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동계(桐溪) 정온(鄭蘊)의 시(詩)에 나타난 선비정신 -유배 및 좌천기의 시를 중심으로-

        정시열 ( Si Youl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본고는 『동계집(桐溪集)』 소재(所載) 시 가운데 주로 유배 및 좌천기의 시작(詩作)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표현 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계는 불혹(不惑)을 넘긴 161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면서 관로에 진출했다. 관직에 있는 동안, 동계는 일신(一身)의 안위(安慰)를 추구하며 복지부동하지 않았다. 그는 국가의 녹을 받는 관리로서의 사명을 잊지 않고, 시대의 격랑에 맞서 철저한 투쟁적 자세로 일관했다. 필자는 이러한 강직한 면모에서 진정한 선비의 풍모를 읽을 수 있었으며, 울울한 역경의 시기에 지어진 작품에서 굴곡 많은 인생을 살다간 동계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동계의 선비 정신에 대해 고찰했다. 동계는 10년간의 제주도 유배와 북방으로 폄적되는 참담함 속에서도 언젠가 있을 외부와의 소통, 즉 조정으로부터의 소환을 기다리며 자성(自省)적 자세로 끈질기게 인내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동계의 시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특징적 면모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온유돈후(溫柔敦厚)``·``반구저기(反求諸己)``·``인고세한(忍苦歲寒)``으로 명명했다. 이상의 세 가지는 모두 수기(修己)와 관련된 덕목들이다. 약 400년 전 격동의 시기를 살다간 한 선비의 정신 세계를 탐구한 본고의 논의가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spects of scholar spirit shown in the poems during the periods of exile and demotion among the poems from 『Donggyejip』. Donggye became a governmental official over forty years old in 1610. During his tenure, Donggye did never forget his mission as a government official supported by taxes and did maintain his thoroughly struggling attitudes against periodic raging waves rather than pursued the loftiness of his bo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truly find out the true features of a scholar in his rigid attitudes and could confirm his true character, with which he went through turbulent life experiences in the works written in the period of hardship. This was the reason for doing research on Donggye`s scholar spirit. During his 10-year exile and demotion to the northern area, he awaited the communication with outside, namely, a call from the Royal Court, even under such distress and endured it with a reflective attitude. Considering this point focusing on the aspect of self-culture, his exile and demotion had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They were referred to as ``Onyudonhu(溫柔敦厚)``, ``Bangujeogi(反求諸己) and Ingosehan(忍苦歲寒)``. Along with them, it has been hoped that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spiritual world of a scholar who lived a turbulent period about 400 years ago and give us an opportunity to reflect our current features.

      • KCI등재후보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의 한시(漢詩) 일고(一考)

