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해도(黃海道) 안악(安岳) 지역어(地域語)의 모음조화(母音調和) 연구(硏究)

        최소연 ( Cui Xiao-ju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이 글의 목적은 黃海道方言에 속하는 安岳 地域語에 대해 形態素 境界에서 母音調和의 實現 樣相을 밝히는 데에 있다. 어간이 單音節인 경우 어간의 開閉와 關係없이 어간 모음이 ‘ㅏ, ㅗ, ㅐ’ 일 때 뒤에 어미 ‘-아’가 結合되고 모음이 ‘ㅓ, ㅔ, ㅣ, ㅜ, ㅡ’일 때뒤에 어미 ‘-어’가 結合된다. 어간이 多音節인 경우, 어간말음절 모음이‘ㅏ, ㅗ, ㅐ’일 때 뒤에 ‘-아’가 結合되고 어간말음절 모음이 ‘ㅓ, ㅔ, ㅣ’일 때 뒤에 어미 ‘-어’가 結合되며 어간말음절 모음이 ‘ㅜ, ㅡ’일 때 뒤에 結合되는 어미가 선행음절의 모음에 의해 결정된다. 不規則 용언 어간인 경우 뒤에 대부분 어미 ‘-아’가 結合되고 있다. 全般的으로 보았을 때 黃海道 安岳 地域語의 母音調和 實現 樣相은 中部方言보다 西北方言에 더 유사하면서도 黃海道方言만의 特徵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lization of the vowel harmony in morpheme boundaries of the Anak dialect, which belongs to Hwanghae-do dialect. In previous studies, Hwanghae-do dialect between the Northwest and the Central dialect has a dialectic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wel harmonization patterns of the Anak dialect in Hwanghae-do, according to the numbers of stem an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syllable vowel of stem, by using the voice materials of the informant from the Anak area located in the northwestern of Hwanghae-do. In Hwanghae-do dialect, it maintains an unstable vowel list of 'i, e, ε, ø, i, □, a, o, u'. Firstly, if the stem is monosyllable, irre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stem, when the vowel of stem is 'a, o, ε',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And when the vowel of stem is '□, e, i, u, i',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 Secondly, when the stem is polysyllable,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are 'a, o, ε',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And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is ‘□, e, i, u, i’,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 But if the vowel of the last syllable is ‘u’ or ‘i’, the ending will be determined by the vowel of the leading syllable. Lastly, we discussed the case of the ‘-p’ irregular stem, and found that if the stem is ‘-p’ irregular predicate, in most cases, it will be connected with the ending '-a'. Unlike the Northwest dialect and the Central dialect, this is a characteristic of Hwanghae-do dialect. On the whole, it can be said that the vowel harmony of Hwanghae-do Anak dialect is more similar to the Northwest dialect rather the Central dialect, but also has its own characteristics.

