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민 선생의 시조 창작과 작시 태도

        구사회 ( Gu Sa-whae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8 No.-

        이 논문은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1917-2000) 선생이 창작했던 시조 작품과 그것에 대한 작시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연민의 시조 작품은 『동해산고(東海散藁)』와 『잡동산이집(雜仝散異集)』에 14제 34수의 시조 작품이 창작 순서에 따라 수록되어 있다. 첫 작품은 29세인 1945년 5월1일에 지은 <백월비부(白月碑趺)>이고, 마지막 작품은 선생께서 70세인 1986년 11월 24일에 지었던 <낙엽(落葉)을 밟는 연보(蓮步) -이랑(李娘) 종숙(鍾淑)에게->이었다. 선생은 _동해산고』의 서문에서 자신이 태어난 시대가 암울하고 힘들어서 희로애락의 온갖 감정에서 비롯된 사단칠정의 느낌을 옮겨 적었다는 문학적 감흥을 밝히고 있다. 성정에 대한 태도와 시학 체계의 단서를 보여준다. 연민의 시조 작품과 작시태도는 두 가지 층위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하나는 동양 전통의 온유돈후의 시학과 그것에 대한 연민의 계보를 밝히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연민의 시조 작품과 온유돈후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먼저 연민의 온유돈후 시학의 계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온유돈후는 공자의 언급에서 비롯되었고 한나라 이후로 유가 시학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것은 북송 시기에 주희에 의해 재해석되면서 다시 본격적인 시학으로 정립되었다. 한국에서는 조선중기 이퇴계가 온유돈후를 시학 체계로 입론하였다. 온유돈후의 시학은 그 이후로 제가의 시학 체계로 입론되면서 조선후기로 이어졌다. 그런데 온유돈후의 시학은 근대시기에 이르러 소멸되는가 싶더니 연민이 이퇴계의 온유돈후 시가시학을 계승하여 자신의 시가시학으로 일체화하여 계승하였다. 다음으로 연민이 시조를 창작하면서 내재화시켰던 온유돈후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선생의 모든 시조 작품은 하나로 관통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것은 표현이 완곡하고 어조도 온화하며 유연하였다. 작자의 마음씨가 바르고 너그러웠다. 본고에서는 이런 것들을 연민시조의 온유돈후 요소로 보았고, 또한 그것은 선생의 온유돈후 시가 시학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1977년 8월에 『시조문학』 44호에 실린 <유소사(有所思)> 6수를 연민 시조의 대표작으로 파악하였다. 그것은 <유소사> 6수가 고대의 유가시학과 조선중기 이퇴계의 온유돈후 시가시학을 체현하여 제대로 구현하였기 때문으로 보았다. As for Master Yeonmin's poetry works, 34 Sijo works with 14 themes are included in "Donghaesango" and "Japdongsani" according to the order of creation. Sijo works and writing attitude of Master Yeonmin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for discussion. One was to reveal Onyudonhu poetry of Oriental tradition and to figure out the line of Yeonmin. The other was to examine Onyudonhu's relationship with the poetic works of Yeonmin. Firstly, the genealogy of Master Yeonmin's Onyudonhu poet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yudonhu originated from the mention of Confucius and has been the center of Confucian poetry since the Han period. It was re-interpreted by Zhu Xi in the North Song period which was re-established as full-scale poetry. In Korea, Yi Toigye in the mid Joseon dynasty introduced Onyudonhu as a system of poetry. Onyudonhu's poetry has since been introduced into another's poetic system and led to the late Joseon dynasty. Onyudonhu's poetry seemed to be destroyed by the modern times. Yet, Master Yeonmin inherited Yi Toigye's poetry of Onyudonhu in his career as an integral part of his poetry. In the next place, the study examined how Master Yeonmin implements Onyudonhu, which he created and internalized in his Sijo works. All the works of Master Yeonmin had one thing in common. Expression was mild and tone was gentle and flexible. The author's heart was right and generous. This study has seen these matters as Onyudonhu elements of Yeonmin's Sijo works. And, it is understood that Yeonmin's Onyudonhu poetry is associated with poetics.

