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장애 범죄자의 정신이상 항변에 관한 연구

        조철옥 ( Chul Ok Cho ) 이실학회(구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08 경찰연구논집 Vol.3 No.-

        본 논문은 정신장애 범죄자의 형사책임 판단기준과 관련된 미국의 입법적인 장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정신이상 항변(insanity defense)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것이 목적이다. 대부분의 국가는 정신장애 범죄자의 정신이상 항변을 인정한다. 정신이상 항변은 살인, 방화, 강간 같은 강력범죄를 대상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과정에서 정신이상을 이유로 한 형의 면제나 감면이 허용된다. 따라서 연쇄살인이나 강간살인, 또는 유괴살인범 등과 같은 흉악범들이 주로 정신 이상을 이유로 무죄를 요구하는 항변을 사용한다. 그러나 정신장애 범죄자들의 정신이상 항변에 대한 판단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 역시 정신이상 여부는 정신의학 전문의의 진단을 기초로 법관에 의해 최종적으로 판단된다는 점에서 별로 차이가 없다. 또한 피고인의 정신이상 유무를 정신의학적으로 진단하고 이 정신이상 상태가 행위 당시에 사물변별 능력이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에 영향을 미쳤느냐를 기본 요소로 하여 법관이 최종적으로 판단한다는 혼합적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론적으로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가 없다. 그러나 미국은 정신이상을 이유로 한 항변에 대응하기 위해 생물학적인 요소와 심리학적인 요소인 인식능력을 기초로 하는 맥노튼 규칙(M`Naghten Rule), 생물학적인 요소를 기초로 하는 더럼 규칙(Durham Rule), 저항불능의 충동원칙까지 포함한 브론너 규칙(Brawner Rule), 정신장애 범죄자의 인식능력만을 기초로 정신이상을 판정하자는 정신이상 항변 개혁법, ‘유죄이나 정신질환 인정 원칙’ 등을 법제화하여 그 기준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정신이상 판단 기준이 분명치가 않다. 즉, 우리형법 제10조 제1항과 제2항은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의 변별능력이 없거나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책임무능력자 또는 한정책임능력자의 행위를 벌하지 않거나 형을 감경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미국은 물론이고 한국에서도 범죄자들의 정신이상 항변에 대해 부정적이다. 그들은 형사처벌을 면하기 위해 거짓과 술수, 기만이나 위장을 하고 있다고 의심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연쇄살인이나 미성년자 납치 성폭력 살인 등 흉악범들의 정신이상 항변에 대한 신청률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형법 제10조의 심신상실과 심신미약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심신장애의 개념을 정신분석학이나 신경정신학적으로 정립된 정신장애의 종류를 기준으로 표준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즉, 심신장애를 야기하는 생물학적 표지를 ① 병적인 정신병, ② 기질적인 정신장애, ③ 기타의 정신병질로 구분하여 구체화하자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심리학적 표지를 기준으로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 없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는 자를 판단함으로써 흉악범죄자의 위장이나 거짓을 막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신이상 항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화를 시도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This paper studies American legislative institution related to judgemental standards of penal responsibility which criminals due to mental disorders have to burden.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searches for the suggestion about standards concerned to insanity defense in Korean from American institution. The insanity defense is called by criminals who commit homicides, incendiary, and rape. They is judged in no guilty on the reason of insanity. But It is a problem that the judgement standards on the insanity defense are no clear cut Likewise our country, judges of court finally decides on yes or no about insanity based on diagnoses of psychiatric clinician. But USA have developed various rules to react on a defense on insanity reason, M`Naghten Rule is based on biological elements and cognitive capability of psychological elements.. Thus, the M`naghten Rule,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right and wrong test, emphasizes the cognitive elements of (1) being aware and knowing what one was doing at time of the illegal act; or (2) knowing or realizing right from wrong in the moral sense. The rule recognizes no degree of incapacity. You are either responsible for the action or you are not. There are no in betweens. But Durham Rule is based on biological elements to judge no guilty on insanity reason. While the M`Naghten Rule focuses on knowing right from wrong, Duraham assumes that one cannot be held responsible if an unlawful action is the product of mental disease or defect. Brawner Rule emphasizes that a pearson is not responsible for criminal conduct if at the time of such conduct as a result of mental disease or defect, he lacks substantial capacity either to appreciate the criminality of his conduct or to conform his conduct to the requirements of the laws. Unlike M`naghten Rule, Brawner Rule recognizes partial responsibility for criminal conduct, as well as the responsibility of an irresistable impulse beyond one`s control. Insanity Defense Reform Act of 1984 passed on congress abolished the irresistsble impulse test of the Brawner Rule. The inability to control one`s actions because of mental defect was no longer acceptable as an excusing condition. Guilty but Mentally Ill in 1992 allows the court to render a “middle ground” verdict in the case of allegedly mentally disordered defendants. The verdict allows juries to reconsile their belief that a defendants who commits a crime should be held responsible with the belief that he or she also needs help. This all rules concerned on insanity defense were legislated in USA. But in Korea, the judgement standard is not established. That is to say, Clause 1 and 2 of Article 10 in Korean criminal law is prescribing that the action of a person without legal capacity and a person with confined legal capacity is not punished or commuted because they have not any capability to judge things and incompetence for decision making. American`s citizens are negative to insanity defense on the insanity reason of criminals. Of course Korean people are negative to insanity defense of criminals. Statistically in America and Korea, the success ratio of insanity defense is very low to brutal criminals. But the application of brutal criminals, specially in sexual criminals to children, shows to be increased in Korea. In Article 10 in Korean criminal law, the loss of one`s mentality and the weakness of one`s mentality need to specify what to mean. Thus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need to standardize the kind of mental disorder in psychoanalytic or neuropsychiatric field. That is to say, biological marks to cause mental disorder are to be specified as devided into 1) mental disease, 2) dispositional mental disorder, 3) and other psychopathy. And then psychological notes as this are to be a standard to distinguish into incompetent to judge things or incompetent for one`s decision making. So insanity defense is to operated into objectively and rationally as preventing from falsehood or camouflage of brutal criminals.

