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임미경 ( Mi Kyung Lim ),유미현 ( Mi Hyun Yoo ),남석현 ( Seok Hyun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Ⅰ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Ⅰ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생활 속과학``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reading material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For this purpose, each four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Ⅰ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ading materials, the type of contents and the type of students` activities. In additio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ylizing reading materials in chemistryⅠtextbooks showed that and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were presented from 7.9 to 17.1% in 7th curriculum and from 20.6 to 28.2% in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 It implies that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in 2009 revised textbooks increases more than those in 7th curriculum textbook.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contents, ``life sciences``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34.3 % in the 7th curriculum chemistry I, but ``enrichment and supplement of knowledge``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3.7%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the type of student activities, only 13% of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 was found to be inquiry type, but 35%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ppears to be inquiry type. It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bjectives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Second,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ation science textbooks, 67%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reading materials in their science class, but teachers who didn`t use the reading materials was almost 33%. A large number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neede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ought that the reading materials about ``life and sci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1930년대 과학교양과 『별나라』

        정진헌 ( Jeong Jinhe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 『별나라』에 수록된 과학상식 및 이와 관련된 문예물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잡지의 표제인 ‘소년소녀과학문예잡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잡지에 참여했던 카프작가들은 문학작품이나 과학지식 보급을 통해 소년들에게 계급주의 이념을 주입시켰다. 특히 박영희, 권환, 김병제, 이갑기, 송영 등이 소개한 마르크스 사상, 유물론, 진화론, 종교론 등은 소년소녀들에게 계급의식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넘어, 이를 문학에 적용 및 실천하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별나라』는 과학자보다는 잡지에서 동요나 동화를 발표했던 연성흠, 송영, 김병호, 박상우, 최병화 등이 ‘과학’란에 참여해 소년소녀들에게 물리, 천문, 동식물, 전기, 화학, 위생 등과 관련한 과학상식을 전함으로써, 그들에게 과학교양의 함양과 잡지가 지향했던 ‘소년소녀과학문예잡지’로서의 소임을 다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930년대 『별나라』는 난해한 과학 이론 및 상식 전달에 있어, 과학소설 및 이과극처럼 문예물 또는 등장인물 설정을 통한 의인화 및 동화 형식의 서사화 전략을 사용한다. 박세영의 과학소설 『아하마의手記』는 화성에서 온 카부란 박사와 그의 조카 아하마가 자유비상익(自由飛翔翼)을 타고 지구를 탐험하는 여정 31편을 기록한 연작소설이다. 영국에서 출발하여 중국으로 이어지는 세계 대장정은 카부란 박사의 이야기를 통해 각국의 역사, 지리, 풍속, 생활상 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송영, 박일, 엄흥섭은 과학 지식을 연극화해 소개했다. 이는 소년 독자들에게 지구, 인체, 봄. 여름과 관련된 과학지식을 좀 더 쉽게 전달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권환, 연성흠, 박상우, 송영 등은 소년소녀들이 과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인화 및 서사화 전략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1930년대는 사회 및 교육 분야에서 과학의 중요성이 부각된 시기이다. 『별나라』는 과학교육의 부재와 과학 독물(讀物)의 열악한 상황 속에서 그 소임을 다했다. ‘과학’란에 연이어 소개된 과학상식과 과학자들의 일화는 소년소녀에게 발명·발견과 같은 과학의 중요성을 각인시켰으며, 과학소설 및 지식의 서사화 전략은 난해한 과학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 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잡지가 지향했던 과학지식과 계급의식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일조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performs a discussion focusing on the scientific common senses and related literature included in Byeolnara of the 1930s. As shown in its title, ‘Children’s Science Culture Magazine’, the KAPF writers, who wrote for the magazine infused the proletarian ideology into juveniles by supplying literary works or scientific knowledge. Especially, not only did the Marxist ideology, materialism, the theory of evolution and the theory of religion introduced by Park Young-hee, Gwon Hwan, Kim Byeong-je, Lee Gap-gi, Song Young, etc. boost class consciousness of juveniles but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literary application and practice. Also, Yeon Seong-heum, Song Young, Kim Byeong-ho, Park Sang-woo, Choi Byeong-hwa and others, who published children’s songs or children’s stories in magazines wrote for the ‘Science’ column of Byeolnara to convey scientific common senses related to physics, astronomy, animals and plants, electricity, chemicals and hygiene to juveniles. In so doing, Byeolnara made a contribution to improvement in science culture and fulfilled its duties as a ‘Children’s Science Culture Magazine’ that the magazine aimed at. On the other hand, Byeolnara of the 1930s adopted the personification and fairy tale-based narrative strategy through literary works or characters like science fictions or science plays for providing difficult scientific theories and common senses. The science fiction by Park Se-young, Ahama’s Memoirs is a serial novel consisting of 31 episodes about a journey of Doctor Kaburan from Mars and his nephew Ahama to the earth by Jayoobisangik(free flying wings, ). Their 自由飛翔翼 global travel story from England to China displays histories, geographies, customs and lifestyles of different countries via Doctor Kaburan’s narrative. Song Yougn, Park Il and Eom Heung-seop dramatized scientific knowledge. This strategy was to convey scientific knowledge about the earth, human body, spring and summer to juveniles in an easier way. Also, Gwon Hwan, Yeon Seong-heum, Park Sang-woo and Song Young used the personification and narrative strategy so juveniles could understand science easily. In the 1930s, the importance of science came to the fore in the field of society and education. Byeolnara fulfilled its duties, even under poor circumstances due to the absence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extreme shortage of scientific books. The series of scientific common senses and scientists’ stories introduced in the ‘Science’ column made juveniles realize the importance of science, such an invention and discovery, and the science fiction and knowledge narrative strategy aroused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and interest in difficult science. Moreover, it played a part in diffus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goal attainment of class consciousness that the magazine pursued.

