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Angular Characteristics of Photopolymer-based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Light

        Kwang-pyo Hong,Jiwoon Lee,Lee-hwan Hwang,Soon-chul Kwon,Seunghyun Le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0 No.4

        Increasing interest in the metaverse world these days, interest in realistic content such as 3D displays is growing. In particular, hologram images seen in movies provide viewers with an immersive display that cannot be seen in conventional 2D images. Since the first discovery of holography by Dennis Gabor in 1948, this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Spatially, this beginning of technology like Optical hologram called analog hologram and Digital hologram such as 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In analog and digital holograms, a recording angle and a recording wavelength are having important role when reproducing and display hologram. In the hologram, diffraction of light causes by unexpected formed by the synthesis from interference with object and reference light. When recording, the incident light information and mismatched reproduction light reconstruct the hologram in an undesirable direction. Reproduction light that is out of sync with incident light information with initial condition of recording will cause reconstructed image in an undesirable direction. Therefore, we analyze the holographic interference pattern generated by hologram recording in volume holograms using photopolymer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reproduced light.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on various holographic application that may cause as holograms are applied to industr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홀로그램 시위에 대한 형사법적 탐색: 법적 지워와 현행법 기준의 저촉성을 중심으로

        김대원 ( Kim Dae Won ),지영환 ( Ji Young Hwa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6 法과 政策 Vol.22 No.3

        2015년 4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는 전 세계 최초로 홀로그램 시위가 진행됐다. 사람이 아닌 가상의 영상이 가두시위를 전개하며 구호를 외친 홀로그램 시위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이를 본 딴 시위가 2016년 2월 서울 광화문에서 열리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홀로그램 시위의 법적 지위와 현행법 기준의 저촉성을 탐색 했다. 이를 위해 현직경찰 61명을 인터뷰했다. 인터뷰에 앞서,본 연구에서 홀로그램 시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했다. 홀로그램 시위는 정보사회의 대중과 가상현실 기술간 결합의 산물로 규정될 수 있었다. 홀로그램 시위는 공개모집 형태로 영상에 등장할 구성원과 시위에 표출할 메시지를 확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는 내용적으로는 시위의 보편적 정당성을 제고하며, 형식적으로는 시위에 등장할 영상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풀이된다. 인터뷰결과, 홀로그램 시위의 법적 지위에 대한 평가는 경찰관의 관점에 따라 양분됐다. 시위 목적성에 주목한 응답자는 홀로그램시위 역시 현행법 내에서도 `시위`로 규정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한데 반해, `사람이 아닌` 무 생물이 주체가 된 홀로그램 시위의 양상에 중심을 둔 응답자들은 법의 보완 및 추가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홀로그램 시위와 공중(요향) 안녕의 훼손간의 상관성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간 상이했다. 홀로그램 시위와 관련된 준칙수립시 시위시간 홀로그램 영상의 밝기와 유관된 소음의 허용범위, 영상의 투사대상 및 시위허용장소 등의 규제기준뿐만아니라,강제적 해산과정에서 발생할수 있는 부분까지 고려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인터뷰 대상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홀로그램 시위가 불법,폭력 시위로 변질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칙 수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다수가 동의했다. 선정적이나 폭력적인 영상에 대한 노출로 인한 일반 공중의 시각적 피해와 명예훼손이나 반 사회적 영상이 초래할 사회적 혼란을 막기 위한 홀로그램 내용에 대한 사전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응답자간 엇갈렸다. 일부 응답자들은 사회윤리 혹은 사회통념의 범위를 넘어선 영상의 홀로그램 영사는 집시법과는 무관하게 형법상 저촉혐의로 법적 처리될 수도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러한 논리에 공감하는 이들 중 일부는 한발 더 적극적으로 나아가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사전조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시위에 쓰일 홀로그램에 대한 국가차원의 사전관리 및 통제는 현실 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영역으로 판단된다. 현행법 하에서는 홀로그램 시위 그 자체 혹은 그것이 기반이 된 현저한 위법적 행위가 발생하지 않는 한,공권력은 홀로그램 시위를 시민 단체 주도의 문화제와 동등한 차원에서 바라볼 것으로 판단된다. On 10 April 2015, a worlds first hologram protest was held in Spain. The protest in which hologram images marched on the street created a great sensation. On February 2016, another hologram demonstration was held in Seoul. First of all,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hologram protest, and found out that it is defined as a product drawn from combination between the public in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People and messages would appear on the hologram are collected openly, which endows authority of legitimacy. It is also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obtain various materials for the hologram. This study was to explore hologram-demonstrations legal status and its conflicts with existing laws. 61 police officers were interviewed for the study. As a result, views on hologram-demonstrations legal status came in two; police officers putting weight on hologram-demonstrations purpose argue that it can be controlled under existing laws, however, the others emphasized an additional task to complement the current laws. Also, interviewees are revealed to have various views on the idea that the hologram-demonstration would spoil public peace and stability.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among the interviewees about a need to enact concrete rules for preventing a hologram-demonstration from being turned into a violent and unlawful protest. A rating system on hologram contents is a controversial issue. Without an occurrence of social demand for the prevention of adverse effect caused by hologram demonstration, police officer may continue to consider it a kind of cultural event for political propaganda. Some respondents argued that advance measures needs to be considered for avoiding adverse results. However, it is a weak likelihood that regulations supporting prior actions exercised by police officers are established. In our opinion, under the existing law, it is impossible for police officers to take active actions, thus they have no choice to regard hologram demonstrations as cultural festivals.