      • KCI등재후보

        강력범죄자의 정신이상 항변에 관한 연구

        조철옥 치안정책연구소 2011 치안정책연구 Vol.25 No.1

        범죄자 특히 연쇄살인이나 성폭력살인, 또는 아동성폭력 범죄자들은 정신장애에 의한 정신이상항변을 주장한다. 살인, 강도, 강간, 방화 같은 강력범죄를 범한 범죄자들의 정신이상항변이 인정될 경우에 형의 면제나 감면이 허용되기 때문에 정신이상 항변은 범죄자들의 면책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미국은 물론이고 한국에서도 범죄자들의 정신이상 항변에 대해 부정적이다. 그들은 형사처벌을 면하기 위해 거짓과 술수, 기만이나 위장을 하고 있다고 의심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연쇄살인이나 아동성폭력 등 흉악범들의 정신이상 항변에 대한 신청률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흉악범죄를 범한 전과자들 까지도 주취항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는 형사정의의 측면에도 합당하지 않다고 본다. 우리나라는 정신장애 판단기준이 분명치가 않다. 단지 판례에 의존하여 정신장애를 이유로 한 정신 이상항변을 받아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우리 형법 제10조 제1항과 제2항은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의 변별능력이 없거나 의사결정 능력이 없는 책임무능력자 또는 한정책임능력자의 행위를 벌하지 않거나 형을 감경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형법 제10조의 심신장애를 정신장애라는 전문용어로 바꾸고, 정신이상 항변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정신장애의 유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법제화하고, 전문감정인의 정신감정을 의무화하는 관련법의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연쇄살인범이나 아동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정신이상항변을 배제하는 법제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구체화를 통하여 흉악범죄자의 위장이나 거짓을 막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신이상 항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변화를 시도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This paper studies the insanity defense of felonious criminals such as murder, robbery, rape, and arson. This paper was analyzed by statistical data of the Korean prosecutory authorities for ten years from 2000 year to 2009 year. In the result of analysis, the rate of insanity defense was very low to come under 1-2% of total felonious crimes similar to USA. But the felonious crime such as murder, robbery, rape, and ars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crimes in insanity defense. Especially felonies were very high to be 40% in intoxication defense. This trend is increasing continuously after 2004 year. Surprisingly career criminals were approved on insanity defense same as general criminals. This fact tells us that court permits insanity defense to career criminals pretend to be mental disorder. So psychiatric test on all criminals is to be executed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by medical specialists. It is problem that the judgement standard on insanity defense is not established in Korea. In Article 10 in Korean criminal law, the loss of one's mentality and the weakness of one's mentality need to specify what to mean. So the judgement standards need to legislate such as USA. Also Clause 1 and 2 of Article 10 in Korean criminal law is to be revised to prescribe the psychiatric test on mental disorders of criminals by all means. Together related laws are revised. In related to this, Article 169 in Criminal Procedure Code is to be revised on that psychiatric test has to carry out by medical specialist. Recently serial murderer and pedophile are increasing to demand insanity defense in Korea. They are excluded in insanity defense in the reason on mental disorder, because they are almost antisocial personality or psychopath. We verified the increasing trend of insanity defense of felonious crimes such as murder and rape. So serial murder and pedophile are to excluded in insanity defense in the reason on mental disorder and intoxication.

