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장(假裝)된 죽음과 고통의 기억 -리명오(李明五)의 <자만(自挽)> 십이수(十二首)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이 글은 필자가 한국 한문학 자료 중 自挽詩작품들을 수집·역주하는 과정에서 눈에 띈 특징적 작품인 李明五(1750∼1836)의 <自挽> 十二首를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명오의 <자만> 십이수는 자만시의 시적 전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고통의 기억을 세상에 각인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다. 假裝된 죽음의 서사를 통해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과 庶系로서 온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자신의 가치를 세상에 하소연하고 있다. 또, 가까이 교유했던 인물들의 비극적 죽음을 자신의 죽음 안으로 끌어들여 개인을 넘어 집단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자만시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국면에 도달하고 있다. 이명오의 작품이 갖는 자만시로서의 특성은 최장 연작시라는 점, 특정한 사건에 대한 기억을 위주로 작성되었다는 점, 먼저 세상을 뜬 인물들에 대한정신적 연대를 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자만시를 남긴 주요 작가들이 그러하듯이 별도의 自傳的작품을 남기고 있어, 자만시 이해를 돕고 있다. 문학의 계보는 기원을 중심으로 고정불변하는 체계가 아니라 항상 현재 시점에서 사후적으로 배열되고 구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명오의 <自挽>十二首는 그런 측면에서 우리 자만시의 시적 계보를 새롭게 구성해낸 특징적작품으로 기억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명오의 <自挽> 十二首로 인해 조선시대 자만시는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표현의 매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Elegy for Myself series of 12 poems by Lee Myung-oh(1750~1836). Elegy for Myself successfully expresses the painful memory by effectively using the tradion of the self-elegy poetry. By using the narrative of imitated death, the poet tries to express his father`s false execution as well as his own under-estimated talent. And his relates his death with other one`s tragic death, by which he raises the question of group, not of individual. This is the unique part of Lee Myung-oh`s self elegy. Self elegy works by Lee Myung-oh have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y are the longest self elegy poetry. Second, they successfully express painful memory. Third, they have spiritual feeling of solidarity with other dead people. And like other self elegy writers do, Lee also wrote another autobiographical work, which serves as a great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self elegy poetry. Self elegy poetry by Lee should be known as unique works to construct a new history of self elegy poetry. And his poetry made self elegy works in Chosun one of much more various ways of expression.

      • KCI등재

        陶淵明의 <擬挽歌辭三首>와 조선시대 自挽詩

        임준철(Lim Jun chul)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이 글은 자만시의 始原이라 할 도연명의 자만시를 중심에 놓고 중국 역대의 자만시들을 참조의 대상으로 삼아 조선시대 자만시와 비교 검토한 것이다.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특히, 元代 李公煥이 箋注한 『箋注靖節先生集』과 明代 何湛之가 校刊한 『陶靖節集』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에 대한 수용경로는 대체로 분명히 드러나지는 않는다. 또 조선시대 모든 자만시 작가들이 같은 이해 방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아니다. 자만시의 내용을 통해 볼때 조선시대 시인들은 臨終詩로서의 성격에 주목하는 경우와 의중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자기표현의 시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발생과 유래란 측면에서 중국과 조선시대 자만시 사이에는 근원적인 간극이 있다. 조선시대 시인들은 자만시를 임종시와 동일시하거나, 우리 모두가 아니라 '나'의 죽음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내밀한 개인사들이 드러나기도 했다. 또 죽음에 대한 도가적 달관ㆍ초탈의 정신자세를 수용하는 데 소극적인 편이어서 이를 유가적 가치관으로 변주시키기도 했으며, 자신의 죽음 문제를 선대와 후대에 대한 부채와 책임의 문제로 연결시키는 유가적 가족윤리가 중심이 되는 작품이 많았다. 한편으로 전기엔 정치현실에서 내몰린 이들에 의해 자만시가 창작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후기엔 자만시의 점증에 따라 글쓰기와 구성에서 새로운 방식이 시도되기도 했다. 특히 도연명의 <의만가사>와 달리 자신의 葬儀에 사용할 목적으로 자만시가 창작된 경우도 있다. 이렇게 조선시대의 자만시는 <의만가사>를 수용하면서도, 때론 그것을 바꾸어 사용하고 때론 어떤 부분만을 수용하거나 배제하는 방식으로 자문학적 특수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Tao Yuanming's elegy works with the elegy works in Chosun Dynasty. Tao Yuanming's <Pseudo Elegy Trilogy> were introduced to Chosun writers through Tao Yuanming anthologie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But it is not so clear how Chosun writers accepted Tao's <Pseudo Elegy>. And each Chosun writers understood the works from different way. Some writers paid attention to the works as the poetry of dying while some regarded them as a way of self expression. Chinese self-elegy poetry differs from that of Chosun Dynasty in origin. Chosun writers saw self-elegy as a kind of poetry of dying or focused on dying of 'me' not 'us'. As a result Chosun writers often expressed their private personal history through self-elegy. And they were not willing to accept the spirits of Taoist disinterestedness, so often replaced them with Confucian value. For example, some works linked their death with the problem of debt or responsibility of their ancestors or future generations. In early Chosun, self-elegy were mainly written by the writers who were in political crisis. And in late Chosun, there appeared some new attempts in writing skill and form. Some self-elegy were written for the writers' own funeral. Self-elegy poetry in Chosun Dynasty accepted <Pseudo Elegy Trilogy> in various way, sometimes modifying them, sometimes accepting or excluding some parts from them.