        정시열 ( Jeong Si-youl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錦溪 李根元(1840-1918)은 華西 李恒老, 重菴 金平默, 省齋 柳重敎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한 華西學派의 일원이다. 금계는 덕행으로 이름이 났기에 유중교 문하에서 공부한 省門三賢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화서학파는 구한말 외세 침략기에 춘추대의에 입각하여 尊華攘夷, 崇明排淸 사상을 근간으로 학문 활동을 전개한 학파였다. 본고에서는 화서학파와 이항로에 대한 연구가 상당한 진척을 보인데 반해 지금까지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금계라는 인물에 주목하여 그의 한시에 나타난 특징적 면모를 고찰했다. 본고에서 고찰한 바에 의하면 금계의 한시 세계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도학과 절의를 중시하고, 斯道를 지키려는 노력을 통해 춘추대의가 실현되리라는 믿음을 노래한 시들이 있다. 둘째, 도학적 이상에 대한 염원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정세가 암울한 데서 오는 좌절감을 읊은 시들이 있다. 셋째, 심란하고 어수선한 세상사를 벗어나 자연의 품에서 느끼는 정신적 상처의 치유와 깨달음을 주제로 한시들이 있다. 화서학파의 사상은 역사적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변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수구 세력의 주장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이 지닌 보수성은 외세의 침략 앞에서 민족적 자존과 자주를 지키려는 몸부림이었다는 점에 그 참다운 정신적 가치가 있다. 금계의 한시를 고찰하는 데 있어서도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Geumgye Lee Geun-won is a member of Hwaseo School who brushed up on his study under Hwaseo Lee Hang-ro, Jungam Kim Pyeong-muk, and Seongjae Yu Jung-gyo. Geumgye is one of Seongmunsamhyeon who studied under Yu Jung-gyo and was renowned for his virtue. This study focuses on the figure of Geumgye that is not so much known although research on Hwaseo School and Lee Hang-ro has made much progress. Particularly, this author considers Geumgye`s Chinese poem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this study, the world of Geumgye`s Chinese poems can be summed up in three ways: first, some of his poems sing about the value of ethics and integrity, attitudes to make efforts to preserve the principles of Confucianism, and belief that such efforts will lead to the realization of Chunchudaeui. Second, some are about despair coming from the dark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despite the wishes and expectations for the ethical ideal. Third, some of his poems also talk about the healing of mental wounds and enlightenment within the embrace of nature being freed from the uneasy and disturbing historical situations. Hwaseo School`s ideology is also evaluated negatively as the insistence of extremely conservative force not being able to adapt to historical reality and cope with changes properly. However, their conservatism is equipped with value and genuine spirit in that it was a struggle to preserve national self-esteem and self-reliance before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조 제주도 유배 문학의 위상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절역(絶域)에서 구현한 유가지교(儒家之敎)의 표상(表象)-

