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기업의 IMC활동이 브랜드신뢰와 브랜드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경수(Kyoung-soo, K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지금까지의 IMC 활동을 통한 브랜드 성과에 관한 연구는 IMC 활동이 브랜드 성과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기업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소비자 입장에서 기업의 IMC 활동이 기업의 브랜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소비자 측면에서 IMC 활동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동시에, IMC 활동이 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들에 개념적 기초를 두고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구조모형에 나타난 변수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몇 개의 가설을 개발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자동차 소유자 284명을 대상으로 자동자 브랜드의 IMC 활동이 브랜드 신뢰와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IMC의 하위변인 중에 소비자와의 접점 강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제공, 고객만족의 경영이념 실천 등을 설명하는 상호작용성 요인이 중요한 영향변수로 작동하고 있었다. 상호작용성 요인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행동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브랜드 신뢰를 거쳐 간접적으로도 브랜드 충성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메시지의 일관성과 이해관계자들과의 연결성 요인은 브랜드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브랜드 신뢰의 하위요소인 브랜드 호의성은 브랜드 충성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브랜드 전문성은 브랜드 충성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MC의 하위변인이 브랜드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메시지의 일관성과 상호작용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이해관계자들과의 통합 활동은 브랜드 충성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IMC의 상호작용성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메시지의 일관성과 이해관계자들과의 연결성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IMC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brand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topics of how IMC activities influence brand awareness and image only from a perspective of firms and of how much brand image is related to brand performances. This study, unlike previous ones,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nalyzes empirical data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We extend previous work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MC activities on the relation betwee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To test the conceptual model, a survey on automobile brands with a sample of 284 adult customer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teractivity dimension of IMC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behaviors. Also, brand trus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teractivity dimension of IMC and brand loyalty. It is expected that marketers, as well as researchers, will be able to elaborate their strategies and studies by understanding underlying mechan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MC activities, brand trust, and different types of brand loyalty.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 KCI등재후보

        IMC 연구의 체계적 이론 모델 구성을 위한 비판적 탐색

        이재진,최민욱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4 No.-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래 IMC는 국내외적으로 실무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1990년대 이래 학문적으로도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IMC는 여전히 새로운 학문분야로서 아직도 학문적으로 많은 논쟁이 일어나고 있으며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국내외 IMC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IMC 연구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쟁점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IMC 관련 연구를 IMC의 개념 및 인식에 관한 연구, IMC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MC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IMC 실행의 효과에 관한 연구 등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각 분야 연구들의 논점들을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IMC 연구에 있어서 주요 쟁점으로 학문적 체계에 관한 문제, IMC 실행수준의 측정 문제, 연구방법상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 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IMC 연구방향으로 IMC 정의 및 개념의 통일, 객관적인 IMC 측정방법의 연구, 광고주나 대행사뿐만 아니라 소비자 측면에서의 연구, 광고주와 대행사의 협력에 관한 연구, 구체적인 통합의 범위와 정도 및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IMC에서 IMC ver. 2.0까지 : 진화와 실천 방안에 대한 논의

        강규철,차유철 한국광고PR실학회 2008 광고PR실학연구 Vol.1 No.1

        IMC라는 개념은 실무적으로는 1970년대, 학문적으로는 1980년대에 등장한 이래 그 정의와 활용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 공식화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IMC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서는 메시지의 통합에서부터 경영전략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논의되고 있을 뿐, 통일된 정의는 없는 상태이다. 더구나 시장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는 IMC 환경을 지속적이고 급진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어서 과거의 IMC와는 다른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현재로는 덴츠(Dentsu)에서 과거의 IMC와는 구별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IMC ver. 2.0을 개발하여 IMC의 실천을 도모하고 있다. 실제로 IMC의 실천은 IMC에 대한 많은 논의만큼 활발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배경에는 광고주의 조직, 광고주와 광고대행사의 관계, 광고대행사의 이해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 IMC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체를 아우르는 과정인 만큼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고객에 전념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이점을 인식해야 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중앙으로 집중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통업 IMC 기획모델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Mo Sun-Jong(牟善?),In-Am Song(宋寅岩)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2