      • KCI등재

        일반논문 : 『陶靖節集(도정절집)』과 조선시대 自挽詩(자만시) -<擬挽歌辭三首(의만가사삼수)>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간행된 도연명집의 판본은 전기가 5종, 후기가 2종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유형원 개인이 편찬한 필사본이 1종 전한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 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이 글에선 조선시대 刊本 및 通行本에 수록된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에대한 문헌적 검토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조선 전기 문인들에게 수용된 경로와 그것이 자만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 비해 후기 간본이 가진 한계로 인해 후기 자만시 창작이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전기의 경우 蘇軾의 和陶詩에 대한 주석과 비평서 성격의 『精刊補注東坡和陶詩話』가 도연명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자만시 창작에 미친영향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 수용 경로가 모두 이같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글은 <의만가사삼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검토했던 까닭에 거시적인 부분에선 충분한 논의를 진행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앞으로 조선 간본 도연명집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보완될 필요가 있다. Tao Yuanming`s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hereinafter “Trilogy”) were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mainly through several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 some were published in Joseon, some were imported from China. Though it is not known exactly how Chinese versions were imported, according to the data until now, there are five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published in early Joseon and two in late Joseon. And there also is a manuscript by Yoo Hyong-won. In addition to it, Comments on Dongpo`s Responsive Poetry to Tao Yuanming with Fine Print and Supplemented Notes (精刊補註東坡 和陶詩話, hereinafter “Comments”) had an influence on reception of Trilog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ao Yuanming’s Trilogy in several editions in Joseon to figure out how this work was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and how it influenced on Self-elegy writings of Joseon. As a result, I assume Self-elegy writings in late Joseon are biased due to the limits of versions distrubuted in that era. And in early Joseon, the Comm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of Tao Yuanming and Self-elegy writings. But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how Joseon literati received Tao Yuanming`s Trilogy.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Trilogy, so did not fully progress discussion from the wider perspective. These problems will be complemented with further examinations on Tao Yuanming Anthology publications in Joseon Dynasty in progress.

