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y Alexa, Would You Create a Color Palette?” UX/UI Designers’ Perspectives on Using Natural Language to Interact with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Renato Antonio Bertao,Jaewoo Joo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AI (인공지능)는 알렉사와 같은 지능형 가상 비서 (IVA)을 통해서 이미 우리의 삶에 침투했으며 디자인 작업에도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활용하여 개발될 지능형 디자인 비서에 (intelligent design assistant) 대해서, 디자이너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브라질의 UX/UI 디자이너들에게 지능형 가상 비서와 AI 디자인 도구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추가로 알렉사와 (Alexa) 어도비 센세이를 (Adobe Sensei) 결합하여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인 알렉사 센세이를 (Alexa Sensei) 가상의 시나리오로 만든 뒤, 이에 관한 설문도 함께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브라질 디자이너들은 AI와 협업할 기회는 제한되어 있었으나 AI가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는 AI 설계 시스템과 창의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연어를 통한 의사소통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바라보았지만, 이미 지능형 가상 비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들은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에 대한 거부감이 낮다는 점도 함께 밝혀졌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inserted into people’s lives through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s (IVA), like Alexa. Moreover, intelligent systems have expanded to design studios. This research delves into designers’ perspectives on developing AI-based practices and examines the challenges of adopting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We surveyed UX/UI professionals in Brazil to understand how they use IVAs and AI design tools. We also explored a scenario featuring the use of Alexa Sensei, a hypothetical voice-controlled AI-based design assistant mixing Alexa and Adobe Sensei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indicate respondents have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work with AI, but they expect intelligent syste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Further, majority of the respondents predicted that they would be able to collaborate creatively with AI design systems. Although designers anticipated challenges in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those who already adopted IVAs were less resistant to the idea of working with Alexa Sensei as an AI design assistant.

      • KCI등재

        A Study on the Role Change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u, Jin Jing(유금경),Nah, Ken(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인공지능(AI)에 관한 토론은 디자인 영역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번영은 디자이너에게 커리어 위기를 가져다주었다. 이미 디자인 영역에 존재하며, 디자이너의 지위에 어느 정도 위협되는 AI 디자인 시스템에 대해, 디자이너는 자신의 커리어의 역할에 대해 재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자신이 대체될 수 없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의 시대에 디자이너가 함양해야 하는 능력을 고찰하고 이를 통한 역할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첫째, 디자이너가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새로운 역할 및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핵심능력을 명확히 파악하고자하였다. 둘째, 디자이너가 수행하게 될 새로운 역할과 준비해야 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미래의 디자이너를 위한 교육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초기 단계의 연구에서, 본 연구를 위해 디자인과 인공지능이 융합된 선행 연구와 문헌을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디자인의 역사를 정리하여 분석하고 그 연관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AI 디자인 시스템을 이용한 후 시스템이 기능상황과 디자인 영역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비교하여 대표적인 8가지 시스템을 선정하여 심층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AI 시스템의 장단점 및 디자인 활동 중의 활용 범위를 분석하였다. 본문의 최종 결과는, 인공지능 시대에서 사람들은 진정한 “사람-기계 공생” 시대로 진입하였음을 나타낸다. AI디자인 시스템은 실제로 디자인 과정 중의 중복성 및 공식화 문제의 해결에만 도움 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은 실행자 역할을 맡기 시작할 것이며, 디자이너를 대체하여 초보 단계의 중복성 임무를 완성한다. 반대로, 디자이너는 기획자의 역할을 담당하여 디자인 활동 중의 창의력 부분을 책임진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 논문은 디자이너는 인공지능 시대에서 새로운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4가지 핵심 능력(다분야 학과 사유 능력, 사회 관찰 능력, 판단 능력 및 선진 기술과의 협력 능력)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새로운 역할 능력에 부합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기 위한 미래 디자인 교육에 관한 논의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의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과 필수 핵심능력을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은 차세대 디자이너들의 수행 능력 함양과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참고가 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scussions on the top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re now receiving attention in the design field. The AI technology boom has given designers a sense of professional crisis, faced with AI design systems that already exist in the design field, and have begun to threaten the status of designers to a certain extent. Designers need to reposition their professional roles and find reasons why they can’t be replac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rticulated the new role of the designer by the core competencies that designers need to cultivat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first, we clarify the new role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ore competencies they must master. Secondly, based on the new role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designer, put forward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of future designers. As methods of research,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this research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the desig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research, trying to sort out and analyze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intelligent technology and explore its correlation. Then, after using various forms of AI design systems, we compared whether those systems are widely used in the design field and their functional state. Eight representative systems were selected for in-depth research.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AI systems and the Utilization scope in design activities. The final results in this paper give insights tha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eople will enter the age of true “man-computer symbiosis”. The emerging AI design system can only help solve the problem of repetitiveness and formulation in the design process, play the role of executor, replacing the designer’s primary stage’s repetitive design works. The designer will assume the role of the planner responsible for the creative thinking part of the design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roposes that to assume a new rol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ers must possess four core competencies (interdisciplinary thinking ability, social observation ability, judgment ability, and ability to cooperate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also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esign education on how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be qualified for new roles. With this research, we can confirm the new role and essential core competencies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ill play a crucial reference in cultivating the ability of new generation designers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 KCI등재