      • KCI등재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조규익(Cho Kyu-Ick)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2 No.-

        사촌의 〈강호연군가〉는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모방하여 지은 노래다. 퇴계의 〈도산십이곡〉은 이별의 〈육가〉를 바탕으로 지은 노래다. 따라서 세 작품은 계승과 수용의 분명한 단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時調史的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퇴계는 이별의 〈육가〉에 ‘玩世不恭之意’가 많고, ‘溫柔敦厚之實’이 적어서 문제라고 했다. 퇴계의 비평적 언급을 바탕으로 한다면, 이별 〈육가〉의 시정신은 ‘완세불공’, 퇴계 〈도산십이곡〉의 그것은 ‘온유돈후’에 있다. 사촌은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본떠 〈강호연군가〉 전 후 여섯 곡 도합 12곡을 지었다. 그 자신이 말하길, 전육곡은 애군우국의 정성을 부친 것이고, 후육곡은 학문의 올바름을 발현한 것이라 했다. 퇴계가 비판한 이별 〈육가〉의 시 정신 즉 ‘완세불공지의’는 ‘주객대응의 구조’를 암시한다. 서정적 자아인 ‘나’를 대상인 세상이나 세상 사람들에 비해 우월하게 그려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그에 비해 〈도산십이곡〉의 어느 노래에도 대응구조라 할 만한 것이 들어 있지 않다. 말하자면 그림에 가까운 경물의 묘사와 그로부터 읽어낸 의미가 담담하게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나와 너의 대응으로부터 서정적 긴장이 유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퇴계의 시들은 지나치게 평면적인 시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학자 퇴계는 그것을 좋은 시라 생각했고, 그것을 온유돈후로 파악하고 있었다. 표면적으로 사촌은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전폭 수용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노래의 내용을 자세히 뜯어보면 그렇지 않다. 노래 전체를 전육곡과 후육곡으로 나누었다거나 퇴계가 질타해 마지않았던 ‘완세불공지의’를 누그러뜨리기 위해 애쓴 점은 퇴계의 정신을 얼마간 계승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별보다는 덜하지만, 노래들의 이면에 분명히 ‘나’가 우월한 대응의 구조가 들어 있고, 강한 현실비판 의지 또한 읽어낼 수 있다. 격화된 당쟁 속에서 타의에 의해 밀려난 사촌이었으므로 퇴계와 같은 입장을 취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퇴계가 비판한 이별의 작풍도 얼마간 수용하여 자신만의 시세계를 구축하게 된 것도 그 때문이다. 따라서 퇴계의 〈도산십이곡〉을 正으로, 이별의 〈육가〉를 反으로 하는 合이 사촌의 〈강호연군가〉일 수 있고, 이들 3인은 시조사 전개 원리의 한 단서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Ganghoyeon'gun'ga is a song written by Sachon, imitated Toegye's Dosansibigok. Toegye's Dosansibigok is a song made with being based on Lee, Byeol's Yukga. Therefore, the three songs have an important meaning on the point that they show a clear clue of succession and acceptance. Toegye said that Lee, Byeol's Yukga has a problem of much 'Wansebulgongjieui'[wish looking down on society arrogantly], less 'Onyudonhujisil'[substance of gentleness and sincere]. Based on Toegye's critical saying, we can say that poetic spirit of Lee, Byeol's Yukga is Wansebulgong, Dosansibigok's spirit is Onyudonhu. Sachon made 12 stanzas of Ganghoyeon'gun'ga, front 6 stanzas and rear 6 stanzas. He said the front 6 stanzas about love for his King and Dynasty, the rear 6 stanzas about uprightness of scholarship. Wansebulgongjieui, the spirit of Lee, Byeol's Yukga which Toegye criticized hints the structure of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The saying means that Lee, Byeol described lyrical self 'I' superiorly comparing to the other people. As compared with it, Toegye's Dosansibigok has no similar to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So to speak, depict of scenery of the season similar to pictures and some meaning derived from it are plainly described in Toegye's Dosansibigok. If we take into account for lyrical tense being induced from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Toegye's poems show an excessively plain idea. However, Toegye, the moralist, thought it as a good poem and understood it as Onyudonhu. To all appearances, it seems that Sachon fully accepted Toegye's Dosansibigok. Yet, it is not true, if we observe the content minutely. The points that he divided the song into front-rear, or made an effort to soften Wansebulgongjieui Toegye criticized bitterly are the parts accepted Toegye's spirit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the structure of correspondence of host and guest, and we can read his idea powerfully criticizing reality. Because Sachon was pushed out in the intensified party strife, he could not take a position like Toegye. It was the reason why he accepted Lee, Byeol's literary style Toegye criticized, and constructed hisown poetic world. Accordingly, Toegye' Dosansibigok can be thesis, Lee, Byeol's Yukga can be antithesis, Sachon's Ganghoyeon'gun'ga can be synthesis. We can say that these three persons showed a clue in the principle about the history of Sijo development.