      • KCI등재

        조선시대 자만시(自挽詩)의 특수 유형

        임준철 ( Jun Chul Lim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4

        이 글은 자만시의 특수유형 작품들을 학계에 소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자만시는 동아시아의 독특한 자전적 글쓰기 방식의 하나로 주제적 속성 자체가 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변격의 문학주제인 자만시가 조선 후기에 이르면 또 다른 일탈을 보이기 시작한다. 그것은 내용과 글쓰기 방식 모두에서 일어난다. 이를테면 변격의 변격이 발생한 것이다. 이 글은 이를 자만시의 특수 유형으로 규정하고 그 양상과 특성을 살펴 본 것이다. 내용의 특수성이란 측면에선 사후 두 번째 기일이란 특정 시공간에 자신의 죽음에 대한 상상력을 펼친 김조순, 자만시를 쓴 뒤 소생한 경험을 추가한 박치원, 의리라는 시대의식을 담은 이언직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글쓰기의 특수성이란 측면에선 과체시 형식으로 자만시를 쓴 정기안, 두보의 작품에 덧붙여 써서 자만시를 완성한 석지형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시인들은 자만시를다층적으로 인식했다. 그들은 자만시를단순히 임종 무렵에 남기는 마지막 말 정도로 인식했던 것이 아니라, 죽음을 맞이하기 전에 자신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이 글에서 검토한 특수 유형 작품들은 자만시 양식의 자기 변화와 갱신의 양상으로서 특별히 주목될 필요가 있다 자만시라는 . 특정 주제에 국한된 것이긴 하나 문학사의 변화에 대한 미시적 검토는 차후 만시 등 죽음을 소재·주제로 한 문학에 대한 이해 폭을 확충하는 데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roduce some self-elegy poems of special type. Self-elegy is a special kind of autobiographical writings in East Asia, so in terms of theme, it is irregular in itself. But by the time of late Joseon, appeared another irregularity in its theme and writing style. I regard these irregularities as the special types of self-elegy poetry. As to irregularities in contents, Kim Jo-soon imagined the second anniversary of death of himself, Park Chi-won wrote about a revival of himself, Lee Eon-jik reflected the spirit of the time writing about fidelity to Ming Dynasty. As to irregularities in writing style, Jung Ki-an used a form of Guache poetry(科體詩), Seok Ji-hyung added lines to the works of Du Fu(杜甫). Writers in Joseon imposed multiple meanings on self-elegy. They didn``t take it simply as the last words before one``s death, they fully acknowledged its efficiency in self-expression with some intentions. So the works referred in this articles should be fully recognized as the aspects of self-transition and development.

      • 自挽詩의 자아 혼성(hybrid)과 시적 정체성

        林濬哲(Lim, Jun Ch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7 동아한학연구 Vol.- No.12

        이 글은 일본 고전문학 연구자들에게 조선시대 자만시를 소개하기 위해 자만시의 창작 목적과 특성을 살핀 것이다. 자만시를 쓰는 가장 두드러진 이유론 자기 정당화의 욕구, 증언의 욕구, 자기표현의 욕구를 들 수 있다. 자기표현의 욕구는 남들이 알지 못하는 자신의 진면목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자전적 글쓰기 방식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자만시의 자아는 살아있는 나와 죽은 나라는 이중성을 띤다. 魏晉南北朝시기 挽歌詩 문체적 특성으로 인해 촉발된 이런 특성은 한편으로 자아의 혼성(hybrid)도 유발하게 된다. 자만시에 드러나는 가공의 나, 성격이 다른 1인칭의 뒤섞임, 그리고 자신의 대상화(2인칭과 3인칭) 등은 전지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탐색하는 동시에 構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자만시를 쓰려는 욕구는 한편으로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만시를 쓰는 것은 자신만의 특별한 경험을 가지고 자기 정체성을 탐색 혹은 구축하면서 자만시를 쓰는 행위인 글쓰기의 문제를 성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자만시에서 제기되는 자기 정체성의 문제는 글쓰기를 통해 재구성되는 것이란 점에서 ‘시적 정체성’이라는 성격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자만시는 전통문학에서 보기 드문 시를 통한 자기 정체성의 탐색과 구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self-elegy written in Joseon Dynasty. The genre had been mainly composed in the aspects of self justification, witness or self-expression. The latter is especially worth noticing because it reveals poet’s inner world, and thus the style can be classified as a branch of biographic writing. The dualistic aspect of self-elegy where an alive poet sings the dead “me”, originated from the problematic style of elegy in Wei-Jin-Nan-Bei-Chao(魏晋南北朝) Period, also creates hybrid alter ego. In other words, The omniscient poetic identity i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creating multiple egos including a poet, blended voices of the other selves, objectifying of the poet himself, etc. in the style. Since the drive of writing self-elegy is closely linked to the question of who I am, the act of composing self-elegy is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identity. The identity here is poetic identity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constructed through writing. Considering classical literature rarely expresses the theme of the author’s identity, pursuit of self in self-elegy is a distinct phase in traditional poetry.

