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와 고대 그리스의 인문정신 - 3대 고전비극작가를 중심으로-

        양해림 ( Yang Hae-rim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니체는 『비극의 탄생』(1872)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삶을 긍정하는 비극을 제시 했다. 니체의 모든 저서에서 등장하고 있는 디오니소스 또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니체 철학의 핵심으로 자리 매김한다.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에 의하면, 니체의 `디오니소스`나 `디오니소스적`이라는 용어를 일관된 의미로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니체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자신의 철학하는 것 전체를 총괄하였다고 말한다. 니체는 그리스문화에서 비극 해석의 특징들을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결정적인 두 요소가 바로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대립 쌍이라 파악한다. 그래서 니체의 그리스 문화의 비극 해석은 이 두 메타포에 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니체의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메타포는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니체의 그리스 비극은 그의 『비극의 탄생』에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인문정신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그리스 비극론이다. 그가 예술의 모범으로서 제시한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융합의 결실인 그리스 비극에 관한 것이다. 둘째는 음악 예술론이다. 이는 니체가 강조하는 그리스 음악정신으로부터 비극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셋째, 비극의 몰락에 대한 예측이다. 니체는 소크라테스의 낙관적 이론주의의 비판을 통해 비극의 몰락을 예측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리스 시대를 한정하여 니체가 보았던 그리스 3대 비극작가를 중심으로 그들의 인문정신을 살펴보고자 한다. Nietzsche presented a tragedy that affirmed the life of Dionysus in 『the Birth of Tragedy』(1872). Dionysus or Dionysische, which appeared in all the writing of Nietzsche, became the core of Nietzsche`s philosophy. According to Karl Jaspers (1883-1969), Nietzsche`s term, Dionysus or Dionysische,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in a consistent sense but, Nietzsche says that he puts all his philosophy in Dionysische. Nietzsche understands that the two intensive elements showing the trait of tragedy interpretation in Greek culture are the pairs of Apollonische and Dionysische`s antagonism. Thus, Nietzsche`s interpretation of the tragedy of Greek culture requires the review of the two metaphors. Apollonische and Dionysische of Nietzsche can be understood as various perspectives. Thus, Nietzsche`s Greek tragedy can trace the vestige of human spirit in three classified categories in 『the Birth of Tragedy』. The first is Greek tragedy. It is about Greek tragedy, the result of convergence of Apollonische and Dionysische that was suggested as an example of art. The second is Musical Art theory. This is about that the tragedy is created at Greek musical spirit that Nietzsche emphasizes. The third is prediction of the fall of tragedy. Nietzsche predicts the fall of tragedy through criticizing of Socrates` optimistic theoretical atten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human spirit that Nietzsche understood by focusing on the great three Greek tragic writers and limiting the Greek era.