      • KCI등재

        이육사 시의 서정과 온유돈후(溫柔敦厚)

        김효선(Kim, Hyo-Seon)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시의 생명력은 시인을 떠나면 철저하게 독자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독자는 다양한 상상력과 정서를 불러일으켜 새로운 생명으로 탄생시키기도 한다. 물론 독자들에 의해 생명을 얻지 못하거나 빛이 꺼져버린 작품들도 많다. 시대를 초월하여 시가 꾸준한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선(善)’이라고 일컫는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 미적 가치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보편성을 지닌다.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이육사의 시를 꼽을 수 있다. 그에 대한 작가와 작품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도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만큼 그의 시가 학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 또한 높다는 증거일 것이다. 이육사는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암흑의 시기와 같이 했다. 한국이 일제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기 전인 1904년에 태어나 일제의 탄압이 절정에 달한 1944년에 생을 마감한다.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그는 시인이면서 독립운동가, 사회주의 사상가, 아나키스트, 번역가, 시사평론가 등 다방면에 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몸을 아끼지 않았고, 문학을 통해서도 끊임없이 독립 의지를 불태웠다. 그런 배경 뒤에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가적 환경과 어릴 적부터 몸에 밴 유학자적 사상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육사는 퇴계 이황의 14대손이며 유림의 요람에 해당하는 안동 원촌에서 태어나 조부로부터 한학을 익히며 유년기를 보냈다. 그는 전쟁으로 인해 주권을 빼앗긴 슬픔과 인간성 상실로 인한 문제를 유가적 사유를 통해 통찰하고자 했다. 그의 시적 삶의 인식과 가치관 역시 유년기부터 이어져 온 유학적 가풍과 학문의 연장선상에 놓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자신이 속한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은 작가의 정체성과도 분리될 수 없는 관계속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시는 최대한 감정을 절제하고 시어를 함축하는 문학이다. 육사는 시에서 암울한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기보다는 대부분 비유와 상징적인 이미지를 차용했다. 또한 이미지를 진술하는 방식에서도 최대한 감정을 절제함으로써 깊은 사유와 통찰의 시선을 느끼게 하였다. 이는 시 전반에 드러난 서정적 심상과 온유돈후한 내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퇴계는 진실하고 맑은 소리로 선(善)을 이끌어내는 것을 온유돈후(溫柔敦厚)라 하였다. 이육사는 극한 상황에서 불의에 맞서는 문학으로 서정과 온유돈후를 통한 유가적 세계를 지향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육사의 시정신의 바탕이 되었던 유학적 가풍과 유가적 사상이 그의 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육사 시의 한 특징으로서 서정과 온유돈후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그의 시를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life force of a poem is under the full influence of readers once it leaves the poet. Some poems sometimes get new life as they stir v arious imaginations and emotions. Many others never get new life or fade away in their brightness. Poems should have aesthetic value called "the highest good"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fe force consistently. The aesthetic value of poems holds everlasting significance beyond time and space. Lee Yuk-sa is one of the greatest poets in Korea. There have been ongoing researches on theories about the poet as an author and his works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which demonstrates that his works hold high artistic value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value. Lee"s life matched the dark period of Korea from his birth to death. He was born in 1904 before Korea became a colony of Japan and passed away in 1944 when the Japanese suppression on Korea reached a peak. Even though his life was short, he was active across many different fields as an independence activist, socialist thinker, anarchist, translator, and commentator as well as poet. He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of the motherland and continuously consolidated his will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through his literature. Lee Yuksa was born in Wonchon, Andong, the cradle of Yurim. as the 14th-generation descendant of Toegye Yi Hwang, and spent his childhood learning Chinese literature from his grandfather. He wanted to gain insights into the sorrow at sovereignty taken away and the problem of the humanity loss by the war through Confucian thinking. His poetic perception of life and values are also the result of the extension of Confucian family tradition and learning that has continued since childhoo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s have a relational attribute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dentity of the writer. Poetry is a literature that fully moderate emotions and implies poetic diction. Yuksa borrowed mostly metaphors and symbolic images, rather than revealing the grim reality as it is in his poem. In addition, he made people feel deep reason and insight by moderating his emotions as much as possible in the way he stated the images. This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lyrical mind and warm-hearted contents expressed in the entire poem. Toegye called it Onyudonhu (溫柔敦厚), "to bring out the good(善) with a sincere and clear sound." Lee Yuksa pursues the Confucian world through lyricism and Onyudonhu (warm-hearted and compassionate mind) with the literature which is against injustice in extreme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be examined how Confucian family tradition and Confucian ideas underlying Lee Yuksa"s poetic spirit were reflected in his poems. Through this,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his poems with a new perspective based on the lyricism and Onyudonhu (warm-hearted and compassionate min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Lee Yuksa’s poetry.

