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석향 ( Seok Hyang Kim ),이은주 ( Eun Ju Lee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2

        This paper will show the general trend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hrough the books, theses and dissertations since 1948 to 2012. At first, the trend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with the change of themes shall be analyzed, and the points in dispute shall be analyzed at the aspects of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And then the limit and the task of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shall be shown.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had been begun since ``70s, and was flourished in ``90s, and after 2000, it was not only grown in quantity but also deepened in quality. This paper will categorize the theme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o 12 pattern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status and role, the ideolog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 political culture, the character and image of woman, the childcare and nurture, the woman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health and sanitation, the beauty art and fashion, the The Women`s Union and the life of the organization, the women`s economic activity, and the others.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re usually concentrated to 4 theme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features and image of women. We can know that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to the special themes and studied as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Thus we should study the more concrete themes as well as the more extensional and various themes. And we need to rebuild the epistemology of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Nowadays the perspective of the feminism is used in this researches, I think it is desirable. At the aspect of methodology, the non-existence of the theory, the tendency to the study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he insufficiency of the fundamental researches are the problem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And we need to diversify the methodology, too. At the end of this paper, I will propose to combine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nd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 researches at the long perspective and as the grand level of women researches.

      • KCI등재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확장 가능성

        조영주(Young-Ju Ch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8 여성학논집 Vol.35 No.1

        이 글은 북한여성연구의 활성화의 조건과 여성주의적 확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북한여성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글은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과 여성주의적 개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진행되어온 북한여성연구의 궤적을 각 분야의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개입 또는 비개입의 맥락을 살펴보았다. 북한학에서는 2000년대 들어 북한여성연구가 상대적으로 활성화된 경향이 있고, 주로 북한의 시장화에 따른 여성 삶의 변화와 공식담론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에 대한 탐구를 하였다. 여성학에서는 1990년대에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되었고, 2000년대 들어 간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성학과 북한학에서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당시의 국내외 정세와 북한체제의 변화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여성학이나 북한학에서 북한여성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는 못했다.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비/개입의 맥락들을 살펴보면 우선 북한여성 연구자의 위치성이 북한여성연구의 주제와 접근 방법에 영향을 주었고, 구조적으로는 북한학 학문공동체 내의 성별분업, 프로젝트 중심의 학문 재생산 구조, 연구자의 재생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 북한여성연구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조건들로 이 글에서는 객관성과 위치성의 재구성을 통한기존 북한연구 패러다임의 전환과 여성학연구 성과의 북한여성연구 접목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ditions that activate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of feminist approach to North Korean Women. Research on North Korean women has been limited to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feminist 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s studies and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tivate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To this end, the history of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was examined mainly through prominent journals in the respective fields, and the context of feminist intervention or non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 was also explored. Compared to the past, in the 2000s, North Korean researchers began to research North Korean women more actively,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women in public discourse and the changes in women’s life after the market economy was introduced. In the 1990s, scholars in the field of women’s studies actively researched North Korean women, but this slowed down in the 2000s. The activating of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women’s studies and North Korean studies was relate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North Korean system. In general, however, neither women’s studies nor North Korean studies covered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very deeply. The contexts of feminist non/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positionality of researchers of North Korean women influenced the topics and the approach to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Structually, there wer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North Korean studies, the constraints in project-based researches and the difficulties of reproducing researcher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to promote the activating of the feminist approach in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this article proposed shifting the previous paradigms of North Korean studie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objectivity and positionality, and integra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women’s studies with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 KCI등재

        한국정부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대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연구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문은희,윤영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d understand how wome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recognize the variou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s for the purpose of adapting and settling in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large areas, eight central areas, and 23 categories could be deriv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provided on the basis of the「Act on the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ors」were generally helpful in the area of life for the initial settlement of wome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as the period of residence was prolonged, various opin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access to the support system, the period of support, and the cont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dividual is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improvement plans for support polici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본 연구는 남한사회의 적응과 정착을 목적으로 북한이탈주민에게 제공하는 한국정부의 다양한 보호 및 정착지원에 대해 북한이탈여성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확인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3개의 대영역과 8개의 중심영역, 그리고 23개의 범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제공되는 각종 보호 및 정착지원은 북한이탈여성의 초기정착 및 남한사회 적응 등에 생활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거주기간이 장기화되면서 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지원제도에 대한 접근 관점, 지원 기간 및 내용 등에 있어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지원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여성 구술사 연구와 분과학문의 만남 : 북한 연구를 중심으로

