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사강제조치의 사회위해성 해석에 관한 논의

        네유룬 ( Nei-youlun ),박상식 ( Park Sang-si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3

        범죄 피의자나 피고인에 대한 ‘사회위해성’ 평가 및 인정은 형사강제조치가 얼마나 올바르게 적용되는 지 여부가 핵심이다. 하지만 전체 법전에서 정의하는‘사회위해성’에 대한 설명은 대체적으로 3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념적인 불일치로 법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불확실성, 더 나아가 오류를 초래하기 쉬우므로 결국은 법적 권위의 실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사기관이 강제조치를 실시하는 목적은 사회질서 유지 및 피의자나 피고인의 재범의 방지를 위함이 아니라, 형사소송절차가 정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데 있다. 단지 피의자나 피고인이‘사회위해성’혹은‘인신위해성’의 정도가 높다고 해서 이에 대해 형사강제조치를 취하는 것 자체는 제도의 목적과 범위를 벗어나는 비합리적인 행위이다. 상이한 형사강제조치의 설정은 마땅히 소송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그 기준이 되어야 한다. 만일 그 기준이‘사회위해성’으로 대체될 경우, 강제조치의 적용 목적이‘소송 보장’에서‘사회방위’로 바뀌는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법질서의 보호라는 측면에 볼 때, 형사소송단계의 사회적 방위 임무는 형사강제조치가 아닌 보안처분에 맡겨야 한다. 보안처분의 목적은‘인신위해성’또는‘사회위해성’의 잠재적 범죄자에 대한 권리행사를 제한을 통한 사회적 안전을 보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현행 중국형사소송법 안에서 ‘사회위해성’에 대해 강제조치를 취하는 규제의 목적과 조건상의 일치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강제조치 가운데서 이 목적에 관련된 상황을 분리하여, 이에 상응하는 보안처분제도를 구축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 단계의 중국법에서는 보안처분에 대한 법적 규정이 매우 분산되어 있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안처분을 형법에 규정하거나 새로운 법을 제정하여 현존하는 보안처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즉, 보안처분의 조건에는 객관적으로 행위자가 이미 사회에 가한 위해행위와 주관적으로 행위자의 인격 소양 또는 생활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재범의 가능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범죄 피의자나 피고인에 대해서는‘범죄사실을 입증하는 증거’가 있고 동시에 재범의 위험성이 있을 때 보안처분을 통한 신체의 자유를 제한하여야 한다. 이렇게 될 때 형사소송보장과 사회적 방위조치와의 경계선을 명확하게 하게 되어 목적에 부합하는 형사강제조치의 제도시스템을 완벽히 형성할 수 있다고 본다. The criminal procedure law of the social risk as a legal concept is introduced, the criminal suspect or defendant criminal coercive measures of social risk assessment and is able to correctly apply the core part of, but in the entire code "risk society" this statement has three different meanings, suitable for different situation. The inconsistencies of legal concepts and meanings can easily lead to ambiguity and even errors i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aw, and finally affect the realization of legal authority.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ulsory measures aimed to eliminate the criminal suspect or defendant sabotage of litigation, in order to ensure the normal conduct of criminal procedure, rather than defend society from other possible danger, only because of the criminal suspect or defendant "risk society" or "personal" dangerous work on the criminal compulsory measures is beyond the scope of system and unreasonable. The setting of different criminal compulsory measures should b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hindering litigation. When the standard is replaced by social danger, the purpose of the compulsory measures will be biased from "litigation protection" to "defense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alization of legal order, the task of social defense in the criminal procedure stage should be a<sub>c</sub>ccomplished by security measures rather than criminal compulsory measures. Security measure is based on the purpose of a "personal risk" or "risk society" the actor was restricted rights, realize the specific pre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defending social security, it has to do with the current compulsory measures in criminal procedure law about the risks of social regulation has a purpose and on the condition of consistency, compulsory measures shall be for the purpose of the situation, build system of the corresponding security measures shall be applicable. But because of security law in our country at present stage is very scattered, no system of system, the author proposed to security disciplinary measures stipulated in the criminal law or for a single or a new amendment of criminal law, criminal law system to make provision for security system, security of existing system of punishment measures included in the system. To be specific, the applicable condition of security measure including objectively the offender has implemented a social behavior, subjective behavior person based on their personality or the living environment, and fully show that it has once again the possibility of illegal and criminal behavior, for the criminal suspect or defendant, once has the "evidence of criminal facts", and to prove its likely committing the behavior again, then to security disciplinary measures to restrict the personal freedom. Only in this way can the status of criminal coercive measures as procedural safeguard measures be clearly defined, the boundary between procedural safeguard and social defense measures be clarified, and a perfect and purposeful system of criminal coercive measures be formed.

