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식물류 폐기물의 최적건조공정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파 및 열풍 공정의 건조효율에 관한 연구

        정병길 ( Byung-gil Jung ),한영립 ( Young-rip Han ),최영익 ( Young-ik Choi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및 열풍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의 운전조건별(마이크로파 단독, 열풍단독, 마이크로파-열풍 융합(200 또는 250℃) 건조특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음식물류 폐기물은 B시 P사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며, 음식물류 폐기물과 가연성 물질의 균질 혼합 및 건조효율 향상을 위하여 비닐, 어패류 등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마이크로파 건조장치의 전체 크기는 W 1,360 mm × L 1,060 mm × H 900 mm, 마이크로파 건조장치의 조사강도는 1 kW이며, 마이크로파 주파수는 2,450 MHz, 건조온도는 최대 300℃로 제작하였다.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실험을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파-열풍(250℃) 건조를 이용한 완전건조(함수율 10% 이하)시 최종 함수율 변화는 운전시간 15분에서 7.1%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음식물류폐기물의 재활용 방안으로 열풍 융합건조공정을 이용한 고형연료의 생산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e a drying method for recycling food waste and to evaluate drying properties of food waste with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microwave, thermal air and microwave-thermal air(200 or 250℃) by means of using the microwave and thermal air drying process. The food waste used in this research was collected at P Company located in B City. For homogeneous mixture of food waste with combustible materials and for better drying efficiency, foreign substances which were vinyl, fish and shellfish were removed. The size of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unit is 1,360 mm(W) × 1,060 mm(L) × 900 mm(H), and its projection intensity and frequency were 1 kW and 2,450 MHz, respectively. Also,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unit was designed to control the highest drying temperature up to 300℃. As a best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ried food waste using the microwave-thermal air (250℃) drying process led to the final moisture contents of 7.1% with 15 minutes operating period. In conclusions, as a way for recycling food waste, the microwave -thermal air drying process seems capable of producing refuse derived fuel(RDF).

      • KCI등재후보

        마이크로파-열풍 건조 공정을 이용한 석유화학 폐수슬러지의 건조 특성

        최영익 ( Young-ik Choi ),이상원 ( Sang-won Lee ),성낙창 ( Nak-chang Sung ),한영립 ( Young-rip Ha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는 유기성 폐자원의 활용을 위해 석유화학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슬러지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열풍 건조 공정을 적용, 건조조건별(마이크로파 단독, 열풍 단독, 및 마이크로파-열풍 융합)석유화학 폐수슬러지의 최적 건조조건을 도출하여 고형연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화학폐수슬러지의 초기 함수율은 86.1%이며, 고형연료 기준에 적합한 함수율 10% 이하(완전건조)에 도달하는 건조방법별 건조시간은 열풍(200℃) < 마이크로파 < 열풍(250℃) < 마이크로파-열풍(200℃) < 마이크로파-열풍(250℃)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빠른 건조시간의 경우 마이크로파-열풍(250℃) 20분에서 고형연료 함수율 기준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감소율 및 부피감소율은 열풍(200℃) < 열풍(250℃) < 마이크로파-열풍(200℃) < 마이크로파-열풍(250℃)건조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항후 에너지 효율 고려 및 타 유기성 폐자원과 혼합하여 발열량을 보완하여 고형연료 품질기준을 달성하면 보다 효과적인 자원순환 방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find optimum conditions for drying characteristics of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and to recycle for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using three methods that are only a microwave drying process, only a thermal air drying process and a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is 86.1%. In order to meet the standard of sludge drying fuel, the moisture content must be below 10%. The fast order to reach the moisture content (below 10%) is the 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00℃ < the microwave drying process < the 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50℃ < the microwave-thermal air the drying process with 200℃ <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50℃. The fastest drying process period is 20 minutes in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50℃. The order for a weight reduction and a volume reduction is the 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00℃ < the 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50℃ <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00℃ <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with 250℃.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duction of RDF is sufficiently available depending on the type of additives to increase drying efficiency and heating values as the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recycling method by using the microwave-thermal air drying process.