        정시열 ( Youl Jeong Si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4

        본고는 조선조 한문학에서 제주도 유배 문학의 위상에 관해 고찰한 논문이다. 조선조 한문학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가 선비정신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儒家의 기본 경전이자 孔孟의 사상이 집약된 四書를 통해 이들 유배인들의 詩文에 접근하는 것은 제주 유배 문학이 조선조 한문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제주 유배 문학이 조선조 한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한 간접적인 탐색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200여 명이나 되는 많은 유배인들 중에서 제주에서의 명망과 인지도, 詩文의 특성과 작품성 등을 고려해서 충암 김정, 동계 정온, 북헌 김춘택의 유배 시를 대상 텍스트로 정했다. 우연의 일치인지 유배 시기가 16,17,18세기의 분들이 고루 선정되었다. 본고의 제2장에서는 己卯名賢의 한 분으로 추앙받는 충암 김정의 제주도 유배한시를 대상으로 ``君子固窮``의 자세에 대해 논의했다. 충암은 1년 2개월간의 제주유배기 동안 혹독한 시련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불안한 나날을 보내면서도 ``固窮``의 자세를 꿋꿋이 견지하다가 36세의 나이로 賜死된 인물이다. 제3장에서는 ``舍生取義``의 정신에 입각해서 동계 정온의 제주 유배 한시에 대해 논의했다. 동계는 당시 정국을 주도하던 스승 정인홍 등의 대북파에 맞선 인물로서 영창대군을 죽인 강화부사 정항을 참수할 것을 청했다가 광해군에 의해 46세 때인 1614년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그 후 艱苦한 9년의 세월을 보내고, 1623년 55세 때 인조반정으로 해배되었다. 제4장에서는 ``和而不同``의 정신에 입각해서 북헌 김춘택의 제주 유배 한시를 살펴보았다. 북헌에게 있어 제주도는 부자간 2대에 걸친 유형지로 愛憎의 감정이 교차하는 곳이었다. 그래서인지 유배 시절 북헌의 시에는 제주도에 대한 이중적 시선이 나타난다. 이 세 분은 제주 유배라는 공통된 경험을 갖고 있었지만 개인적 상황과 처지의 차이가 시에 영향을 미쳤는데 본고에서는 이 점에 주목했다. 그리고 유배 시에 나타난 시적 특성의 차이를 구명하는 데 있어, 儒家之敎의 구현 양상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고찰한 결과 세 분들로부터 각각 ``君子固窮``, ``舍生取義``, ``和而不同``의 정신 자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조 제주도 유배 문학의 위상이 孤立無援의 絶域에서 구현한 儒家之敎임을 확인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Jeju exile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during Joseon Dynasty. And it is unquestionable that one of the keywords in Chinese literature during Joseon period is the spirit of Seonbi. If so, to approach to the exiles` poetic literature through Saseo(四書), the basic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what integrates the ideas of Mencius is to examine the status of Jeju exile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during Joseon period and also explore the effects of Jeju exile literature on Chinese literature in Joseon indirectly. This article selected as its subject text the exile poems of Chungam Kim Jeong, Donggye JeongOn, and Bukheon Kim Chun Taek among up to 200 or so exiles considering their reputation and recognition in Jeju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ry of poetic literature, etc. It could be coincidental but those whose exile period was in the 16th, 17th, and the 18th century were chosen evenly. Chapter 2 discusses this attitude of ``Gunjagogung (君子固窮)`` with the Jeju exile Chinese poems of Chungam Km Jeong who has been revered as one of the Gimyomyeonghyeon (己卯名賢). Chungam is the figure who was put to death at the age of 36 spending mentally daunted and anxious days for severe hardships during his exile period in Jeju for one year and two months but still maintaining the attitude of ``gogung (固窮)`` firmly. Chapter 3 discusses the Jeju exile Chinese poems of Donggye based on his spirit of ``Sasaengchwiui (舍生取義)``. Donggye is the figure that confronted Daebuk School including his mentor Jeong In Hong leading the political situation then. He asked to execute Jeong Hang, the Ganghwa Busa, who killed Yeongchang Daegun by beheading and was imprisoned in a thorn fence in Jeju by Gwanghaegun in 1624 when he was 46 years old. After spending nine years of poverty and hardships, he was released from his exile for Injobanjeong in 1623 when he was at the age of 55. Chapter 4 examines the Jeju exile Chinese poems of Bukheon Kim Chun Taek based on his spirit of ``Hwaibudong (和而不同)``. To Bukheon, Jeju was the place of love and hatred because he and his father went there for exile, that is, two generations in a row. That is why his poems written in his exile period show dual views to Jeju. Although the three had the common experience of exile in Jeju, their personal situations and positions affected their poems differently, which is the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And based on the result of considering how the aspects of realizing Yugajigyo (儒家之敎) differ in figuring out the differences of their poet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uld extract from the three figures ``Gunjagogung``, ``Sasaengchwiui``, and ``Hwaibudong`` each. Through that, this paper affirmed the status of Jeju exile literature in Joseon is Yugajigyo realized in the far distance of Goripmuwon (孤立無援).

      • KCI등재
      • KCI등재

        『부북일기(赴北日記)』에 나타난 사건과 인물에 대한 試探(시탐)