      • KCI등재

        선거후보자 경호경비대책의 발전방안

        조성구(Jo, Sung Gu),김태민(Kim, Tae Mi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민주주의사회에서 정치인들은 선거제도를 통해 선출되고,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국민을 대변하게 된다. 이러한 중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 및 테러는 사회가 흉악해지고 전문화됨에 따라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주목받고 있다. 특히 선거후보자에 대한 경호경비대책은 법제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일부에서는 경비업체를 활용하는 형편이고, 대부분의 경우는 지인들을 대동하거나 또는 개인 비서관에 의한 수행에 준하는 최저 수준의 신변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호경비대책은 경호대상자에 대한 기본적 신변보호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없으며, 나아가 선거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후보자에게 제공되는 경호경비대책과 관련하여 잠재적으로 상존하는 테러리즘 대응을 위해 경호기법과 경호조직 운용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호기법 운용상 유권자 표심확보라는 선거경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호대형을 형성하고 근접경호 시 전문적 경호기법을 적용시켜야만 한다. 연단경호는 기만경호를 활용하고, 경호차량을 운용하여 성격에 적합한 경호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은밀경호의 원칙에 입각해 언론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경호조직 운용상 근본적으로 경호조직이 편성되어야 하고, 지휘단일성 및 체계통일성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경호조직원 간 상호신뢰 및 협력성이 요구되며, 경호조직은 최상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In a democratic society, politicians are selected via the electoral system and represent people by gathering the people's interests and influencing national policy making. Despite the importance of politicians as such, crimes and terrorism against them, which draw a public attention as a serious matter, are becoming more brutal and specialized. Especially, it is not legally stabilized to systemize a security service for candidates of local elections and security measures for them. Some candidates hire a private security service, while the others employ acquaintances and private secretaries, who only cover minimum extend of the protection. This kind of measures can't guarantee a security of the recipient, and the election based on the democracy can be damaged. Therefore, the study herewith will provide problems of crimes and terrorism which are potentially laid on politicians with regard to security measures at elections and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ecurity technique, considering an election security characteristics to secure votes of electors, security management measures make security formation and have to apply professional security way when they guard closely. To get efficiency, a stage security uses a deception security and a car security uses cars for security so that it has to utilize an appropriate way of security. Moreover, media exposure should be minimized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secret security. Managing security, security measures put a systematic security organization which is applied with a direct unicity and the principle of system unity. Also that needs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members of security organization and secures the best professionalism.

      • KCI등재

        정보보안기술 사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상훈,이갑수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4