      • KCI등재

        황해도 안악 출신 북한이탈주민 발화의 음운론적 특징

        장승익(Jang, Seung-ick)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ely spoken langu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Anak, Hwanghae province using the Hwanghae-do dialect, and identify its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formants of this study acquired the language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wanghae-do dialect well. This data identified a total of 19 consonants. This is generally similar to the central dialect, but it is characteristic that /c/(ㅈ) is realized as alveolar. Eight simple vowels were also identified, but most of /ӧ/(ㅚ) suggested in the existing Hwanghae-do dialect research was realized as [e] in this data. /ə/(ㅓ) > /ɨ/(ㅡ) high vowelization appeared in the word-initial and intervocalic, in the short vowels and long vowels, and in the lexical morphemes and grammatical morphemes. /e/(ㅔ) > /i/(ㅣ) has been identified limitedly in some words. Also, /o/(ㅗ) > /u/(ㅜ) appears in some parts of the lexical morphemes, and is overwhelmingly identified in the grammatical morphemes. Front-vowelization has a wider realization environment than Han Young-soon (1967). And in Kim Young-bae (1981), Anak is reported as a non-realized area of front-vowelization. However, in the speaker s speech, it appeared in a limited capacity. Umlaut was only partially identified within the morpheme and in derived words. The vowel harmony wa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monosyllabic stems, the pattern was similar to the preceding Hwanghae-do dialect stud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lysyllabic stems, numerous cases were found to differ from these stud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rregular stems, the pattern was similar to the Pyeongan-do dialect. The t-palatalization showed the same pattern as its general appearance in normal Korean. h-palatalization was confirmed only in ‘simdeulda’ (himdeulda, ‘to be hard’), and k-palatalization did not appear at all. Finally, The environment of h-deletion was ‘root + -hada(verb-derived suffix) and ‘noun + hago(case marker) . Even if the coda consonant in the root (or noun) is obstruent, ‘h is usually deleted. The items covered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which appears in both dialects. This is high vowelization, umlaut, and h-deletion. The second is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This includes the list of consonants,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c/(ㅈ), and the t-palatation. This has long been the decisiv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Hwanghae-do dialect from the Pyeongan-do dialect. Because of this, Hwanghae-do dialect speakers could not easily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do dialect.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ronounce /c/(ㅈ) as a phoneme in the Pyeongan-do dialect, it can be interpreted that speakers of the Hwanghae-do dialect did not accept the old form. Finally, there are certain aspects of the language that were influenced by the dialect of Pyeongan province. This includes a simple vowel list,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h-palatalization, and k-palatalization. Unlike Hwang Dae-hwa (2007), these items appear in a very limited amount in this research. The speakers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se dialects,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acceptance of the Pyeongan-do dialect.

      • KCI등재

        서해5도 지역어와 방언구획

        한성우 ( Han Sungwoo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3

        본고는 서해5도 지역어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인접 방언과 비교하여 이 지역어가 어느 방언에 속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지역을 둘러싼 언어외적 환경과 그에 따라 나타난 언어 변화를 바탕으로 이 지역어의 방언 귀속에 관련된 문제점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지역어의 음운 및 어휘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고 인접 방언과 비교하였다. 음운 면에서는 이 지역어가 속한 중부방언의 공통적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황해도 방언과의 유사성이 많이 나타난다. 어휘 면에서는 황해도 방언과의 관련성이 확연히 드러난다.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어는 황해도 방언의 일부이지만 현재의 언어 상황을 감안하면 이 지역어를 황해도 방언의 일부로 귀속시키기는 어렵다. 이 지역어의 이러한 상황은 전통적인 방언조사 및 방언구획 방법론에 문제를 제기하는 동시에 새로운 방향의 사회언어학적 조사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ocal language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local language of the five northwestern border islands in the West Sea, and to determine which dialect this local language belongs to by comparing it with the adjacent dialects. It also aims to raise issues related to the attribution of the local language to the dialect based on the non-linguistic environment surrounding the region and the language changes that have appeared accordingly. To achieve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y and vocabulary of this local language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neighboring dialects. In terms of phonology, it show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Dialect to which this local language belongs, bu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with the Hwanghae-do dialect. In terms of vocabulary, the relevance of the Hwanghae-do dialect is appar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f elderly population, this local language is part of the Hwanghae-do dialect, but considering the current language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attribute this local language as part of the Hwanghae-do dialect. This situation in the local language raises problems with the traditional dialect research and dialect division methodology, while also suggesting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sociolinguistic investigation.

      • KCI등재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섬 공동체 사례 연구—정농 2세대 언어의 방언 접촉 양상을 중심으로—

