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격주의생명윤리학의 기초로서 인간의 존엄성

        진교훈(Chin, Kyo Hun)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1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 No.1

        In this paper I intend to proceed as follows: first of all, we shall understand how every human being is a person(persona; not personality in the meaning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d therefore we should respect every human being. And then we shall move on to see how we can say that every human being has ontological the status of person. But many people have prejudiced opinion on man and have misunderstood the true meaning of the person. Therefore we have to argue the causes of misunderstandings of the person and we criticize the equivocal meanings of person. In the discussion of those we ask for the status of the person. Someone assert that the status of a person of human being depends on the potentiality, continuity and capability. But all kinds of human being including embryo, the patient in the vegetable state etc. have deficiencies and are really incomplete. Every human being is unconditionally a person, because every human being is born as Imago Dei, though every human being are incomplete. But we can understand( not explain) the person only, when we are loving a human being. because the person present in loving. Consequently to conserve the dignity of human being is the Fundament of the Bioethics of Personalism.

      • KCI등재

        중국철학 : 노자(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홍승표 ( Seung Pyo Hong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이 글의 목적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 글이 老子의 인간관에 의거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현대 인간관의 바탕 위에서는 창조적인 노인상 구성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老子思想은 통일체적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어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老化와 노년기에 대한 창조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견해를 정리했다. 그리고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의 바탕 위에서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구상화했다. 마지막으로, 이런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바탕 해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첫째, 老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았다. 老子가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은 道와 하나가 되어 無爲自然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의 모습을 老子는 ``安平太``라고 표현했다. 이상적인 인간은 집착하는 마음이 비어 있으며, 사랑이 충만한 사람이다. 그는 ``自愛不自貴``한다. 그는 영화로움이나 환란에 얽매이지 않는 대자유인이다. 이상적인 인간은 믿음이 깊은 사람이며, 그의 믿음은 바로 사랑이다. 둘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대답은 ``修行이다. 修行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첫 단계는 에고에 대한 자각이다. 그래서 老子는 ``夫唯病病是以不病``이라고 말했다. 老子가 말하는 修行방법은 다양하다. ``덜어냄``, ``不尙賢``, ``貴大患若身``, ``知足``과 ``知止`` 등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다. 셋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도와 하나가 되어 도를 즐기는 樂道로서의 삶이다. 그는 ``爲而不恃``하며, ``功成而弗居``하고, ``功成不名有``하며, ``功遂身退``한다. 그는 ``衣養萬物而不爲主``하며, ``長而不宰``한다. ``上善若水``章에서 말하듯이, 이상적인 인간은 모든 존재에게 이로움을 베풀며,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즐겨 머문다. 마지막으로 老子인간관의 기반 위에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은 탈현대적인 이상적인 노인상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은 ``어떻게 행복하고 아름답게 나이 들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수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노인의 삶은 ``노년기의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aged people by Lao-Tzu`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creative image of the aged people on the basis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le thought of Lao-Tzu which is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can give creative explanation about the period of being aged. Given this, the present paper examines Lao-Tzu`s ideal view of human being and summarizes his idea of how to be an ideal person. This paper also exteriorizes the life of ideal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ideal human being.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modern meaning that the view of Lao-Tzu implies and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First, what kind of person does Lao-tzu think is ideal? It`s the one who himself is Tao and manages affairs without action. Lao-Tzu calls this ``comfort, peace, and security``. The ideal person does not have obsession and is full of love. ``He loves himself but does not exalt himself.`` The ideal person is free from glory and disaster and has a deep belief, which is another name for love. Second, the way of being Lao-Tzu`s ideal person is discussed. Lao-Tzu thinks that it is done by ``practice``(修行). The first step of being an ideal person through practice(修行) is the realization of ego. Lao-Tzu says that ``only when one recognizes this disease as a disease can one be free from the disease.`` There are several ways of practicing: taking out, making an effort to ``not to exalt the worthy``, gladly accepting the disaster that comes to her/him, knowing to content and knowing when to stop. Third, the life of lao-Tzu`s ideal person is stated. The ideal person herself/himself is Tao and enjoys it. ``He produces them but does not take possession of them.`` ``He acts but does not rely on his own ability.`` ``He accomplishes his task but does not claim credit for it.`` As said in the chapter of ``the best is like water``, the ideal person does good to every being in the world and stays where everybody dislikes to be in. Lastly, this paper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Lao-Tzu`s view of human being can help formulate the post-modern image of the aged person. His way of being an ideal person provides the practical way of being aged happily and beautifully and his view of well aged person`s life can give the answer about what the happy and beautiful life of the aged period is.

