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代 王京道路와 幹線道路에 대한 一考察

        朴 晸 煥(Jung-hwan, Park) 부산고고학회 2011 고고광장 Vol.- No.9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 도로. 사람들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도로를 만들었다. 사람들이 왕래하기 위해, 재화나 용역을 운반하기 위해 도로가 건설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도로는 삼국시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했고, 삼국통일기, 고려, 조선에 걸쳐 사용된 도로도 존재할만큼 강한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고고학적으로 각 지역간 생산과 분배, 유통 등 경제적, 문화적, 군사적으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고대도로에 대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등한시 되어왔던 것이 현실이다. 또 과거 발굴의 경우 도로유구를 다른 유구로 오인, 보고한 경우도 많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2000년 이후 도로에 대한 인식 형성과 발굴조사의 폭발적 증가에 따른 자료의 누적으로 영남지역에서 도로로 확인된 유구도 다수 조사되었고 자료를 정리할 여건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고 생각된다. 이에 삼국 왕경도로와 영남지역 간선도로를 비교검토, 고대 도로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디려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relations of the Three Kingdom Road and principal Road. Also this article’s purpose is making clear the difference and concomitant feature of the Three Kingdom Road and principal Road. Mankind constructed a road for carrying goods and service in the remote past. People made Genuine roads since Three Kingdom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has strong continuities from Three Kingdom period to unified Silla, to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lthough archaeologically study of ancient roads is very important in business exchanges, cultural interchange, military objective, researchers have neglected study of ancient roads on account of a lack of resources. In any case, width’s average of the Three Kingdom Road is 13.99m, but principal Road is 5-6m size. The Three Kingdom Road is three times wider than principal Road. The width of drains in the Three Kingdom Road is averagely each 94.17cm, but principal Road has each 66-73.2cm’s drains. This shows middle road of the Three Kingdom Road(Three Kingdom Road have divided into three types : main street, middle road, narrow path) is equal in width of principal Road. It means that principal Road’s width was designed a size of middle road of the Three Kingdom Road. The width of wagon wheel on the Three Kingdom Road is averagely 1.23m, but the width of wagon wheel on principal Road gets 1.85m as average. It shows that the Three Kingdom Road’s cart loads a few supplies, but principal Road’s wagon loads more goods. Anyway research for ancient roads, It’s about to start. Division problem for the Three Kingdoms and debate of the Three Kingdom’s sacle is very important, researchers for the Three Kingdoms and ancient roads must take a profound interest in it

      • KCI등재

        삼국 · 통일신라시대 도로축조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

        박정환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중앙고고연구 Vol.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통일신라시대 도로망의 부분적 복원에 있다. 경남이라는 지역성을 띤 이 유는 도로의 발굴사례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23개 유적 33개 도로(40개 구간)들이 조사 되었다. 도로를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지형과 지질이었다. 지형과 도로단면 형태에 따라 경사가 심 한 구릉 도로(Ⅰ형),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Ⅱ형), 평지 도로(Ⅲ형), 저지 도로(Ⅳ형), 수레바퀴흔 만 잔존한 도로(기타)의 5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Ⅱ형)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며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는 빈도가 늘어났으나 평지 도로와 저지 도로는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 아마 홍수나 폭우로 인한 도로의 유실, 잦은 개보수의 문제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폭에 따른 분류에서는 도로를 수레바퀴 사이 간격인 윤거 평균값 1.95m와 측구 평균값 0.18/ m(측구폭/노폭), 도수분포, 척도인 고구려척과 당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레 한대가 다닐 수 있는 소로, 수레 한·두 대가 다닐 수 있는 중로, 수레 두 대가 교행할 수 있는 대로로 나눴다. 시간 에 따라 소로(35%→30.8%), 중로(15%→38.5%), 대로(35%→23.1%)의 변화상을 보이는데, 중로 가 배 이상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로를 쓰임에 따라 간선도로 12개소, 지방도 8개소, 특정 생산시설과 관련된 도로 4개소 등 7가 지로 세분하였다. 이 중 수도와 지역거점, 거점과 거점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 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며 간선도로가 배 이상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신라의 삼국 통일로 중 앙집권화가 강화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더불어 이를 종합해 간선도로는 중·대로가 가장 많고 지방도는 소로가 많음을 밝혀냈다. 또한 총 14곳 18개 도로가 집중된 울산지역을 분석해 타 지역보다 도로망이 발달한 이유를 강과 바다가 만나 문물의 수출입에 유리한 점, 경주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자원이 풍부한 점 등 세 가지 로 추론하였으며, 당시 경주↔울산간 간선도로는 경주↔외동↔울산축선임을 알아내었다. 이와 더불어 대구·경북지역 24개 도로를 경남지역(33개소)과 비교해 삼국시대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소형 지방도의 비중이 높고, 통일신라시대 대구·경북지역에서는 경사가 약한 구릉에 소형의 지방 도를 가장 많이 조성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구·경북지역 도로들은 금호강, 동천쪽으로 난 길들이 11개소나 조사됐는데, 이는 낙동강수계와 연결되는 육상↔수상 복합교통망의 존재를 상정 할 수 있는 발굴결과라 하겠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road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fied Silla Era. This article's purpose is to clear the difference and concomitant feature of the road of 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ed Silla Era. The road is constructed to carry goods and service in the remote past. The genuine road is made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t has strong continuiti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Although archaeological studying of ancient road is very important in business exchanges, cultural interchanges, military objectives, researchers have neglected studying of ancient road on account of the lack of resources. In any case, when a road was built, the most things were geographical features. People made suitable road topographically. I have classified the 5 road types in landform, 3 road types in width, 7 road types in use. I also find out that principal road size was middle or big, region road size was small. Even the width average of the ree Kingdoms road is 13.99m, the principal road is 4~7.75m. The Three Kingdoms road is two or three times wider than principal road. It shows that small road of the Three Kingdoms(The Three Kingdoms road have divided into three types : main street, middle road, narrow path) is equal in width of principal road. It means that principal road width was designed a size of small road of the Three Kingdoms road. The width of wagon wheel on principal road gets 1.95m as average. It shows that principal road wagon can load more goods. Any research on the ancient roads, it is about to start. The division problem of the Three Kingdoms and debate of the Three Kingdoms scale is very important. The researchers of the Three Kingdoms and ancient roads should take a profound interest in it.