        장승익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5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residents of Jeongnong Village, a dialect-based speech community in Hwanghae-do, to identify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related to dialect contact. Jeongnong Village, located in Wanju, Jeollabuk-do, was formed by the collective settlement of North Koreans who fled to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first generation of village residents still retains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Jeollabuk-do dialect, creating a kind of language island. However, they are not completely isolated because they have contact with neighboring dial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six traits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the phonetic value of the vowel wi, vowel harmony, o > u high- vowelization, the connective ending -nikka, the prefinal ending tense, and the adnominal ending -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gu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 dialect were significantly weaker in the second generation of residents than in the first gener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dialectical changes were heading towards standard Korean rather than the surrounding Jeollabuk-do dialect. This result was likely due to the fact that second-generation speakers have different attitudes about the Hwanghae-do dialect, the Jeollabuk-do dialect, and standard Korean. 이 글은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 공동체인 정농 마을 구성원 중 2세대의 언어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 2세대의 언어적 특징이 방언 접촉과 관련하여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완주에 있는 정농 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월남한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정착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1세대들은 황해도 방언의 특징을 여전히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이 마을이 전라북도 방언과는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집단, 즉 ‘언어섬’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언어섬’이 완전한 고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언어섬도 주변의 방언, 표준어와의 접촉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황해도 방언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판단되는 6가지(‘ㅟ’의 음가, 모음조화, ㅗ>ㅜ 고모음화, 연결어미 -니까, 시제 선어말 어미, 관형사형 어미 -ㄴ)가 2세대 언어 자료에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세대의 언어는 1세대에 비해 황해도 방언적 특징이 상당 부분 약화되었으며, 그 편입의 방향이 전북 방언보다는 ‘표준어’를 향하는, 일종의 표준어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세대 화자가 가진 언어 태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Based Community in Sinchang, Pyeongtaek

        장승익 한국어학회 2023 한국어학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oral utterance data of the members of the Hwanghae-do dialect-based community located in Sinchang, Pyeongtaek. This village was formed when the US military base was built in Pyeongtaek.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of this village are as follows. First, the vowel harmony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Second, in the high vowelization of o>u, the Hwanghae-do dialect ‘u’ type is dominant, but some speakers showed ‘o’ type relatively much. Third, the ending -nik'a showed a different form from each speaker. Among them, speaker C mainly used the standard form -nik'a.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 type, which is a common form of Korean, was highly identified. Fifth, the adnominal ending -(ɨ)n, realized as -an/ən which is the Hwanghae-do dialect form, was confirmed at a high rate.

      • KCI등재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이 글은 황해도 방언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주제별(음운, 문법, 어휘)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시도이다.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곽충구(1992, 2001)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몇몇 연구를 추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음운 분야와 관련해서는 이 방언의 음소(단순모음 체계, 하향 이중 모음, /ㅈ/의 음가),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및 저모음화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문법 분야와 관련해서는 조사, 어미에 관한 연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휘 분야에서는 이 방언의 친족어 연구인 곽충구(1995), 그리고 양원화(1937), 정원수(2002), 장승익(2018)의 논의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 과제로는 ‘현대 황해도 방언 자료 수집 및 연구’, ‘국내 실향민 집단 정착 마을에 대한 조사 연구’, ‘사회언어학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ap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wanghae-do dialect into subject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Gwak (1992, 2001) which summarized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some research not included in the study was added to advance the discussion. As for the phonological field, this research compiles the study of phonemes, palatalization,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and low-vowelization of this dialect. In the grammatical field, the case-markers and study on word endings are reviewed. In the vocabulary field, research by Yang (1937), Gwak (1995), Jeong (2002), and Jang (2018) were summarized and introduced. Additionally,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includ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the Hwanghae-do dialect",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and "Sociolinguistic Research."