      • KCI등재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폐수슬러지의 탈수특성 향상

        박상숙 ( Park Sang-sook ),김태근 ( Kim Tae-geun ),박진 ( Park Jea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2 No.3

        본 연구는 폐수 슬러지의 탈수특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microwave에 의한 열처리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microwave에 의한 열처리방법은 탈수케익의 증가가 없는 일반적인 장점 외에 가열시의 승온속도가 빠르고, 가열되는 물체의 두께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가열용기의 내부에 침착되거나 들어붙는 현상이 없고, microwave의 에너지가 가열되는 물질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icrowave는 일반 가열법에 비해 고형물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가열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5°C 이상의 가열처리는 미생물의 파괴로 인한 원형질액 누출로 탈수 여액의 COD값이 크게 높아지는 반면, 탈수 cake의 함수율을 크게 낮출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treatment by microwave heating to improve the dewaterbility of waste sludge. Sludge treatment by microwave radiation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fast and homogeneous volumetric heating and no local temperature peaks, no deposition/fouling on the inside of heated walls. Also, microwave energy is immediately used to the substance to be heated. Therefore, experimental this results indicate that microwave can be applied more effectively to the thermal treatment of high solid concentration sludge than low one. COD of filtrate is getting higher because of protoplasm due to the destroyed microbiologies within sludge by thermal treatment above 75℃ but water contents of dewatered sludge cakes can be down very effectively at the temperature.

      • KCI등재

        임신 중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새끼 생쥐의 난소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황종윤 ( Jong Yun Hwang ),나성훈 ( Sung Hun Na ),이향아 ( Hyang Ah Lee ),이동헌 ( Dong Hun Lee ),이희제 ( Hee Jae Lee ),김송인 ( Song In Kim ),최용준 ( Yong Joon Choi ),황희용 ( Hee Yo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 핸드폰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생쥐의 난소에서 발현에 장애를 보인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 유무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1.765 GHz의 주파수를 가진 마이크로파이다. 마이크로파가 실험 생쥐에게 골고루 노출되기 위해서 모노폴 안테나는 실험 장소에서 정가운데에 위치하도록 고정하였다. 세대간 연구를 위하여 1세대는 ICR 계통의 임신한 생쥐 20마리를 분양 받아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각 10마리씩 구분하여 교미 5일째부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고 출산 직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만 후 태어난 2세대 생쥐는 8주간의 사육 후 총 4개 군으로 구분하여 1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5마리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 2군은 전자파 여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남성 생쥐 5마리, 3군은 전자파 남성 생쥐 5마리와 대조군 여성 생쥐 5마리, 4군은 정상 여성 생쥐 5마리와 정상 남성 생쥐 5마리로 구별하여 각각을 교미하였다. 각 군을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고 첫 번째, 두 번째 임신은 모두 버리고 3번째 임신으로 태어난 3세대의 생쥐를 분만 후 7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고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과: 적출한 난소에서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protein 8 (TNFaip 8),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12 (TNFsf 12), complement factor D (Cfd), chemokine (C-C motif) ligands 11 (CCL 11), Zinc Finger Protein 74 (Zfp 74), Bromodomain containing 3 (Brd 3) 유전자를 대상으로 2세대에서 유전자와 비슷한 결과를 도출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1군과 4군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TNFaip 8, CCL 11유전자는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낮음을 확인하였지만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TNFsf 12, Cfd, Zfp 74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과는 반대로 1군에서 4군보다 유전자 발현이 높았다. Brd 3유전자의 경우는 2세대 난소 유전자 발현 실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본 실험에서는 1군이 4군보다 높았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찾지 못했다. 결론: 임신 중 1.765 GHz에 노출된 후 태어난 3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에서는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발현에 차이가 있던 2세대 생쥐의 난소 유전자들이 동일하게 관찰되지 않아 유전자의 세대간 전달이 되지 않았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fetal ovarian genes following prenatal exposure to 1.765-GHz microwave radiation. Methods: A 1.765-GHz microwave generator was used. Twenty pregnant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icrowave-exposed experimental (irradiated) group, and the sham-exposed (sham) group. On the fifth day post-mating, dam mice were exposed to microwave irradiation in the insulated cage for 8 hours each day. The remaining mic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Second generation mice were raised for 8 weeks then classified into four groups for examination. We removed the neonatal ovaries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third deliver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ix genes in the ovaries: Tnfaip 8, TNFsf 12, Cfd, CCL 11, Zfp 74, and Brd 3.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removed ovaries. Results: In the third-generation offspring, we detected some differences in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fourth. Expression of CCL 11, and TNFsf 12 was decreased in the first group compared to the fourth group. Expression of Tnfaip 8, brd 3, Cfd, and Zfp 74 was higher in the first group than in the fourth group. We found differing results when we compared ovarian gene expression in mice of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ose of the thir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generational accumulation of murine ovarian genes in offspring exposed to 1.765-GHz microwaves in the uterus.