      • KCI등재

        백제 도성도로와 지방도로의 비교

        이용욱 중앙문화재연구원 2020 중앙고고연구 Vol.0 No.33

        Studies on Baekje roads had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capital region of Baekje. Thus, this article included the roads in rural areas; moreover, the present work perform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For the study metho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struction method , track width, and width of the road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onfirm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For a general characteristic of roads in Baekj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ground surface as it is (II) was mainly used compared to the method of creating the road by excavating the ground surface (I).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ital as well as rural areas complied with the guidance of “Zhouli Kaogongji” a record of Jurye’s government organization. Meanwhile, the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with their road width and construction method. Width of a road was regulated by “Zhouli Kaogongji” based on the status of regions, which also corresponded with the contents of the record. In particula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method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rainage systembetween the capitalroads and ruralroads, confirming tha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hierarchies. 백제 도로유구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10년대가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도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방에서 확인된 도로유구와 최근 조사된 도로유구를 포함하여, 도성과 지방 간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로의 축조공법(築造工法)·궤폭(軌幅)·노폭(路幅)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도성과 지방 간의 유사성과 함께 상이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도로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지면을 굴착하여 조성한 방식(Ⅰ)보다 지면 그대로를 이용한 방식(Ⅱ)이 주로 사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성과 지방 모두 궤폭과 노폭에서 『周禮考工記』의지침을 준수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周禮考工記』에 따르면 승거(乘車)의 규모가 궤폭 6척 6촌, 수레너비 8척으로 명시되어 있는데, 고고학 자료에 분석을 통해 이를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제후국은 노폭 7궤를 넘기지 못한다 하였는데, 노폭에 대한 분석결과 7궤가 넘는 도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도성과 지방도로는 노폭과 축조공법에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노폭의 경우 『周禮考工記』에서 지역의 위상에 따라 노폭을 규제하였다 하였는데, 이는 분석한 내용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도성과 지방도로는 축조공법에서 확연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축조공법은 지면변형과 성토 유무에 따라굴착(Ⅰa), 굴착성토(Ⅰb), 지면활용(Ⅱa), 성토노체(Ⅱb)의 4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였는데, 시기의변화보다 지역별 차이가 큼이 확인되었다. 먼저 도성에서는 성토노체(Ⅱb) 공법이 다수 확인된 반면지방에서는 성토노체(Ⅱb) 공법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고, 비교적 굴착(Ⅰa) 공법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러나 도성에서는 굴착(Ⅰa) 공법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도성도로와 지방도로간에는 배수시설 등에서도 차이를 보여, 지역과 위계에 따른 여러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영상분할 기반 직선 이면도로의 소방차 통행 가능성 판단

        금성현,정임영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0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Fire Agency reveals that, over the past five years, fire trucks have arrived within the critical "golden time" in only average 60% of instances. The complex road topography of South Korea with a high proportion of narrow roads less than 12m in Seoul,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prompt arrival of these fire trucks. Further compounding the issue, a myriad of obstacles, such as legally or illicitly constructed structures, along with improperly parked or stationary vehicles, often obstruct the path of the fire trucks. In an effort to secure fire road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crack down on illegal parking. There are various ways to control illegal parking, such as how to detect lanes, how to patrol illegal parking, and how to monitor cctv, but there is still difficulty in cracking down on narrow roads without lanes or where it is hard to patrol.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analyzing front road images taken with cameras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lane or not to estimate the actual width of the road that can be passed in case of emergency dispatch.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stimated error of 5.5m to 7m in the flat straight road was within 5cm, and the estimated error of 6m to 7m in the slope road was within 15cm, and the width of the road was measured with an error of 1-2% compared to the actual width.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practicality and usability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width of the front road using daily devices such as personal portable cameras or smartphones, it will help to quickly respond to urgent situations or secure fire roads for safety at all times.