      • KCI등재

        니체의 초인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

        이서규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2 No.-

        Nietzsche dismantles traditional philosophy through numerous symbols and parables in “The Zarathustra said”. It is true, however, that it is not easy to read his philosophical intent in spite of Nietzsche’s firm attitude to traditional philosophy. Heidegger has been interested in Nietzsche’s philosophy since the 1930s and has been discussing Nietzsche’s claims from a metaphysical and ontological point of view. Heidegger has a philosophical meaning of Nietzsche’s intricate expressions through detailed discussions on the fundamental systems and concepts of Nietzsche’s philosophy in “Nietzsche’s Words of God is death”, “Who is a Zarathustra” and “Nietzsche”(I, II). Particular, Heidegger presents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concept of overman, the starting point of this interpretation being given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overman and the eternal regression. In particular, Heidegger’s position to dismantle traditional philosophy in “Being and time” through analysis of Dasein positively assesses Nietzsche’s work to overcom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man and the world. Heidegger focuses on the Zeitlichkeit while defining human beings as “a being to death” (Sein zum Tode) and has a deep sympathy for the Nietzsche’s philosophy to restore the active meaning of temporal things through eternal regression. Nietzsche’s philosophy, which emphasizes the existence of the overhuman, which dismantles the super-emotional world and restores the meaning of the earth, is forming the connection with Heidegger’s analysis of the Dasein line. In this sense, it is fair to discuss Nietzsche’s concept of overman in relation to the idea of eternal regression. Based o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role of Nietzsche’s concept of superhuman in relation to the eternal regression.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제시되는 니체의 전통해체의 작업은수많은 상징들과 비유 그리고 수수께끼와 같은 상황설정을 통해서 전개된다. 그러나 전통철학에 대한 니체의 단호한 태도에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적 의도를 읽어내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이데거는 1930년대 이래 니체철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면서 니체의 주장들을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 관점에서논의하고 있다.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 「차라투스트라는 누구인가」, 『니체I, II』에서 하이데거는 니체철학의 근본체계와 개념들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통해서 니체의 난해한 표현들이 지니는 철학적인 의미를 충실하게 해석하고 있다. 특히 하이데거는 니체의 초인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을 제시하는데, 이러한해석의 출발점은 초인과 영원회귀사상의 연관성에서 주어진다. 특히 『존재와시간』에서 전통철학을 현존재분석을 통해서 해체하려는 하이데거는 초인의 존재를 설파하면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극복하려는 니체의 작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인간을 “죽음에 이르는 존재”(Sein zum Tode)로 규정하면서 인간의 시간성(Zeitlichkeit)에 주목하는 하이데거는 영원회귀사상을 통해서 시간적인 것의 적극적인 의미를 회복시키려는 니체철학에 깊은 공감을 갖게 된다. 초감성적인 세계를 해체하고 대지의 의미를 회복시키는 초인의 존재를강조하는 니체철학은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과 일정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니체의 초인개념을 영원회귀사상과 관련시켜논의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하이데거의 니체해석을 토대로 니체의 초인개념이 지닌 의미와 역할을 영원회귀사상과의 연관성속에서 고찰하도록 한다.

      • KCI등재

        Book Reviews : Jennifer Ratner-Rosenhagen, AMERICAN NIETZSCHE A History of an Icon and His Ideas Chicago: U of Chicago, 2012.

        ( Yong Hwa Lee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4 미국학 Vol.37 No.1

        This review introduces Ratner-Rosenhagen`s American Nietzsche, a book which trace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Nietzsche`s philosophy and modern American thought. Ratner-Rosenhagen begins her book by pointing out remarkable affinities between Emerson`s and Nietzsche`s thoughts in her prologue. After the prologue about the presence of Emerson`s thought in Nietzsche`s philosophy, the first half of the book examines the way in which Americans responded to Nietzsche until 1930. This is followed by a chapter devoted to Kaufmann`s restoration of Nietzsche from his underserved infamy (or obscurity) starting in the 1950s.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three “anti-foundationalist” readings of Nietzsche: Harold Bloom`s, Richard Rorty`s, and Stanley Cavell`s. The book closes with an epilogue which discusses Allan Bloom`s critique of left-wing professors` abuse of Nietzsche`s value relativism in his 1987 best-seller,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This books complements Nietzsche in American Literature and Thought (edited by Mansfred Putz) which features a collection of interdisciplinary essays on the philosophical influences of Nietzsche`s thoughts on American literary men and thinkers. Although Ratner-Rosenhagen`s approach does not offer an in-depth analysis of how such critical issues as perspectivism, the problem of language, and religious imagination, the book paves a way for students of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literature,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American Nietzsche is an admirable achievement not only in Nietzsche studies but also in American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후보

        Jennifer Ratner-Rosenhagen, AMERICAN NIETZSCHE A History of an Icon and His Ideas Chicago: U of Chicago, 2012

        이용화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4 미국학 Vol.37 No.1

        This review introduces Ratner-Rosenhagen’s American Nietzsche, a book which trace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Nietzsche’s philosophy and modern American thought. Ratner-Rosenhagen begins her book by pointing out remarkable affinities between Emerson’s and Nietzsche’s thoughts in her prologue. After the prologue about the presence of Emerson’s thought in Nietzsche’s philosophy, the first half of the book examines the way in which Americans responded to Nietzsche until 1930. This is followed by a chapter devoted to Kaufmann’s restoration of Nietzsche from his underserved infamy (or obscurity) starting in the 1950s. The following chapter discusses three “anti-foundationalist” readings of Nietzsche: Harold Bloom’s, Richard Rorty’s, and Stanley Cavell’s. The book closes with an epilogue which discusses Allan Bloom’s critique of left-wing professors’ abuse of Nietzsche’s value relativism in his 1987 best-seller,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This books complements Nietzsche in American Literature and Thought (edited by Mansfred Pütz) which features a collection of interdisciplinary essays on the philosophical influences of Nietzsche’s thoughts on American literary men and thinkers. Although Ratner-Rosenhagen’s approach does not offer an in-depth analysis of how such critical issues as perspectivism, the problem of language, and religious imagination, the book paves a way for students of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philosophy, literature, history, and cultural studies. American Nietzsche is an admirable achievement not only in Nietzsche studies but also in American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

