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low-Assisted Differential Diagnosis of Hemolytic Anemia with Spherocytosis: A Case Report

        원동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0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0 No.4

        In patients with hemolytic anemia associated with spherocytosis, differential diagnosis has to be made whether the hemolysis is immune-mediated or of non-immune origin. We report a case of hereditary spherocytosis in a 12-yr-old male child, in whom flow-assisted diagnosis was made. In this case, diagnosis was not determined because routine laboratory workups for hereditary spherocytosis yielded discrepant results: positive osmotic fragility test, positive direct antiglobulin test, and normal result in the red cell membrane protein sodium dodecyl succinimid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However, all flow cytometry-based tests, such as osmotic fragility, direct antiglobulin, and eosin 5-maleimide binding test, yielded results compatible with hereditary spherocytosis. Additionally, in family study, the results of eosin 5-maleimide binding test suggested his disease being hereditary. In cases with diagnostic difficulties, flow cytometry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ol, which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hemolytic anemia with spherocytosis. (Korean J Lab Med 2010;30:339-44)

      • 교회세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평가와 대안

        김승진(Seung jin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7

        교회세습은 어느 날 갑자기 우연적으로나 또는 우발적으로 터져 나온 하나의 순간적인 '사건'이 결코 아니다. 이것은 다분히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심지어 나름대로 치밀하게 준비된 '일련의 과정'이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이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교회 내에서 세습이 허용되는 요인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교회성장의 성공적인 경험과 확신. 먼저 교회세습이 허용되어지게 된 근본원인에는 교회성장에 있어서 성공적인 경험이 주도적인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교회성장에 있어서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의 '공'. 대형교회의 성공과 성장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목회지도자들의 역할일 것이다. 셋째, 대부분의 교회에서 의사결정권과 교회의 실질적인 권한은 주로 목회자와 장로들이 독점하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특별히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에 의해서 교회가 비약적인 성장을 한 대형교회들의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엄청나다. 이런 점에서 대형교회와 대형교단들은 자기반성과 하나님 앞에 회개의 무릎을 꿇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대형교회와 대형교단들은 그 사회적인지도와 영향력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한 책임의식을 깊이 인식하며, 이제는 오히려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을 위한 바람직한 모델이 되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형교회들은 자신들이 가진 영향력을 하나님 앞에서의 책임으로 인식하며, 바른 목회지도력의 계승을 통하여 건강한 모델이 되는 역할이 되어 이제는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일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hereditary succession in ministry is not a simply event happening very accidently. It is a chain of processions which is intentional and calculated as well as carefully prepared. There are four factors for a persmission of hereditary succession. Successful experience and conviction of church growth. It can be said generally that successful experience of church growth is a main factor for permission of church hereditary. Charismatic leader's contribution to church growth. Charismatic pastors have an significant roll in growing church, In many churches in Korea the decision have been laid on pastors or presbyterians. In this point charismatic pastors have overall right to ministering church.

      • KCI등재

        ‘당골’과 ‘노로(ノロ)’

        이경엽(Lee, Kyung-Yup)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2

        한국의 당골과 류큐의 노로(ノロ)는 둘 다 여성이며 해당 지역 내 정통 사제자이며 세습으로 사제직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비슷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두 존재의 유사점을 주목하고 계통화하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노로를 샤먼이라고 보지 않는 견해가 많은 데서 보듯이, 당골이나 노로는 단선적인 계통론으로 포괄할 만한 대상이 아니므로 새로운 좌표 설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당골과 노로의 종교적 역할과 사회적 위상을 비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역할과 위상의 차이를 전승맥락 속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당골과 노로는 해당 지역에서 정통 사제자로 활동해왔지만 사회적 지위는 딴판이다. 노로는 중앙 정부의 관할 하에 공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신관의 지위를 갖고 있었다. 이에 비해 당골은 천대를 받으며 살았으며 사회적 지위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당골 집단은 문화사의 전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공연예술 활동을 활발하게 해왔다. 이는 노로의 역할이 종교적?정치적인 영역에 집중된 것과 대비된다. 당골과 노로는 세습 사제이지만 그 역할과 위상이 서로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대비를 통해 한국 당골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anggol stands for a hereditary shamaness who work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and Noro(ノロ) means a priestess in Senkaku Archipelago in Japan. They are similar in a sense that both of them are females, legitimate priests in their regions, and their positions are hereditary. The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matching their lineage by centering out their similarities.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religious role and social status of Danggol and Noro.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ir role and status are interpreted in the transmission context. Danggol and Noro have served as legitimate priests in their regions, however their social status differ greatly. Noro was designated a regional oracle who performs public rol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contrast, Danggol is given contemptuous treatment with lower social status. Yet, Danggol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unfolding the cultural history, especially in the fields of performance art. This contrasts the role of Noro who focused more on religious and political aspects. Both Danggol and Noro are hereditary priestess with different roles and status. Through this contrast,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ggol will be identified in three dimensions.