          점점 치열해지는 유통업의 경쟁환경 속에서 유통업의 마케팅 효율성 제고를 위해 유통업 IMC 기획모델에 대한 연구와 이 모델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BR>  유통업 IMC 기획모델은 선행연구를 통해 IMC 목표수립, 상황분석(고객분석, 경쟁분석, 자사분석), 고객데이터분석, 접촉관리, 예산수립, IMC 전략개발, IMC 믹스와 IMC 실행, 평가시스템, 피드백 단계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BR>  유통업 IMC 기획모델의 전략적 활용을 위해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IMC 활동(광고, 판촉, DM, PR, 인적판매, 인터넷, 모바일, VMD, 구전)과 IMC 태도의 관계, IMC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IMC 태도와 재구매 의도의 관계, 브랜드 충성도와 재구매 의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을 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IMC 활동은 인터넷을 제외하고 IMC 태도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고 그 유의 수준의 차이를 볼 때 IMC 믹스 전략 전개에 있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IMC 활동이 향후 유통기업의 마케팅 방향에 대한 주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브랜드 충성도와 재구매 의도 관계가 매우 유의한 결과로 나타난 점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유통업의 IMC 수단들의 통합적이고 일관된 활동이 브랜드 충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Marketing for the distribution industry is making an ongoing progress in the changes of customers, the competitive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marketing environment.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r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in the market oriented activities.<BR>  In this study, IMC is defined as "a notion that a market oriented business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means, conducting and evaluating marketing activities with consistent message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based on databases."<BR>  In this study, an IMC plan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marketing efficiency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was derived from a pilot study. This model may be broken down into the following phases: IMC goals setting, situational analysis (Customer analysis, competition analysis and company analysis), customer data analysis, contact management, budgeting, the establishment of an IMC strategy, the IMC mix and execution, an evaluation system, and feedback.<B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this study was accompanied by a vocational study on IMC means employed by, in particular, department stores and other distributors such as: advertising, sales promotion, sales promotion advertising, direct marketing, public relations, personal selling, the Internet, mobile, visual merchandising, words of mouth.<BR>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overed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such as IMC activities of distributors, the process of forming customer"s brand attitudes,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research would enhance the utilization of IMC.<BR>  The analysis on customer"s brand attitudes toward the IMC activities of distributors requires the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how they are linked to purchase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ward both distributors and stores. The formation of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i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maintenance of consistency in contents, which requires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IBC) strategies. IBC is a concept of using IMC means to manage the brand in a continuing and consistent manner and measuring their effect, which is a process to establish enterprise level brand identity and maximize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by integrating IMC means.<BR>  For an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ose department store customers from 20"s to 50"s who reside either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have made purchase at department stores.<BR>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consisted of four theoretical variables: IMC activities, IMC attitudes,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on which variable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A number of hypotheses were constr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IMC activities and IMC attitudes, between IMC attitudes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between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test of the hypothese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ly, the test of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MC attitudes and IMC activities - advertising, sales promotion, direct marketing, public relations, personal selling, the Web, mobile, visual merchandising, and word of mouth - indicates that advertising, sales promotion, direct marketing, public relations, personal selling, mobile, visual merchandising, and word of mouth have significant impact on IMC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result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that such marketing communication means as word of mouth, advertising, personal selling and sales promotion, in particular, play very important roles, a notabl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visual merchandising performed by department stores is shown to have very significant impact on IMC activit