      • KCI등재

        홀로그라피 기술을 활용한 입체 미니어처 홀로그램 표현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송은서,김유석,홍성대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2

        본 연구는 기존의 홀로그램의 개념과 기술을 분석하여 기존의 홀로그램 개념을 소형 홀로그램의 적용가 능성에 대한 연구로 소형 홀로그램의 분류와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홀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홀로그램의 개념과 기술에 관련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홀로그램의 이론적인 배 경에 대해 알아보았고, 기존의 홀로그램 사례를 통해 소형 홀로그램의 활용분야를 도출하였다. 대형 홀로그램은 설치의 문제와 비용의 문제로 개인사용자는 수용하기 어려웠지만 현재는 기술의 발전으로 대형의 홀로그램이 아 닌 소형의 홀로그램의 구현으로 개인이 소형 홀로그램으로 입체영상 체험이 가능하다. 현재는 광고, 전시, 스마트 기기, 패션쇼에서 소형 홀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소형 홀로그램의 보다 많은 곳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조형요소가 효율적인 융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ope of use of miniature holograms by analyzing existing hologram technology and to analyze use cas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miniature hologram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use th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ologra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and technology of holograms. Through the previous study on miniature holograms, the characteristics of miniature holograms were identified. Previously, it was difficult to accommodate them in various places due to the problem of installation and cost, but now,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mall hologram instead of a large hologram. In order to utilize miniature holograms in more plac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study the efficient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formative elements.