        Although three type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technical, physical and managerial ones) are all together critical to maintaining information security in the organizations and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oretical basi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managerial security measures. The rationale behind this research objective i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perform the managerial security measures to achieve the target performance level of the technical and the physical security measures because main agents of practicing the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in the organizations are staff members even though the technical and the physical ones are well constructed and implemented.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d propose the theoretical model applicable to providing the way of improving organizational members’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since the very intention to use them is essential to effectively establishing and promoting managerial security measur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actors critical to influencing upon the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are derived through systematically reviewing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nd the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proposed by logically reasoning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 these factors. Also, the empirical analyses are performed by conducting the survey of the organization members of domestic large companies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PLS (Partial Least Squares) method.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esearch area of managerial information security and can be applied to suggesting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effectivel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managerial security measures in various organizations. 조직의 정보보안을 위해서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보안(기술적, 물리적 및 관리적 보안) 모두가중요하며 병행 추진되어야 할 것이지만, 본 연구는 관리적 보안대책의 수립 및 추진의 효과성을보다 높이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는데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즉, 기술적 및 물리적보안대책이 철저하게 정비되고 추진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준수하고 실행하는 주체는 결국조직구성원들이므로 기술적 및 물리적 보안대책이 소기의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에 부응한관리적 보안대책이 균형 있게 추진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관리적 보안을 보다 효과적으로수행할 수 있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관리적 보안대책의 수립․추진의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는조직구성원들의 정보보안기술 사용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 시에 적용될 수 있는이론적 모형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보안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을 주요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도출하고 이들 간의 인과적관계를 논리적으로 추론함으로써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국내대기업들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현장서베이를 통한 자료수집을 하였고 부분최소자승법(PLS: Partial Least Squares)기법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한결과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관리적 정보보안 분야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보며,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제반 조직들이 관리적 정보보안 방안 및 대책 수립을 함에 있어서업무지침의 일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범죄 취약성의 다면성과 형사법적 대응

        소병도 연세법학회 2022 연세법학 Vol.39 No.-

        Criminal vulnerabilities include absolute vulnerabilities, which are objective characteristics people have such as physical immaturity, disability, and pathological conditions, as well as relative vulnerabilities resulting from physical superiority, psychological attributes, economic status, and legal status in relation to others. Relative vulnerabilit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one-time relationship and continuous relationship vulnerability. The response to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has centered on the imposition of heavy punishment and security measures through special laws that address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and laws related to security measures. This approach is problematic in two respect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sanctions, issuing a heavy punishment is not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because it confuses criminal vulnerability and the socially weak's characteristics and does not recognize the multifaceted nature of vulnerability and the possibility that victims may have multiple vulnerabilitie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 long sentences and various security measures were applied multiple times without confirming their own justification and special justification as a means of responding to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Aggravated punishment itself is difficult to justify, and it is difficult to justify even when used for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because the provisions on a crime against the vulnerable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riminal Act and also because security measures or other expedients may be more effective. Security measures, however, have their own justification because they have a purpose distinct from punishment, and they are justified even if they are combined with punishment because of the great damage and sustainability of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If several security measures are imposed together, they are justified if the detailed purpose of each security measure is confirmed. As a response to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there are “separate security measures” to separate victims from perpetrators, “criminal tendency reduction security measures” to reduce the perpetrator's criminal tendency, and “instrumental security measures”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ecurity measures. At the same time, “separation expedient” by police officers is requested to fill the time difference between separate security measures that require a court sentence and perpetrator's attacks. Since the damage caused by crimes against people with absolute vulnerability can be great, the perpetrator is likely to have a psychological problem, and if it is not a relationship-based crime, a response centered on security measures to reduce criminal propensity is required. With regard to crimes against people with relative vulnerability that occur in a one-time relationship, separation expedients closer to the attack are important becau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contact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is low. Crimes against people with relative vulnerability that occur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are highly likely to recur or continue because of ongoing contact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This is the most dangerous category in terms of risk of recurrence, so separation expedients should be applied in the short term, and separate security measures should be applied in the long term. The two countermeasures must be continuous in relation to the victim. Most importantly, separate security measures, separation expedients, and criminal tendency reduction security measures suitable to address the vulnerability of a victim must be used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and security measures imposed should be guaranteed by instrumental security measures. 범죄 취약성에는 신체적 미숙, 장애, 병적인 상태인 사람들이 가지는 객관적 성질인 절대적 취약성과 상대방과의 관계에 기반하여 신체・심리・경제・법률 등의 우열에 따른 상대적 취약성이 있다. 상대적 취약성은 다시 일회적 관계와 계속적 관계의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취약성 범죄의 대응은 취약자별 특별법과 보안처분 법률을 통해 다량의 가중처벌과 보안처분을 부과하는 중벌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대응은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첫째, 제재의 실효성 측면에서, 범죄 취약성과 사회적 약자성을 혼동하거나 취약성의 다면성과 취약성의 중첩 보유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합한 대응수단이 아닌 단순한 중벌화를 통해 대응해왔다. 둘째, 과잉금지 원칙의 측면에서, 높은 형량과 다양한 보안처분들의 자체적 정당성과 취약자 범죄의 대응수단으로서의 특수한 정당성을 확인하지 않고 중복적용 하였다. 가중처벌은 그 자체로도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고, 취약성 범죄에 활용되는 경우에도 「형법」 내에서 다루어질 당위성과 보안처분이나 다른 조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하지만 보안처분은 형벌과 구별되는 목적 때문에 그 자체로도, 취약성 범죄의 큰 피해와 지속 가능성 때문에 형벌에 병과되는 경우에, 보안처분의 세부 목적이 확인된다는 전제하에 복수의 보안처분이 부과되는 경우에도 정당성이 인정된다. 취약성 범죄의 대응으로써 피해자와 가해자의 분리를 위한 ‘분리 보안처분’, 가해자의 범죄성을 개선하기 위한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 이 보안처분들의 이행 담보를 위한 ‘수단적 보안처분’이 있다. 한편 법원의 선고가 필요한 분리 보안처분과 공격행위와의 시간적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찰관의 분리조치가 요청된다. 절대적 취약성 범죄의 피해는 클 수 있고, 범죄인은 기질적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관계 기반 범죄가 아니기 때문에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 중심의 대응이 필요하다. 일회적 관계의 상대적 취약성 범죄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재접촉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공격행위와 시간적으로 밀접한 분리조치가 중요하고, 계속적 관계의 상대적 취약성 범죄에서는 재접촉에 따른 범죄의 재발・지속 가능성이 높아 재범 실현의 측면에서 가장 위험한 범주이기 때문에 분리에 초점을 두고 단기적으로는 분리조치가, 장기적으로는 분리 보안처분이 피해자의 체감상 연속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명의 피해자가 가진 개별 취약성에 적합한 분리 보안처분, 분리조치,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활용되어야 하고, 수단적 보안처분에 의한 이행 보장이 필요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규모 행사시 민간안전보안관리 개선방안 :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박세선,정성배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19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8 No.-