      • KCI등재

        해설 : 한국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이면우 ( Lee Myeon U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3 초등과학교육 Vol.22 No.2

        Science has developed along with human society and history. In today`s society ruled by pluralism, and educational approach using the historical materials which represent their own cultures will make science education more eff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science education related with a history of science,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for science education based on Korean history of sci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below: (1) The history of science is useful to teaching science in K-12 setting. That is because it was helpful to make a scientific concept and to invite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Moreover, it was most suitable to teach the nature of science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2) A model which consists of 15 types of science education materials using Korean history was suggested. This model plays a potential role as a R&D framework of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 KCI등재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이용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관 변화

        박순옥,김지나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through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ttended a lecture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in Pusan university. On the pre-te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were very traditional. Twenty-thre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at described the interpretive system were developed as a way to recognize various views on science. Forty-fiv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ad the materials at the beginning of 12 classes on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Twenty-nin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d not read the materials. For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read th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ir scientific perspective moved from inductivism and falsificationism toward relativism and a compounded tendency. However, falsificationism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hose who had not read the reading materials. 과학사 읽기 자료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공통과학교육론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관련 전공 예비 과학교사 74명이다. 사전검사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과학관이 전통적인 관점에 편중되어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이 다양한과학관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석적 체계로 서술된 23개의 과학사읽기 자료를 개발하였다. 45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공통과학 교육론 수업시작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었고, 29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과학사읽기 자료를 읽지 않았다. 과학사 읽기 활동은 공통과학교육론 수업 시간중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하는 동안 이루어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12차시 동안 수업이 시작할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고, 자신의과학철학적 관점을 점검하도록 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으면서공통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받은 경우,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관은 귀납, 반증주의에서 상대주의 및 혼합성향으로다소 변화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지 않은 집단에 대해서는 소수만과학관의 변화를 가져 왔고, 반증주의 성향이 다소 증가하였다.

      • KCI등재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Visual Materials Preferred by Students and Those Presented in the Science Textbooks

        Ock Keum Kwak,Ok Hee Han,Jong Keun Park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visual materials presented in the science textbooks coincide with those visual materials that are preferred the most by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visual materials presented in the unit “Molecular Motion and Change of State” of science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questionnaires by teaching-learning process are made. Thereafter, students are requested to select those types of visual materials that were preferred by them by process and describe their reasons for the sel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students at the high science achievement level prefer those visual materials that were presented conceptually and implicatively, while students at the low science achievement level prefer concrete and detailed visual materials. Except for the learning motivation process, the proportion of non-preferred visual materials is higher in the remaining processes and those visual materials that were presented in the science textbooks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visual materials that were preferred by student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과학교육 경험에 근거한 좋은 과학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김승희 ( Seung Hee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과학교육에 대한 논의를 통해 좋은 과학수업의 정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즉 보육교사들의 과학교육 경험에 근거한 효과적인 과학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좋은 과학수업의 정의를 제시함으로써 현장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3년 이상의 교사경력을 가지고 있는 13명의 보육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보육교사들은 실물을 활용한 체험 위주의 탐색활동을 통해 유아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켜 유아 스스로 새로운 과학지식을 구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효과적인 과학교육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교육적 효과가 높은 실물 자료와 과학 동화책이 효과적인 과학교육을 촉진하며, 실물 자료 준비의 어려움과 유아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 반응의 어려움이 효과적인 과학교육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는 실물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을 좋은 과학수업의 정의로서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실물 자료를 활용한 체험 위주의 과학교육프로그램 제공과 이에 대한 충분한 교사교육의 실시를 제안하고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constructed a working definition of good science teaching from in-depth discuss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who had science teacher-training backgrounds an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to arrive at the meaning of effective science education. Participants were thirteen child care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teaching experienc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child care teachers define effective science education as helping young children build new scientific knowledge by themselves while teachers work on developing young children`s interests in science using real, hands-on materials. Such educationally effective materials as well as science storybooks facilitate effective science education, but the difficulties of preparing hands-on materials and responding immediately to children`s questions interfere with effective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tresses the necessity of using hands-on, experiential materials to develop young children`s interests in science in adherence to the definition of good science teaching.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experience-center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with tangible, hands-on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and that an experiential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to assure that teachers have adequate training and background for the task.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수-학습 자료개발