        정시열 ( Si Youl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일반적으로 일기는 실용성이 배제된 개인적 기록으로서 비공개적이며 사적인 성격을 띤다. 이 같은 장르적 특성상 그 내용상의 진실성이 담보되었을 때 진정한 가치를 갖는다. 본고에서 논의한 『赴北日記 』는 아버지와 아들이 2대에 걸쳐 赴防(부방)을 다녀오면서 남긴 기록물로서 저자의 관점에서 사실적으로 서술했다는 점이 인상적인 문헌이다. 한 시대의 전체적인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서술된 자료가 필요 하겠지만 당대인들의 생생한 인물상을 파악하는 데는 『부북일기』처럼 비공식적이고 미시적인 성격의 자료가 유용한 경우도 있다. 『부북일기』는 17세기 무관의 부방 생활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一當百壯士에 선발되어 부방길에 오른 아버지 박계숙과 과거에 급제한 후 出身軍官(출신군관)의 신분으로 부방을 다녀온 아들 박취문이 각각 1년여의 시간을 배경으로 작성한 일기이다. 본고에서는 『부북일기』에 나타난 사건과 인물에 대해 살펴보고자 갈등, 긴장, 그리고 입지와 위상이라는 요소를 텍스트 분석을 위한 키워드로 사용했다. 다양한 상황과 인간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갈등, 부방 임무의 위험과 구속이 초래한 긴장, 군관으로서 자신의 입지와 위상을 공고히 하려는 노력 등을 고찰함으로써 두 저자의 인물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제2-4장에서 검토한 바에 의하면 첫째, 이 두 사람은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데 있어 주로 효, 의리, 자비와 같은 대의명분을 중시하며, 公私(공사)의 조화를 도모할 줄 아는 인물이었다. 그리고 그 사람됨이 상황 통제 능력, 자기 조절 능력, 위기 대처 능력을 겸비했으며, 인지상정의 보편적 덕목을 명분으로 내세울 줄 알았다. 둘째, 그들은 부방 생활과 부방의 여정에서 발생한 긴장감을 폭력적으로 발산하는 대신, 당시 군영에서 허용되는 방식인 활쏘기, 연회, 기녀와의 유희를 통해 예민해진 심사를 이완시키고 고조된 긴장감을 가라앉혔다. 이러한 사실은 그들 부자가 조직의 질서와 개인적 자유 사이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룰 줄 아는 인물이었음을 말해준다. 셋째, 그들 부자는 병영 내에서 부방 무관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자 했다. 이러한 모습은 자기의 입지를 강화하고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본인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주장의 좌절과 관철을 경험했는데, 이 모든 것은 존중 받고 싶은 마음과, 권위와 명예에 대한 지향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두 사람은 무인으로서의 신분적 자각이 강한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diary is personal records excluding practicality and is writing that is private and not open to public. Due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nce its contents secure sincerity, it gets the true value. 『 Bubukilgi』 that this paper is going to deal with is the records written by two generations, a father and a son, visiting frontier, and it is impressive literature because it is described from the writers’ viewpoint realistically. To understand the overall system of a period, we may need materials written by a formal and macroscopic perspective, but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humans that are vivid about the contemporaries, sometimes materials that are informal and microscopic like 『 Bubukilgi 』 are found to be useful. 『 Bubukilgi 』 is material that shows a military officer’s life in frontier during the 17th century. This diary was written by father Pak Gye-suk heading for guarding the frontier appointed as Ildangbaekjangsa and son Pak Chui-mun visiting frontier in the status of a chulsingungwan separately for about a year. This article used the elements of the conflict, tension, and position and status, as the keywords for text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humans of the authors shown in 『 Bubukilgi 』. The paper intends to figure out theaspects of humans of the father and son by considering the conflict shown in various situations and human relations, the dangerousness of the duty in guarding the frontier and tension resulted from the confinement, and effort to solidify the position and status as a military offic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ver Chapter 2 to 4, first, these two were the persons who valued just causes such as filial duty, loyalty, and mercy in settling down conflicting situations and knew how to bring harmony between public and private matters. And they were equipped with knowhow to be human through situation-controlling skills, self-control, and risk-coping skills and could uphold mankind’s general virtue based on human nature asthe cause. Second, instead of expressing the tension resulted from their lives and journeys in guarding the frontier violently, they relieved their severe tension and calmed themselves through archery, feasts, and pleasure with the way which were allowed by the military then. This tells us that the father and son were the persons who knew how to bring balance and harmony in between organizational order and personal freedom. Third, the father and son tried to solidify their positions as a military officer in the army. This can be regarded as part of their effort to solidify their positions and elevate their statu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own opinions, they experienced both failure and accomplishment. And all of those began by their intention to be respected and pursuit of authority and fame. Withthis fact, we can see that the two were the persons that were strongly conscious about their status as a military man.