      • KCI등재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을상(Lee Eul Sa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uman, but today it becomes problematic whether an embryo is a human being or not. This argument has been raised by a rapid developing of biotechnology such as prenatal genetic screening, embryonic reproduction etc. In the biotechnology an embryo is surely not regarded as a human being, but only a living material. It can cause a deep moral injure to think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For human being is a person in the moral sense, and a person has been only thought that can make us live freely. At last we have human dignity, when we live as a person. But the thought that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which is conceived by P. Singer in his Practical Ethics(1991). Further more Singer criticizes a Kant's view of human dignity as a 'speciesm' in the basis of a concept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 historical origin of Singer's concepts,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firstly and a speciesm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Kant's view of human dignity nextly. I have also examined that Kant's concept of autonomy has to be substituted by 'self-disposability' in Singer's bioethical viewpoint, but Singer's viewpoint is also criticised by Sandel's 'ethics of genetic enhancement' lastly.

      • KCI등재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홍승표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aged people by Lao-Tzu'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creative image of the aged people on the basis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le thought of Lao-Tzu which is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can give creative explanation about the period of being aged. Given this, the present paper examines Lao-Tzu's ideal view of human being and summarizes his idea of how to be an ideal person. This paper also exteriorizes the life of ideal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ideal human being.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modern meaning that the view of Lao-Tzu implies and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First, what kind of person does Lao-tzu think is ideal? It's the one who himself is Tao and manages affairs without action. Lao-Tzu calls this 'comfort, peace, and security'. The ideal person does not have obsession and is full of love. 'He loves himself but does not exalt himself.' The ideal person is free from glory and disaster and has a deep belief, which is another name for love. Second, the way of being Lao-Tzu's ideal person is discussed. Lao-Tzu thinks that it is done by 'practice'(修行). The first step of being an ideal person through practice(修行) is the realization of ego. Lao-Tzu says that 'only when one recognizes this disease as a disease can one be free from the disease.' There are several ways of practicing: taking out, making an effort to 'not to exalt the worthy', gladly accepting the disaster that comes to her/him, knowing to content and knowing when to stop. Third, the life of lao-Tzu's ideal person is stated. The ideal person herself/himself is Tao and enjoys it. 'He produces them but does not take possession of them.' 'He acts but does not rely on his own ability.' 'He accomplishes his task but does not claim credit for it.' As said in the chapter of 'the best is like water', the ideal person does good to every being in the world and stays where everybody dislikes to be in. Lastly, this paper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Lao-Tzu's view of human being can help formulate the post-modern image of the aged person. His way of being an ideal person provides the practical way of being aged happily and beautifully and his view of well aged person's life can give the answer about what the happy and beautiful life of the aged period is. 이 글의 목적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 글이 老子의 인간관에 의거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현대 인간관의 바탕 위에서는 창조적인 노인상 구성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老子思想은 통일체적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어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老化와 노년기에 대한 창조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견해를 정리했다. 그리고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의 바탕 위에서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구상화했다. 마지막으로, 이런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바탕 해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첫째, 老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았다. 老子가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은 道와 하나가 되어 無爲自然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의 모습을 老子는 ‘安平太’라고 표현했다. 이상적인 인간은 집착하는 마음이 비어 있으며, 사랑이 충만한 사람이다. 그는 ‘自愛不自貴’한다. 그는 영화로움이나 환란에 얽매이지 않는 대자유인이다. 이상적인 인간은 믿음이 깊은 사람이며, 그의 믿음은 바로 사랑이다. 둘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대답은 ‘修行이다. 修行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첫 단계는 에고에 대한 자각이다. 그래서 老子는 ‘夫唯病病 是以不病’이라고 말했다. 老子가 말하는 修行 방법은 다양하다. ‘덜어냄’, ‘不尙賢’, ‘貴大患若身’, ‘知足’과 ‘知止’ 등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다. 셋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도와 하나가 되어 도를 즐기는 樂道로서의 삶이다. 그는 ‘爲而不恃’하며, ‘功成而弗居’하고, ‘功成不名有’하며, ‘功遂身退’한다. 그는 ‘衣養萬物而不爲主’하며, ‘長而不宰’한다. ‘上善若水’章에서 말하듯이, 이상적인 인간은 모든 존재에게 이로움을 베풀며,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즐겨 머문다. 마지막으로 老子 인간관의 기반 위에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은 탈현대적인 이상적인 노인상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은 ‘어떻게 행복하고 아름답게 나이 들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노인의 삶은 ‘노년기의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 KCI등재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을상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an embryo has the condition of being human or not. Someone has to be regarded as human being, he/she has a right of liv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being a person in the moral sense. We have naturally thought an embryo is human, but today it becomes problematic whether an embryo is a human being or not. This argument has been raised by a rapid developing of biotechnology such as prenatal genetic screening, embryonic reproduction etc. In the biotechnology an embryo is surely not regarded as a human being, but only a living material. It can cause a deep moral injure to think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For human being is a person in the moral sense, and a person has been only thought that can make us live freely. At last we have human dignity, when we live as a person. But the thought that an embryo is not a human being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which is conceived by P. Singer in his Practical Ethics(1991). Further more Singer criticizes a Kant’s view of human dignity as a ‘speciesm’ in the basis of a concept of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a historical origin of Singer’s concepts, a human being without person firstly and a speciesm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Kant’s view of human dignity nextly. I have also examined that Kant’s concept of autonomy has to be substituted by ‘self-disposability’ in Singer’s bioethical viewpoint, but Singer’s viewpoint is also criticised by Sandel’s ‘ethics of genetic enhancement’ lastly.

      • 도메니코 카포네(Domenico Capone)의 윤리사상에 나타난 그리스도 중심의 인간 이해

        이충현(Lee Chunghyu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0 누리와 말씀 Vol.47 No.1