      • KCI등재

        도시부 도로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 분석을 통한 곡선부 차로폭 연구

        이영우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2

        In this study, estimated the minimum lane width for the curved section by analyzing of lateral sway distance and compared the lane width for result of this study and a precedent study for straight section on urban roads. Then suggested minimum lane width of road alignments and vehicle classes. The lane width of curved section that was investigated was 2.79m~3.40m. Analysis of frequency distribute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for lateral sway distance on the basis of 85% of the suggested vehicles. The result of study, minimum lane width for the curved section was 2.31m~2.58m in the case of small size car and 2.80m~3.27m in the case of large size car. Result of this study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ase for introduction of green transit, during road construction and construct a road for small size car. Expect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application of flexible design standard according the purpose of road designer.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도로의 곡선구간에서 주행차량의 횡방향 이격량을 분석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최소 소요차로폭을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직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의 선형과 차종에따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 곡선구간 도로의 차로폭은 2.79m~3.40m이다. 주행차량의 횡방향이격량의 분포 및 조사대상 차량의 85%를 기준으로 누적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곡선구간에서의 최소 소요차로폭이 소형차량의 경우 2.31m~2.58m, 대형차량의 경우 2.80m~3.27m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녹색교통 도입을 위한 공간, 도로공사 중,소형차 전용도로의 건설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계자의 목적에 따라 유연한 차로폭 설계기준의 적용에 필요한 기초적인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농어촌 도로의 정비현황 조사 분석 -전남 군지역을 중심으로-

        최수명 ( Choe Su Myeong ),이행욱 ( Lee Haeng Ug ) 한국농촌계획학회 2003 농촌계획 Vol.9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some useful advices for the improvement policy of the minor rural roads. For detailed case studies on structural improvement level of the minor rural roads, 5 county areas in Chonnarn Province were selected ; Damyang (peri-urban), Gurye(remoter mountainous), Jindo(remostest island), Yuongam(intermediate flat) and Bosung (intermediate semi-mountainous). In each county, the offcial survey data on pavement types, 쟝손 and ratios of district(Myun in Korean) and parish(Ri in Korean) roads were collected. There were no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district and parish roads in terms of structural improvement level, while the former was ranked higher than the latter in the minor rural road improvement law, so, the present hierarchial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 roads should be readjusted. And above a third of minor rural roads in the case study areas did not meet the statutory minimum level of road width, which means the necessity of substantial upgrade of road improvement works in rural areas.