      • KCI등재

        조선시대 자만시의 전개 양상과 계보적 특징

        임준철(Lim, Jun-chul)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88 No.-

        This article is focues on aspects of developtment and genealogical features of Self-elegies in Chosun Dynasty. Development of self-elegy in Chosun dynasty can be de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early and middle Chosun, the other is late Chosun. From the perspective of form, the ancient form were dominet in early and middle Chosun, while Jueju and Lushi became more popular in late Chosun. And in late Chosun, we can find new forms, like one person creating two or more works of self-elegy, a son writing self-elegy after his father. Self-elegy in the form of serial poetry also appeared. Through these aspects, we can suppose, in late Chosun, more poets created and got interested in self-elegy. Some poet even used Tu Fu's works as his self-elegy, and some wrote self-elegy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From the point of genealogy, self-elegy in Chosun dynasty generally represents Confucian ideas on life and death, reflecting one's own life and calmly taking one's death. And many works relate death with the matter ancestors, so Confucian moral of filial duty is highlighted.

      • KCI등재

        이언직(李言直)과 장대(張岱) 자만시(自挽詩)의 대비(對比) 연구 -한중(韓中) 자만시 비교(2)-

        임준철 ( Lim Jun Chul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8

        이 글은 동아시아 自挽詩의 주제적 전통 속에서 張岱(1597-1684?)와 李言直(1631-1698)의 자만시를 對比하여 연구한 것이다. 이들은 17세기 명말청초와 조선 후기라는 서로 다른 공간을 살다갔지만, 이들의 자만시는 명나라에 대한 충성심과 청나라에 대한 복수심이란 매우 유사한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선 두 작품을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언직이 장대에 비해 더욱 직접적이고 일관된 對明義理를 드러내고 있다. 두 사람의 미묘한 인식차는 이 시기 양국 지식인들의 명나라와 청나라를 바라보는 의식의 차이를 반영한다. 그런데 자만시에 투영된 시대상은 이언직의 작품에서만 발견되는 현상은 아니다. 조선시대 자만시에서 유독 정치현실이나 국제 정세의 변화와 관련된 작품이 많다는 점은 우리 문인들이 자만시를 좀 더 현실적 발언의 도구로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장대 자만시의 표현방식이 암시적이고 우회적인 반면 이언직의 자만시는 단선적이고 직설적이다. 이언직의 자만시가 유언에 가까운 자기 선언으로 일관된 배경에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자만시 인식과 작시 방식이 있다. 이런 차이는 개별 사례이기는 하나 한중 양국의 자만시가 동일한 기원(도연명의 <의만가사>)에서 비롯하였지만, 일정하게 다른 길을 선택해서 나름의 글쓰기 방식으로 변화해갔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mpares Self-elegy poetry of Zhang Dai(1597-1684?) and Lee Yeon-jik(1631-1698) in the thematic tradition. They liv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Zhang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Lee in late Joseon. But they share a very similar thematic consciousness, which is royalty to Ming Dynasty and hatred to Qing Dynasty. Through the comparision of two works, this study achieved the conclusion like below. First, Lee``s royalty to Ming Dynasty is more obvious and constant than Zha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ets represents the diffference of attitude to Ming and Qing between intellectuals of two countries. Second, Zhang``s work is more indirect and allusive, while Lee``s work is direct and straightforward. The reason why Lee``s work is self-representative can be considered with the writing style of self-elegy of Joseon writers. The difference between Zhang and Lee still is only an individual case. But this case shows how the self-elegy in China and Korea share the same origin and developed into different writing styles by choosing different ways.