        본 연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안전대책을 중심으로 민간안전보안 인력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통하여 국제행사시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효율적인 안전대책 구축방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야의 경험적인 연구기반을 마련하고 국제행사의 안전 활 동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안전보안 관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국제 행사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안전대책을 통한 업무 수행시 법적 통제권한 부여 및 안전 활동 범위의 기준 정립 이 필요하다. 안전통제 불응시 초동대처를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관련 법령의 법안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안전요원 채용시 전문성 검증 및 체계적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과 인력의 전문성 검증절차가 필요하다. 국제행사시 민간안전보안 인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참여 에 의한 실무보안교육을 받을 수 있는 민간경비업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민간안전보안 인력의 운영을 위한 예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민간안전보안 인 력의 근무환경 규모에 맞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safety measures for private and public expenses in international events throug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private security security manpower centering on the safety measures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activities in international ev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Paralympic Safety Security officials to analyze the problems during the international event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scope of granting legal control and scope of safety activities when carrying out work through safety measures. Immediate measures to cope with safety control failures should be taken immediately, and amendments to the laws of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are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professionalism in the employment of security personnel,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verify the professionalism of the workforce. In order to utilize private safety security personnel at international events, the private security business law should be revised to receive practical security education through practical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for the operation of private security security personnel and build an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work environment of civil security security personnel.