      • KCI우수등재

        미국형법상 정신이상의 항변의 비교법적 고찰 - 미연방대법원의 Kahler v. Kansas 판례 (2020)와 관련하여

        김종구 한국형사법학회 2020 형사법연구 Vol.32 No.2

        Both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and Anglo-American legal system understand that the insanity defense is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traditional criminal law.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demands in the U.S. for the abolition of insanity defense, and some states, including Kansas, have abolished insanity defense. Since then,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on that abolished insanity defen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S. Supreme Court ruled in March 2020(Kahler v. Kansas) that the Eighth and Fourteenth Amendments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did not require that states adopt the insanity defense in criminal cases. Recently, there have been calls in Korea to revise or abolish the Article 10(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in the Criminal Act of Korea. Still in various forms, the amendment of Article 10 of the Criminal Act of Korea on insanity defense is being argued, and related bills have been submitted. At this point, the U.S. Supreme Court's ruling on Kahler v. Kansas is expected to give much implications on the meaning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insanity defense in criminal law. This paper examines the ruling of Kahler v. Kansas by the U.S. Supreme Court,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insanity defense and criminal responsibility from a comparative legal point of view. 대륙법계나 영미법계 모두 행위자의 정신이상은 책임조각사유 또는 면책사유로 이해되며, 이는 전통적인 형법의 기본이론의 하나이다. 그러나, 근래 미국에서 정신이상의 항변(insanity defense)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며, 실제 칸자스주 등 일부 주(state)가 정신이상의 항변을 폐지했다. 이후 정신이상의 항변을 폐지한 입법에 대하여 위헌성 논의가 이어져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연방대법원은 2020년 3월 Kahler v. Kansas 사건에서 정신이상의 항변을 폐지한 칸자스주법이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조항(due process clause)과 잔인하고 비정상적인 형벌(cruel and unusual punishment)을 금지한 수정헌법 제8조의 위반이 아니라고 판결하였다. 근래 국내에서도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성범죄나 살인사건을 계기로 심신미약자에 대한 감형 규정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있었으며, 성범죄 등의 경우 명정의 항변을 할 수 없도록 법개정이 이루어졌다. 형법도 개정되어 심신미약자에 대한 형감경이 임의적 감경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정신이상의 항변에 관한 형법 제10조의 개정이 주장되고 있고, 관련 법안들이 제출되기도 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미연방대법원의 Kahler v. Kansas 판결은 형법상 책임주의와 정신이상의 항변의 의미에 관하여 많은 시사를 주리라 판단된다. 본 논문은 미연방대법원의 Kahler v. Kansas 판결을 검토하면서, 비교법적 관점에서 정신이상의 항변과 책임주의의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 안드레아 예이츠 사건에 대한 판례평석 - 정신이상 항변의 시사점 -

