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인정신(法認精神)과 ‘교강(敎綱)’ 선포 정신의 계승 -지구의 위기에 직면하여-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본 연구는 한계에 다다른 현대문명을 치유할 해법 모색을 위해 1세기 전에 행해진 원불교 교강(敎綱) 선포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인류는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인간 욕망의 폭주가 만들어낸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태동의 이유 또한 이러한 인류의 정신을 개벽하고, 물질에 대한 참된 주인으로서 지구와 공존하면서 살아가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1919년 법인성사(法認聖事)는 소태산과 그 제자들이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사무여한(死無餘恨)의 정신을 발휘하여 진리계로부터 교단을 인증 받은 사건이다. 이어 행해진 불법의 선언과 기본 교리의 제정인 교강선포는 원불교가 본격적으로 새로운 종교로서 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불교는 말법(末法)시대에 정법회상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이다. 이는 대승불교의 시기상응(時機相應)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민중의 눈높이에서 시대에 적절한 불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강선포는 이를 위해 대승사상의 핵심인 반야사상을 통해 현대적인 대승경전을 창출하고자 했던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교강은 1935년 출판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보여주듯이 현대적으로 재구성된 불법인 것이다. 대승불교를 계승하고 있는 원불교야말로 보살사상 또는 보살정신을 현대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사무여한의 기도는 6바라밀을 종합한, 현대적 의미의 대승정신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민중불교, 대중불교, 참여불교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며, 현실 속에서 불법을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교단으로 볼 수 있다. 낙관할 수 없는 인류의 미래는 종교의 역할이 여전히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경을 넘는 인류 보편적인 사상이 자본주의에 대응할 수 있는 종교의 정신으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불교가 주장하는 불법의 사회화 또한 같은 길을 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that Won-Buddhism proclaimed Gyogang (敎綱) as a solution to cure modern civilization which reached the limit. At this moment, the human race is experiencing enormous suffering due to COVID-19. It can be a tragic made by a flood of human desire. Won-Buddhism was begun to reform the human spirit and make people live coexisting with substances as their true owners. Especially, in 1919, Beobin sacred affair (法認聖事) got certification of Sotaesan"s religious body from the wold of the truth as he and his students showed the spirit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死無餘恨). The declaration of the Buddha-dharma and proclamation of Gyoga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doctrines, followed by it mean that Won -Buddhism began in earnest as the new religion. Won -Buddhism appeared claiming to advocate the right dharma-assembly (正法會上) in the era of decline of the Buddha-dharma. This is because it inherits Mahayana Buddhism"s spirit of Sigisangung (時機相應). That is, it tried to realize the appropriate Buddha-dharma for those days at the people"s level. The proclamation of Gyogang is the important event to try to create modern Mahayana Scripture through the philosophy of Prajna or transcendent wisdom, the core of the idea of the Mahayana. Gyogang is the Buddhadharma modernly restructured as shown in Treatise on the Renovation of Joseon Buddhism (朝鮮佛敎革新論) published in 1935. Won - Buddhism that has inherited Mahayana Buddhism should realize the idea or myth of Bodhisattva modernly. It"s because prayers of being able to die without any regrets also claim to advocate the spirit of Mahayana of the modern meaning which aggregates sat-paramita (六波羅蜜). Therefore, Won - Buddhism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pirit of folk Buddhism, popular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nd can be the religious body that actively realizes the Buddha-dharma. The pessimistic future of humankind is predicted to require religious roles. It"s because the cross-border and universal idea of humankind functions as the spirit of religions to be able to cope with capitalism. Socialization of the Buddha-dharma argued by Won – Buddhism means to go the way of it.