        오랜 시간 동안 윤리신학은 인간 행위를 규정하는 규범들의 총체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이해는 윤리적 행위의 주체인 인간에 대한 이해를 경시하게 되었고 인간의 윤리성을 단순히 규범을 준수하는가 또는 준수하지 않는가에 따라 판단하였다. 도메니코 카포네(Domenico Capone)는 과거의 이러한 윤리신학에 대한 이해를 극복하고자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인간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였다. 그가 제시하는 인간학적 성찰은 윤리신학에서 다루는 인간과 인간 행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스도가 지닌 역할의 중요성을 회복시킨다. 그리스도 중심의 인간 이해는 인간의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그 이면 즉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가치를 지닌 주체인 인간을 그리스도화 하도록 초대하는 윤리신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해석의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인간에게 인격적 존재로서의 존재, 실존, 행위를 수여하며, 인간은 이러한 그리스도의 삼중의 역동성에 응답하면서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적 존재가 되고 공간과 시간 안에서의 실존의 의미를 깨닫게 되며 현실 안에서의 올바른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카포네의 윤리 사상에서 드러나는 인간이 하느님의 완전한 모상인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모상으로 하느님에게 참여하는 인격적 존재라는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해는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이 윤리 생활의 주체가 되며, 인격적 존재로서 인간은 하느님의 인격에 참여하게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포네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인간 이해는 인간의 행위가 단순히 규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에 의한 참된 존재, 실존, 행위의 의미를 따를 때, 참된 행위가 된다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방식을 따라 행위하는 인간은 자유로이 근본적 존재에 책임감 있게 자신을 내어 맡기고 다른 이들과 함께 친교를 이루며 살아가게 된다. For a long time, Ethics theology is understood as to the whole of rules to prescribe human deeds. Such an understanding drove to underestimate human, who is the subject of ethical deed, and made to judge human ethicality simply to obey the rule or not to obey. Domenico Capone tried his self-examination on human centering on Christ to overcome such a past understanding of Ethics theology. His proposal of human self-examination recovered the important role of Christ in understanding of human and his/her deed in Ethics theology. Understanding of human centering on Christ presented not only the elements of human but the other side, that invite the human who is the subject of having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value, to Christianize. Then, Christ as a Personal being create Being, Existence and Deeds to human as a personal being. And, human responds to these triple dynamics of Christ, becomes a personal being that takes after Christ, realizes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in time and space, and carries out right deed in the reality. This understanding revealed in Capone’s ethical thought that human is the personal being, participating in God as his image in Christ who is the perfect image of God is very important. Because such an understanding involves the meaning of human, a God’s image, becomes the subject of ethical life, and participates in God’s personality. Capone’s understanding of human centered on Christ instructs that human deed does not made up not simply according to rules, but becomes true deed when he/she follows true meaning of true Being, Existence, and Deeds of Christ. Therefore, human who acts following Christ can leave himself to fundamental Being freely and with responsibility, and can live in communions with other people.

      • KCI등재

        노자철학에서 현실인간에 대한 비판