        김지수 ( Jisoo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20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11 No.1

        Whereas people believe that heinous criminals frequently avoid conviction through insanity defense, there are less than 1% of all felony cases in which the insanity defense is used. In addition, of the cases, only the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disorders in the most extreme cases are found not guilty by reason of insanity. The defense is deemed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rights of a defendant in criminal law, not only because of the inconsistent and ambiguous definitions of legal insanity, but also because of increasing dispute about whether the defense should exist in any form. The acquittal of John Hinckley raised the issue of the abolition and revision of the defense, and many states have adopted some changes accordingly. Each state has adopted a different version of insanity standard, and the hope of providing greater protection to public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BMI verdict in some states. Similar concepts include competence to trial and diminished capacity, but the differences from these concepts are that the insanity defense is assessed during trial and requires higher standard. The Andrea Yates case implies important issues that lie within the structure of the insanity defense. The false testimony by an expert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ringent Texas standard for insanity are the main issues that have been constantly brought up for discussion. In addition to the dispute over the acquittal of Andrea Yates and application of the legal principles, there seems more issues to discuss. From the legal perspective, the primary concern would be applying the principles of a standard and finding whether the defendant was insane at the time of the conduct. In the view of psychology, it is a responsibility of a society to take care of severely mentally-disordered individuals by providing precise diagnoses and proper treatment. To protect the public safety, it would be our task to find a balance between treatment and punishment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a mental disorder and the culpability of an act.

      • KCI등재

        심신장애자의 판정에 관한 연구 -미국의 형사법에 기초한 비교법적 관점에서-

        정웅석 ( Jeong Oung-Seok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硏究 Vol.19 No.3

        The criminal law generally assumes that most people have mental and psychological capabilities sufficient to hold them responsible for the crimes they commit. Accordingly, the criminal law assumes people know the law and have free will. Their abilities to know and to choose(or, put in psychological terms, their cognitive and volitional capacities) are bedrock premises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underlie all philosophical theories of punishment. Meanwhile, the criminal law does provide limited opportunities for a defendant to avoid or less his responsibility by demonstrating that one or more of his important human capacities was significantly impaired when he committed the criminal act. Defenses such as insanity, infancy, intoxication, and diminished capacity are among the more important of these opportunities. The defense of insanity is litigated at the criminal trial. But the insanity defense has been under heavy attack recently. The public becomes upset when individuals who intentionally engaged in harmful conduct are acquitted by reason of insanity. There are also common misconceptions about the use and consequences of this defense. So, I will study on the M`Naghten Rules, The Irresistible Impulse Test, The Model Penal Code Test, The Federal Insanity Test, The Guilty but Mentally Ill Defense, The Insanity Defense Reform Act of 1984 in relation to the defense of insanity in this treatise.

      • KCI등재

        Integration of Mens Rea with the Insanity Defense in Kahler v. Kansas, A Confounding of Medical and Legal Views in Criminal Responsibility