      • KCI등재

        하겸진의 『동시화』에 나타난 비평의식

        하정승 ( Jung Seung Ha ) 근역한문학회 201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2 No.-

        《Dongsihwa(東詩話)》written by Hagyomjin(河謙鎭)is generally called the last Sihwajib(詩話集) which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Hagyomjin was born in Jinyang, Gyeongsangnam -do and the disciple of Gwakjongsuk, a prominent Confucian scholar. And he was also the successor to Teogye. His family had been influenced by Josik for a long time, so took on the aspect of Yeongnam Sarim in academic traditions. Junginbo who wrote the introduction of 《Dongsihwa》said that Hagyomjin was the best one of Confucian scholars who work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specially, 《Dongsihwa》into which he put all the literary sense and academic talent late in his life, has a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Sihwa(詩話). This book coveres more various writers and their works than others. For example, we can find discussions about Sinwi, Leegunchang, Hwanghyon, Kimteakyoung only in this book. From an critical point of view, 《Dongsihwa》ha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alification which decende from 『Bohanjib』→『Donginsihwa』→『Sungsusihwa』→『Jibongyuseol』→『Sphwasipyong』. So it was the grand finale of a Korean Sihwa criticism. 《Dongsihwa》starts in Choichiwon`s poetry criticism which is called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and ends with the story about the poetry of Hwanghyon who is patriotism poet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Therefore readers could pass an eye over major writers and works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in Korea. This is the《Dongsihwa》`s own advantage. Hagyomjin considered the poems that don`t have excessive techniques and explicitness-Onyudonhu(溫柔敦厚) as the best. This shows his point of view on poetry as Confucian scholar. In the end of《Dongsihwa》, Hagyomjin said that there was two selection criteria of contents. One is ``Does it have a valuable fact(事之可傳)?``. The other is ``Is it a great poem(詩之工妙)?``. The former represents the aspect involved in anecdotage, and the latter represents the aspect involved in literary criticism.