      • IMC실행요인과 브랜드성과 간의 관계 연구

        강경수(Kyoung Soo Kang)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는 국내 광고주 기업의 실행요인인 상호작용성, 미션마케팅, 조직인프라, 전 IMC 략적 일관성 그리고 기획과 평가가 브랜드성과 요인인 판매성과, 브랜드우위, 고객만족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대 광고주를 대상으로 실행요인을 브랜드성과 측정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하고 실증분 500 IMC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활동 요인을 구성하는 차원 중에서 조직인프라 전략적 일 . , IMC 관성 그리고 기획과 평가가 브랜드성과의 3가지 요인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면 상호작용성과 미션마케팅 요인은 브랜드성과의 3가지 요소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광고주들이 전통적인 메시지의 일관성 위주의 전략에서 탈 IMC 피하여 부서간 혹은 조직간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조직인프라, 브랜드의 이미지, 포지션 그리고 호의적인 평판을 만들어 내는 모든 메시지의 전략적 일관성, 우선순위에 기초한 효과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과 메시지 및 매체의 통합을 만들어내는 기획과 평가 등의 요인을 활용한 활동이 중요한 전략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한편, 상 IMC 호작용성과 미션마케팅은 기업의 경쟁적 위위를 창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나, 반드시 브랜드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주들의 마케팅 담당자들이 향후에도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IMC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인프라, 전략적 일관성, 기획과 평가 등의 요인을 더욱 견고한 시스템으로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논의는 광고주 기업의 활동이 브랜드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시도한 기존 IMC연구 의 의미 있는 확장으로 판단된다. (Reid, 2005, Vatamay,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IMC implementation on brand performance. Previous studies on marketing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topics of how IMC Actions influence brand awareness and image only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of how much brand awareness of image is related to marketing performances. This study, unlike previous ones,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nalyzes empirical data from a perspective of firms. This study extend previous work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MC Activiti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using a data set of marketing managers in 211 advertisers in South Korea. Results demonstrat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IMC actions, and marketing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advertisers possessing higher levels of IMC Action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paper provid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 KCI등재후보

        IMC 실행수준에 대한 국내 광고주들의 인식차이 연구

        김일철(Il-Chul Kim),유지희(J-Hee Yu),강경수(Kyoung-Soo K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4

        1991년 IMC가 처음 등장한 이래 진화한 지난 20여 년은 공교롭게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둘러싼 시장(market)과 매체(media) 그리고 메시지(message) 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도 극심하게 발전해 온 시기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미 상당수의 기업들이 IMC 전담 혹은 관련 부서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상위의 광고대행사나 홍보대행사들 또한 하나같이 IMC에 관한 전문 서비스 제공을 표방하고 있다. 이제 IMC는 초기의 비판이나(Connelison & Lock, 2000), 통합에 관한 주도권 다툼, 장애 요인, 보상 등에 관한 개념적 연구가 일단락되고 보다 효과적인 실행 방법이나 그 결과 측정 등의 방향으로 옮아가고 있다. 그러나 IMC가 놓인 급속한 외부적 상황 변화와 기업들마다 서로 다른 내부적 조직 구조나 기업 문화 등은 각기 상이한 IMC 실행 실태와 아울러 이에 따른 평가를 달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생산성 품질 협회(APQC)가 개발한 IMC 발전 4단계 모형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IMC 실행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로는 IMC를 실시하는 기업들의 실행수준과 이를 다시 업종별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규모별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그리고 광고 예산 규모의 차이에 따른 차이 등을 비교,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IMC 실행의 2단계 수준에 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일수록 제작물의 통합(1단계), 내외부 조직의 통합(2단계)이 활발히 실행되고 있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통합(3단계)이나 전사적 경영 차원의 통합(4단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보다는 서비스업에서, 마콤예산이 큰 기업일수록 실행의 수준은 내외부 조직의 통합(2단계)을 넘어 데이터베이스의 통합(3단계)까지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마콤 예산이 적은 기업이 많은 기업보다 통합이 잘 실행되고 있는 경우가 드러났는데, 이는 기업의 ‘보상체계’와 ‘기업문화’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결과는 마콤 예산이 적은 중소기업일지라도 부서 간 횡적 협력을 이끄는 ‘기업문화’와 실행 결과를 적절히 ‘보상’과 연결시키는 평가 방법을 도입한다면 오히려 예산 규모가 큰 대기업보다 IMC를 더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부서 간 횡적 협력을 막는 조직 구조를 개선하는 하드웨어적인 노력과 실행 결과를 ‘보상체계’까지 연결시키는 소프트웨어적인 노력의 배합이 효과적인 IMC 실행을 추동하는 중요한 개선점으로 요구된다. The market, media and message surrounding the marcom circumstances have been changing drastically since the early 90s when IMC came up. Due to this situational coincident, it makes more difficult to define IMC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spite of this turbulent environment, IMC has been implemented by companies and their agencies, studied by scholars globally, and taught in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all around the world as proved by various researches. But still many organizations are not pretty much sure whether they are doing well with IM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re they working with IMC in Korea from the APQC’s 4 development stage of IMC. Total 1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20 with some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proved that Korea is in the middle of the second stage of which is improved then the former search(Kim et.al, 2004). There‘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business but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ales volume and marcom budget size.