        이재권 ( Rhee Jae-kwon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노자철학은 현실비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상사회[小國寡民]와 이상적 인간[聖人]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은 사회·정치·통치자·언어·행위 등 다양하다. 그 모든 것의 중심은 인간이다. 그러므로 노자의 현실비판의 시작과 핵심은 현실인간이다. 노자가 비판하는 현실인간은 관리[士]·통치자·보통사람 등 세 부류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세 부류의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이상적 인간에 대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춘추시대의 사(士) 계층은 주나라의 하급관리 출신들이다. 주나라의 멸망으로 실직자가 된 지식인들은 다시 제후국의 관리로 등용되거나 민간에 지식을 전수하여 먹고 살았다. 이 과정에서 순수한 진리[道] 탐구보다는 실용적인 지식의 탐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출세의 수단인 실용적 지식은 당시 사람들에게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이런 지식을 팔고 사는 과정에서 많은 왜곡과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노자는 그 주체인 지식인들을 비판한 것이다. 현실인간 중에서도 노자가 집중적으로 비판한 부류는 통치자이다. 왕정시대에 모든 것의 중심은 왕(통치자)이기 때문이다. 춘추시대의 통치자들은 전쟁을 통하여 타국을 정복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다. 그들은 백성들에게 병역뿐만 아니라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 세금은 군자금과 더불어 자신들의 사치생활을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수월한 통치를 위해서 법을 앞세운 강압과 폭력을 휘둘렀다. 노자는 이런 무자비한 통치자들에게 신랄한 비판을 퍼부었다. 노자는 보통사람들과 인간 일반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인간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몸[身]을 가졌기 때문이다. 몸은 육체적 욕구를 가지고 욕심을 일으킨다. 또 다른 욕심은 정신적 욕망이다. 인간은 권력과 재물에 대한 욕심뿐만 아니라 강한 명예욕을 갖고 있다. 명예를 지키려고 가장 소중한 목숨까지도 바친다. 그리고 인간이 추구하는 것 중의 하나는 가치이다. 노자의 입장에서 보면 가치는 상대적인 것인데, 그것을 차지하려고 다툰다. Lao Tzu Philosophy begins with the criticism of reality. The destination is Ideal society and Ideal Human Being [Saint]. The reality he criticizes is diverse; including society, politics, ruling, language, and human behavior. The center of it all is the Human Being. Therefore, the beginning and the core of Lao Tzu's criticism of reality is the Human Being. Lao Tzu criticizes human beings in three categories: government official [士], ruler, and ordinary people. In this paper, we deal only with the criticism of these three kinds of people and do not mention ideal human beings. The officials come from the subordinat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Zhou Dynasty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se intellectuals, who became unemployed due to the fall of the Zhou Dynasty, were reincarnated as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and lived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to the private sector. In this process, the exploration of practical knowledge was focused on, rather than the quest for pure truth. Practical knowledge, a means of success, was an object of envy to the people at the time. Lao Tzu criticized the subjects, intellectuals, because many distortions and problems arise from the process of buying and selling such knowledge. Among the human beings, the people that Lao Tzu criticized most intensively were rulers. The center of everything in the period of monarchy was the king (ruler). The ruler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ere trying to conquer other countries through war. They charged the people with heavy taxes as well as military service. Taxes had also been used for their personal luxuries, in addition to military funding. And he accused them of using coercion and violence for easy governance. Lao Tzu poured acidic criticism on these ruthless rulers. Lao Tzu also criticized ordinary people and the general public. One of the reasons why the Human Being causes problems is because it has a body. The body is greedy with physical desire. Another form of greed is mental desire. The Human Being has a strong sense of honor as well as greed for power and wealth. He devotes his most precious life to honor. And one of the things Human Being seeks is value. From Lao Tzu's point of view, value is relative, and it is contested to take it. On the other hand, living things are soft and dead ones are hard. Ordinary people are stiff and closed. Lao Tzu criticized these points of ordinary people and human beings in general.