      • KCI등재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한 홍삼제조공정 개발 및 제품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호(Sang Ho Lee),지중구(Joong Gu Ji)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인삼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홍삼제조 공정에서 증삼 후 60-7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고 다시 40℃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한 열풍 건조 홍삼과 증삼 후 마이크로파 저온진공건조기에서 900 watt, 2.45 MHz, 50 mmHg 조건으로 5시간동안 건조하고 다시 750 mmHg로 2시간동안 건조한 홍삼으로 조직 관찰, 관능평가,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 함량 변화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저온진공 홍삼은 색도가 밝은 색으로, 표면적은 다공성 조직으로 변화하였으며, 향미를 높이고 쓴 맛을 크게 감소시킴과 동시에 단 맛을 증가시켜 종합적인 선호도를 높였다. 또한,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Rg₁과 Rb₁ 함량을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1시간대에서 약 6배, 8배가 증가되었으나, Rg₃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조사포닌 함량은 10-20분대부터 크게 증가하여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이크로파 저온진공홍삼은 열풍 건조 홍삼에 비해 다공성 조직 변화를 통해 단시간에 진세노사이드 및 조사포닌에 대한 추출 수율을 높이고 향미와 식감을 개선시켜 홍삼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igh efficiency of ginseng by using microwave low temperature vacuum drying technology. In red ginseng manufacturing processes, the study results compared the hot-air drying red ginseng dried during 24hours in 60-70℃ and redried during 72hours in 40℃ after the steaming ginseng with the red ginseng dried in microwave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on condition that 900 watt, 2.45 MHz, 50 mmHg during 5 hours and redried during 2 hours on 750 mmHg after the steaming ginseng about observation of tissue, sensory evaluation and a change of ginsenoside and crude saponin content. As a result, the red ginseng in microwave low temperature vacuum was had high brightness, the surface turned into porosity tissue and added more flavor, decreased bitterness highly on the contrary increased sweetness at the same time that elevated the comprehensive preference. Moreover, In a short time, the content of ginsenosides Rg₁ and Rb₁ increased about sixfold, eightfold in one time zone but there were no wide difference in content of Rg₃ as compared to the hot-air drying red ginseng. Finally, content of crude saponin was increased widely at 10-20 minutes and stayed high crude saponin content consistently.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red ginseng in microwave low temperature vacuum increased extraction yields of the ginsenosides and crude saponin through a change of porosity tissue and improved flavor and texture compare with the general hot air dried red ginseng in a short tim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at provided that could increase the preference about red ginseng.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CFC-113 분해의 기초적 연구