      • KCI등재

        이동통신 서비스의 IMC, 서비스 품질,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의 구조관계 ―한일 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임채관,강경수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difference of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service quality, brand imag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Korean and Japanese mobile telecommunication users. In doing so, this paper suggested reasonable IMC and service quality strategie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each mobile telecommunication users: Koreans(220), Japanese(166). Based on this survey, this study employed empirical analysis and proposed comprehensive IMC and service strategies, which are suitable for each countries. As a result, IMC and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 brand image, and so good brand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ultimately reuse intention for Korean and Japan mobile telecommunication users. If the IMC strategy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is compared according to a countr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Korea, it appeared that giving priority to the order of PR>PS> Event>SP>DM>AD is desirable in the IMC activities, and it appeared that the strategy for strengthening a service quality is tangibles>assurance>responsiveness>empathy>communicationquality>reliability, and image is necessary in the order of vitality>softness>goodwill>originality> sophistication>familiarity in the brand image. But in case of Japan, it appeared that giving priority to the order of PR>DM>Event>SP>AD>PS is desirable in the IMC activities, and it appeared that service quality is assurance>empathy>responsiveness>reliability>tangibles> communicationquality, and it appeared that the strategy for strengthening an image is necessary in the order of originality> vitality>sophistication>progressive>goodwill>familiarity in the brand image.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동통신서비스 기업의 IMC활동과 서비스품질이 브랜드이미지,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하고, 이들 특성이 한일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이동통신서비스의 IMC활동과 서비스품질향상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대학생 220명과 일본 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일 대학생의 경우 이동통신사의 IMC활동과 서비스품질이 브랜드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에, 나아가 고객만족은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일간의 실증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동통신서비스의 IMC 및 서비스품질 전략을 비교하면 첫째, 한국의 경우는 IMC활동에서는 PR>PS>Event>SP>DM>AD 순으로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통신사의 서비스품질에서는 유형성>확신성>응답성>공감성>통화품질>신뢰성 등의 순으로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되며, 나아가 브랜드이미지는 활력성이미지>유연성이미지>호감성이미지>독창성이미지>세련성이미지>친숙성이미지 순으로 이미지를 강조하는 전략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의 경우는 IMC 활동은 PR>DM>Event> SP>AD>PS 순으로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비스품질은 확신성>공감성>응답성>신뢰성>유형성>통화품질향상 노력을 강화하는 전략이 요구되며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개선 노력에서는 독창성이미지>활력성이미지>세련성이미지>진취성이미지>호감성이미지>친숙성이미지 순으로 이미지를 강조하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전사적 차원에서의 IMC 실행력 향상을 위한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연구

        유지희,김일철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7

        Almost three decades has passed since the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emerged. Coincidently this period overlapped with the drastic changes of the market, media, and message of which affects to IMC in many aspects. That’s why the argument that IMC is a ‘concept and process’ is still valid. At the beginning, started with the combination of various marcom tactics, IMC evolved to marketing strategy to management skil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IMC mainly focused on the vertical structure, turf battle and egoism, leadership, professionalism, ROI, compensation and reward program, Etc. These a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like corporate cul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eward system. Based on this frame, this study adapted the Q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the incumbents when implementing IMC. The result found 4 different types such as mutual-cooperating type, organization-first type, result-driven type, and self-development type. 개념(concept)이며 동시에 과정(process)으로 평가되는 IMC는 그 동안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의 통합에서마케팅믹스차원을 넘어 전사적기업차원에서의 통합으로 상승, 확산되어가는 추세다. 결국 시장과 매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극심하게 변화되어 갈수록 기업경영차원에서의 IMC가 보다 실행력을 갖기 위한 연구의 당위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MC실행의 주요한 요인으로 꾸준히 제기되는 기업문화, 조직구조, 보상체계에대해 조직구성원들이 전사적 차원의 IMC 실행에 있어 이들을 어떻게 인식, 평가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Q방법론을 통한 분석결과 동료의 중요성과 함께 개인의 삶도 존중받는 문화가 공존하는 ‘상호존중형’, 기업발전을 위해 자유로운 의견개진과 비전, 이슈공유를 중시하는 ‘조직우선형’, 직급별 권한을 인정하고 개인 업적에 따른차등보상을 선호하는 ‘업적지향형’, 개인 발전을 위한 지원과 전문성 향상에 따른 평가를 우선하는 ‘개인발전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IMC 실행력향상을 위한 이론적 정교화 및 업계의 보다 실질적인 차원의 IMC전략전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천군 브랜드의 IMC(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전략에 관한 연구