      • KCI등재

        조선조 연시조의 발전과 수용 양상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조선조 연시조는 四時歌, 五倫歌, 六歌 등의 유형으로 발전하며 각각의 계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일련의 시조가 계열을 형성한다는 것은 그들 간에 영향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서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육가계 연시조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육가의 성격에 대하여 먼저 규명하였다. 사시가와 오륜가가 그 명칭에서부터 작품의 성격을 의미하는 것과는 달리 육가는 그렇지 못하다. 더욱이 최초의 작품인 李鼈의 〈藏六堂六歌〉와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退溪의 〈陶山十二曲〉이 〈장육당육가〉를 비판, 수용함으로써 육가의 성격을 모호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兩者를 아우르는 육가의 성격을 ‘處의 공간에서 물러난 시기에 부르는 노래’로 정의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이후의 작품들이, 〈도산십이곡〉이 표방하는 溫柔敦厚의 정신과 형식을 본받아 작품을 창작하면서 〈도산십이곡〉이 육가계 연시조의 대표작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도산십이곡〉이 취하고 있는 육가의 형식과 온유돈후의 정신이 16세기말에서부터 18세기에 창작된 육가계 시조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도산십이곡〉은 세 가지 유형으로 수용된다. 첫째는 긍정적 수용 양상이다. 이들은 〈도산십이곡〉과 근접한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그것의 정신과 내용 모두 〈도산십이곡〉을 효방한다. 둘째는 變容的 수용 양상으로, 17세기적 상황을 반영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도산십이곡〉에 근접하고자 하였지만 작가의 의식세계나 그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켜 수용한 경우이다. 셋째는 18세기에 창작된 작품에서 볼 수 있는 異形的 수용 양상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반적인 맥락에서 본다면 〈도산십이곡〉이 지향하는 틀을 수용하지만, 그 구체적인 면모는 그와 다르거나 오히려 상반되게 수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상과 같이 육가계 연시조를 통시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낱낱의 작품만을 봤을때 놓치게 되는 작품들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이들 작품이 모두 유기성을 지닌 연시조라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총체적으로는 작품의 실체에 근접하고자 하였다. Joseon Yeonsijo is a type of development such as Sasiga (四時歌), Oryunga (五倫歌), Yukga (六歌). And each line was formed.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ame lines. In this paper, Yukga-line Yeonsijo is the target. Because, this is among the Yeonsijo. In order to do this, first identify the nature of the Yukga. The name alone Yukga does not know character of work. This is different from Sasiga and Oryunga. And, the first work is Li-Byeol(李鼈)’s 〈Jangyukdanoyukga (藏六堂六歌)〉 and The best works Toegye(退溪)’s 〈Dosansibigok (陶山十二曲) character is different. Therefore, the character of Yukga is ambiguous. Thus, in this paper, stipulates as follows that ‘Yukga is singing in the space of retreat’. In a real discussion, specifically focuses on Toegye’s 〈Dosansibigok〉. Becau se, later creative works is 〈Dosansibigok〉 was seen. In other words, 〈Dosansibigok〉’s the spirit of Onyudonhu (溫柔敦厚) and form. So 〈Dosansibigok〉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Yeonsijo. 〈Dosansibigok〉 to accommodate the three types of patterns. First, it is a acceptance of positive. This is creative the closest period from 〈Dosansibigok〉. So were imitated all spirit and form. Second is the acceptability of transformation.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the 17th century. This is essentially a 〈Dosansibigok〉 attempt seen. However, the situation was because of transformation. Third is, it can see the 18th century. It is the acceptability of allogeneric. There are the overall context of generally oriented to 〈Dosansibigok〉. However, looking specifically to it is different, or the opposite. So, this paper was diachronic study as a Yukga-line Yeonsijo. In doing s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is work is Yunsijo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c. In short, the study was close to the reality of work.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시(詩)에 나타난 선비정신 -유배 및 좌천기의 시를 중심으로-