        김윤갑,김영두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1999 啓明硏究論叢 Vol.17 No.2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VOCs물질의 분해에 관련된 기초적인 연구로서 반응화학적인 측면보다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분해가능성의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반응가스로는 VOCs물질 중에 CFC-113(1,1,2-trichloro-2,2,1-trifluoroethane)을 사용하였고 마이크로파촉매는 활성탄계(AC)와 Fe_(2)O_(3)계를 사용하였다. 혼합형 촉매는 Fe_(2)O_(3)를 CaY형 제올라이트나 TiO_(2)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파를 쪼였을 때 촉매층의 온도변화를 보면 활성탄보다 Fe_(2)O_(3)계 촉매가 낮은 출력에서도 높은 온도상승을 나타내었다. Fe_(2)O_(3)는 0.lkW에서 450℃ 정도였으며 활성탄은 0.3kW에서 410℃ 정도의 온도상승이 일어났다. 분해반응에서 Cu/AC 경우에 거의 분해되었고, Fe_(2)O_(3)에서는 낮은 출력(0.lkW)에서도 40% 정도 분해되었다. 특히 Fe_(2)O_(3)와 TiO_(2)의 혼합촉매에서는 낮은 온도에서 50% 정도의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VOCs의 분해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반응장치보다 간단하고 조작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kinds of VOCs have been used worldwide and their release into environment has caused serious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icrowave induced reaction of CFC-113(1,1,2-trichloro,2,2,1-trifluoroethane) and water in a continuous flow system by using a activated carbon (AC) and Fe_(2)O_(3). A microwave system with a variable 1.2kW, 2.45 GHz magnetron, was used as the power source. At the result Cu/AC showed high activities for decomposition of CFC-113. Fe_(2)O_(3) the best activity among Fe_(2)O_(3) physical mixed with TiO_(2) and CaY-zeolite. However, Fe_(2)O_(3) - TiO_(2) catalyst was found that 50% conversion on low temperature by 0.7-1.0kW power. Cu/AC may be an appropriate catalyst for the decomposition of CFC-113 by microwave irradiation.

      • KCI등재

        미세배열법을 이용한 임신 중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의 난소 유전자 발현분석

        황종윤 ( Jong Yun Hwang ),나성훈 ( Sung Hun Na ),이향아 ( Hyang Ah Lee ),이동헌 ( Dong Hun Lee ),이희제 ( Hee Jae Lee ),김송인 ( Song In Kim ),전완주 ( Wan Joo Chun ),김성수 ( Sung Soo Kim ),김자경 ( Ja Kyoung Kim ),황희용 ( Hee Y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기간 중에 1.765 GHz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파 노출에 따른 태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이크로파는 1.765 G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전자파흡수율은 값은 0.38~1.71 W/kg이고 평균은 1.04 W/kg이다. 열 마리의 ICR 계통의 임신한 생쥐를 분양 받아 임의로 각각 5마리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교미 5일째부터 실험을 시작하였다. 생쥐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마이크로파에 노출하였다. 마이크로파의 열효과 여부를 알기 위하여 실험 2주째에 직장을 통하여 체온을 측정하였다.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는 분만 7일째에 제거되었고, 제거된 난소에서 전체 RNA를 추출한 뒤에 미세배열법을 실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임신기간, 어미 개체당 평균 분만 생쥐 수, 분만당시의 평균체중 및 직장온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양 군에서의 난소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였다.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한번 더 실험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속변수의 비교는 student T-test,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수준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분만당시의 평균체중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1.54±0.22 gm Vs 1.60±0.21 gm, P=0.012). 개체당 평균 분만 생쥐 수에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13.60±0.70 gm Vs 11.40±2.17 gm, P=0.009). 미세배열법의 결과 마이크로파 노출된 난소에서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는 14개이고, 유전자 발현이 2배 이상 감소한 유전자는 74개였다. 미세배열법 결과에서 2배 이상 감소된 유전자 중에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duced protein 8 (TNFaip8),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member 12 (TNFsf 12), Complement factor D (CFD), chemokine (C-C motif) ligands 11 (CCL 11), Zinc Finger Protein 74 (Zfp74) 유전자와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 중에서 Bromodomain containing 3 (Brd 3)을 선택하여 미세배열법의 결과와 동일하게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증가하는지를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결론: 임신기간 중에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후 태어난 새끼 생쥐의 난소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전자 발현의 차이가 있었다. 마이크로파에 노출된 생쥐군에서 Tnfaip8, TNFsf 12, Cfd, CCL 11, Zfp74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Brd 3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murine fetal ovarian gene expression of prenatal exposure to 1.765 GHz of microwave irradiation. Methods: Ten pregnant ICR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t 5th days after mating, dam mice were exposed to microwave (SAR: 0.38~1.71 W/kg) in the insulated cage for 8 hours each day. The remaining mic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Neonatal ovaries were removed for study 7 days after delivery.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the removed ovari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groups.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5 was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birth weight of the offspring in the irradi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sham group (1.54±0.22 g vs. 1.60±0.21 g, P=0.012). The mean number of offspring per pregnancy in the irradi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ham group (13.60±0.70 vs. 11.40±2.17, P=0.009). We detected that in the irradiated ovaries, 14 genes were expressed at levels 2-fold higher than in the sham ovaries and 74 genes were expressed at levels 2-fold lower than in the sham ovaries. Conclusion: We found differences in fetal ovarian gene expression between the irradiated and sham groups. In the irradiated group, the Tnfaip8, TNFsf 12, Cfd, CCL 11, and Zfp74 genes were down-regulated and the Brd 3 gene was up-regulated.