      • KCI등재

        살풀이의 기원적 의미 재고 -화랑과 화랭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혜원 ( Jung Hye 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본고는 ‘살(煞)을 풀다’라고 알려져 있는 현행 ‘살풀이’의 의미 재고를 통해, 살풀이가무악의 담당계층이 화랑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현행 살풀이는 승무와 더불어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전통가무악으로서 전통예인들의 수준 높은 기예가 담겨 있다. 전통예인들은 화랭이, 재인, 광대 등으로 이들의 연원은 신라사회의 화랑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본고에서는 살풀이의 연원을 신라 화랑의 향가 ‘도솔가’에서 새롭게 찾고, 도솔가와 화랑의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현재까지도 살풀이가 화랭이 집단에서 연희되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두 도솔가를 살펴보면, 신라시대의 도솔가의 의미는 신라최초의 가악이자 화랑이 주도한 국행천신제의의 종합예술이었다. 당시 부족국가를 병합한 신라는 각 부족의 제천의식을 수용하고 이를 불교의 세계관과 결합하여 통치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장차 삼국통일을 위한 정치사상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라사회에 퍼져있던 불교의 미륵신앙이 토착신앙과 습합되었으며, 도솔가는 도솔천 미륵불의 현현이자 삼국통일의 주역이었던 화랑이 국행 천신제의를 담당하며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제신가무악(祭神歌舞樂)이었다. 신라시대 화랑의 도솔가는 진골귀족으로서 화랑이 가졌던 정치적 위상과 종교적 지위를 보여준다. 그러나 고려 중기이후 화랑파와 불교파는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유교파와 극렬하게 대립되다가 중앙 정권에서 점차 세력을 상실한다. 이후 배타적인 성격의 유교가 조선의 건국이념이 되면서 화랑파와 불교파는 정치적 지위를 완전히 상실하고, 화랑은 최하층 천민계급으로 전락하여 종교적 기능만을 담당하게 된다. 이들은 고려후기에 악을 담당하는 계층으로써 법적으로 신분이 세습되고 정치·사회적인 지위를 제약받는다. 그러나 이들은 조선 최고의 종교 예술가 집단인 세습무부 집단을 형성하며, 관·군·민을 넘나드는 전방위적인 활약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신라시대 화랑계층이 국행 천신제의에서 올리던 도솔가는 도솔풀이 무가와 도솔풀이시나위 음악, 그리고 도솔풀이춤으로 전승되어 판소리, 산조와 살풀이춤의 모태가 되었다. 이로써 신라시대 ‘화랑’의 ‘사뇌가’ 형식의 ‘도솔가’는 현재 ‘화랭이’ 재인집단의 ‘시나위’ 형식의 ‘살풀이’로 전개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improve Salpuri dance’s significances and natures through finding the origins of Salpuri dance in “Dosolga” which is one of the first ancient Korean poetry. According to Kim Bu-sik’s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d Il-yeon’s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Dosolga” is the first song and dance in the Silla Dynasty and a synthetic art of national ritual ceremony for heavenly gods which Hwarang carry out. The Silla Dynasty, had conquered several tribal states, want to legitimize The Silla’s reign and form a political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by unifying each tribe’s ritual ceremonies and marrying them with the Buddhist view of the world. In the meantime, Maitreya faith was spread out in the Silla society, and Hwarang were honored as the manifestation of Maitreya. Hwarang’s “Dosolga” shows Hwarang’s political and religious status as the aristocratic class in the Silla Dynasty. However, Hwarang and the Buddhist faction lost power at national politics. When the Joseon Dynasty chose the Confucianism as its founding principle of a nation, they lost their political status and were degraded to the lowest class who handled religious matters. Yet, they formed hereditary-mubus, circles of Joseon’s highest artists, and played musicians the royal court and ordinary society. In the meantime, “Dosolga,” music for song and dance which Hwarang played at ritual ceremony in the Silla Dynasty, was inherited to Dosolpuri shamanic songs, Dosolpuri-Sinawi songs, and Dosolpuri dance, and each of them were the beginning of Pansori, Sanjo (Free-style Solo), and Salpuri dance. it can confirm with affinity between “Dosolga”-Hwarang-Hyangga in the Silla Dynasty and Dosolpuri-Hwaraengi-Sinawi music. Salpuri music have natures of ritual ceremony and improvisation which were originated from the ancient Silla Dynasty and inherited by Hwarang. In the Joseon Dynasty, Hwarang were degraded to the lowest class who handled religious matters and artistic performances. As hereditary-mubus in the Colonial period formed mutual exchange with Kisaeng’s arts, Salpuri music lost its nature as ritual ceremony and fell to Salpuri dance’s accompaniment. When raising the original sense of Salpuri’s,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solemn music for ritual ceremony and a synthetic art with sophisticated improvisation, not music for recreations or superstitious ceremonies.