      • KCI등재

        『열반경』청정계행 준수의 준법정신

        김용환 ( Yong Hwan Kim ),신병동 ( Byung Dong Sh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이 글은 『열반경』에 나타난 청정계행 준수가 헌법에서 명시한 준법정신과 상통함을 밝히고자 한다. 『열반경』에는 계행을 지키는 것이 즐거움이고, 계행준수로 몸으로 받는 고통을 받지 않고, 잠에서 깨어나서도 마음이 환희롭게 된다고 한다. 또한 『열반경』에서 계행(戒行)은 바다를 건너는 생명줄인 구명부대에 비유되면서, 타협대상이 되지 않아 지킬 것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계행이 선 정과 지혜를 증득하는 원천으로 ‘법신상주(法身常住)’를 체득하는 요체가 되기 때문이다. 먼저 『열반경』에서는 계행을 범하고 바른 법을 파괴하면, 사부대중들이 마땅히 엄하게 다스릴 것을 주문한다. 아울러 바른 법을 수호하고 유지하는 이는 계행을 잘 가지는 청정비구를 보호할 것도 주문한다. 또한 .열반경.에서는 청정계행으로 불성(佛性)을 보고, 계행을 구비하여야 반야지 혜를 닦고 상락아정의 법신을 구족한다. 청정계율에 바탕을 두고 일상생활의 계율 준수와 참회를 하지 않으면 삼관(三觀)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삼관(三觀)은 ‘지관(止觀, samatha)’, ‘선정(禪定, dhyana), ‘등지(等至, samapati)’로, 계행준수가 반야 실상을 관조(觀照)하여 적정열반을 성취하는 요체이다. 이를 통해 『열반경』의 열반사덕(涅槃四德) 상락아정(常樂我淨)이 이루어진다. 결국 『열반경』은 ‘일체중생(一體衆生)’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실유불성(悉有佛性)’의 논의를 전 개하면서, 그 성취 가능성을 도덕적 자연법으로서 청정계행의 준법정신에서 모색한다. 오늘날 공동 생활로 이루어지는 사회는 구성원 개개인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조화를 이루는 준법정신을 절실 히 요청한다. 이는 공동생활의 규범에 대한 실천정신으로 상호 호혜적 자율원리에 바탕을 두면서, 민주시민사회 발전의 토대를 이루기에 『열반경』의 청정계율 준수와 상관연동으로 고찰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study correlative linkage between law abiding spirit of pure precepts shown in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atra`` As the parable in the life forces of the lifeline across the sea, the law abiding spirit of pure precept compliance is a source of wisdom and method of ``Dharma kaya resident.`` First, we can find the nature of Buddha in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If you violate the right to destroy forbidden law, the public ought to rule sternly. This is regarded right to maintain law and to protect the monks from having unclean action. In addition,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is equipped with pure precepts compliance to keep the Dharma kaya steady. Second, based on the precepts clean, the three observations such as samatha, dhyana, samapati have been practiced to contemplate the reality of wisdom to achieve the optimum by Nirvana. Unlike the Satipatthana of Theravada, Mahayana Buddhism focuses the immortal resident immortal of Dharma kaya in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After all,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tells us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 Nature`` that could be the possibility to seek fulfillment in the moral natural law as a law abiding spirit with Pure precepts compliance. Today, public life and society consisting of a request is needed to adjust the individual interests of members and desperately compliance mental harmony. This is based on mutually beneficial voluntary focused our principles into practice the spirit of the norms of public life, civic clean precepts of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to achieve compliance with the foundation of social development will be considered as a matter interact.