      • KCI등재

        우복정경세제문연구(愚伏鄭經世祭文硏究) -제문(祭文)의 애상성(哀傷性)과 관련하여-

        정시열 ( Si Youl Jeong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This paper discusses the funeral orations of Woobok Jeong Gyeongse (1563-1633) through inductive study of many features and writing methods of their genre. In this paper, the discussions mainly focus on the trait of lamentation shown in the funeral orations. For 28 funeral orations contained in ≪Woobok Collection≫, the factors related to lamentation were reviewed in three aspects: ``Aei-bulsang``, 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sorrow, and aesthetic formation. Their literary characteristics were well shown through this process of analysis. Chapter II examined in what composition the lamentation in funeral orations appear, through the concept of Aei-bulsang show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Chapter III examined the pattern for universal objectification of the personal sorrow shown in Woobok``s funeral orations. Chapter IV examined the aesthetic formation in which the appearance of the dead is drawn in a specific, clear form but also sensationally beautified. So far, this study has examined some ways of expression related to lamentation for Woobok``s funeral orations. Also, it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funeral oration are too literary to be considered a mere ceremony.

      • KCI등재
      • KCI등재

        漁村 沈彦光의 漢詩 硏究 -「歸田錄」에 나타난 晩年心理에 대해서-

        정시열(Jeong, Si-youl)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본고는 조선 중종 시기의 名臣인 漁村 沈彦光(1487-1540)이 낙향 후 2년간 지은 「歸田錄」 所載 漢詩에 나타난 심리 상태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어촌 심언광은 1507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1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등에서 청요직을 거쳤던 인물이다. 그는 내직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이조판서, 공조판서, 우참찬에 올랐고, 외직으로는 강원도와 함경도 관찰사를 지냈다. 어촌은 대사간으로 있던 1530년 무렵, 이언적을 비롯한 사간원 여러 관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자신의 형인 심언경과 뜻을 모아 김안로가 해배되어 예조판서로 서용되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훗날 김안로가 붕당을 조성하고 사익을 추구하며 옥사를 일으키자 그의 본색을 알게 되었고 사면에 힘쓴 것을 후회했다. 김안로가 賜死된 뒤에는 그의 서용에 힘쓴 일이 빌미가 되어 대간의 탄핵을 받고, 1538년 52세의 나이로 파직당한 뒤 고향인 강릉으로 돌아와서 2년 뒤 세상을 떠났다. 문집에 수록된 시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23년간의 관료 생활을 불명예스럽게 마치고 떠나야 했던 어촌의 발걸음은 무거웠고, 고향인 강릉에 와서도 좀처럼 마음의 갈피를 잡지 못했다. 어촌에 대한 연구는 문학, 생애, 사상, 유훈, 유적 등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조명한 적이 없는 󰡔漁村集󰡕 권10에 실린 「歸田錄」 소재 한시를 대상으로 어촌의 晩年 심리 상태에 대해 고찰했다. 「귀전록」의 한시들은 어촌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인 1538년에서 1540년 사이에 지어졌기에 그의 여생이 어떠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고의 제2장에서는 사용된 시어를 통해 시인의 자아의식 양상을, 제3장에서는 경물 묘사 속에 반영된 감정의 실체를, 제4장에서는 시상 전개에 따른 시인의 정서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귀전록」의 시에는 좌절된 욕구로 인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자의식 과잉의 현상이 보이며, 감정적으로 자족이나 우울을 노래한 작품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작품 내에서 시인의 정서가 전환되는 변곡점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처럼 「귀전록」에 실린 시들은 자기 고백이자 성찰의 작품으로서 어촌의 만년 심리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This article is the study that contemplated on the psychological condition appearing in the sino-Korean poetry recorded on 「Gwijeon-rok」 that was written by Eochon Shim Eon-gwang, a person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a period of two years after he returned to his hometown then. Eochon Shim Eon-gwang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Jinsa in 1507 and he passed the Gwageo in 1513 and served in important government positions in Yeomungwan, Saheonbu, Saganwon, Hongmungwan and others. As he served a number of inner government positions, he held the positions of Ijo Panseo, Gongjo Panseo, and Woochamchan as well as the external positions as governor of Gangwon-province and Hamgyeong -province. Around 1530 as he was working as Daesagan, Eochon gathered the opinions with Shim Eon-gyeong, his older brother, to assist Kim An-ro released from exile to become Yeojo Panceo beyond the oppositions from a number of government officers from Sagan-won. However, when Kim An-ro joined others to make faction and striven for private interest to cause commotion at a later time, Eochon learned on true color of him and regretted that he worked hard for his amnesty. After the death of Kim An-ro, he was impeached by Daegan because of his effort for his amnesty and was dismissed from his post at the age of 52 in 1538 to return back to Gangneung, his hometown, and passed away after 2 years. As shown on the poetry writings recorded on the literature collection, the foot-steps of Eochon who had to leave the government after 23 years of service in dishonorable fashion were heavy and he could not set his mind straight even at his homeland, Gangreung. The study on Eochon was progressed in a number of aspects, such as, literature, life, ideologies, dying injunctions, relics and so forth, and under this article, the elderly psychological condition of Eochon was contemp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sino-Korean poetrys recorded in 「Gwijeon-rok」 that had not shed the light in existing discussions. The sino-Korean poetrys recorded in 「Gwijeon-rok」 on Volume 10 of 󰡔Eochon-collection󰡕 are important data to find out about his life as they were written between 1538 and 1540 after Eochon leaving his government posi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egoing points, Chapter 2 of this article takes a look at the self-egoistic trend of poet through the poetic language used, and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actual body of emotion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of matters while Chapter 4 takes a look at the sentiment change of poets following the deployment for poetic contemplation. As a result, the poems of 「Gwijeon-rok」 displays the phenomenon of excessive self-ego to look at his despair from the unfulfilled desire in adverse ways, and the works on emotionally self-sufficiency or depression were shown in similar proportion, and it is shown to have the point of inflection where the sentiment of the poet to change within a work. As such, those poems appearing in 「Gwijeon-rok」 are the self-confession as well as works of in-sight that they are precious data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later year of Eochon.