        니체의 춤 개념에 대한 고찰 – 삶의 언어로서의 춤의 의미를 중심으로

        남재민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3 No.-

        Nietzsche points out that the starting point of traditional metaphysics is a blind belief in human rational ability. Therefore, Nietzsche's thinking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logoscentrism, which is premised on traditional metaphysics, and seeks to establish a new philosophy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before. This is revealed to Nietzsche through the process of excluding traditional metaphysical truths, namely aisthessis, and refusing to pursue universal and transcendent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desensitization. As is well known, in traditional metaphysics, the body (Körper) was defined as a kind of ritual tomb that was distinguished from consciousness. However, Nietzsche argues that unlike traditional metaphysics, sensory perception is rather the way to the truth. Of course, it should be noted that Nietzsche insists that truth is everywhere. Nietzsche's epistemology, defined as Perspektivismus, means that Nietzsche no longer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universal subject, such as modern subjectivity philosophy. This is because from Nietzsche's point of view, the subject of life is no longer a universal consciousness like cogito, but an individual's individual body. Dance is a key metaphor that penetrates the Nietzsche philosophy that performs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metaphysics centered on reason here. Particularly for Nietzsche, who emphasizes the role of the body, not reason, in existential life problems, dance is closely related to his future philosophy for active affirmation of existential life. Therefore, Nietzsche develops various discussions on dance in his works. This is because for Nietzsche, dance is not limited to artistic gestures, but can be defined as a constant play of creation performed through the human body. 니체는 전통형이상학의 출발점을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이라고 지 적한다. 그러므로 니체의 사유는 전통형이상학에 전제되어 있는 로고스중심주의의 한계를 비판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철학을 정초하고자 한다. 이것은 니체에게 전통형이 상학적 진리, 다시 말해 감각적 지각(aisthēsis)을 배제하고, 탈감각화의 과정을 통해 보편 적이고 초월적인 앎을 추구하는 것을 거부하는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통형이상학에서 신체(Körper)는 의식과 구분되는 일종의 의식의 무덤으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니체는 전통형이상학과는 달리, 감각적 지각이 오히려 진리 로 향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니체는 진리가 도처 에 있다고 주장한다는 점이다. 관점주의(Perspektivismus)로 규정되는 이러한 니체의 인 식론은 니체가 근대 주관성철학과 같이 더 이상 보편적 주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니체의 관점에서 삶의 주체는 더 이상 코기토(cogito)와 같이 보 편적 의식이 아니라, 개체의 각자적인 몸(Leib)이기 때문이다. 춤(Tanz)은 여기에서 이성중심적인 전통형이상학의 해체를 수행하는 니체철학을 관통 하고 있는 핵심적인 메타포이다. 특히 실존적인 삶의 문제에서 이성이 아니라, 몸의 역할 을 강조하는 니체에게 춤은 실존적인 삶의 적극적인 긍정을 위해 제시한 그의 미래철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니체는 자신의 저작들에서 춤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전개 한다. 이것은 니체에게 춤이 단순히 예술적인 몸짓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몸 을 통해 수행되는 끊임없는 창조의 놀이(Spiel)로 규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니체, 깨어있음의 교육