      • KCI등재

        한성부의 ʻ근대ʼ 도로 만들기: 1890년대 후반 ʻ위생ʼ 담론을 중심으로

        서정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Joseon dynasty was faced with a new paradigm of 'Civilization-Enlightenment' after the period of Open-port and also such a change was embodied into an urban space. At a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Hanseongbu, roads were constructed newly and maintained, western-styled buildings were built, and modern transportations including trains and trams were introduced actively to demonstrate 'Civilization-Enlightenment' visually. However, in order for natives·foreigners using a road to feel 'Civilization- Enlightenment' of the Joseon Dynasty, qualitative improvements for 'hygienic' roads had to be prioritized in addition to external changes like road network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Hence, roads criticised for the 'muddy' and 'dirty' were made into 'hygienic' roads in the late 1890s through maintenance of drainageway and improvement of road surface and width. Besides, various regulations and rules related to a road were established newly to control lives of urban residents using a road. Therefore, urban residents came to undergo changes toward a new social order and the 'Modern Era'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개항 후 조선 사회는 '문명개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하였으며, 도시 공간에도 이런 변화가 구현되었다. 조선의 수도 한성부는 ‘문명개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도로를 신설・정비하고, 서구식 건물을 지었으며, 철도・전차와 같은 근대 교통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도로를 직접 이용하는 내국・외국인들에게 조선의 ‘문명개화’를 느끼게 하려면 가로망・건축・교통수단과 같은 외적 변화만이 아니라 ‘위생’적인 도로로의 질적 개선이 선행되어야 했다. 그래서 ‘질퍽’하고 ‘더러운’ 것으로 비난받던 도로는 1890년대 후반에 대대적으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노면・노폭의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위생’적인 도로를 만들어 나아갔다. 이 시기 ‘위생’의 강조는 전염병 예방의 목적이 큰 축을 이루었으나, 본고에서는 도시 경관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근대’ 도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 도로 정비를 둘러싼 다양한 함의를 고찰하고, 특히 도로 관련 각종 규제와 규율을 신설하여 도로를 이용하는 한성부민들의 생활까지도 통제하고자 시도했던 모습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근대’ 도로로의 변화를 통해 이전과 다른 새로운 질서와 ‘근대’로의 변화를 맞게 된 한성부민 삶의 한 단면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도로사선제한 폐지에 따른 이면부 상업지역 지구단위계획의 개선방향 고찰 - 서울 송파구 방이동 이면부 상업지역의 개발행위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전진환,김충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2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District Unit Plan for inside commercial areas according to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in May 2015. To this end, the research analyzed all development activities thoroughly that had taken place, from September 2015 to July 2019, in the Inside Commercial Area of Bangi-dong, Songpa-gu, Seoul. As a result, the research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igh-rise residential officetel buildings were newly constructed in about 25% of the total parcels during the analysis period. Second, the rapid rise of new constructions were mainly due to changes of the floor area ration incentives and maximum building height mitigation codes in the relevant area’s District Unit Plan after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Third, urban landscape and sunshine issues, urban infrastructure shortage problems, and spatial mismatch between intended and actual land uses are expected to be emerged in the near future. Finally,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inside commercial areas such as comparison of developable floor areas before and after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floor area ratio incentives and other corresponding codes, and designation of customized zones within the District Unit Plan area. 본 연구는 2015년 5월 도로사선제한의 폐지에 따른 이면부 상업지역의 지구단위계획 개선방향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송파구 방이동 이면부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도로사선제한의 폐지 이후 2015년 9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일어난 개발행위를 전수조사하여 상세한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방이동 이면부상업지역의 약 25%에 해당하는 필지에서 분석기간 동안 주거기능을 주용도로 하는 고층 오피스텔의 신축이 일어났다. 둘째, 이와 같은 고층 오피스텔 신축이 급격하게 일어난 것은 도로사선제한의 폐지 이후, 대상지역의 지구단위계획 변경 과정에서 용적률 인센티브 및 최고높이 완화 사항의 변화가 주원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방이동 이면부 상업지역은 향후 도시경관 및일조 문제, 도시기반시설의 부족 문제, 상업지역의 주거지역화 문제 등이 예상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면부 상업지역 지구단위계획의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도시밀도 및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신설 및 변경 시에는, 도로사선제한 폐지 전후의 개발가능 규모 비교, 용적률 인센티브 조항의 실효성 검토,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상세 맞춤형 구역의 지정 등이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로사선제한 폐지에 따른 건축물 높이변화 실태 및 제도 보완에 관한 연구 Ⅱ - 전라남도 건축심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규,조성진,유창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3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conducted in 2016 to analyze the status of building height and to prepare a height management systems after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inuously analyze the problems of architectural and urban that appear after the first study, and to suggest standards and systems for building height management. To this end, the process of negative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s due to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is organized by research period. And, we tried to improve the problems by applying the building height standards, which are individually introduced by the local governments, to actual cases. As a result, negative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 due to the abolition of the Setback regulation from road width are evolving into various forms. Therefore, what is important for building height management is the need to develop management standards and systems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by continuously analyzing architectural and urban problems. 본 연구는 도로사선제한 폐지 후, 건축물 높이 변화 실태 분석과 높이관리 제도 마련을 위해 2016년에 수행된 연구의 후속연구이다. 1차 연구 이후 나타나는 건축 및 도시 공간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건축물 높이관리를 위한 기준과 제도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로사선제한 폐지로 인한 부정적인 도시공간구조 변화 과정을 연구시기별로 정리하였고, 현재 지자체에서 도입하고 있는 건축물 높이 기준들을 실제 사례에 적용시켜 비교함으로써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도로사선제한 폐지로 인한 건축 및 도시환경의 부정적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파생되고 있었으며,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이를 기반으로 여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건축물 높이관리기준 및 제도의 정립이 필요하다.

      • Measurement of Road Surface Irregular Crack Width Based on Ferret and Second Order Moment

        Liu Sheng,Wang Weixing,Wang Fengpi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Vol.9 No.12

        In order to evaluate the damage of the road accurately, a Ferret subsection measurement method based on Invariantmoment was proposed. First, it set a Ferret minimum external rectangular on the basis of the barycenter and spindle. The rectangular width was the result of crack width. It set the edge conditions for reducing the errors of measurement caused by the slender burrs. It allowed rectangular edge and targets to intersect. In order to section reasonably, a method based on distance map was proposed. In the extreme value points, the subsections image was finished. It ensur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ines was longer than the crack width. Experimental data indicated that the percent of valuable information was higher, the measurement was accurate. It can meet the requirement of practical engin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