      • KCI등재

        ‘속사람’의 신학적 인간학과 대안적 인성 계발

        차정식(Jung Sik Cha)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1

        신약성서의 인간 이해는 단일한 개념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없는 복잡다단한 양상을 띤다. 그 간단치 않은 현실을 무릅쓰고 그 이해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할 때 우리는 예수와 바울의 특징적인 대안 개념으로 ‘속사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예수에게 사람의 ‘속’은 인간의 진정성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인간의 ‘겉’에 치중하는 예전적 . 제의적 인간형의 ‘회칠한 무덤’같은 행태에 비판적 기준으로 작용한다. 나아가 바울에게 ‘속사람’은 ‘겉사람’과 짝하여 ‘옛사람’/‘새사람’의 이중적 대립구도를 확대ㆍ심화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옛사람’/‘새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수용과 함께 발생하는 일회적 결단과 그에 따른 극적인 변전의 사건으로 구별된다면, ‘속사람’은 ‘새사람’을 양육해나가는 과정에서 여전히 장애물로 틈입하는 ‘겉사람’의 훼방을 제어하는 자기 수양적 개념으로 자리매김 된다. 그것은 곧 대안적 인성계발의 바람직한 대안적 준거점으로 파악되는 바, 우리는 그 ‘속사람’의 개념을 이시대의 파란만장한 인간 욕망의 지형 가운데 재맥락화할 수 있다. 그것은 ‘겉’과 ‘속’의 이항대립이나 단순한 양자 일치의 목표를 넘어 분열하는 욕망지향적 인간의 내면과 이에 대한 중층적 억압의 구조를 세밀히 성찰하고, 생태적 관점에 터한 생명의 향유적 가치를 살려나가는 길이다. 아울러, 인간의 특정 요소를 간편하게 양립시키는 대립적 분법을 넘어 자기 바깥의 이질적 타자를 환대하고 더불어 대화하는 소통 지향적 인간형이야말로 오늘날 대안적 인성 계발의 필수적 방향이 되어야 한다. Understanding human beings in the New Testament is not to be singled out in a few anthropological concepts since it covers complex dimensions of the human nature. Notwithstanding such a complexity, Jesus and Paul show a common ground in which one can detect a cutting edge of what it means to be a human being in a full authenticity. That may be summed up in the bipolar contrast between the inner and the outer human being. For Jesus, the ‘inner’ aspect of human beings serves as a yardstick to discern the authentic nature of humanity, while operating its function to criticize the ritualistic decoration of its external appearance. Paul goes further to sharpen the contrast by adding such concepts as the old, the new, and the perfect human being. For Paul, the inner humanity needs to be nourished by means of the self-reflective and self-corrective measure for the shortcomings after the single dramatic event of the new being in Jesus Christ. The ‘inner’person also serves as an alternative point of departure for developing the ideal model of a mature humanity in our contemporary settings in which multiple layers of the human desire collide with each other. Far beyond the rigid bipolar contrast of the human nature, nowadays human beings are encouraged to explore the precious value of their life in daily jouissance, while keeping the detailed analysis and self-critical reflection on the whole complexity of the inner desire. Moreover, it would be recommendable for us Christian believers to be more open-minded and receptive to many different others with a full hospitality, thus growing to be a mature communicative person.