        조수경(Jo, Su-Gy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본 논문은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기초적 고민으로부터 출발하고 또 그 고민을 지속하는 것이 교육철학이라는 주장아래 교육철학자로서의 니체를 성찰한다. 고대 그리스의 교육담론과 마찬가지로 니체는 교육의 주제어로 삶과 나-자신을 채택한다. 이때의 교육은 없는 것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을 발현하도록 이끈다. 니체에 의하면, 이끄는 교육은 지속적인 수고의 집적이며, 통일성도 그 지점에 위치한다. 본 논문은 그러한 논의와 연관하여 니체의 계보학, 진리, 영원회귀, 운명애 등을 탐구하고 그것을 통해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교육’ 그리고 ‘윤리적 교사’를 제안한다. 또한 교육의 주요 논점인 공동체의 문제에 관한 니체의 시각을 드러낸다. 니체에 의하면, 개별자의 총체가 전체의 변화를 이끈다. 그런 점에서 니체의 논의는 이데아의 실현이라는 공동체의 목표를 우선하는 플라톤의 논의와 변별점을 갖는다. The very question that this paper seeks to raise is what is the final point that we can"t give up even from conventional educational philosophies. Actually, we forgot fundamental questions we need to raise about education as we uncritically accepted America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had been fluctuated with data varying depending on how they are categorized or processed. What would finally remain if we work through discourses on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have been just superficial and seemingly similar to one another, over a long period? Assuming that the final thing may be named "educational philosophy" itself, this paper puts thoughts of F. W. Nietzsche on the cornerstone of educational philosophy, setting aside educational arguments by other philosophers such as Plato, Rousseau and Dewey. Nietzsche"s language that we meet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not a theory that just provides long but not so effective words within a fixed framework. It is like a combat wagon that runs and penetrates through our internal world. He is a philosopher who is not to be understood, but to be lived with. Those who read Nietzsche"s arguments reflectively should live with his words rather than repeating them. This is the reason why we try to make educational philosophy underlying by Nietzsche"s arguments. As suggested by Foucault"s saying that reading Nietzsche better is using him better, our arguments should lie in using Nietzsche better for educational philosophy. In this sense, Nietzsche"s texts are most unfamiliar on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hilosophy .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texts that are unexpectedly and surprisingly fit for our reality. Thus, Nietzsche"s arguments make us to question what an uncomparably important education should be in the reality of education that are still not free from red tapes, reports and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processes. As an educational philosopher, Nietzsche focuses on "myself" with life, a key subject that can"t be substituted. Owing his thoughts, we seek to find a conclusion, ‘education is not for understanding, but for living’. As for Nietzsche, roughly speaking, education that doesn"t involve life is ‘false education’. Thus, understanding is a secondary way of living. It is just a part of living. Nietzsche says “no one builds up a bridge through which I cross over the waters of life. It is only myself who can do it”. This saying, he adds, can be invariably heard from anyone only if we do not close our ears. According to him, one should pile up his labors within a painting of his life without embellishing his reality . This is also what ancient Greek philosophers suggested. Education can be something true only when it can explain wha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origin of our nature are and what are difficult to be educated, formed, approached, contained or withdrawn. In this case, education is not making, but leading. Leading education, differently termed by Nietzsche as ‘true education’, puts its final destination on liberation. Here, liberation requests us to have a courage to live a life of the moment or grasp today that is too instant in accordance with our standards and laws without ignoring our creativity and sticking to the hope of the future. What leads us to have that courage is education.

      • KCI등재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예술론에 대한 비교고찰 - 고통과 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남재민 한국니체학회 2021 니체연구 Vol.39 No.-