        조영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1

        여성 구술사 연구는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복원함으로써 역사와 권력으로부터 배제된 다양한 여성 주체들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식 역사에 문제제기를 하면서 도전하고 여성을 권력화한다는 점에서 실천성을 갖는다. 이 글은 최근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구술사/여성 구술사 연구가 활용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여성 구술사 연구가 학문적 영역에서 갖는 실천성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 구술사 연구가 다른 학문분과와 만나 하나의 연구영역이자 연구방법으로 자리 잡는 데서 기존 학문의 패러다임과 어떻게 충돌, 경합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북한 연구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 연구는 여성 구술사 연구를 하나의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여성 구술사 연구는 ‘북한’ 여성 연구를 북한 ‘여성’ 연구로 전환시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구술 자료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면서 연구자의 인식론적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북한 연구 영역에서 여성 구술사 연구는 미흡하지만 기존 학문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도전이 지속되고 실천성이 확장되기 위해서는 북한 연구 영역의 확대와 관점의 변화, 구술자료에 대한 태도 변화(정보/경험/증언)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Feminist oral history restores unrecorded history to reveal various subjects excluded from history and power and has practicability in the point of empowering women.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practicability of feminist oral history in the academic area from its interest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feminist oral history is lately utilized in diverse disciplines. For this, the paper will analyze how feminist oral history collides and competes with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studies from the point of settling down as a research area and research method. In concrete,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studies.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n studies have been utilizing feminist oral history as a major research method. In the course, feminist oral history raised the necessity of conversion from ‘North Korean’ studies on women to the North Korean studies on ‘women’ and brought about the epistemological changes of the researcher. feminist oral history is insufficient in the area of the North Korean studies but it challenges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studies. Since then, the continuous challenges and expanded practicability can be enabled when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the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change of the viewpoint and the change of the attitude (information/experience/testimony) to oral materials are accompanied.

      • KCI등재

        북한 여성의 삶을 역사화하기: 북한 여성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진 북한 여성사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성과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밝혔다. 북한 여성사 연구는한국전쟁과 여성 경험, 여성의 노동과 직업 생활, 국가와 모성·재생산, 여성의 섹슈얼리티, 시대별 여성의 삶, 여성 교육과 조직 생활, 여성 지도자와 인물, 남북한 여성사 비교 등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여성의 구술사와 담론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 학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의 장에서 북한 여성사 연구 성과물이 나오고 있는 점은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여성사 연구가 전체적인 편수도 적고주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 북한 여성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빈약한점, 제약된 연구 자료를 가지고 북한 여성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북한 여성사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여성사 연구는 연구주제를 보다 확대하고 이론과 연구 방법을 더욱 정교화해야 하며,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사 연구가 한 분과로 안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북한 여성사 연구의 성장을 위한 시론적 논의로, 앞으로 북한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남북한 여대생의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 - 다큐 ‘남북미생’을 중심으로 -

        엄현숙 ( Oum Hyun-suk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연령대에 있는 두 집단 속 여대생을 대상으로 통일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사회적 범주에서 그들 자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세대, 또는 집단을 중심으로 한 정량적 평가에 집중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개인이 통일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정성적 평가에 초점을 맞춘다. 남북한 모두 20대의 통일인식은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나, 다음의 경우 다름이 확인된다. 그것은 첫째로, 남한의 경우 20대의 통일인식은 40대-60대보다 항상 낮았다. 둘째로, 북한의 20대 통일인식은 40대-60대 보다 항상 낮은 것은 아니며 20대의 통일인식은 남한보다 북한이 36.2%p 높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우선, 두 여대생은 긍정적인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해 스스로를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두 여대생과 부모의 관계는 남한은 갈등을, 북한은 공감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인식된 사회 정체성은 불안정성이 높을수록 통일에 대한 관심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허선경을 통해 드러난 통일에 대한 무관심은 남한 내 20대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individuals from South and North Korea derived from social categories through documentary 'Two Voice from Korea'. This study focuses on qualitative assessments of how individuals perceive inter-Korean relations. Both Koreas have seen a long-term decline in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their 20s. In South Korea, the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their 20s is always low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However, North Korea's perception of unification in its 20s is not always low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60s. North Korea's unification awareness in its 20s is 36.2 percent higher than South Korea'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wo university students classified themselves into groups to establish positive value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documentary shows conflict in the South and empathy in the North. Next, social identity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instability, the lower the interest in inter-Korean relations. As a result, the indifference to unification revealed through Heo Sun-kyung in her 20s is not irrelevant to the perception of the entire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국 체류경험자를 중심으로