        정시열 ( Si Youl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본고는 『동계집(桐溪集)』 소재(所載) 시 가운데 주로 유배 및 좌천기의 시작(詩作)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표현 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계는 불혹(不惑)을 넘긴 161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면서 관로에 진출했다. 관직에 있는 동안, 동계는 일신(一身)의 안위(安慰)를 추구하며 복지부동하지 않았다. 그는 국가의 녹을 받는 관리로서의 사명을 잊지 않고, 시대의 격랑에 맞서 철저한 투쟁적 자세로 일관했다. 필자는 이러한 강직한 면모에서 진정한 선비의 풍모를 읽을 수 있었으며, 울울한 역경의 시기에 지어진 작품에서 굴곡 많은 인생을 살다간 동계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동계의 선비 정신에 대해 고찰했다. 동계는 10년간의 제주도 유배와 북방으로 폄적되는 참담함 속에서도 언젠가 있을 외부와의 소통, 즉 조정으로부터의 소환을 기다리며 자성(自省)적 자세로 끈질기게 인내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동계의 시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특징적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온유돈후(溫柔敦厚)``·``반구저기(反求諸己)``·``인고세한(忍苦歲寒)``으로 명명했다. 이상의 세 가지는 모두 수기(修己)와 관련된 덕목들이다. 약 400년 전 격동의 시기를 살다간 한 선비의 정신 세계를 탐구한 본고의 논의가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spects of scholar spirit shown in the poems during the periods of exile and demotion among the poems from 『Donggyejip』. Donggye became a governmental official over forty years old in 1610. During his tenure, Donggye did never forget his mission as a government official supported by taxes and did maintain his thoroughly struggling attitudes against periodic raging waves rather than pursued the loftiness of his bo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truly find out the true features of a scholar in his rigid attitudes and could confirm his true character, with which he went through turbulent life experiences in the works written in the period of hardship. This was the reason for doing research on Donggye`s scholar spirit. During his 10-year exile and demotion to the northern area, he awaited the communication with outside, namely, a call from the Royal Court, even under such distress and endured it with a reflective attitude. Considering this point focusing on the aspect of self-culture, his exile and demotion had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They were referred to as ``Onyudonhu(溫柔敦厚)``, ``Bangujeogi(反求諸己) and Ingosehan(忍苦歲寒)``. Along with them, it has been hoped that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spiritual world of a scholar who lived a turbulent period about 400 years ago and give us an opportunity to reflect our current features.

      • KCI등재

        桐溪 鄭蘊의 시(詩)에 나타난 선비정신 — 유배 및 좌천기의 시를 중심으로 —

        정시열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spects of scholar spirit shown in the poems during the periods of exile and demotion among the poems from Donggyejip. Donggye became a governmental official over forty years old in 1610. During his tenure, Donggye did never forget his mission as a government official supported by taxes and did maintain his thoroughly struggling attitudes against periodic raging waves rather than pursued the loftiness of his bo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truly find out the true features of a scholar in his rigid attitudes and could confirm his true character, with which he went through turbulent life experiences in the works written in the period of hardship. This was the reason for doing research on Donggye's scholar spirit. During his 10-year exile and demotion to the northern area, he awaited the communication with outside, namely, a call from the Royal Court, even under such distress and endured it with a reflective attitude. Considering this point focusing on the aspect of self-culture, his exile and demotion had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They were referred to as ‘Onyudonhu(溫柔敦厚)’, ‘Bangujeogi(反求諸己) and 'Ingosehan(忍苦歲寒)’. Along with them, it has been hoped that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spiritual world of a scholar who lived a turbulent period about 400 years ago and give us an opportunity to reflect our current features. 본고는 「동계집(桐溪集)」 소재(所載) 시 가운데 주로 유배 및 좌천기의 시작(詩作)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표현 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계는 불혹(不惑)을 넘긴 161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면서 관로에 진출했다. 관직에 있는 동안, 동계는 일신(一身)의 안위(安慰)를 추구하며 복지부동하지 않았다. 그는 국가의 녹을 받는 관리로서의 사명을 잊지 않고, 시대의 격랑에 맞서 철저한 투쟁적 자세로 일관했다. 필자는 이러한 강직한 면모에서 진정한 선비의 풍모를 읽을 수 있었으며, 울울한 역경의 시기에 지어진 작품에서 굴곡 많은 인생을 살다간 동계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동계의 선비 정신에 대해 고찰했다.동계는 10년간의 제주도 유배와 북방으로 폄적되는 참담함 속에서도 언젠가 있을 외부와의 소통, 즉 조정으로부터의 소환을 기다리며 자성(自省)적 자세로 끈질기게 인내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동계의 시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특징적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온유돈후(溫柔敦厚)’‘반구저기(反求諸己)’‘인고세한(忍苦歲寒)’으로 명명했다. 이상의 세 가지는 모두 수기(修己)와 관련된 덕목들이다. 약 400년 전 격동의 시기를 살다간 한 선비의 정신 세계를 탐구한 본고의 논의가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다산(茶山)의 유가(儒家) 문학관과 시문학(詩文學)