      • KCI등재

        An Ex Ante Evaluation Method for Assessing a Government Enforced Security Measure

        심우현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4

        In order to ensure that all firms are cyber-secure, many governments have started to enforc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ecurity measures on firm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vague whether government enforced security measures will be effective for mitigating cyber-security risks. By applying a method for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a mandatory seatbelt law in reducing fatalities from motor vehicle accidents, this study develops an ex ante evaluation method that can approximate the effectiveness of a government enforced security measure in reducing country-wide or industry-wide cyber-security risks.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this study then explores how to employ the developed metho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specific security measure in mitigating cyber-security risks, if enforced by the government, and compare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security measures. The comparison shows that compulsory security training has the highest effectiveness.

      • KCI등재

        대북 제재 조치와 WTO/FTA 안보예외 조항의 합치성에 관한 연구

        유지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5 No.2

        While commercial sanctions are generally prohibited in the WTO, sanction measures under limited emergency circumstances subjected to the security exceptions provisions can be consistent in the world trading system. The recently authorized UN economic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is automatically justified under clause (c) of WTO security exceptions. Secondary sanction measures unilaterally reviewed by individual states, however, may and may not be consistent with WTO/FTA security exceptions provisions. The previous literature acknowledges that trade environment has changed over the course of history to the extent that now trade interests often overwhelm political justifications of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economic sanction measures. Nevertheless, the efforts to clarify the standards for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security exceptions provisions have been absent in the WTO and the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concerns on changes in the language of security exceptions provisions especially in the US-led FTAs, which may aggravate the existing ambiguity problem. This research analytically studies the consistency problem especially of extraterritorially applicable US’ secondary sanction measures against North Korea with WTO/FTA security exceptions, in order to examine potential trade conflicts as well as to critically evaluate the current system on trade and security. 국제통상체제에서 상업적인 목적의 제재 조치는 일반적으로 금지된 데에 반해, 정치적인 목적을 위한 경제제재 조치는 안보예외 조항을 통해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최근 결의된 UN 결의안 2270 호의대북제재조치는WTO 안보예외조항(c)항에따라그적법성이인정된다. 하지만본다자 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개별 국가들이 단독으로 시행하고자 검토하는 2차 제재 조치들도 모두 WTO/FTA 안보예외 조항에 합치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과거 냉전시대에는 GATT체제의 정치 화로관련분쟁사건들이제대로된판례없이종결됨에따라, 안보예외조항의해석원칙들이명확 화 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냉전이 종식된 이후, 변화한 지금의 통상 환경에서 특히 미국주도의 FTA 를 통해 발전한 안보예외 조항은 ‘예외’ 조항이라는 성격이 무색할 만큼 조치의 허용 요건이 더욱 모 호해져통상갈등을심화시킬우려가있음을기존연구가조심스럽게다루고있다. 이에따라, 본연 구는 WTO와 FTA에서 발전해 온 안보예외 조항과 이번 대북 2차 제재 조치의 합치성에 대한 분 석을 통해 현재 무역과 안보를 위한 규범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부각시키고 그에 따른 시 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해양안보환경과 해양신뢰구축에서 한국의 역할