        니체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되는 선악의 저편 을 통해 철학적 사유 의 동근원성을 제시한다. 이것은 서로 독립적으로 보이는 사유들도 결국 철학함 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힘에 사로잡혀 유사한 궤도로 달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사유의 가족 유사성을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유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흔히 니체가 쇼펜하우어의 개념과 용어 를 차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니체의 사유 속 쇼펜하우어의 흔적은 때로는 온전한 형태로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 지만 때로는 은폐되고 변형된 모습으로 은닉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는 니체를 단순한 쇼펜하우어의 계승자로 정의하지 않는다. 이것은 니체가 핵심 적인 사유에서 쇼펜하우어의 사유와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니체는 자신의 저서 곳곳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유의 지평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이런 이중적인 관계는 예술론의 영역에서 두드 러진다. 쇼펜하우어와 니체에게 예술은 각자가 지향하는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일종의 이정표이다. 물론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모두 예술을 고통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해석한다. 이것은 쇼펜하우어와 니체에게 삶이 언제나 고통의 노정이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관점에서 만약 인간의 삶이 그 자체로 고통 없이 아름답다고 한다면 예술의 존재목적은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고통을 대하는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문제의식은 서로 다르다. 쇼펜하우어에게 고통은 대부분의 인식주체에게 무의미하게 존재하는 것이며, 극복의 대상으로 규정되 는 것이다. 이와 달리 니체에게 고통은 오히려 삶을 위한 필수요소이자, 오직 인 간의 삶에서 존재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통에 대한 이러한 시선 의 차이는 양자의 몸 개념에 대한 정의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쇼펜하우어에 게 몸은 더 이상 전통형이상학과 같이 인간의 이성적 능력으로부터 규제되거나, 이성적 능력 보다 열등한 것으로 규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펜하우 어는 몸을 예술에 대한 방해물로 정의한다. 하지만 니체에게 몸은 오히려 전통 적인 이성적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일 뿐만 아니라, 예술충동의 근원이다. Schopenhauer and Nietzsche's reasons are closely linked to family similarities. Of course, this relationship between Schopenhauer and Nietzsche is hard to define as a simple successor. This is because Nietzsche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Schopenhauer in its interpretation of key concepts. In other words, Nietzsche uses Schopenhauer's original art philosophy as the foundation. Therefore, for Nietzsche, traces of Schopenhauer sometimes appear to us in intact form, but sometimes in hidden and modified form. This relationship between Schopenhauer and Nietzsche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realm of art theory.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Schopenhauer and Nietzsche not only use similar concepts and terms, but also define art as a milestone for the existential life that each defines. Life is always a pain point for Schopenhauer and Nietzsche. From the point of view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if life is beautiful in itself to humans, the meaning of art's existence will probably disappear. Therefore, both Schopenhauer and Nietzsche interpret art in a close connection to pain. Of course, the two thinkers' responses to pain are completely contradictory. For Schopenhauer, pain is something to escape and overcome. For Nietzsche, on the other hand, pain is rather an essential part of life. And these conflicting views of pain lead to the existence of different art objects. In other words, for two thinkers, art is a milestone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life. In addition, for the two thinkers, the body is discussed in a close connection with art. For Schopenhauer, the body is no longer regulated or defined as inferior to human rational ability, such as traditional metaphysics. Nevertheless, in Schopenhauer's art theory, the body is defined as an obstacle for art. However, Nietzsche argues that active positivity to the body is art.

      • KCI등재

        니체의 칸트 비판 고찰 -『도덕의 계보』를 중심으로

        최우석 ( Woo Sok Choi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연구 Vol.0 No.53

        니체는 『도덕의 계보』에서 칸트 비판과 함께 전통 도덕을 극복하려했다. 니체는 전통도덕으로부터 수립된 선과 악, 우와 열의 이 해가 잘못되어 왔었다는 사실을 고발한다. 그는 양심의 가책이나, 금욕 주의적 이상도 실상은 인격존재의 생산적인 가치를 가로막는 비판받아 야 할 개념이라는 점을 밝혀낸다. 니체가 볼 때, 칸트 도덕은 니체 자 신이 내세우는 도덕 가치들과는 정 반대의 지점에 있는 전통도덕이다. 니체는 칸트 도덕을 금욕주의적 이상에 따라 자기부정성에 입각한 도 덕, 형식적 실천원리에 복종을 요구하는 비현실적 도덕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니체의 칸트 이해는 칸트를 근본적으로 오해한 데에 서 비롯된 결과로 보인다. 니체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칸트 도덕은 긍정주의 토대에서 설명된다. 자율성에 입각한 자기긍정은 자유와 도덕 을 설명하는 칸트 도덕의 핵심원리이다. 아울러 칸트 도덕은 자연성향 을 맹목적으로 부정하는 금욕주의에 입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니체와 유사하게 칸트 도덕은 의지와 감정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면서 실천 에 따르는 행복을 거론한다. 결론적으로 『도덕의 계보』에서 나타나는 니체의 칸트 비판은 칸트에 대한 근본적인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므로 칸트 도덕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이해가 니체로부터 구현되어 야 한다. 아울러 타자와 공동체와 관련된 도덕가치를 논하는 데에 있어 니체의 논의는 칸트의 논의와 함께 탐색될 때 보다 생산적인 의의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왜냐하면 두 철학자의 실천철학은 동일한 목적 에 이바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Nietzsche`s critique of Kant. According to On the Genealogy of Morals, F. Nietzsche shows his own morality. Nietzsche`s ethics seeks for new morals which is different with traditional western morality. What traditional morality for Nietzsche is ultimately a morality of total conformity, passivity and negativity. In the On the Genealogy of Morals, Nietzsche points out that by saying the slave revolt in morals, ressentiment, the most significant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values is the moment of their complete reversal; ``inversion of values``. The act of spiritual revenge is carried out with inspiring consistency. The ressentiment laden individual, or class, or culture, or people. Following Nietzsche`s explanation, slave morality is essentially a negative creation of value. Nietzsche clarifies the negative, reactive, and passive role played by ressentiment in the formation of slave morality. On the problem of conscience, and the ascetic ideal, Nietzsche also concludes that the chief task of the priest lies in the exploitation of the sense of guilt. Drawing on Nietzsche`s formulation, the inversion of values happens the problem of bad conscience, ascetic ideal. Bad conscience is generalized increase in suffering brought about in civil society by the internalization of the instincts. So life itself becomes a species of crippling frustration behavior, from which we continually suffer, we find a perverse pleasure. Nietzsche thinks this morality of negativity or passivity is also explained by Kant`s moral philosophy.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of his writings, Nietzsche suggests that Kant`s morality is traditionally metaphysical philosophy. Paper will examine Nietzsche`s claim that Kant`s moral philosophy comply with such negativity.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that this paper will show Nietzsche`s understanding for Kant is fundamentally misunderstood. This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unlike Nietzsche`s story, Kant`s morality doesn`t support the idea of negativity.