      • KCI등재

        교동지역어의 자음 체계

        이지애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article decribes Consonant System of Gyodong Subdialect which has appearance of Hwanghae-do dialects and Gyeonggi-do dialects due to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nd look into realizing aspect through the process of synchronic phonological. To summarize the contents, there are ㅂ, (ㅍ), ㅅ, (ㅌ), (ㅈ), (ㅊ), ㄱ, ㅁ, ㄴ, ㄹ, ㅇ in substantive and ㅂ, ㅍ, ㄷ, ㅌ, ㄴ, ㄹ, ㅅ in predicate among the system of single consonant of the end of the stem of a consonant in this dialect. In group of consonant, there are ‘ㅄ, ㄺ, ㄻ, ㄳ’ in substantive, and ‘ㅄ, ㄵ, ㄾ, ㄼ, ㄺ, ㄻ, ㄶ, ㅀ’ in predicate. The case that there are not ᄥ in group of consonant due to absent of ㅆ in the end of the stem of a consonant shows that Gyodong Subdialect is influenced by Hwanghae-do. If the end of the stem of a consonant become the end of a syllable, through the obstruents unreleasing before the syllable boundary(neutralization), consonant assimilation, simplification of group of consonant, those become ㅂ, ㄷ, ㄱ, ㅁ, ㄴ, ㄹ, ㅇ. 이 글에서는 교동지역어의 자음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동지역은 역사적, 지리적 조건으로 인하여 황해도 방언과 경기도 방언의 모습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전이지역으로서의 특징을 지닌 교동지역어의 자음 체계를 어간말 자음과 음절말 자음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 지역어에서 어간말 자음 중 단일자음 체계에서 체언의 경우 ‘ㅂ, (ㅍ), ㅅ, (ㅌ), (ㅈ), (ㅊ), ㄱ, ㅁ, ㄴ, ㄹ, ㅇ’가 존재하고, 용언의 경우 ‘ㅂ, ㅍ, ㄷ, ㅌ, ㄴ, ㄹ, ㅅ, ㅈ, ㅊ, ㄱ, ㄲ, ㆆ, ㅎ, ㅁ, ㄴ, ㄹ’이 존재한다. 자음군에서는 체언의 경우 ‘ㅄ, ㄺ, ㄻ, ㄳ’이 존재하고, 용언의 경우 ‘ㅄ, ㄵ, ㄾ, ㄼ, ㄺ, ㄻ, ㄶ, ㅀ, ㅭ’이 존재한다. 어간말 자음에 ‘ㅆ’이 존재하지 않고 이의 영향으로 자음군에도 ‘ᄥ’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교동지역어가 황해도 지역의 영향을 받았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어간말 자음들이 음절말로 실현되는 경우 음절말 평파열음화, 자음동화, 어간말 자음군 단순화를 거쳐 ‘ㅂ, ㄷ, ㄱ, ㅁ, ㄴ, ㄹ, ㅇ’으로 나타난다.

      • 황해도 방언의 자음군단순화 및 그에 관련된 음운 현상

        최소연 ( Cui Xiaojuan )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22 No.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realization of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n Hwanghae-do Anak dialect and to find out the order betwee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other phonological rul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firstly, if the preceding consonant of the consonant cluster is an obstruent, the consonant group is simplified into the obstruent(ㄳ, ㅄ→ㄱ, ㅂ). Secondly, if a nasal is included, the consonant cluster is simplified into the nasal(ㄵ, ㄶ→ㄴ, ㄻ→ㅁ). Thirdly, if ‘ㄹ’ is included, the consonant cluster is simplified into ‘ㄹ’(ㄺ, ㄼ, ㄾ, ㅀ→ㄹ), except for nouns with ‘ㄺ’, which is simplified to ‘ㄱ’. Whe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occurs with other phonological phenomena,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rule is often applied first.

      • KCI등재

        국어 언어섬 모델로서의 황해도 방언 기반 언어 공동체

        장승익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2 No.-

        이 글은 국어 언어섬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존재하는 황해도 방언 기반 공동체가 국어 언어섬 연구의 모델로서 가치가 있음을 보이기 위한 연구이다. 2장에서는 국어 언어섬 관련 연구를 크게 해외 언어섬과 국내 언어섬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해외의 사례는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등지에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한국인 동포들의 언어 선택 양상 및 언어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국내의 언어섬 관련 연구는 역사 문화적, 정치 사회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인접 지역과 차이를 보이는 지역 방언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3장에서는 국내에 존재하는 황해도 방언 기반 공동체를 소개하고 이곳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마을은 경기 강화의 ‘교동도’, 경기 평택의 ‘신창동’, 전북 완주의 ‘정농 마을’, 전남 진도의 ‘안농 마을’이다. 이 마을들을 연구하는 것은 방언 접촉 연구,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방언 접촉과 관련해서는, 황해도 방언 기반 공동체가 특정 방언권 안에 이질적인 방언 ‘집단’이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방언 접촉 유형을 보여주고, 이러한 공동체가 국내에 다수 존재하여 대비 연구가 가능하며, 아울러 각기 다른 수렴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는 언어섬 유지 조건을 바탕으로, 언어섬의 유형, 언어섬 사용 언어에 대한 태도, 세대에 따른 변이 양상 등을 주요 연구 주제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