        보해니안(Shahin Borhani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3

        In its March, 2020 opinion in Kahler v. Kansas,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established that the special verdict of not guilty by reason of insanity is not fundamental to the rights and protections aforded by the Fourtenth Amendment’s Due Proces Clause. In Kahler, the Court upheld a chalenged Kansas law that funnels al exculpatory evidence of a defendant’s mental incapacity to the guilt phase of trial to negate mens rea, not as broadly conceived to ases culpability, but rather narowly defined to negate any mental state or states required by the definition of the crime charged. In practice, the Kansas law relies on M’Naghten’s first prong, and only if the defendant understod “the nature and quality” of his actions, could he have formed the requisite mental intent for the charged crime. Kansas law also provides that the above mens rea test is the only avenue to an acquital for a Kansas defendant based on evidence of mental incapacity, thereby eliminating the afirmative defense of insanity. Acordingly, if in Kansas a mentaly defective defendant was able to form the mens rea, intent element of the crime charged, and yet failed to understand that his conduct was wrong, as under the second prong of M’Naghten, the Kansas law wil not exonerate him. The Court’s conclusion requires an answer to one of the long-standing questions that arise from the interaction of mens rea and insanity, can and should mens rea alone serve as a suficient basis for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paper introduces the Kahler opinion to a Korean audience and sugests that Korean scholars and lawmakers avoid its pitfals, and not weaken but maintain the broad protections that the Korean law afords to defendants who are chalenged by mental disorders, particularly because mens rea and legal insanity have diferent functions, and confounding them wil fail to properly ases the culpability of mentaly il defendants and increase the danger of fuly exonerating dangerous persons by diluting the empirical nature of mens rea. 2020년 3월 미연방대법원은 정신이상을 이유로 하는 무죄평결은 미수정헌법상 적법절차원리가 보호하는 기본권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Kahler 사건에서 미연방대법원은 피고인의 고의를 부정하기 위해 피고인의 정신이상이라는 모든 면책적 증거를 유죄판결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정신이상을 넓게 책임 판단을 위한 것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기소된 범죄가 요구하는 어떠한 정신상태든 부정하기 위한 것으로좁게 정의하는 칸자스주법을 지지했다. 실제에 있어서 칸자스주법은 맥노튼 법칙의 첫번째 원칙에 따른 것인데, 피고인이 자신의 행위의 ‘성격과 본질’을 이해하는 경우만기소된 범죄에서 요구되는 고의가 인정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칸자스주법은 그러한 주관적 요건에 관한 척도를 적용하는 경우에만 정신이상이라는 증거에 기초하여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할 수 있는 것이며, 결국 정신이상의 적극적 항변은 폐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신이상이 있는 피고인이 기소된 범죄의 고의를 형성할 수 있는데, 그의 행위가 잘못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 칸자스주법에 따르면 맥노튼 법칙의두 번째 원칙에 따를 때 피고인은 면책될 수 없다. 미연방대법원의 판결은 고의만이형사책임의 기초일 수 있으며 그래야 하는가에 대한 고의와 정신이상의 상호관계에 관한 오래된 질문에 대한 답을 요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미연방대법원의 Kahler 판결의 판시내용을 한국의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으며, 한국의 학자들과 법률가들이 함정을 빠지지 말고, 정신이상을 겪는 피고인들을 위한 한국법상 넓은 보호수단을 약화시키지 않고 유지하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특히 고의와 정신이상의 항변은 서로다른 기능을 하는 것인데, 양자를 혼동하는 것은 정신이상이 있는 피고인의 책임능력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고의의 경험적 본질을 희석시킴으로써 위험한자를 완전히 면책시키는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 KCI등재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증명책임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과 증거제출책임 논의를 중심으로-