      • KCI등재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과 에른스트 융거

        박찬국 한국하이데거학회 201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9

        According to Heidegger, Nietzsche’s philosophy founds the anthropocentric,manipulative and pragmatistic way of thinking that rules the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because Nietzsche’ philosophy regards all kinds of values and norms as means for the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will to power. In this sense,Heidegger says that Nietzsche founds the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philosophically,even though Nietzsche lived in the 19th century. Heidegger insists that the oblivion of the Being reaches the peak in Nietzsche’s philosophy that sees the truth as the means for the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will to power. Therefore,Heidegger says that Nietzsche completed the western metaphysics, even though Nietzsche tried to overcome it.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ist usually estimated as the unprecedented and unique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Nietzsche, but it is influenced deeply by Ernst Jün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Heidegger himself regarded Ernst Jünger as the thinker who grasped the essence of the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on the basis of Nietzsche’s Philosophy and the essence of Nietzsche’s Philosophy best. However, the influence of Jünger on Heidegger’s Interpretation has not been researched in the history of Heidegger studies in Korea and abroa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Jünger interprets Nietzsche and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how his Interpretation is reflected i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and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하이데거는 모든 종류의 가치와 규범을 힘에의 의지가 자신의 유지와 고양을 위해서 정립하는 것으로 보는 니체의 철학이야말로 현대기술문명을 규정하고 있는 인간중심적이고 조작주의적이며 실용주의적인 사고방식을 철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는 니체는 19세기에 살았지만 현대기술문명을 철학적으로 정초한 사상가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진리를 인간이 자신의 힘에의 의지를 유지하고 강화하기위한 도구적인 것으로 보는 니체의 철학에서 서양형이상학을 규정해 온 존재망각은 정점에 달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니체는 서양의형이상학을 극복하고자 했지만 오히려 그것을 완성하고 있다고 본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니체 해석은 니체 연구의 역사에서 유례가 없는 독보적인것으로 평가받지만 그것은 니체와 기술문명에 대한 융거의 해석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 하이데거 자신이 에른스트 융거야말로 니체 철학에가장 철저하게 입각하여 현대 기술문명의 본질을 파악했을 뿐 아니라 니체철학의 정수를 가장 잘 이해한 사람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연구에서 하이데거의 니체 해석에 미친 융거의 영향은 국내에서는 물론이고해외에서도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니체와 기술문명에 대한 융거의 해석을 고찰한 후 그것이 하이데거의 사상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니체’라는 가면을 쓴 디오니소스, 여성 그리고니체

