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층의 대학 진학 및 취업 관련 지역 이동 예측 요인 탐색

        김영식(Kim, Young-si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4

        최근 들어 지역 간 청년 인구 이동 및 쏠림이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역 간 인재 유출, 특히 수도권 및 대도시로의 청년 인구 쏠림 현상은 수도권 및 대도시와 시군구 지역 간의 격차를 심화시켜 지역 발전은 물론 국가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의 지역 이동 실태 및 이러한 지역 이동을 예측하는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인 측면에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I의 4-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고졸자의 타 지역 대학 이동’과 ‘졸업 고교 소재 지역 외 타 지역 직장 취업’ 실태를 파악하고,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통해 청년층의 지역 이동과 관련된 예측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청년층의 인재 유출 및 수도권 집중 현상을 겪고 있으며, 특히 강원 지역의 인재 유출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적자본론과 직업탐색이론의 관점에서 소위 특목고로 대표되는 지역의 우수 인재들이 보다 많은 인적 자본을 축적하고, 더 나은 직장으로의 취업을 위하여 타 지역 대학 진학 및 취업 이동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취업의 질과 관련된 임금 수준, 직장 규모 등의 변수들이 타 지역으로의 취업 이동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지역의 인재 유출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기반한 지역 대학 역량 강화 방안 도입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 단위에서 취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게 요구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실효성 있는 정책 대안 수립을 위하여 청년층의 지역 이동과 관련된 보다 엄밀한 실태 분석 및 이동 결정 요인 도출과 관련된 학술적 제안 또한 함께 제시하였다. A dearth of literature attempted to reveal the status of inter-regional migration of youth and investigated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ose inter-regional migrations. of youth. Thus, little is known about what leads to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regional population of youth. In this article, we provide some answers by exploratively finding predictive variables regarding inter-regional migration of youth exploiting the methods of machine learn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Random Forests(RF),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machine learning,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o predict each youth individual’s decision of inter-regional mig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and employment using the 4th to 12th year dataset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 This study found that the phenomenon of inter-regional migration of youth really exist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Job Searching Theory and Human Capital Theory, regional youths tend to decide inter-regional migration to accumulate more human capital by advancing to so-called prestigious colleges and to search better jobs with more stability and qu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reducing severe phenomenon of inter-regional migration of yout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more rigorous methods for predicting variable related to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regional population of youth.

      • KCI등재후보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결과에 관한 연구

        강은택(Kang, Eun Taek)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는 비수도권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사람들 중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과 이동하지 않고 비수도권에 계속 거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지역별 경제적 변화,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과 이동하지 않은 사람 간에는 소득 및 자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로 약간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이동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도권으로 이동한 사람은 이동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소득 및 자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은 보다 높은 소득 및 자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people who mov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fter being born and grown non-metropolitan area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people who had not made a move. Here non-metropolitan area refers to the Gangwon, Honam, Chungcheong, Daegyung, Dongnam.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inter-regional migr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compared income gap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movers whose hometown are Gangwon, Chungcheong, and Honam did not make a huge difference to income than the movers from Daegyung and Dongnam greater regions. And people who mov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higher assets than people who did no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A variety of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otherwise more people are likely to move out from the areas as there exist better economic and educational benefits in the metropolitan cities.

      • KCI등재

        수도권 인구이동의 선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으로의 이동 특성과 수도권 내의 이동 특성을 중심으로

        이외희 통계청 2010 통계연구 Vol.15 No.2

        The study investigates the migrant selectivity and migrant characteristics of intra-capital area (Seoul and Gyonggi) and inter-regional area in terms of capital vs. non-capital area. The study us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analyze 4 types of inter-regional migration and 3 types of intra-regional migration using variables such as ages,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Ages have stronger influence over the migrants in non-capital area than in the capital area.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nd occupation has stronger influence over the migrants in the capital area. In 2005 compared to 2000, the influence of education status and occupation has increased whereas that of ages does not. 본 연구는 인적 자본의 변화를 보기위해 인구이동 특성을 선별적 관점에서 이동 특성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 수도권내의 이동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과 수도권으로의 이동, 수도권 내 이동에 대해 연령, 학력, 성별, 결혼 상태, 직업을 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인구 이동 자료는 2000년과 2005년의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선별적 특성과 유사하나, 일부 변수의 경우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연령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의 이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직업과 학력의 경우 유출지에 관계없이 수도권으로의 이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와 서울로의 이동에서도 선별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동 성향의 방향은 대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연령은 그렇지 않다. 2000년과 2005년의 시계열 비교에서 볼 때 학력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직업 종류의 영향력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연령의 영향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청년층 지역이동과 임금수준 효과

        조동훈 ( Donghun Cho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0 勞動經濟論集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의 다양한 지역정보와 임금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대졸자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생애주기 (고등학교-대학교-취업)에 따른 지역이동 관련 ‘임금수준’ 연구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유형별 노동시장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대졸자 청년 층은 거주했던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용 에 대해 높은 임금을 노동시장에서 보상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노동시장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면 수도권으로의 인재유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the college graduate Young Peoples’ wa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ir internal migration through college education after high school education.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 Mobility Survey(GOMS), we found out that the more likely young peoples find jobs in the location from different their hometown the higher they command wages in the labor market.