        김두식(Doosik Kim)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59 No.-

        위법성조각사유 및 책임조각사유와 관련해서는 어떤 사실의 ‘존재’는 증명할 수 있지만 특정되지 않은 시간과 공간에서 구체화되지 않은 어떤 사실의 ‘부존재’를 증명하기란 사회통념상 불가능하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피고인의 구체적인 소명이 필요한 까닭에 실제 재판에서는 마치 피고인이 위법성조각사유나 책임조각사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처럼 보일 때도 많다. 이런 현실에 기반하여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증명책임이 피고인에게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러나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원칙과 무죄추정원칙에 따라서 형사재판에서는 검사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을 통해 피고인의 유죄를 증명해야 한다. 2007년 신설된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도 이와 같은 원칙을 유력하게 뒷받침한다. 어떤 사실의 ‘부존재’ 증명이 사회통념상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설은 형식적 증명책임(입증부담) 개념을 활용한다. 구성요건해당사실이 증명되면 위법성과 책임은 사실상 추정되고 이에 따라 피고인은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존재’에 관하여 입증부담을 진다는 것이다. 피고인의 입증부담에 이어 검사는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부존재를 증명하는 실질적 증명책임을 진다. 통설에 따르면 입증부담은 미국 증거법상의 증거제출책임과 다른 개념이다. 이 논문은 미국식 배심재판이라 하더라도 전문적인 법률지식을 갖추지 않은 배심원에게 판사가 정확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추가될 뿐, 우리나라 민형사 재판과 완전히 다른 증명책임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마치 피고인이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처럼 진행되는 우리 형사재판 현실에서 증거제출책임 개념은 오히려 피고인이 지는 부담의 내용과 정도를 분명히 하는데 도움을 주며, 직권탐지주의에서 판사가 직접 조사활동을 수행하는 예외적 상황은 입증부담 개념이라고 해서 다를 바 없고, 입증부담과 증거제출책임은 등장배경, 내용, 실제적인 적용이 모두 동일하므로, 양자를 굳이 달리 볼 이유가 없다고 이해한다. 입증부담 개념의 도입 경로로 보이는 일본에서도 양자는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합리적인 의심 없는 정도의 증명’이라는 미국 증거법상의 개념이 형사소송법 제307조 제2항으로 명문화된 것도 증거제출책임 개념 활용의 적절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입증부담과 증거제출책임이 사실상 동일하다고 이해하면, 피고인의 입증부담(증거제출책임)에 요구되는 소명의 정도를 ‘합리적인 의심을 넘는 증명’이나 ‘우월한 증명’이 아니라, “합리적인 사람을 기준으로 향후 그 사실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으리라고 추론 가능한 정도” 즉 일종의 쟁점형성책임 수준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허위사실공표죄에서 어떤 사실의 ‘부존재’ 증명과 관련하여 최근의 대법원 판례가 도입한 ‘소명’, ‘부담’ 등의 용어와 설명방식도 위법성조각사유와 책임조각사유의 증명책임 문제를 해결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위법성조각사유, 책임조각사유, 허위사실공표죄 등은 모두 부존재 사실의 증명 불가능성이라는 문제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다만 피고인의 방어권에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증명책임 논의는 궁극적으로 미국 모범형법 §1.12. 제2항에 해당하는 규정의 명문화를 통해서 해결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There is a general right to defend oneself against the use of unlawful force in Korea. The insanity defense also has been recognized from the enactment of the Korean Criminal Law. However, it is widely known that the Korean courts have been very reluctant to admit self-defense or insanity in criminal cases. The defendant could not be forced to prove any of the elements of the crime, but is generally required to come forward with at least some evidence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of self-defense or insanity even without ‘affirmative defense’ category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This process is analyzed by Korean scholars utilizing German definition of the burden of proof which distinguishes the duty to introduce evidence (so called ‘formelle Beweislast’) from the risk of non-persuasion (so called ‘materielle Beweislast’).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definition of ‘formelle Beweislast’ in Korea and Japan has almost the same origin, background, theory, and application as the burden of production in the States, therefore the US burden of proof theories could be used as significant tools to improve the Korean defendant’s rights in criminal procedure. Even though the newly enacted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rticle 307 (2) actively supports this new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new legal provision like the Model Penal Code §1.12. (2) which requires the defendant to introduce some evidence supporting the affirmative defense.

      • 법과 주체의 조명 ; 가정폭력 “피/가해자”의 탄생: 가정폭력 피해자의 처절한 사적 구제

        양현아 ( Hyun Ah Yang ),김현경 ( Hyun Kyung Kim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2 공익과 인권 Vol.12 No.-