        공간 설계지원 및 시각화 웹 앱 분석과 지능형 기술 활용성 고찰

        조하영 ( Jo Hayoung ),이진국 ( Lee Jin-k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여러 당대 최신의 기술로 일컬어지는 소위 지능형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한 웹 앱 기반환경에서의 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의 향후 지능형 기술의 적용 및 확장 가능성에 관하여 실제 웹 앱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하드웨어의 발전과 클라우드 환경 등의 일반화로 사람들은 데스크톱 뿐만 아닌 모바일,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를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었으며, 특정 웹이나 앱 등의 플랫폼도 기기나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난 높은 활용도를 요구하고 있고 또한 실제 그러한 웹 앱들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용도와 같이 접근성이 쉬운 분야뿐만 아니라 공간 디자인 분야 같은 전문적이며 생산성이 요구되는 분야 등으로 확장되어, 더이상 전문가뿐만이 아닌 일반 사람들도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손쉽게 공간 설계 및 시각화의 영역에 접근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몇 년의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해, 일정 부분의 거리두기 및 비대면 활동에 대한 결과로 공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 공간 설계지원 도구가 더욱 활발히 등장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하여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키워드인 ‘지능형 기술’이 이러한 플랫폼에 도입 및 홍보되고 사용자들이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적 환경에 보조하여, 지능형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하고 있는 공간 설계지원 웹 앱 기반 도구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능형 기술의 기능성 및 활용도를 평가 및 부분 정량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1종의 공간 설계 지원도구용 웹 앱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인 1) 지능형 기술의 응용성, 2) 플랫폼의 다양성, 그리고 3) XR 및 시각화 기술 활용성 등에 따라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석 항목과 이에 대한 세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고, 점수화를 통해 상위에 평가된 플랫폼을 보다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정한 11종의 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을 10가지 세부 항목에 따라 평가한 결과, 일부 플랫폼을 제외한 나머지는 아직 높은 수준의 지능형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웹 앱 플랫폼의 반응형 UI 디자인과 같은 시각적인 부분이나 XR 활용과 같은 직관적인 시각화 영역에 무게를 두고 있는 플랫폼들이 주를 이루므로, 실질적인 소위 지능형 기술의 분야지식과의 접목은 그 성장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평가 결과를 통해 현시점에서의 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에 활용되고 있는 지능형 기술 기반 기능의 활용성과 한계점에 대해 검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실질적으로 공간 설계에 있어 손쉽고 자동화된 기능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지능형 학습모델 및 플랫폼 개발에 기초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design-supportive platforms on top of a web/app-based environment that introduces and utilizes the latest so-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sisted technologies and analyzes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potential of such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Due to the development of hardware and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people are using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mobiles, tablets, desktop PCs, and platforms such as specific webs and apps that require high utilization beyond the device or computing environment; these adaptive web/apps are actually being activated. It has been expanding into areas that are easy to access, such as entertainment, as well as areas that require professionalism and productivity, so that not only experts but also ordinary people can easily access the area of space design and visualization by using various smart devices. Additionally,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in recent years, interest in space design has increased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contact-free activities, and space design support tools have emerged more actively. Intelligent technology, a keyword that has been steadily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era of Industry 4.0, is promoted on these platforms,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se platforms is increasing. (Method) In support of this technical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space design-supportive web/app-based tools that introduce and utilize intelligent technology, further evaluating and partially quantifying the functionality and utilization of intelligent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and investigates 11 web/apps for space design-supportive tools and analyzes them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1) applicability of intelligent technology, 2) interoperability of platforms, and 3) ability to support the function of XR and visualization. This study aims to set the relevant analysis items and detailed analysis items to conduct a quantitative evaluation and to examine the platform evaluated above more closely through scoring. (Results) Thus, as a result of evaluating 11 types of spatial design-supportive platforms selec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10 detailed items, it was confirmed that other than some platforms have not yet actually provided services based on high-level intelligent technology. Additionally, platforms that focus on visual parts, such as responsive UI design of web/app platforms or intuitive visualization areas, such as XR utilization, can b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 growth potentia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view the utilization and limitations of intelligent technology-based functions currently used in space design-supportive platform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telligent learning models and platforms that support easy and automated functions and services in space design.