      • 안락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견해

        강명호 통일사상학회 2022 통일사상연구 Vol.22 No.-

        유병장수의 시대를 맞아 안락사에 대한 담론이 팽배하는 가운데 그에 따른 윤리 적 문제 또한 부각되었다. 이러한 시점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는 안락사에 대 해 어떻게 바라보는지, 안락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는지 를 연구했다. 안락사는 일반적으로 ‘심각한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를 자연적 수명이 다하기 전에 끊어주거나 일찍 죽도록 적극적 치료를 중단하여 죽음 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죽음을 야기하는 행위의 양상에 따라 적극적 안락 사와 소극적 안락사로 나뉜다. 죽임을 당하는 사람의 의사 표명에 따라 자발적 안락 사와 비자발적 안락사, 또는 반자발적 안락사로 나뉜다. 안락사에서 제기되는 윤리 적 쟁점은 첫째, 인간은 스스로 ‘죽을 권리’가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자발적 안락사 나 조력자살이 이 윤리적 쟁점에 놓여있다. 두 번째로 안락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은 인간은 타인을 ‘죽일 권리’가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안락사에 대한 기본적 판단근거는 인간관이다. 인간관에 따라서 윤리적 문제를 달리 해석한다. 인간이면 누구나 인간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가진 인격체라고 보는 인격주의 인간관과 인간 과 인격체를 분리해서 인간의 가치를 심리・사회적 특징을 지닌 자와 지니지 못한 자를 구별하여 판단하는 자유주의 인간관으로 대별된다. 가정연합의 인간관은 인격 주의 인간관이다.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생명을 부여받은 신래적(神來的) 존재로서 결과적 존재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신격(神格)의 가치를 지닌 존엄한 존재이다. 인간은 육신과 영혼이 통일된 존재로서 영혼을 사랑의 완성체로 성장시키 기 위해 주어진 생명을 잘 지켜야 할 존재이다. 인간 생명의 주권은 하나님이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스스로 죽을 수 있는 권리를 갖지 못하고, 타인을 죽일 수 있는 권리도 갖지 못한다. 따라서 가정연합에서 볼 때, 자발적 안락사나 적극적이든 소극 적이든 안락사는 반윤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비자발적 안락사에 있어서 뇌 사 상태에 준하거나 말기환자가 연명치료 중에 있는 경우에 가족들의 합의와 교회 의 동의 속에 연명의료를 중단하거나 유보하는 것은 자의적이든 비자의적이든 윤리 적으로 어긋나지 않는다고 본다. Amid the widespread discourse on euthanasia in the era of longevity accompanied by disease, ethical issues have also emerged. On this point, the Family Federation studied how to view euthanasia and how to judge ethical issues raised in euthanasia. Euthanasia is generally defined as ‘the act of killing a patient who has significant mental or physical pain before their natural life expectancy or letting the patient die through stopping aggressive treatment of the patient’. It is divided into active euthanasia and passive euthanasia according to the pattern of death-causing behavior. It is also divided into voluntary euthanasia, involuntary euthanasia, or nonvoluntary euthanasia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intention of the person being killed. The ethical issue raised in euthanasia is first, whether humans have the right to die on their own. Voluntary euthanasia or assisted suicide is included in this ethical issue. The second ethical issue raised in euthanasia is whether humans have the right to kill others. The basis for the basic judgment on euthanasia involves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s. Ethical issues ar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 of human beings. It is roughly divided into a personalism view of human beings that any human being is seen as a person with dignity to human life and the non-personalism view of human beings that separates human values from those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ose who do not. The perspective on human beings of the FFWPU is a personalism's view of human beings. Humans are the resultant beings, that is divine beings who have been given life by God. As a child of God, man is a dignified being with the value of God. Humans are beings in which the physical self and the spirit self are unified and must protect the life given to grow the spirit self into a completion of love. Since God has the sovereignty of human life, humans do not have the right to die on their own, nor do they have the right to kill others. Therefore, from the FFWPU perspective, voluntary euthanasia, active or passive, can be said to be anti-ethical. However, in involuntary euthanasia, if a brain-dead patient or a terminally ill patient is undergoing life-sustaining treatment, then suspen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ccording the agreement of the family and the consent of the church, it is not considered to be unethical.