      • KCI등재

        사이초(最澄)의 법화사상-그가 평생 추구하고자 한 것-

        원영상 ( Won¸ Yong-sang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일본 고대 후반에 유입된 천태종은 중세 신불교 탄생의 요람이 된다. 천태종의 역할은 사실상 근현대 다양한 불교계 신종교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일본불교의 저변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종합불교로서 신앙과 수행의 폭넓은 세계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본 천태종은 사이초(最澄, 766~822)에 의해 확립되었다. 그는 중국에 유학하여 원ㆍ선ㆍ계ㆍ밀(圓禪戒密)의 4종(宗)을 계승했다. 귀국해서는 밀교를 도입하여 완전한 종합불교를 만들고자 했다. 또한 국가로부터 독립된 독자적 대승교단 구축을 위해 평생을 노력했다. 천태종을 일본에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사이초는 많은 난관에 봉착했다. 대표적인 사건이 나라(奈良)를 중심으로 한 남도불교(南都佛敎)의 대표주자인 도쿠이츠(德一)와의 논쟁이다. 불성론(佛性論)을 둘러싼 논쟁에서 사이초는 심혈을 기울여『법화경』의 정신에 의거한 일승(一乘)사상을 주장했다. 말년에 나온 많은 저술은 이러한 법화사상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은 모두가 성불할 수 있다는 개성불도(皆成佛道) 사상이다. 일본 불교의 역사를 놓고 본다면, 결국 사이초가 주장한 법화사상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사후이기는 하지만, 기성불교계와 국가불교로부터 독립을 성취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밀교와 더불어 종합불교의 양축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사이초는 법화사상에 기반한 수행체계를 통해 대승불교의 정신을 확산시키고자 했다. 그가 「산가학생식(山家學生式)」에서 “나라의 보물을 무엇인가. 그 보물은 도심(道心)이다. 도심 있는 사람을 국보라고 한다”라고 한 것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도심은 바로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드러내고 있다. 이를 위해 비예산(比叡山)에 학당(學堂)을 세우고 대승의 계율을 확립했다. 후대에 사이초의 법화종단은 그가 대립했던 기성불교계와 마찬가지로 왕권과 밀착하고 마침내 분열되기는 했지만, 여러 조사들에 의해 시대를 따라 늘 새롭게 해석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일본 불교의 사상적 저수지 역할을 해내고 있다. The Tientai Sect introduced to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ancient Japanese times became the cradle of the medieval New Buddhism. In fact, the role of the Tientai Sect has been very strong in the base of Japanese Buddhism until various new religions of the Buddhist world have appeared in recent and modern times. It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m because it has the wide world of religious belief and asceticism as organized Buddhism. This Japanese Tientai Sect was established by Saichō (最澄). He studied in China and inherited 4 religions (宗) of Won, Seon, Gye, and Mil (圓禪戒密). After returning to Japan, he tried to create complete organized Buddhism by introducing Esoteric Buddhism. He also made efforts to build an independent religious body from the state during life. Saichō was up against many brick walls in the process to settle the Tientai Sect in Japan. A representative event is a dispute with Dokuits (德一) who was a leader of Namdo Buddhism (南都佛敎) which focused on Nara (奈良). In the dispute surrounding the Buddha-nature Treatise in four volumes (佛性論), Saichō was devoted to argue thought of One-Vehicle (一乘) based on the spirit of 『Lotus Sutra』. A lot of writing published in his later years advocated this thought of lotus blossom. The key point is thought of Gaeseongbuldo (皆成佛道) that everybody can attain the Buddhahood. Considering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it can eventually be thought to be a victory of thought of lotus blossom argued by Saichō. In the end, he could achieved independence from the existing Buddhist world and the state and formed both axes of organized Buddhism with Esoteric Buddhism even though they were done after his death. Above all, Saichō tried to spread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discipline system based on thought of lotus blossom. This is well expressed through 「Sangahaksaengsik (山家學生式)」 that he said, "What is a treasure of the state? The treasure is mind of the way (道心). The person with mind of the way are called the treasure." This mind of the way well shows the spirit of Mahayana Bodhisattva. For this, he found a school (學堂) in Mount Hiei (比叡山) and established Mahayana precepts. Saichō's religious body of lotus blossom was later close to royal authority like the existing Buddhist world that he had opposed and was eventually divided. However, it has played a role of a reservoir of Japanese Buddhism until today as it was always and newly interpreted by several investigations according to the times.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KCI등재

        원불교 천도(薦度) 의례에 대한 연구 - 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중심으로 -