        김선숙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3

        본 연구는 중국 체류 시 인권유린과 함께 성적 학대를 경험한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여성의 중국에서의 학대 경험과 한국에서의 회복 경험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에는 9명의 북한이탈여성이 참여했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로 접근했다. 자료 분석 결과 10개의 구성소요가 도출되었다. 이는 잔인한 땅에서의 성노예, 인신매매의 공모 네트워크, 삶의 감옥에 갇힌 수인, 자기의 파괴, 몫 없는 존재, 탈출 생명력, 손상된 정체성의 치유, 사상의 해독에서 벗어나기, 주체적 자기 복권, 상처 입은 치유자로 제시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 경험에 대한 회복을 지지할 수 있는 논의를 구체적으로 제언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experienced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exual abuse while staying in China.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experiences of abuse in China and recovery experiences in Korea. Nine North Korean defector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was a phenomenological study.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0 components were derived. This is sexual slavery in a cruel land, a collusion network of human trafficking, a prisoner trapped in the prison of life, destruction of the self, existence without a share, escape vitality, healing of damaged identity, escape from detoxification of thoughts, subjective self-rehabilitation, Presented as a healer of the wound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pecific suggestions were made to discuss and support the recovery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류진아(Jin-A Ryu),오은경(Eunkyung OH)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경험을 경험과정, 개인적-사회적 경험, 남한사회 정착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여성 삶의 경험과정은 북한이탈 이전과 이후로 크게 나누어지며, 북한에서의 경험, 북한 이탈 이후 제3국을 포함한 탈북과정에서의 경험, 남한 입국 이후 경험으로 나누어진다. 이 3가지 경험의 과정 범주는 그 환경적, 상황적 맥락이 아주 이질적이어서 하나의 맥락이나 공통적인 맥락으로 이해하고 분류·분석하기 어렵다.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과 삶의 장의 변화가 특징이다. 하지만 그들의 내면적 경험은 시간과 장을 아우르고 있으며 하나의 전체적인 인간으로서 내면의 경험이 이어지고 있다. 둘째, 3개의 이질적인 삶의 장에서의 개인적-사회적 경험 주요개념을 살펴보면, 북한에서는 출신성분 및 가부장적 문화, 경제난과 가장 역할, 지옥세계와 생계형 범죄, 가족 붕괴, 인권유린이었다. 북한이탈 과정에서는 불안한 도피와 차별(불법이민자), 심리적 위축과 PTSD, 빈곤 속 상품화된 여성, 가족해체와 재구성이었다. 한국 입국 이후는 남한정착 과정의 요인과 남한 사회정착이었다. 셋째, 남한사회 정착은 다시 시작하는 (여성으로서) 삶, 고통의 계속(외상), 노후와 미래불안, 적응보다 존재적 욕구, 외상 후 성장이었으며, 남한사회 정착관련 요인은 울타리, 장벽과 방해, 강점과 노력이 상호작용하고 순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depth, focusing on the experience process, personal-social experiences, and factors related to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24 qualitative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experience process of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is large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n, and it is divided into the experience in North Korea, th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fection, including experience in third countries after the departure from North Korea, and the experience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se three experiences are very different in their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context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classify, and analyze in one context or a common context. Th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are characterized by the passage of time and changes in the places of life. However, their inner experience encompasses time and places and the inner experience as a whole human being continues. Second, looking at the main concepts of personal-social experiences in the three different places of life, in North Korea, the main concepts included the origins and patriarchal culture,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role of the household head, hell world and livelihood crimes, family collapse,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process of leaving North Korea, it was about uneasiness from escape and discrimination (against illegal immigrants), psychological disturbance and PTSD, commodification of women in poverty, and family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After entering Korea, it was about the factor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South Korea and social settlement in South Korea. Third, the settlement of South Korean society was about re-starting life (as a woman), lasting pain (trauma), aging and future anxiety, existential need rather than adapt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e factors related to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fences, barriers and obstacles, strengths and effort interact and influence with each other cyclically.

      • KCI등재

        A study on the framing of North Korean Defector in the media: Focusing on the case of Y. S. Kim

        신유리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2024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14 No.3

        The media exert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mages and discourses pertaining to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endeavours to conduct a case analysis of the manner in which the media creates imag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fines their identities. To this end, this focuses on Y. S. Kim, a North Korean defector who came to South Korea in 2003. Y. S. Kim was selected due to her possession of a number of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at set her apart from ordinary North Korean defectors. Her diachronic experience of being bor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er spatial experience of having lived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her status as a woman from the upper echelons of Pyongyang, North Korea, her background as a cultural artist who majored in dance, and her history as a political prisoner have all provided avenues for extensive media exposure. In this study, the full narrative of Y. S. Kim’s life was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oral interviews, and analyzed the broadcast videos that interviewed Y.S. Kim about how they covered her. Based on this, I analyzed which parts of Y.S. Kim’s life were highlighted, compared the life narrative and content,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nd the public’s reaction to 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uth Korean media tends to emphasize certain frames by repeating and expanding certain parts, rather than covering the defector’s story in full and that various parts of the defector’s life narrative are not covered.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어머니 됨 경험

        정현숙(Jeong, Hyun Sook) 질적연구학회 2014 질적연구 Vol.15 No.2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otherhood experience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delivering in South Korea. Methods: The raw data was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from July 2010 to June 2012. All of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proposed by Colaizzi (1978). Results: This study extracted 25 formulated meanings arranged in six themes. The six themes were ’Taste a new world from the new experience of being pregnant’, ‘A painful body and mind with no relying on’, ‘The child becomes the source of vitality’, ‘Burden of a mother’s role different from that of North Korea’, ‘Concern that mother’s status as a North Korean woman defector may harm one’s child’, ‘Put all effort into making a life for the sake of the child’. Conclusion: This findings might provide insight for future maternity related policies and nursing strategies targeting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