      • KCI등재후보

        입체 영상 표시를 위한 융합 홀로그램 카메라에 관한 연구

        송현호 한국화상학회 2017 한국화상학회지 Vol.23 No.1

        투과와 반사 타입의 네 가지 홀로그램을 동일한 공간에서 촬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록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하이브리드 기록 시스템은 빔 스프린트와 스페셜 필터, 셔터를 적재적소에 설치해 간섭무늬를 만드는 빛 의 경로를 변화시켜 홀로그램을 촬영할 수 있게 했다. 기록 시스템은 노광 공간을 최소화 하였고 홀로그램 카메라로 적용할 수 있게 했다. 프레넬 홀로그램은 오브젝트를 좌우 방향에서 조명하여 고효율의 입체 영상이 표시되게 제작했 다. 리프만 홀로그램은 프레넬 홀로그램에서 공액으로 재생 된 실상을 이용하여 촬영했다. 데니슈크 홀로그램은 기록 재료의 뒷면에 오브젝트를 설치하여 노광했다. 기록재료는 빔 스프린터의 역할을 했다. 하이브리드 기록 시스템은 네 가지 홀로그램을 독립적이고 유기적으로 제작하기에 적합하였다. 한 대의 레이저로 구성 된 하이브리드 기록 시스템 에 의해 안정적으로 프레넬 홀로그램, 리프만 홀로그램, 데니슈크 홀로그램을 제작하기에 적합하였다. 하이브리드 기 록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과와 반사 타입의 홀로그램을 제작 할 수 있었고 홀로그램 카메라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was conducted for the hybrid recording system that can shoot four types of transmission and reflection holograms in the same space. Hybrid recording system enabled to shoot hologram by changing the optical path that produced interference fringe while beam splitters, special filters and shutters were installed at the exact places. The proposed recording system minimized the space for light exposure and capable of applied to the hologram camera. Fresnel hologram was made in such way that high efficiency 3D image could be produced by illuminating the object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ippmann hologram was shot by using the real image reconstructed by conjugate in the Fresnel hologram. Denisyuk hologram was made by exposing installed object to light at the rear side of the recording material. The recording materials played roles as beam splitters. The proposed recording system was proved as suitable to produce the four types of holograms independently and organically. The hybrid recording system comprised of one set of laser was found to be suitable to stably produce the Fresnel hologram, Lippmann hologram and Denisyku hologram. The study confirmed that hybrid recording system could realize the hologram camera and production of both transmission and reflection type hologram.

      • KCI등재

        플로팅 홀로그램을 통한 융복합 영상시스템 연구

        오승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Hologram can be categorized into analog and digital hologram but there’s a clear limitation in expensive equipment and content realization for ordinary people to realize. In addition, it’s required to conduct study on hologram contents with interaction added, escaping out of exiting stable format like endlessly repetitive contents or passive view through specific video.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fusion image system, especially focusing on floating hologram among similar holograms. Eight elements of hologram interaction are as follows: height of camera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terval between 3D model, overlapped model, scale, animation, position, color and 3D model change. For the floating hologram, the audience can control by themselves in real time, the popular, active hologram contents-making methodology is suggested by making the best use of fusion image system and making floating hologram easily without using expensive hologram equipment. The image system developed in actual exhibition and feedback should be complemented to develop better hologram image system 홀로그램은 아날로그 홀로그램과 디지털 홀로그램으로 구분되지만 일반인이 구현하기에는 고가의 장비나 콘텐츠 구현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정해진 동영상을 통해 무한 반복되는 콘텐츠나 수동적인 관람 등 기존의 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인터랙션이 가미된 홀로그램 콘텐츠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유사 홀로그램 중 플로팅 홀로그램을 중심으로 융복합형 영상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홀로그램 인터랙션 요소는 3차원 공간에서 카메라 높이, 3D 모델간의 간격, 모델의 중복, 스케일, 애니메이션, 포지션, 칼라, 3D 모델체인지 등 8가지이며,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컨트롤하는 플로팅 홀로그램은 값비싼 홀로그램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플로팅 홀로그램을 쉽게 제작, 융복합 영상시스템을 활용함으로서 보다 대중적이면서도 능동적인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 한계점으로는 실제 전시를 통해 개발된 영상시스템과 피드백을 통하지 못한 점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완성된 홀로그램 영상시스템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 SCOPUSKCI등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Hologram Content Using Modified Depth Information

        Park, Scott,Choi, Hyun-Jun,Kim, Moon-Seok,Kim, Dong-Wook,Seo, Young-Ho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14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 Vol.12 No.2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anipulate digital hologram contents by manipulating and/or synthesizing the depth information. To synthesize digital holograms themselves in order to create new digital hologram contents. This paper uses both the depth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the disparity information by using a stereo matching method and that obtained by taking pictures with a depth camera. In addition, assuming that digital holograms are created using the computer-generated holography method, we propose a technique for authoring and compositing hologram contents by using either the changes i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s of objects in the hologram or by combining the objects with other contents by means of changes in the depth information. Further, more than one digital hologram was synthesized to form a hologram. The reconstructed result from the synthesized hologram also contained all the objects in each digital hologram before synthesis at the same positions and distances.