        가정폭력 피해자가 오랜 가정폭력에도 불구하고 법적 구제를 받지 못하다가 가해자를 사망케함으로써 도리어 가해자가 되어 ``법 앞에 섰을 때`` 법은 이 복합적 주체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우리 법과 법정은 이러한 주체성을 다룰 시각과 논리를 가지고 있는가. 이 글에서는 이 복합적 주체를 “피/가해자”라고 이름 붙이며 이러한 질문을 시론적으로나마 다루어 보고자 한다. 법원이 가진 피/가해자에 대한 시각은 우선 정당방위와 심신장애 판단에서 드러난다. 정당방위 판단에서 법원은 동등한 힘을 가진 남성을 그 주체로 상상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진 ``방위의 감각``을 배제하여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가정을 ``사랑의 공간``으로만 추상적으로 상정함으로써 그 공간 안에서 실제적으로 신음해 온 피/가해자에게 가정 내 공격에 대한 사회 윤리적 제한을 이유로 방위행위의 상당성을 부정한다. 한편 심신장애 판단에서는 미국의 피학대여성증후군(Battered Woman syndrome)을 수용하지만, 피/가해자의 ``피해자성``에만 천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행위했고 행위하는 피/가해자의 주체성은 도리어 고의적 살인 행위에의 추정을 강화시키게 된다. 피/가해자의 주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녀의 가정폭력 피해 경험을 섬세하게 살펴야 한다. 피/가해자는 학습된 무력감을 겪고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법과 국가의 부재 속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없었기 대문에 폭력의 순환을 감당했던 것이다. 현재 ``가정폭력방지법``은 가정 보호를 그 목적으로 삼아 보호가치를 혼돈하고 있으며, 법을 집행하는 국가기관은 가정폭력을 용인하고 사소화함으로써 적절한 구제를 행하지 못하고 있다. 가정폭력은 은폐된 사적 공간 안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게 이해되어야 하지만, 공/사 영역 이분법과 가족주의 하에서 오히려 사소화되고 용인되어 왔다는 점에서 법과 국가의 대응은 가정 공간에 대한 왜곡된 이해에 기반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 결과, 법적 구제의 바깥에 놓인 가정폭력 피해자는 가정폭력에 시달리면서 이를 종결지을 어떠한 방도도 찾지 못한 채 최후에는 가해자를 살인하는, 강요된 선택에 이르게 된다. 이 점에서 피/가해자의 선택은 법적 절차가 정지한 곳에서 행한 ``처절한 사적 구제``라고 본 연구자들은 해석한다. 때문에 피/가해자를 마주하는 법과 국가는 이러한 피/가해자가 다시는 출현하지 않도록, 성철적 자세로 가정폭력에 대한 실무적 대책에 부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피/가해자를 처벌하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이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그 복합적 주체성을 해독하여 치유하고 회복하는 사법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How could the law see the complex subjectivity such as the one who has been a long-tim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being left without legal protection and eventually killing her abusive husband? This article names this complex subject a “victim/perpetrator” and attempts to deal with the question raised above. First of all, the current judicial system cannot possibly listen to the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due to its limited standard of illegality and responsibility. The perspectives of the court can b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self-defense and insanity. In interpreting the self-defense, the court in Korea does not recognize the imminent attack as it assumes that a victim/perpetrator has the same masculine power and thus ignores the complex situation of a victim/perpetrator. It also rejects the defense of the imminent attack under social and ethical grounds, as it abstractly defines a home as a place of love and care, ignoring a brutal reality of the home where the victim/perpetrator could not be escaped. In interpreting the insanity, the court only focuses on victimized aspects and thus fails to capture active aspects of a victim/perpetrator, even though it accepts battered woman`s syndrome(BW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ensure that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are to be heard, her own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should first of all taken into account. A victim/perpetrator appears to endure the cycle of violence because of learned helplessness as well as absence of legal protection. The existing th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aims to protect the family, that seems to confuse the protected interests of the law. In relation, public institutions charged with the execution of laws condone or trivialize domestic violence and fail to provide adequate remedies. The author interprets that the ineffectiveness of the laws and the inaction of the government reflect their biased understanding of the family. Under the public/private dichotomy and familism, the violence in the in the family has rather been trivialized and bypassed. As a result, a victim/perpetrator who has been left suffered and endured the domestic violence on her own without having any legal and social support and help, and is forced to kill her abusive husband as the last solution to stop the violence. in this regard, her killing is understood as ``a desperate private remedy`` under the circumstances with no legal remedy to rely on. in this regard, it is the state that sh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of this atrocity - the murder with the victim/perpetrator. Also,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law and the state should develop the practical measures to stop the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fulfill its role as the reparative institution, the judiciary tries to listen and take the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seriously.