        박성용,김창희 한국동북아학회 2015 한국동북아논총 Vol.20 No.3

        Northeast Asia is one of the most dynamic regions in the world.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the regional order rooted the bipolar confrontation was sustained by the American unipolarity. With the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rise of China, however,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has become intricate. In the region where the maritime dimension is strongly influential, the sea takes a vital role to the economy and security of each state but then is a factor to expand strategic uncertainty. The significance of the maritime dimension in Northeast Asia underpins the need of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among regional states for the ultimat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cooperation can be exerted by enhancing trust among the states. Trust building is likely to provide the chance to adjust feuds and to raise the reciprocal comprehension. In this context, South Korea has to take a proactive posture to plan and carry out the maritim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pplicable to the region. For South Korea as a middle and maritime power, maritim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mplies the practical means that it can make a contribution to regional security and realize its national interes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ritim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South Korea has to pursue in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research foundation for South Korea’s role of enhancing trust in Northeast Asian security. To this end, the theoretic discourse on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its incarnation in the maritime dimension will be scrutinized. Then, the study will illustrate the antagonistic aspect of Northeast Asian maritime security as well as the following active maritime strategy of each major regional participant. Based on these explorations, the requirement of maritim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the region, the necessity of Korean intervention and role, and the details of the maritime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South Korea has to give priority to will be argued. 동북아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 중 하나이다. 냉전종식 후 대립구도가 무너지면서 미국 중심의 단극체제가 유지되기도 하였으나, 중국의 정치‧군사‧외교력의 확대로 동북아의 안보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동북아 지역은 해양적 특성이 강한 곳으로, 해양은 각 국가의 경제와 안보의 중요한 요소로 전략적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동북아에서 근본적 안보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역내 국가들 간 해양안보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역내 국가 상호간 신뢰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신뢰구축은 갈등을 조정하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결국 동북아 해양안보 및 더 나아가 동북아 전반적 질서 안정을 위한 토대로서 역할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적극적이며 주도적으로 해양신뢰구축조치를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중견국이자 해양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있어 해양신뢰구축조치는 지역안보에 기여함과 동시에 국익을 실현하는 수단인 것이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안보체제에서 신뢰증진을 위한 한국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를 정립하는 차원에서 한국이 추진해야할 해양신뢰구축조치를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연구의 기본적 토대를 위해 신뢰구축조치와 해양신뢰구축조치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피고 현 동북아 해양안보의 대립적 양상과 각국의 적극적 해양전략을 알아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에서 해양신뢰구축조치의 필요성과 한국의 역할 당위성 및 가능성을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이 추진해야할 주요 해양신뢰구축조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Counter Strategies and Policy Agenda of Private Security against New Terrorism

        박동균,조성제,승재현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2

        Unlike terrorism in the past, new terrorism does not have any form or battle line and it softens the targets by targeting civilians. As terrorist targets are changing to soft targets such as public facilities, it is crucial for police or local government, which are closest to citizen’s life, to take measures for terrorism prevention. In addition,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guards is very important as they are allocated to the field such as buildings or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tendency in Korea to regard private security at much lower level than public security, playing secondary roles. This perception becomes problems in maximizing the capacity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and counter-terrorism. Recently, police and various organizations in private sector have engaged in so-called cooperative security to prevent different types of crimes and made several achievement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n dealing with new terrorism more efficiently. This research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strategies of private security in order to respond to new terrorism efficiently and proactively. First,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in New York provided a motivation for not only the U. S. but also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 K. to strengthen the system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private security. In responding to terrorism, police and private security have a number of advantages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mutual cooper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unter-terrorism activities is training of human resources with potentials to make them highly professional. The training system for private secur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capacity to respond to new terrorism. In addition, certain degree of specialization should be obtained by introducing license system for security guards engaging in anti-terrorism missions. The qualifications of security guards should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based on their tasks Third, the public security should not be relied on for safety management of various local festivals and events with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 large portion of safety management should be transferred to private security. Fourth, there should be thorough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terror, which is used as a means of new terrorism. Lastly, anti-terrorism measures should not be participated by police, military or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nly. Anti-terrorism measures 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whol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 is also crucial.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capacity of private security is rapidly increasing, private security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tor, capable of resolving problems, in national counter-terrorism policy.