        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ing capstone design.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ment took place in the Capstone Design cours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t Education College of the National University. Twelv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mposed three teams, and each team developed materials. Especiall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t the goal of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econdary school STEAM class. and they conducted a project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each team during one semester. Through this projec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ed model using traditional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experiment application, and science learning game. The contents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with this project output. They created a model that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that they can access in real life and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principles contained in them.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viewed the experiments presented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elected the experiments to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team discussion. They also developed a biology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a board game format called Rummikub.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rough capstone design, which can help to foster their convergence capabilities.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해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은 2017년도 2학기 국립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개설된 캡스톤 디자인 과목에서 이루어졌다. 12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3개 팀을 구성하였고, 각 팀별로 자료 개발에 참여하였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중등학교 STEAM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한 학기 동안 팀별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전통 과학지식을 활용한 모형 제작, 탐구 실험 어플리케이션, 과학학습 게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 프로젝트 산출물들을 대상으로 개발 자료의 내용과 형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지역의 전통 문화와 전통 과학기술을 경험해보고 그 속에 포함된 과학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모형을 제작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들을 검토하였고, 모둠 토의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시킬 실험 내용들을 선정하였다. 또한 그들은 루미큐브라는 보드게임 형식을 활용한 생물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캡스톤 디자인을 통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 활동은 예비 과학교사의 창의융합 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after conduct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 making activity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is activity consisted two processes. One i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duct inquiry, understand related science concepts, analyze science textbooks and then make video material. The other is that they watch video materials produced by colleagu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8 weeks. After this activity was completed,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watch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aching-learning, video production, and emotion and attitude toward video material mak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improved their science teaching ability through this activity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his activity. However, they also mentioned several disappointments such as exclusion of learn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lack of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errors in content of materials. This suggests that if these problems are solved, non-face-to-face classes can also be a good form of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활동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탐구를수행하고 관련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교과서를 분석한 후 영상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과 동료들이 제작한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8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이 활동이 종료된 후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분석하였다. 비대면 수업 자료 제작과 시청 과정에서초등 예비교사들은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해 교수-학습, 영상 제작, 정서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활동을 통해 과학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고, 이 활동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의자기 결정권 배제, 다양한 의사소통 통로 부족, 자료내용의 오류 등 아쉬운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비대면 수업도 하나의 좋은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3,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과학영역 활동 비교 분석

        남기원 ( Ki Wo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content of science center activities included in 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 developed and suppl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3. For this study 82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10 Guide Books for 3-year-old and 11 Guide Books for 4-year-old. These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criteria Activities frequency, Science curriculum goals, Science education contents, relevance to another educational area, Activity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3-year old`s science activity in the r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 had similar rations with 4-year old`s. But there are wide variations in Kindergarten Education Subjects. Second, science activity purpose for 3-year-old aimed at children`s attitude form for science. For 4-years-old aimed at children`s attitude form and technology for science. Third, 4-year-old`s science center activities were organized more scientific contents than 3-year-old`s. And 3, 4-year-old` s science center activities frequently managed material object and matter. Fourth, 3, 4-year-old`s science center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social relation area. Fifth, 3, 4-year-old`s scientific material were as follow(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usual material, a living thing and natural o1ect, picture, drawing and writing, scientific tool. Worksheet was frequently used for 4-year-old.

      • KCI등재

        예비 과학교수의 과학교수효능감과 QR코드 활용 교수 자료 개발 활동의 관계

        이용길,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using QR code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college of educ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a region of Korea. The number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37, they were taking a subject related to theory of science education. They conducted a class demonstration in teaching method–related subject. They surveyed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lass demonstration and developed the QR codes from the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re–post test to analyz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mean 3.16 points in the pre-test. The mean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increased to be 3.53 points in the posttest. We performed the t-tes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the QR codes from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n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of t-test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particular, their teaching efficacy was increased in aspect of recognition of ideas for science education and methods of inducing interest in science clas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ctivity of developing QR codes was effective on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teaching strategy using QR code should be actively applied to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QR,코드를 이용한 교수 자료 개발 경험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지방 국립대 사범대학 예비 과학교사들이다. 이 예비 과학교사들은 37명이고, 모두 과학교육학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지도법 관련 강좌에서 수업실연을 실시하였다. 그들은 수업실연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조사하였고, 조사한 자료들을 QR코드로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 교수 효능감 사전검사 결과 평균 3.16점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수 효능감 사후검사에서는 평균 3.53점으로 높아졌다. QR코드를 이용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과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간에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학 교수 효능감 사전사후검사간 t-test를 실시하였다. t-test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교육을 위한 아이디어에 대한 인식, 과학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 등의 측면에서 과학 교수 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QR코드를 활용한 교수-학습 개발 경험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QR코드를 활용한 이 교수 전략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