      • KCI등재

        芝湖 李選의 삶과 詩세계

        이명희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5 No.-

        Jiho Lee Seon (1632~1692) was a figure who was active in politics among the literati in the late 17th century. As a descendant of Prince Guangping, he formed a wide network of relationships through marriage with prominent families of the time, and absorbed the teachings and political ideologies of his father, Lee Houyuan (1598~1660), who was a respected scholar-official and a central figure in the literary society. This study aims to approach Lee Seon from a literary perspective, examining the literary expression of his life and thoughts through his poetry. With a focus on his collection of poems, "Jihozip(芝湖集)," which contains 148 poems on various themes, we analyzed his life and family background, the affectionate and sensitive expressions of his thoughts and feeling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emphasized principles and ethics, and his confessions of regret and self-reflection. Lee Seon's background as a member of a prominent family and his relationship with his mentor were important factors in enabling him to be actively involved in politics. He deeply respected his mentor, Song Siyeol, and remained loyal to him by submitting multiple petitions when Song was exiled, and even resigned from his position to protest against the mistreatment of his mentor. He also valued the concept of loyalty among friends, requesting that he also be punished if his mentor and friends were punished unjustly. In his poetry, Lee Seon's literary achievement is characterized by his affectionate and sensitive expressions of nostalgia for his ancestors in poems such as "elegy(挽詩)," which deals with eternal separation and longing. Furthermore, his writings on education for his children in "Xunzi Yaoyu" reveal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emphasizing respect for individuals with high moral character, and providing himself as an example for his children to emulate in their own political endeavors. His confessions of regret and self-reflection in his poetry reveal his sincere introspection and self-examination, which is the hallmark of his poetry. Through this type of poetry, he candidly expresses his emotions and reflects on his own shortcomings and the futility of worldly affairs, reminiscent of the psalms written in the Book of Psalms. In other words, he speaks frankly, confessing his regrets about his life, and in doing so, demonstrates a sincere and honest attitude toward self-reflec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he faithfully practiced Confucius' spirit of "poetry" and "literary" by enhancing the delivery power and pursuing sincerity with plain expression. 이 논문은 17세기 말 기호 사림의 중심에서 활동하던 芝湖 李選(1632~1692)의 삶과 사유가 담긴 詩를 중심으로 문학적 표출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선이 활발한 정치 활동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의 가문뿐만 아니라 사승 관계에 있던 스승의 영향과 종신토록 정치적 궤를 함께하여 제자의 의리를 지킨 이선의 삶이 자리잡고 있다. 그는 성정에 뿌리를 두고 화려한 수식 없이 평이한 문체로 진정성을 담은 문학에 가치를 두었다. 이선이 시세계를 통해 보여준 문학적 성취는 다정다감한 所懷를 진솔하게 표출한 부친에 대한 그리움과 헤어짐을 소재로 한 이별시, 만시는 수식보다 절제한 감정을 응축하여 시에 담아 표현하였다. 또 자식들에게 남긴 훈계의 글 <訓子要語>에서 立志를 공고히 하여 절의를 중시한 역사의식을 고취하였으며 의리와 충렬의 행적이 높은 인물들을 존숭하며 훗날 자신의 정치 활동에 본보기로 삼아 이들의 절의관을 시로 남겼다. 한편 만년에 유배지에서 쓴 시에는 삶의 悔恨과 自警의 獨白으로 내면의 심정을 담담하게 고백하는 자기반성의 태도가 관찰되었다. 시에 드러나는 이선은 당대의 정쟁에 몰두한 인물이 아니라 인간적 소회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줄 아는 인물이었다. <松江歌辭>의 발문을 통해 문학을 대하는 이선의 생각은 성정에 뿌리를 두고 화려한 수식 없이 평이한 문체로 진정성을 담은 문학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그러한 자만이 사람 됨됨이를 알 수 있고 진실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한글 가사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진정성을 담보로 그 진심이 사람들에게 오롯이 전달되어야 함을 중요하게 여긴 그의 문학적 사유를 짐작하게 한다. 그의 시는 당대의 성리학적 사유나 문학적 수식의 측면에서 특별한 성취를 논하기는 어려우나, 평이한 표현으로 전달력을 높이고 진정성을 추구하여 공자의 ‘詩言志’와 ‘文質彬彬’ 의 정신을 충실히 실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