      • KCI등재

        A Study on the Role Change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유금경,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Discussions on the top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re now receiving attention in the design field. The AI technology boom has given designers a sense of professional crisis, faced with AI design systems that already exist in the design field, and have begun to threaten the status of designers to a certain extent. Designers need to reposition their professional roles and find reasons why they can’t be replac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rticulated the new role of the designer by the core competencies that designers need to cultivat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first, we clarify the new role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ore competencies they must master. Secondly, based on the new role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designer, put forward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of future designers. As methods of research,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this research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the desig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is research, trying to sort out and analyze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esign and intelligent technology and explore its correlation. Then, after using various forms of AI design systems, we compared whether those systems are widely used in the design field and their functional state. Eight representative systems were selected for in-depth research.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AI systems and the Utilization scope in design activities. The final results in this paper give insights tha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eople will enter the age of true “man-computer symbiosis”. The emerging AI design system can only help solve the problem of repetitiveness and formulation in the design process, play the role of executor, replacing the designer’s primary stage’s repetitive design works. The designer will assume the role of the planner responsible for the creative thinking part of the design ac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roposes that to assume a new rol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ers must possess four core competencies (interdisciplinary thinking ability, social observation ability, judgment ability, and ability to cooperate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also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esign education on how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be qualified for new roles. With this research, we can confirm the new role and essential core competencies of designer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ill play a crucial reference in cultivating the ability of new generation designers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시공간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소고