        윤인현 ( In Hyun Yun )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6 No.-

        This study examined how Dasan succeeded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of literature and how such view had a constructive effect on Dasan``s theory and poetry. It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of literature and Realist Confucianism and the difference between quotation and priming. Recently, there are certain researchers who argue that Realist Confucianis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view of literature or who canno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quotation and priming. Considering that Dasan emphasized purification of mind along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of literature on ``Munijaedo``?‘Sogi’?‘Wanmulsangj i’?‘Onyudonhu’?‘Samusa’, he basically succeeded the Confucian view of literature. However,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san`s literature and poetry was that his philosophy was more specific with emphasis on practicality and practice than the literatures of Confucian taoists and thinkers from the early and mid Joseon Dynasty. Dasan realistically depicted the lives of commoners in agony through his social poetry and fable poetry and expressed his resistance against the irrationality of rulers. Modern researchers called this Realist Confucianism, but this is only to distinguish him from the Confucian thinkers of early/mid Joseon Dynasty and can be a characteristic of Neo-Confucianism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f the practical aspect of Gyeonghwasajok (the ruling class based in Seoul)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s deeply related to the mundane lives of each individual, Dasan`s practical and active poetry and literature have a social aspect to it. Therefore, Dasan`s poetry and literature were developed from the universal view of literatur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Those who emphasized practical philoso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Realist Confucianism and named Realist Confucianists. Dasan was one of them and emphasized practice. However, this characteristic of Dasan`s literature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new academic styl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t is the traditional succession of Confucian`s universal view of literature. Only the emphasis of practicality has been perceived as Realist Confucianism by the descendants. Therefore, the researchers who perceive Realist Confucianism separate from the universal view of literature of Confucius should think otherwise.

      •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문학론 :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김도형(Kim Do Hyeong)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9 No.-

        본고는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이재 황윤석의 문학론에 접근하였다. 그는 문장(文章)보다는 경학(經學)에 치중하였고 문학론은 대체로 성리학적 문학관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의 학문적 지향점은 박문약례(博文約禮)에 있었고,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잡스러움이나 누추함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항상 살펴야 한다고 경계하였다. 도(道)와 문(文)의 관계에서는 도(道)를 본질적인 것으로 보고 문(文)은 이에 이르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인문오도(因文悟道)의 중도적(重道的) 문학론을 보여주고 있다. 또 온유돈후(溫柔敦厚)를 통하여 성정(性情)을 순화하고 풍교(風敎)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고문론(古文論)과 관련하여서는 육경(六經)과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를 전범으로 삼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명(明) 의고파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고 왕양명(王陽明)과 전겸익(錢謙益)의 문장도 배우고자 하였다. 이것은 ‘중정(中正)’과 ‘시의성(時義性)을 추구하였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형식과 내용에서 성현의 바른 가르침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을 목적하였지만, 이것을 단순하게 고수(固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른 변주(變奏)를 인정하고 수용하고 있으며 스스로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하는 것을 긍정하고 있다. This study approached Lee Jae Hwang Yoon Seok’s literary theory with a focus on prefaces. He emphasized Confucian classics more than a literature(文章) and his literary theory generally followed Confucian literary viewpoint. His academic aim is Barkmunyakrye(博文約禮), and while he pursued it he always tried not to indulge in trivial or shabby thing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o(道) and a literature(文), he considered Tao(道) as an essential thing and a literature(文) as a process to reach Tao, and he shows a moral literary theory of Inmunohdo(因文悟道). In addition, he tried to purify nature(性情) and realize education of public morals(風敎) through Onyudonhu(溫柔敦厚). In terms of Gomunron (古文論), he regarded Yukgyeong(six scriptures 六經) and eight great masters of Tang and Song Dynasties(唐宋八大家) as the model while he was greatly affected by Wuigopa(擬古派) of Ming Dynasty and tried to learn Jeon Gyeom Ik's sentences. In short, he pursued ‘impartiality(中正)’ and ‘timeliness(時義性)' and he aimed to basically follow saints’ right instructions in forms and contents, but he not only adhered to it but also accepted variations according to time and developed his own stage positively as we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