      • KCI등재

        桐溪鄭蘊의 論三篇試探

        정시열(Jeong, Si-youl)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6

        This manuscript is an analysis of 3 personalias from the 4 personalias written by Donggye Jeong On. Donggye’s personalias defines the rationales for the behavior of three characters; Jang Ryang, a meritorious retainer in founding Earlier Han, Taegong who provided support to defeating Sang-nara for Muwang, and Giza who was from a royal family and a progenitor of Giza-Joseon. In these three discussions is Donggye’s independent historical view reflected, in that he attempted to assess, historically, well-known particular events, through his own perspective, not following other’s viewpoints when interpreting them. In addition, the major topics in each section assume the value as a material useful to guess at his ideas. Donggye’s power of brush stroke of giving justification to the behavior of his characters, based on his own viewpoint, and arriving at a conclusion on his own is as interesting as the historical events, his writing material. This manuscript is aimed at understanding fully the unusual life vestige trodden by a man called Donggye by analysing how these personalias were described and comprehending the meaning in it. The main features felt by myself, reading this personalia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eems to be an effort to discover a meaning hidden in the historical events. Second, there is a strong will not to lose a principle underlying the foundation of his idea. Third, he tried to impart a new meaning to the behavior of the historical characters selected by himself. In order to explore these main points, the evolution of an argument will be made, dealing with「JangRyangBulGanYeokTaejaRon」in chapter 2, 「TaeGongBuBaekiRon」in chapter 3, and「GizaSooBongJoseonRon」in chapter 4. The reason why the analysis was made by chapters is that the three personalias each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