        양정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건축 부분에서 인공지능은 관리, 설계, 제작 부분에서 주목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조명디자인 분야는 스피커와 연계된 테이블램프나 스마트 가로등 위주로 상용화되고 있어 공간으로 확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와 지침 등은 거의 없어 엔지니어들이 인공지능이 적용된 조명환경을 어떤 방향으로기술개발 하여야 할지 그 방향성이 모호하다. 인공지능 기술개발은 급진적이나 활용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아 공간경험과 공간환경 보다는 요소 위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도시 건축공간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개발내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에서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현황에 대해 개별 조명기구 중심의 개발, 운용시스템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구분하여 최근 5년간의 신문과 뉴스, 잡지, 조명기술전문사이트 검색을 통해 개발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에 있어 인공지능 개발의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람, 사물, 공간을 초연결, 초지능화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하는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디자인은 지리환경 분석, 법규 적용, 주변 이용자 현황, 동선, 소비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빛환경 연출이 확장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간조명은 정보인지, 생물학적 리듬조절 및 건강, 심미성 강화하는 빛환경의 조건을 찾아 인공지능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인공지능기반 조명디자인은 안전성 강화, 건강증진, 정보전달 및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 유희적 경험과 문화예술적 체험, 자가 학습과정으로서 인공지능 조명을 중심으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그 방향성에 대해 함께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실험 바탕의 정량적 연구가 아니어서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 수치나데이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AI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없이 단편적 기술 위주로 개발되는 현재 조명산업 개발 방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 수립의 필요성과 발전상을 제안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management, design, and production of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However, in the lighting design field, AI table lamps linked to speakers or smart street lighting fixtures with multiple func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which is limited for spati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lighting design, making it ambiguous for engineers to choose a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adical, but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elements rather than spatial experience and the spatial environment becau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I-based ligh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rchitectural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tatus survey for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This study concern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operation systems, contents based on data newspapers, news, magazines, and lighting technology-specialized websites in the last five year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People, things, and space, which are 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hanging into hy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social syste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lighting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m are insufficient. Lighting design can expand illuminated environm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ographic environment, application of laws, and big data analysis of surrounding user status, move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more, space lighting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a light environment that enhances information recognition, biological rhythm control, health, and aesthetics. Accordingly, I propose development direc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ghting as safe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awareness enhancement of region, playful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self-learning processes. (Conclusions) We sought direction by form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doubts about the curren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ghting industry,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fragmentary technologies without social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AI lighting design development, and it suggests its necess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디자인의 사례를 통한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1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expectations and concer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enhance human life qualitatively. This phenomenon is also appearing in the design field, so it was judged to be an important tim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The research method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process of design,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and design production through the homep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ere finally verified based on professional designer interviews. In conclusion, fou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efficiency, economy, functionality, and diversity, and the capabiliti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id not hav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process and the designer rol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was propos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can move toward empathy with users and grow into a designer with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 KCI등재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중 자료수집 분석 단계의 도구로서 ChatGPT-3.5의 활용 가능성 탐색