        김선희 한국니체학회 2015 니체연구 Vol.28 No.-

        My Sister and I takes on a form of autobiography. The author calls himself Nietzsche. But whether the author of this text is indeed Nietzsche or not is still a mystery. This autobiography suspected of forgery portrays the downfall (Untergang) of Nietzsche who paradoxically cried out the theoretical human collapse with a hammer and explosives. But here his downfall is twofold. That is, it the collapse as an external condition and the collapse as ’making relationship’ thereto, in other words, the collapse the world gave to Nietzsche and the collapse as a method of life which Nietzsche took himself. The moment of collapse is a philosophical incident in itself. To see how Nietzsche wearing the mask of Nietzsche is more or less Nietzschean than Nietzsche himself is clearly a philosophical problem and a very Nietzschean problem. The taboo line forming that Maginot Line of the actor wearing Nietzsche’s mask is just his experience toward woman and a sexual experience. His experience toward woman or sex which was suppression form and deficiency form in this text is a rope relaying him to a new life and also a rope acrobat, and further an abyss under a rope. Nietzsche’s relationship-making to woman is absurdity itself. Woman to Nietzsche settles itself as the most therapeutic media to extend or create his identity and also the most deadly media to reduce or destroy it. In this thesis, this writer intends to make out the occurrence(Entstehung) and origin(Herkunft) of ‘Mask of Nietzsche’. Most of all, this process is to use the Dionysian(das Dionysische) back to Nietzsche which was an ace in the hole which philosopher Nietzsche used to metaphysics for the deconstruction of metaphysics. Through this, this writer is going to identify how Nietzsche is really free from the criticism he asserted himself. Then the writer intends to review the status the sex or woman composing the Dionysian has in his life instead of his theory. And the writer intends to check whether the instinct, sex and woman which were always eternal others of philosophy exist only in Nietzsche’s theory or whether they are fairly acknowledged also in his life. Through this review, this writer is going to ask in return why the hero of this autobiography with the controversy of forgery required the mask of Nietzsche. 『니체 자서전 : 나의 여동생과 나』로 중역된 영어 번역본인 My Sister and I 는 자서전 형식을 띠고 있다. 저자는 자신을 니체라고 한다. 그러나 과연 이 텍스트의 저자가 니체인지 아닌지는 여전히 수수께끼이다. 위작의 혐의를 받고 있는 이 자서전에는 역설적이게도 망치와 폭발물을 들고 이론적 인간의 몰락을 부르짖었던 니체의 몰락(Untergang)이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그의 몰락은이중적이다. 즉 그것은 외적 조건으로서 몰락과 그것에 대한 관계 맺기로서 몰락, 즉 세상이 니체에게 준 몰락과 니체가 스스로 취한 삶의 방식으로서의 몰락이다. 그 몰락의 순간은 그 자체로 철학적 사건이다. 과연 니체의 가면을 쓴 니체는 니체 자신보다 얼마나 더 또는 덜 니체적일 수 있을지를 보는 것은 분명히철학적인 문제이자 매우 니체적인 문제이다. 니체의 가면을 쓴 배우의 저 마지노선을 이루고 있는 금기선은 바로 여성에대한 그의 경험이자 성적 경험이다. 이 텍스트에서 억압태이자 결핍태였던 여성이나 성에 대한 그의 경험은 그를 새로운 삶으로 건네줄 밧줄인 동시에 밧줄을타는 자이며 나아가 그 밧줄 아래 드리운 심연이기도 하다. 여성에 대한 이 니체의 관계 맺기는 부조리 그 자체이다. 니체에게 여성은 자신의 동일성을 확장하거나 창조할 가장 치료적인 매체인 동시에 그것을 축소하거나 파괴할 가장 치명적인 매체로 자리한다. 이 글에서 논자는 ‘니체라는 가면’의 발생(Entstehung)과 유래(Herkunft)를판독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무엇보다도 형이상학의 해체를 위하여 철학자 니체가 형이상학에게 사용한 비장의 무기였던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다시 니체 자신에게 사용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논자는 과연 니체는 그 자신이 적에게 행한 그 비판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디오니소스적인 것을 구성하고 있는 성이나 여성이 그의 이론이 아니라 그의 삶에서 지니는 위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늘 철학의 영원한 타자였던 본능, 성 그리고 여성은 단지 니체의 이론 속에만 존재할 뿐인지 아니면 그의 삶에서도 당당히긍정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하여 논자는 위작 논란이 되고 있는 이 자서전의 주인공이 왜 니체라는 가면을 필요로 했는지를 되물어봄으로써 21세기에 니체가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