      • KCI등재

        인성과 가치관의 상호연관성

        김주완(Kim Ju-Wa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5 No.-

        이 소론은 인성과 가치관의 상호연관성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인성과 인격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양자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밝힐 것이다. 인격 없는 인성은 무의미하고 인성 없는 인격은 성립할 수 없다. 인성은 인격의 성립지반이고 인격은 인성이라는 보편적 토대 위에서 성립하는 개별적인 것이다. 인격은 한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의 종합이다. 모든 인간은 가치를 추구한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인격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인격은 그 자체 공통적인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개별적인 것이다. 정신철학적으로 인격은 곧 개인적 정신이 된다. 그러므로 인격과 무인격으로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높은 인격과 낮은 인격으로만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의 성립근거는 인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격에 있다. 그가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가에 따라서 도덕적일 수도 있고 비도덕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성이라는 지반 위에서 인격이 성립하고 하나의 개별적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의 종합이 인격이라면, 인성은 곧 가치관을 담는 그릇이 된다. 인성과 가치관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변화한다. 양자 모두 당시대의 영향을 받는 시대의 아들이다. 인성과 가치관의 담지자인 인간은 자연적 존재이면서 도덕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mutual link of a person’s human nature and his or her sense of values. In general, a person’s human nature and his or her personality is used differently in its concept. However, in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se two things are closely connected. A person’s human nature without personality is meaningless and personality without human nature cannot be existed. A person’s human nature is the ground for existence of personality and personality is individual thing that is made on the universal ground of human nature. Personality is colligation of value that a person pursues. Every person pursues value. Therefore every person cannot help being personality. However personality is not a joint thing but an individual thing. Spiritual-philosophically, personality is exactly individual spirit. Therefore personality cannot be classified as personality or impersonality. It can be classified as high-leveled personality or low-leveled personality. And the foundation for existence of morality lies not on a person’s human nature but on a person’s personality. A person can be moral or immoral according to the value he pursues. Because personality is made on the basis of a person’s human nature and the colligation of value that an individual person pursues is personality, a person’s human nature is a vessel that contains his or her sense of values. A person’s human nature and his or her sense of values are changed affecting each other. These two things are the sons of the age that is affected by the age. That’s because human who is a container of human nature and his or her sense of values is both a natural being and a moral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