        이시창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2 No.2

        Background :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any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place people and various occup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ChatGPT, a type of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hat is becoming an issue these days, as a tool in the product design process, and to think about the role of future product designers. Methods :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as a tool i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during the product design process, four design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Group A selects five data collection analysis topics, and Group B uses ChatGPT to collect and analyze data, compares and shares the derived data collection results, and conducts participant FGI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tGPT.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biggest advantage of ChatGPT is productivity, and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tool that can reduce the time of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and increase accuracy in the future design process. However, when limiting areas such as accurate numerical results or restrictions on certain areas are set, the results derived did not meet expectations, and the source of information is unclear, so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results of ChatGPT 100% and the effectiveness, economy, and development are highly evaluated, but creativity, diversity, and convenience need to be supplemented. And it was derived as a disadvantage that these deficiencies must go through the hands of designers again. Conclusion : In the midst of increa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to be afraid of changes in our lives and lifestyles that will be chang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ut to actively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empirical study confirmed that if ChatGPT is operated well as a tool,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in one area of the design process, but it is still clear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se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tools is important, but the ability of designers to operate is also very important.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such as ChatGPT will be used without fear and further grow into designers with the skills requir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era. 연구배경 : 근래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공지능이 사람 및 각종 직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즘 이슈화되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챗봇의 일종인 ChatGPT를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 도구로서 활용하였을 때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탐색하고 미래 제품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중 자료수집 분석 단계의 도구로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디자이너 4명을 2그룹으로 구분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한다. 5가지 자료수집 분석 주제를 선정하고 A그룹은 기존 방식으로 B그룹은 ChatGPT를 활용하여 자료수집 및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도출된 자료 수집 결과물을 비교한 후 공유하고 참여자 FGI를 진행하여 ChatGPT의 특성 평가를 진행한다. 연구결과 : 탐색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여 보면 ChatGPT의 최대 장점은 생산성이며, 향후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자료 수집 및 분석 단계의 시간을 줄여주고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도구로서의 기능은 상당히 기대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정확한 수치의 결과 도출이나 일정 지역의 제한 등 한계 영역을 설정하였을 경우 도출된 결과가 기대에 부합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정보에 대한 출처가 불명확하기에 ChatGPT의 결과물을 100% 신뢰하기는 힘들며 효용성, 경제성, 발전성은 높게 평가하나 창의성, 다양성, 편의성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다시 디자이너의 손을 거쳐야 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 점점 발전하는 인공지능의 속에서 인공지능으로 인하여 바뀌게 될 우리의 삶과 생활패턴의 변화를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적극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코자 하는 차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ChatGPT를 도구로서 잘 운용한다면 디자인 프로세스의 한 영역에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지만 아직은 그 한계도 명확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이러한 인공지능 디자인 툴들은 본래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운용하는 디자이너의 능력 또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인지하고 미래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툴들을 두려워하지 않고 활용하면서 더 나아가 인공지능 디자인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자인씽킹 기반의 인공지능비서서비스 UX디자인 연구 -디자인주도 다학제 교육과정 기술공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지영(Kim, Ji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한국 디자인 진흥원은 2020년 4월 디자인 주도 다학제 교육과정 지원 사업을 공고하였으며 이에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은 한국 디자인 진흥원의 지원 사업에 참여함에 따라 디자인 주도 다학제 교육과정을 참여하였다. 기술이 발달되고 학문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다양한 전공과 더불어 디자인 주도 다학제 교육과정은 앞으로 더욱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는 기술이 주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와 같은 기반을 활용하는 디자인 분야의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주도 다학제 교육과정의 18명의 학생들이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UX디자인 연구에 참가하여 기술 공감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UX디자인의 특성을 통한 디자인 개발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UX디자인 연구는 디자인주도 다학제에 선발된 18명 학생들이 2020년 7월23일~8월30일의 5주의 방학 기간 동안 이루어진 프로젝트이며, 참여한 학생들은 디자인분야 전공학생(12명)과 경제 · 경영학 전공학생(3명)과 소프트웨어 전공학생(2명)이며 4개의 팀(SNUG,We’re,조화:해요, PutPut)으로 각 각의 전공이 융합된 팀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인공지능의 정의, 인공지능 비서서비스에 대한 개념, 국내 · 해외의 인공지능 비서서비스의 사례에 대하여 분류와 분석을 하였으며 3가지의 시대적 배경 예시를 통하여 본질적인 주제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디자인 연구 개발의 방향으로는 디자인씽킹의 공감을 통한 타깃을 선정하고 문제정의에서는 디자인 컨셉을 도출하여 디자인 결과로는 인공지능 비서서비스의 UX디자인을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UX디자인으로 첫 번째 팀 SNUG은 현대인의 요구를 반영한 인공지능과 패션의 인공지능 Smarcle, 두 번째 팀 We’re는 현실적으로 경제관리가 어려운 대상자들에게 관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인공지능 BeGIN Up, 세 번째 팀 조화:해요는 감정노동자들의 위로와 고객응대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는 인공지능 Smile, 네 번째 팀 PutPut은 일정관리가 필요한 중학생 · 고등학생들에게 개인의 학습현황을 고려하여 최적화 된 플랜을 추천하는 기능과 앞으로의 맞춤 일정관리를 해주는 인공지능 1370으로 총 4가지의 기술공감 프로젝트의 디자인으로 개발되었다. 개발 기간이 총 5주로 비대면 상황에서 짧은 시간 동안 개발되었다는 것에 한계가 있지만 언택트시대에 타전공의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협업과 소통으로 기술공감의 인공지능 비서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April 2020, the Korea Design Promotion Institute announced a project to support design-led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and Hanyang University’s College of Design participated in the design-led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as it participated in the support project of the Korea Design Promotion Institut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onvergence of learning, design-driven multi-disciplinary courses, along with various majors, are expected to be more necessary in the future. Especiall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design, which utilizes bas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s urgent because technology is clearly leading.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y service UX design, with 18 students from the design-led multidisciplinary curriculum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y service UX design. The research on UX desig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y service, was conducted during the five-week vacation period from July 23 to August 30, 2020, with 18 students selected for the design-driven multidisciplinary program, 12 students majoring in design, 3 students majoring in economics and management, and 2 students majoring in software, and 4 teams (SNUG, We’re’re, Harmony, PutPut) were integrated into each team. As a method of research in this paper, w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ial services, and the exam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ial services in Korea and abroad, and tried to help understand the essential topics through three examples of the times. In the direction of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target was selected through empathy of design thinking, and the problem definition derived design concept and the UX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y service was presented as a prototype as a prototype was presented. The first team SNUG is UX Desig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that reflects the needs of modern people, while the second team We’re is artificial intelligence BeGIN Up, which can be managed by subjects who are difficult to manage the economy, and the third team harmony:Haea is artificial intelligence Smile, which can enhance the comfort of emotional workers and the efficiency of customer response, and the fourth team PutPututtut is an individual high school student who needs to be optimized.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 period was five weeks in total, it was develop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t is meaningful in this study that students of other majors developed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retarial services of the technical consensus through self-directed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Untact era.