      • KCI등재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 수도권을 중심으로 In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최은영 한국도시지리학회 200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공간으로 수도권의 인구이동을 분해하여 인구이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육기회의 차에 의한 젊은 연령층의 수도권 집중과 두뇌유출, 지역간 격차의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에 비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전입 초과 인구 규모가 감소하고 있지만 지방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둘째, 기존 인구이동 흐름의 정형이었던 도-농간 인구이동은 도시간 인구이동으로 변화하였으며 지방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인구의 주요 목적지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의 거주지인 송파구와 강남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현재 서울로 전입하는 인구의 특성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지역간 인구이동에 의해 수도권 인구집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연령대는 20대로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의 초과전출 대부분이 10대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서울로의 순이 동량이 가장 많은 연령대가 대학 재학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20~24세로 나타나고 있어 교육기회의 차가 인구이동의 중요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인구 중에 20대 비율이 높은 것은 이동하는 인구 집단안에 고등교육을 받았거나 받을 가능성이 큰 사람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20대 인구의 수도권 집중은 지방의 두뇌유출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1950년대 이후 서울은 절대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순 전출지역으로 변화하였지만, 선택적 인구이동을 통해 서울의 영향력과 수도권 인구집중은 지속되고 있다. 특정 집단의 측정지역으로의 선택적 인구이동은 단순한 인구집중 현상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은 연령별로 매우 차별화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brain drain and growing spatial inequality owing to the selective inter-regional migration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This analysis shows the number of people have moved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in a given period(1996, 2000) by the administrative unit of Si·Gun·Gu. Both the process of population decrease in Seoul and its expending the power of influence occur simultaneously. An agedisaggregate decomposition is able to highlight destination choice among various age groups. Age-disaggregated character in migration reveals considerable complexity about the aggregate trends. Particular types of people, aged between 20~29 have greater propensity to migrate into Seoul from other provincial areas. The outflow of well-educated young people(brain drain) may induce the growing spatial inequality.

      • KCI등재

        고졸이후 대졸자의 지역간 이동경로 요인분석

        조동훈(Donghun Cho)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을 이수한 청년층들의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소재지 지역 정보와 일자리 특성정보를 포함하는 대졸자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 지역이동요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자신들이 고등학교 시절 거주했던 지역과 대학에 진학해서 새로운 지역에서 살았던 경험 등을토대로, 졸업 이후 최초 직장을 구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개인특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최초 진입한 이후 이직하게 되는 요인들을 지역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노동시장 관점에서 인재유출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고등학교를 비수도권에서 졸업하고 자신의 지역을 떠나 수도권에서 대학교육을 마치고 수도권 소재직장 대신 다시 비수도권 직장을 구한 경우, 이들의 최초 직장 이직확률이 가장 낮다는 것은 매우흥미롭다. 지역노동 시장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에서 임금을 포함한 양질의 일자리를 충분히 제공한다면지역인재 유출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수도권 고급인력이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주할 기회도폭넓게 제공하리라 판단된다. The empirically estimates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graduate Young Peoples’ entering in the labor market and their inter-regional migration through college education after their high school education.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 Mobility Survey(GOMS), we consider the internal migra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times on determining young workers’ job turnover from their first jobs in the labor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young peoples after their college education in metropolitan areas found their first jobs in their hometown are less likely to move from their first jobs.

      • KCI등재

        청년층 이동 동인 분석과 지방소멸 위험 대비의 함의

        신휴석 국토지리학회 2024 국토지리학회지 Vol.58 No.1

        인구 총조사 자료 및 MDIS 자료 분석 결과 청년인구는 1980년대부터 급격하게 수도권 및 일부 지방 대도시로 집중되어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중심으로 편중 분포되었고 청년층 인구이동에 의한 인구분포의 변화는 과거 1980~2000년의 변화보다 최근 20년간(2000년~2020년)의 변화가 더욱 두드러졌다. MDIS의 지역 전출입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해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의 동인을 분석한 결과 청년인구가 증가한 지역에서는 고용 매력도, 판매시설 접근성, 수도권 여부, 전세 가격, 지역 안전성 등이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일자리와 주거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판매 서비스 시설과 지역 안전성 관련 어메니티(amenity)의 중요성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청년인구의 감소가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고용 매력도, 주택 시장의 안정성 등이 청년인구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alysis of census data and MDIS data shows that since the 1980s, the youth population has rapid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some provincial big cities, resulting in a skewed distribution centered around these areas. The change in population distribu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youth population has been more pronounced in the recent 20 years (2000 to 2020) than in the previous period from 1980 to 2000. Applying spatial regression models based on MDIS's regional migration data, the study found that factors such as employment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to sales facilities, being in the metropolitan area, lease prices, and regional safe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attracting the youth population to settle in an area. This reaffirms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and housing factors, while also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amenities related to sales services and regional safety. In regions experiencing a decline in youth population, factors like employment attractiveness and housing market stabil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youth migr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