      • 수동형 마이크로파 관측 위성의 코니컬 스캔 시스템 연구

        유상범,명환춘,김중표,이상곤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수동형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는 가시 광이나 열 적외에 비하여 수신 에너지는 작지만 구름 아래의 대기와 해면 및 지표의 온도 관측이 용이하며 관측데이타는 수치 예측 모델의 필수 입력 자료이다. 관측 대상에 따라 탐측기와 영상기로 구분되며 최근 이를 합친 코니컬 스캔 방식의 복합 탐측기가 개발 및 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동형 마이크로파 관측 위성의 코니컬 스캔 방식의 주요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그것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The passive microwave radiometer receives less energy than visible light or thermal Infrared. Bu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tmosphere and land surface and sea surface below cloud. Also, the observation data is used as a necessary input data for the numerical prediction models. It is divided into the microwave sounder and imager according to observation targets. Recently, a conical-scan microwave imager-sounder which combines the microwave imager and sounder has been developed and being operated on orbit. In this study, the key parameters in conical-scan system of passive microwave observation satellite are analyzed and their performances are evaluated.

      • 우주환경에서 마이크로파 방사시 안테나 표면의 방전현상

        우형관,채장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우주태양광발전시스템(SSPS)은 우주정지궤도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한 대전력을 마이크로파로 변환하여 지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정지궤도에서 상용화하기 전에 저지구궤도에서 소형위성체를 이용하여 사전 검증하고자 한다. 그런데 저지구궤도 환경에서는 안테나로부터 마이크로파가 방사될 때 플라즈마와 마이크로파 상호간의 영향으로 멀티팩터 방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저지구궤도와 같은 플라즈마 밀도에서 마이크로파를 방사할 수 있는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Glass epoxy (FR4)를 기판으로 하는 원형패치안테나를 진공 챔버내에 설치하고, 마이크로파의 강도와 플라즈마 환경 사이의 상호 연관성에 의하여 안테나 표면에 방전이 발생하는지 관찰하였다. Space Solar Power System (SSPS) transfers enormous amount of electrical energy through microwave. Flight demonstration onboard a small satellite in Low Earth Orbit (LEO) is now under consideration. When a microwave is irradiated from antenna in LEO plasma environment, there is a concern about multi-pactoring discharge caus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plasma and the microwave. We have set-up an experimental system that can simulate the radiation of microwave in dense plasma in a vacuum chamber. A circular patch antenna with Glass epoxy (FR4) substrate has been installed inside the vacuum chamber. We examined interaction between antenna surface and microwave in a vacuum chamber. We observed discharge on the antenna depending on the microwave strength and plasma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