      • KCI등재

        스크린 기반의 웹 & 앱 분야의 디자인 시스템과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 사례 연구

        이승재 ( Seung-jae Lee ),반영환 ( Young-hwan P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2

        연구배경 인공지능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최근에는 디자인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웹 & 앱 디자인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 앱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 시스템의 구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현황과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사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웹 & 앱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 시스템 구조에 대해 정리하고 각 구조에 맞게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구분하여 사례별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 시스템의 대표적인 방법론 3가지를 분석하면 스타일 가이드, 컴포넌트, 템플릿, 페이지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사례들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각 단계가 가지는 목적에 따라 단계별로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특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인공지능 기반 디자인 소프트웨어는 디자인 과정에서 사용자를 돕는 보조적 역할을 하고 있어 반복적인 디자인 작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조작하는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디자인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rought about new changes in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tried in the field of design. Especially, in the field of web & app design, the use of design software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design system used in web & app design field,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sign software are summarized.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we have summarized the design system structure used in the web & app design field and classifi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sign software according to each structur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by case. Result Analysis of three representative methodologies of the design system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style guide, component, template, and page. Based on this analysis,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based design software and found that featur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based design softwa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stage. Conclusi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sign software plays a supporting role in assisting users in the design process, which can be used efficiently in repetitive design work. However, since the scope of operation is limited,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to obtain various high level design results. .

      • 건축설계 초기 단계에 인공지능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평가전략수립 중심으로

        이윤길(Yun-Gil Lee),조원준(Won-Jun Cho),장현서(Hyun-Seo Jang)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20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9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설계기법개발의 일환으로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설계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전산적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연구의 결과물은 건축설계과정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디자인된 설계안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전산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하여 관련된 기준 및 적용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는 건축설계안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술개발연구와 그 맥을 같이하지만, 인공지능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전략개발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평면 자동생성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디자인 초기 단계에 설계안의 성능평가 전략수립에 보다 중점으로 두었다. 설계 초기 단계는 설계안의 창의적인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단계로써 인공지능의 지원으로 건축가가 더욱 창의적인 설계작품을 창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 초기단계의 건축설계 과정과 설계안의 평가방법 및 평가내용을 분석하여 전산적인 평가전략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mput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designed alternativ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design techn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stematize related criteria and application methods in order to computeriz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alternativ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This is in line with the technology development research that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but differs in that it is the strategy development for the effectiv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has a kind of a follow-up study to advance the developed automatic plane generation system. In this study, more emphasis was placed on the establishment of a evaluation strategies for the design results in the early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The early stage of design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creative results of a design proposal, and can support architects to create more creative design works with the suppor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omputational evaluation strategi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contents of the desig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