      • e-러닝을 위한 홀로그램 3D콘텐츠 몰입감과 학습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김문석(Kim, Moonseok),서영호(Seo, Youngh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8 No.-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홀로그램 기술은 차세대 영상 미디어 기술 분야로서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홀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의 시각적 특성과 근접감, 실물감, 입체감을 바탕으로 하는 실재감에 있다. 이러한 실재감은사용자에게 가상과 실제를 넘나드는 보다 생생하고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몰입감은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학습에 있어 학습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e-러닝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교수-학습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학습과정 및 성과가 전적으로 학습자에 의해 결정됨으로 비면대면 학습환경에서의 학습 효율성 및 학습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사용자에게 보다 흥미롭고 몰입할 수 있는 미디어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러닝 학습환경의 새로운 미디어로서 홀로그램 3D 콘텐츠를 제안하고 홀로그램 3D 콘텐츠가 학습자의 몰입감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실험과 설문을 통해 실증적,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홀로그램 기반의 e-러닝 콘텐츠는 학습자의 몰입감 및 학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e-러닝 콘텐츠 보다 향상된 몰입감 및 학습 만족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환경을 위한 미디어 기술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본 연구가 보다 높은 질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oday, Digital and media technology is evolving rapidly. Holograms are most interested in receiving field of visual media technologies. Also, Holograms provide a presence of the high dimensionality and presence of hologram increases the flow of user. Flow of learn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e-learning. Learning flow has a huge impac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the current e-learning environments do not provide a high level of flow. this study propose hologram 3D contents. Because of holograms to provide a high level of immersion.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 flow of hologram and Influence of hologram 3D contents flow on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Influence of hologram 3D contents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Hologram-based e-Learning contents to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 is affected. Also, hologram 3D contents has provided more enhanced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existing e-learning contents.

      • KCI우수등재

        완전 복소 홀로그램 압축 성능 분석

        서주연,고현석 대한전자공학회 202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60 No.2

        Hologram technology can reproduce images in 3D space, providing users with a realistic visual experience. Since most holograms have a lager amount of information than general natural images, compression technology is essential for commercialization of holograms. However, the traditional compression method is no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hologram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is analyzed through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of a full-complex hologram according to the JPEG Pleno Holography standard. For compression, traditional compression codecs, JPEG2000 and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and Interfere and deep learning-based compression networ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lograms are used. 3차원 공간 상에 영상을 재현해낼 수 있는 홀로그램 기술은 사용자에게 실제와 같은 시각 경험을 제공한다. 홀로그램은 자연 영상에 비해 일반적으로 큰 데이터 크기를 갖기 때문에, 홀로그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압축 기술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압축 방식은 자연 영상 부호화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 압축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기존 압축 코덱인 JPEG2000과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그리고 홀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한 압축 코덱인 Interfere와 딥러닝 기반의 압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JPEG Pleno Holography 표준에 따라 완전 복소 홀로그램(full-complex hologram)을 압축 및 복원 후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 영상 콘텐츠 구현