      • KCI등재

        CRIME AND LEGAL DEFENSE:A FORENSIC AND JUVENILE PSYCHIATRIC PERSPECTIVE

        Kim, Seung-Tai Peter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0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5 No.1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medicine, particularly psychiatry,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religious, social and legal aspects of the societies in the Western hemisphere as they affected the concepts and philosophy of the legal system in each society at different point in history. The evolu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juvenile court system and changing patterns of implementing the juvenile law in the United States, particularly the mental health evaluation process to determine the youths' competence to stand trial, were presented in detail. The ultimate goals of protecting the civil rights of children, adolescents and youths ar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책임능력에 대한 판단과 정신감정절차

        이인영 홍익대학교 2010 홍익법학 Vol.11 No.2

        The criminal law generally assumed that most people have common mental and psychological capabilities sufficient to hold them responsible for the crimes they commit. But the criminal law provides limited excruse for a defendant to avoid or lessen his responsibility by indicating that one or more of his important human capacities impaired when he committed the criminal act. Legal insanity is an excuse that also permits inquiry into a defendant's capacity to know the law or to exercise free will. The elements of insanity defense must produce that the accused have suffered a defect of reason, from a disease of mind; and that the consequently at the time of the act he did not know that the act was wrong. There are nor a clear and comprehensive determination of what type of mental disease or defect. The criminal responsibility rule to be found in the case law requires a verdict of not guilty by reason of insanity if it is found that the defendant had a mental disease which kept him from controlling his conduct. For various reasons, the insanity defense is raised in only a very small percentage of criminal cases. The defense of insanity is litigated at the criminal trial. The relavant time frame for the inquiry is the defendant's mental status at the time of the alleged offense. Thus, the assessment is retrospective. Under the trial procedure, the court designates a specific psychiatrist who will examine the defendant. The report of expert examination is likely to have a very significant impact upon the outcome of the case. Now the prosecution would be confronted with the burden of establishing the defendant's sanity in every criminal case. In preparing for the trial a impartial mental health expert should be evaluate the defendant prior to the trial. Based on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the defendant's mental health history, his account of the crime, the fact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rime, and psychological and medical testing, these experts will form an opinion as to the defendant's mental status at the time of the crime and whether it satisfies the elements of the insanity test used in their jurisdiction. 본 연구는 책임능력에 대한 판단과 전문가 검증절차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첫째, 책임능력과 책임무능력에 관한 현행 형법의 규정형식을 살펴보고 책임능력 판단의 기준시점에 대해 책임능력과 행위의 동시존재의원칙 및 개별책임의 원칙을 검토한다. 둘째, 책임능력 결여와 관련된 판단요소로 먼저, 심신장애에 관한 유형별 고찰 및 입법론적 검토를 하고, 심리학적 요소인 사물변별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의 결여와 이와 관련된 쟁점사항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부분으로 책임무능력에 대한 방어진술과 정신감정절차에 대해 고찰한다. 피고인이 책임조각사유를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진술을 하였을 때에는 책임 무능력의 부존재에 대한 입증책임은 검사가 부담하며, 법관은 명시적으로 이에 대한 판단을 하여야 한다. 행위자가 범행을 저지를 당시 자기 통제력이나 판단력, 사리분별력이 저하된 어떤 심신장애의 상태가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경우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을 통한 정신감정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책임무능력에 대한 방어진술에 대한 법관의 명시적 판단의 요구와 이에 따른 전문가감정 절차의 필요성에 대해 미국의 정신이상 여부의 감정절차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법관의 책임무능력에 관한 판단이 법률문제이고 규범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판단의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하지만, 전문가 감정인의 견해와 불일치의 문제를 방치할 수는 없다고 본다. 법관의 판단과 감정의의 감정결과의 불일치는 예상외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심신미약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 감정인의 감정결과와 법관의 판단의 불일치를 가져다주는 원인분석과 원론적이기는 하지만 부분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가 영역간의 소통과 이해를 도모하는 방안들을 대해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