      • KCI등재

        Counter Strategies and Policy Agenda of Private Security against New Terrorism

        Park, Dong-Kyun,Cho, Sung-Je,Soung, Jea-Hyen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2

        테러의 안전지대는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 어떤 국가나 공동체 그리고 개인도 완벽하게 테러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한국도 미국의 우방국으로서 미국 관련시설이 다수인 점 등으로 인해 테러 가능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한국도 이제 국제테러 단체의 위협에서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즉, 21세기 국가위기환경은 변화가 빠르고 유동적이면서 국가안보위협의 유형과 주체가 다양해지고, 그 결과 위협의 진단과 대처가 과거에 비해 훨씬 큰 불확실성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폭력에 의하여 인간의 고귀한 생명과 그들이 가진 재산을 송두리째 파괴하는 테러리즘은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기술발전과 맞물리면서 이 세상 거의 모든 국가나 공동체 그리고 개인이 테러리즘으로부터 안심할 수 없는 잠재적 공격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과거와는 양상이 다른 뉴테러리즘 시대에 있어서 테러의 형태는 보이지도 않고 전선도 없으며,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성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테러대상이 다중이용시설 등의 소프트 타깃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대테러 예방대책은 물론이고 각종 시설 등 현장에 배치되어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 역할이 중대하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민간경비를 공경비 보다 한참 아래에 있는 보조적 역할에 그치는 존재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점은 국가 위기관리 및 테러대응 역량 극대화에도 많은 문제점으로 존재한다. 최근에 각종 범죄를 예방하는 데에서도 협력치안이라고 하여 경찰 및 민간부문의 다양한 단체들이 협력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뉴테러리즘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뉴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민간경비의 정책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2001년 9.11 테러는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경찰과 민간경비가 안전을 위한 상호 협력 체제를 강화하게 되었다. 테러대응을 위해 경찰과 민간경비의 다양한 협력방안 프로그램을 통해서 민간경비와 경찰은 테러대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둘째, 뉴테러리즘에 대응하기 위한 대테러정책 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적인 자질을 갖춘 인력양성이다. 뉴테러리즘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민간경비 교육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대테러업무를 수행하는 경비원 자격제도 도입하여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며, 경비원 자격은 직무에 따라 다양화되어 각 세부 직무별로 전문화되어야 한다. 셋째, 대규모 시민들이 참여하는 각종 지역축제 및 이벤트 행사 등 안전관리 및 경비는 공경비를 지양하고, 민간경비로 대폭 이관되어야 한다. 넷째, 뉴테러리즘의 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사이버 테러(cyber terror)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뉴테러리즘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경비의 정책과제를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테러에 대한 대비는 단지 민간경비나 경찰, 군 등 어느 하나의 역할만이 아닌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테러에 대한 대비는 전국가적인 책임이고, 아울러 국제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특히, 민간경비의 역량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상황에서 민간경비를 문제해결 능력을 하진 대테러 정책에서 하나의 중요한 주체로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Unlike terrorism in the past, new terrorism does not have any form or battle line and it softens the targets by targeting civilians. As terrorist targets are changing to soft targets such as public facilities, it is crucial for police or local government, which are closest to citizen’s life, to take measures for terrorism prevention. In addition,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guards is very important as they are allocated to the field such as buildings or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tendency in Korea to regard private security at much lower level than public security, playing secondary roles. This perception becomes problems in maximizing the capacity for national crisis management and counter-terrorism. Recently, police and various organizations in private sector have engaged in so-called cooperative security to prevent different types of crimes and made several achievement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n dealing with new terrorism more efficiently. This research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strategies of private security in order to respond to new terrorism efficiently and proactively. First,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in New York provided a motivation for not only the U. S. but also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 K. to strengthen the system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private security. In responding to terrorism, police and private security have a number of advantages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mutual cooper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unter-terrorism activities is training of human resources with potentials to make them highly professional. The training system for private security should b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capacity to respond to new terrorism. In addition, certain degree of specialization should be obtained by introducing license system for security guards engaging in anti-terrorism missions. The qualifications of security guards should b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based on their tasks Third, the public security should not be relied on for safety management of various local festivals and events with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 large portion of safety management should be transferred to private security. Fourth, there should be thorough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terror, which is used as a means of new terrorism. Lastly, anti-terrorism measures should not be participated by police, military or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nly. Anti-terrorism measures are the responsibility of the whole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 is also crucial.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capacity of private security is rapidly increasing, private security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tor, capable of resolving problems, in national counter-terrorism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