        박장원 ( Jang-won Park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1

        연구배경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하나의 발현 패널을 통해 한 면 또는 최대 4면 하프미러를 이용하며 마치 영상이 허공에 뜬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단방향의 플로팅 홀로그램이다. 이는 하나의 발현 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가 한정되고 하프 미러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는 작아진다. 영상 콘텐츠를 더욱 크게 제작해야 할 경우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이 나타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을 줄이고자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상 하 부의 발현패널을 통해 각각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구현 여부와 이를 토대로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개의 발현 패널을 각각 상 하 에서 마주보게 배치한 뒤 영상 콘텐츠를 상 하 로 나누어 출력한다. 출력된 영상 콘텐츠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최대 4면의 하프 미러를 상 하 로 마주보는 형태인 8면 하프 미러에 반사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발현 매체와 하프 미러를 각각 위, 아래 에 배치함으로써 반사된 상 하 의 영상 콘텐츠가 합쳐져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인식될 수 있다. 결론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를 두 배 크게 출력해도 높이는 2배, 넓이는 유지가 된다.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공간적 한계성을 줄일 수 있다. Backgrou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ologram device is designed for a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that makes the image appear to be floating in the air using one- or up to four-sided half mirrors through a single expression panel. It features a limited size of image content shown on an expression panel, and as the number of half mirrors increases, the size of video content visible to views decreases. If it is needed to create a larger image content,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must be enlarged, consequently revealing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in a bid to reduce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identify whether or not image content is properly implemented a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accordingly. Result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two expression panels have been placed on top and the bottom, making them face each other with image contents are divided into top and the bottom before they are shown. The image shown is reflected on the eight-sided half-mirror, which is created by arranging two half mirrors of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with up to four sides to face each other on top and the bottom. Arranging the expression media in identical size and half mirrors on top and the bottom combines the reflected images on top and the bottom and makes them appear to be a single image. Conclusion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doubles the height and maintains the area when doubl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shown, thereby reducing the spatial limitation.

      • KCI등재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 영상 콘텐츠 구현

        박장원 ( Jang-won Park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연구배경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하나의 발현 패널을 통해 한 면 또는 최대 4면 하프미러를 이용하며 마치 영상이 허공에 뜬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단방향의 플로팅 홀로그램이다. 이는 하나의 발현패널에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가 한정되고 하프 미러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시청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는 작아진다. 영상 콘텐츠를 더욱 크게 제작해야 할 경우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이 나타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공간적 한계성을 줄이고자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상 하 부의 발현패널을 통해 각각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의 구현 여부와 이를 토대로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개의 발현 패널을 각각 상 하 에서 마주보게 배치한 뒤 영상 콘텐츠를 상 하 로 나누어 출력한다. 출력된 영상 콘텐츠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의 최대 4면의 하프 미러를 상 하 로 마주보는 형태인 8면 하프 미러에 반사되게 된다. 같은 크기의 발현매체와 하프 미러를 각각 위, 아래 에 배치함으로써 반사된 상 하 의 영상 콘텐츠가 합쳐져 하나의 영상 콘텐츠로 인식될 수 있다. 결론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영상 콘텐츠의 크기를 두 배 크게 출력해도 높이는 2배, 넓이는 유지가 된다.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는 공간적 한계성을 줄일 수 있다. Backgrou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ologram device is designed for a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that makes the image appear to be floating in the air using one- or up to four-sided half mirrors through a single expression panel. It features a limited size of image content shown on an expression panel, and as the number of half mirrors increases, the size of video content visible to views decreases. If it is needed to create a larger image content,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must be enlarged, consequently revealing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Method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in a bid to reduce the spatial limitation of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identify whether or not image content is properly implemented a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 accordingly. Result To design a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two expression panels have been placed on top and the bottom, making them face each other with image contents are divided into top and the bottom before they are shown. The image shown is reflected on the eight-sided half-mirror, which is created by arranging two half mirrors of unidirectional floating hologram device with up to four sides to face each other on top and the bottom. Arranging the expression media in identical size and half mirrors on top and the bottom combines the reflected images on top and the bottom and makes them appear to be a single image. Conclusion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doubles the height and maintains the area when doubl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shown, thereby reducing the spatial lim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