        김태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오늘날의 도시민들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화된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된 브랜드를 기억하게 된다. 그래서 도시의 브랜드화(Branding)는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연천군의 강력한 브랜드를 위한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전략적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첫째, 도시브랜드 IMC전략의 개념과 도시브랜딩에서 IMC전략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둘째, 연천군의 IMC전략과 실행계획을 제안하며, 셋째, 연천군 도시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IMC전략방향과 대 미디어 및 이해 당사자 커뮤니케이션 방안들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천군 도시 브랜드, 도시 마케팅 홍보물, 공공시설물, 공공디자인 등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며,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관련 문헌자료, 사례 연구방법을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설정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연천군 브랜드의 통합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심볼마크, 도시 홍보물, 공공시설물과 공공디자인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통합마케팅과 도시 아이덴티티의 결합은 새로운 도시문화와 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다’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일원화된 브랜드 적용,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의 통합적 관리전략, 도시 브랜드의 새로운 인식과 브랜드의 재런칭, 농 특산물 브랜드와 연계된 새로운 가치 창출 등 크게 4가지 방안으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정리할 수 있었다. 이 방안들로 연천군의 새로운 도시브랜드 의미와 브랜드 에센스를 공유하고 전파할 때 강력한 연천군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oday's urban society, people live in a very complex and diversified society, so for them a variety of integrated communication tools and activities are key to remember the brand. So the city branding is important element to form an image of the city. This study of Yoencheon introduces a strategic design direction for powerful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IMC) for brands in such dimensions. At the first , the concept of the city brand IMC strategy and needs of IMC strategy in city branding examined, and for the second, strategy and action plan of Yoencheon's IMC suggested. This research established Yoencheon city IMC strategic direction to strengthen the brand image and th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media and interested parties. The range of research is Yeoncheon's city brand, city marketing promotions,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design. Research methods includ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advanced research,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us, the result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of integrated marketing and city identity can create the new urban culture and the new city brand by examining symbol marks, city promotions,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design cases for Yeoncheon's IMC In other words, communications strategy is organized in four different ways which are applying a unified brand,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y of communication elements, new awareness of the city's brand and brand re-launching and the creation of new value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products brands. Therefore, the research set up the conclusion that the image of powerful Yoencheon can be built when meaning of the new city brand and the brand essence for Yoencheon are shared and spreaded.

      • KCI등재

        1989∼2010년까지의 국내외 IMC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박준형(Joon Hyoung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6

        본 연구에서는 1989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와 국외의 IMC 관련 113편의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국내와 해외 연구동향 간에 차이를 알아보았다. 해외 연구대비 국내 연구의 주요 차이점은 연구자의 전공에서 나타났는데 해외 IMC 연구는 절반 이상이 마케팅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반면 국내의 경우는 광고/PR 학자들에 의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연관해서 해외 IMC는 마케팅과 경영이라는 관점으로까지 확대되어 연구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는 IMC가 광고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머물고 있는 차이점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IMC 동향연구에서는 분석유목으로 다루지 않았던 ‘IMC 실행 장애요인’을 분석유목에 추가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IMC 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IMC 우선 과제가 ‘최고경영층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지’임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금까지의 IMC 중심관점에서의 접근이 아닌, 보다 직접적으로 최고경영층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경영차원에서의 IMC의 역할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인식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층의 관심을 직접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재무적 요인과 비재무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경영성과’를 새로운 IMC 효과 측정 변수로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foreign study trends in IMC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studies from 1989 to 2010. This will help lead the direction of the domestic study to follow the gap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foreign study trends in IMC. An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show only the results about general study trends, this study, in advance, tries to define the core task related to develope IMC in the future and propose the disruptive way to solve this core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