        원영상(Yongsang Won) 한국종교학회 2021 宗敎硏究 Vol.81 No.1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one of modern Korean religions. Especially, it studies identity of Won-Buddhism as contemporary religion by analyzing acts and contents of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th(薦度齋).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th that settled in the process of sinicizing Buddhism became the ritual for the dead in Korean Buddhism. It enriched Buddhist culture as it was divided into various forms. However, it gradually got to be complicate and be weighted toward form. The modern Buddhist world tried to innovate this soul-delivering rituals. Won-Buddhism also tried to innovate the death rituals as well as informal courtesy as reform Buddhism, Engaged Buddhism, and Lay Buddhism. The body text discusses the origin of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and the background of its innovation. There was a change of innovating the entire rituals and building modern rituals in the Buddhist world in the period that Code of Rites of Won-Buddhism was created. Won-Buddhism also rebuilt the rituals under this influence and from a position of reforming Buddhism. The soul-delivering rituals can be modern innovation, but it modernized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more. This can clearly be found from the structure of the soul-delivering rituals. It inspires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o make the dead remove every karman(業) and find right enlightenment. However,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Buddhism in that there is a great view to be born in human way(人道) as good ways(善道). It can be consideration to make the dead born in the human world, find enlightenment of immortality(不生不滅性) of souls through the teaching of the Buddha, and settle for the Buddha-land. This is done by rational thinking of the modern meaning. Finally,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can be found to have problems of neglecting the social structure and systematic limits and sublimating limitations of weak men as well as the high and deep teachings of the Buddha toward enlightenment by emphasizing individual karman on the basis of individual fateful causationism.

      •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에 관한 의미 고찰

        김희 ( Kim H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에 관한 의미를 당시대의 중국사회 내부의 요인과 외부의 대외정세와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불교의 중국적 수용과 함께 하는 중국의 대승불교 형성에 관한 논의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인도와 다른 중국사회의 문화적 특수성이다. 이것은 비실체적인 정신의 개념을 강조하는 불교와 달리 중국사회는 사실의 세계에 기능할 수 있는 인간의 행위론에 관한 가치론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현실 중심적 가치의 세계관을 인간행위의 윤리의식으로 사회화하고 있는 중국사회에서 불교는 유교적 세계관에 대립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세계관을 지향하는 유교와 불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중국사회에서 불교가 공인된 이후 불교는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층위의 정신세계를 창출하는 인간의 행위론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중국사회 내부에서 불교의 이질성을 상쇄하기 위한 문화교섭의 과정이 의지적인 형태로 일어났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 과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다각적이고 다층적인 해석과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다른 사회의 정체성이 전제되어 있는 문화교류 사이에 소통을 가능하게 만든 공통 인자에 대한 의미를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인도불교의 전래와 중국의 대승불교 수용 과정에서 강조되는 구원의식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구원성을 인간사회의 보편의 가치로 실재화한 중국불교의 특징을 해명하는 과정이 된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ahayana Buddhism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relating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within the Chinese society. When it comes to the sinicization of Indian Buddhism in China, priority consideration is given to cultural distinctiveness between the Indian and Chinese society. It, in other words, means that the Chinese society considers axiology of human behavior affecting on the ontic world to be important, while Buddhism emphasizes spirit, that is immaterial. Therefore, Buddhism becomes recognized as the opposite against Confucianism in the China society where the realistic world view is socialized as sense of ethics for people. In the teeth of different point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uddhism functions as a theory of human behavior to yield a new vein of the spiritual world in the Chinese society after it became approved officially. And this proposes that a process of cultural interaction was intentionally developed within the society in order to counterbalance inhomogeniety of Buddhism. In this context, it is required that diverse and multi-layered approach be consider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sinicized process of Indian Buddhism in China. Such the approach also refers to emphasizing a meaning of common factors able to communicate between two different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refore, a consideration of salvation, in terms of the social dimension, emphasized in a process of sinicization of Indian Buddhism involves with an explanation clarify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that substantializes salvation not for specified, but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s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