면 어린이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는 어른들을 위해 존재하고 오랫동안 불려온 것이다. 고향이란 현재의 장소가 아니며, 입지의 포부 속에서 “언젠가는 돌아가”고자 하는 회귀의 목적지인 것이다. 지방(고향)에서 도회로 나와 뜻을 이루고 다시 고향으로 귀향한다. 이러한 상승과 하강에 의해 생기는 원이 고향이라는 둥근 원형의 자기만족적이며 조화로운 시간과 공간의 이미지를 빚어낸다. 고향보다 앞서는 「반딧불이의 빛」이 팽창주의적인 국체 이데올로기를 기조로 하면서 학교=고향을 떠나는 장면, 즉 창가 「고향」을 추억하는 모습의 기점을 이루는 장면을 노래한 것 역시 함께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비재(非在)로서의 고향에 윤곽을 부여한 ‘지금- 여기’는 자연에 대해서 인공, 소박과 무위에 대한 기교(기술)와 세련, 혹은 공간적으로는 지방에 대한 도시, 시간적으로는 어린이에 대한 어른에 해당한다. 반대로 말하면 인공=기술적인 아트(art) 혹은 쿤스트(Kunst)를 매개로 함으로써 비로소 고향의 자연(nature)을 발견하고 표상 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창가에 나타난 고향 표상을 분석하는 것을 계기로, 그것과 함께 창조된 민요라는 장르의 성립과정을 고찰하면서 근대일본의 노래 속 ‘고향’의 문제에 대해서 고찰한다. The reason the children's song 「Hurusato」, released in 1914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continued its popularity over the years is because it continues to appeal widely to adults who are nostalgic of their childhood. The heimat is located not in the present, but rather in the aspirations of “returning home someday.” It follows the dream of moving from a rural area to the city and returning home after succeeding. The circle created through this rise and fall forms the outline the ‘heimat,’ which represents self-satisfaction and an image of harmonious time and space. However, the scene reminiscing of the heimat in the song 「Hurusato」, which strongly evokes the image of leaving school (which represents the heimat) in the earlier 「The Glow of a Firefly」, is not rooted in ideology of the heimat but rather in the ideology of expansionist national polity. The ‘here-now’ concept forms a dialectic relationship with the imagined heimat,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contrasting relationships between nature-science, the simple life-sophisticated technology, rural-urban and child-adult. Put in another way, only through the intervention of science or technological art (kunst), are we able to discover the symbol of nature in the heimat. By analyzing the symbol of the heimat as represented in popular Japanese songs and examining the creation process of the folk song genre,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heimat' in modern Japanese songs.

      • KCI등재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인지·사용능력에 따른 숙박시설의 피난안전성 평가

        한동규,공하성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4

        이 연구는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대해 지도 감독해야 할 책임이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숙박시설의 화재발생시 완강기, 간이완강기의 인지 및 사용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강기와 간이완강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 비교에서 일반 행정직공무원 중 여성공무원의 대다수가 간이완강기 구분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완강기 구분 능력을 향상시켜서 유사시 추락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체험관 등을 통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둘째, 성별과 직업별 간이완강기의 재사용여부를 직업별로 확인한 결과 소방공무원 절반정도를 제외한 대다수의 공무원이 간이완강기의 재사용 능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숙박시설의 각 실별로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피난 기구 중 간이완강기는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완강기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완강기 최대부하 인지 능력은 소방공무원 직무별로 구조대원이 가장 높았으며, 소방행정요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방행정요원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소방학교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지휘역량 교육 등 각종 집합교육에서 완강기에 대한 이론 및 실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목격한 장소는 숙박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다른 시설보다 숙박시설 화재를 가상하여 완강기 체험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교육효과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wareness and usability of descending life lines and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for fire situations in the accommodation of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responsible for supervising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descending life lines and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omparison of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descending life lines and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the majority of female public officers in general administrative services do not have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descending lifelines and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so they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ir ability to distinguish descending life lines. Also, institutional strategies are needed to regularly receive education through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in emergency situation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reusability of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by gender and occupation, most public officers with the exception of half of the firefighting officers were analyzed as having no ability to reuse the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levant laws so that only the installation of descending life lines which can be used continuously is permitted, except for the simple descending life lines among the evacuation instruments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each room of the accommodation. Third, in terms of the ability to perceive the maximum load of the descending life lines according to occupation, the perception ability of the rescuers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ption ability of the fire service personnel was the lowes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abilities of the fire service personnel,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of descending life lines in collective education such as the command-enhancing training which is regularly carried out in fire service academy. Lastly, it is believ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conduct the experience training of the descending life lines by imagining the fire in accomodations rather than other facilities, because it is the location where fires are actually seen the m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