      • 한국 샤머니즘 사제의 특징과 그 의미

        목진호 ( Mok Jin-ho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15 예술문화융합연구 Vol.3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샤머니즘 사제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글은 그들의 노래와 그림, 또는 의식 행위를 고찰하였고 그럼으로써 그들의 정신세계나 철학적 의미를 찾아냈다. 이글에서 밝힌 핵심적인 내용은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특징은 별자리에 관한 신앙, 두 번째 특징은 신의 의인화, 세 번째 특징은 자력에 의한 신격 전환, 네 번째는 세속화, 다섯 번째는 샤먼이 되는 네 가지 세습 유형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for the priests of the shamanism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investigates their songs, pictures, and ritual acts. Thus, this paper explores their spiritual world and philosophical meaning. Critical information stated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in five categories: The first feature is a belief in the constellation. The second feature is the personification of Gods. The third feature is swiched themselves as God. The fourth is secularization. The fifth feature is deals with the four hereditary-types of shaman.

      • KCI등재

        광주의 세습무 활동 변화 양상

        정대하(Jung Daeha)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세습무권에 속하던 호남지역에서 세습무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된 광주광역시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세습무계 출신 무녀와 악사들이 굿 수요를 따라 광주로 이사해 활동하고 있다. 2007년 12월 현재 광주에서 활동하는 세습무 가계 출신 무녀는 3명 정도다. 박선애 무녀는 전남 고흥 세습무계인 박운기-김명례 부부의 딸로 악사인 남편 심재문과 2006년 5월 순천에서 광주로 이사했다. 그는 해남 우수영 출신인 시어머니 김경례의 굿 사설과 친정 어머니 사설을 섞어 사설을 4~5시간짜리로 줄여 연행한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오춘자 무녀는 전남 해남 북평면의 세습무계 출신의 강신무다. 오씨 무녀는 1991년께부터 광주를 오가며 굿을 하다가 2003년 광주로 이사해 세습무 굿을 잇고 있다. 대도시인 광주의 세습무 활동의 현재적 양상과 굿 변화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습무 출신 무녀와 악사들이 광주로 옮겨와 세습무굿의 맥락을 잇고 있다. 대도시에서 새로운 굿 수요가 창출되면서 시ㆍ군 지역의 무녀들이 이사해 거처를 옮겼다. 둘째, 광주의 굿판에서 강신무 계열의 점쟁이들이 세습무보다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셋째, 법사와 보살 등 강신무가 세습무의 굿에 참여해 함께 굿을 연행하고 있다. 이들은 굿을 시작하기 전이나 굿 중간에 독경을 하거나, 일부 굿거리를 대신 맡기도 한다. 넷째, 무녀가 굿거리 사설을 축소해 연행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굿이 길어지는 것을 싫어하는 의뢰인의 기호에 맞추고, 굿 비용을 고려해 굿 연행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다. 다섯째, 도시의 굿은 일반적으로 굿당에서 연행된다. 광주의 경우 1978년 “무등산 타잔 사건”이후 굿당이 생기기 시작해 지금은 광주와 인근 시ㆍ군에 13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대도시인 광주에선 전통적인 굿이 의뢰인의 기호 등 현실적인 사정에 맞게 상당히 많이 변형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습무 전통굿에 대한 연구도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도시에서 행해지는 굿이 달라지는 현재적 양상과 변화실태를 지속적으로 고찰하는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hereditary shamanism is declining even in Honam, one of the regions traditionally reputed for it. The same is true with Gwang-ju Metropolitan City, most urbanized throughout the region. As of December 2007, there are only around 3 hereditary shamans in Gwang-ju.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aspect of shamanism in big cities,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hereditary female shamans having moved to Gwang-ju. As a daughter of Park Woon-gi and Gim Myung-rye, both of whom are hereditary shamans in Goheung, Jeonnam Province, Park Seon-ai moved to Gwang-ju from Sun-cheon in May 2006 along with her husband, a traditional musician. She performs gut (meaning, Korean traditional exorcism performed by shamans) for 4 to 5 straight hours, which is, to be exact, a short mixture of her mother’s and her mother-in-law’s. Another hereditary female shaman Oh Choon-ja is from Hae-nam. She had come to Gwang-ju from time to time for performing gut since 1991 while based on Hae-nam, and in the end moved into Gwang-ju in 2003. The present state of hereditary shamanism and the transformation of gut in Gwang-ju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reditary female shamans have moved to Gwang-ju, succeeding to the line of connection of gut. They moved from smaller areas like a town or county and settled down in the metropolitan city as new demand for gut has been on the rise there. Second, spiritualists are exerting more influence in Gwang-ju than hereditary shamans in performing gut rituals. Third, spiritualists, also called as beopsa or bosal, are taking part in and performing gut along with hereditary shamans. They chant the Buddhist scripture prior to or right in the middle of a gut performance. Not only that, they sometimes perform part of the ritual on behalf of hereditary shamans. Fourth, it is nothing unusual to see that hereditary shamans now perform a shorter gut ritual by cutting down its story and songs. They tend to reduce the time taken for completing a performance in order to cater for the recent new taste of clients, who dislike a long and dragging ritual. Cost reduction is also a factor in the adjustment. Last, in big cities like Gwang-ju, gut is usually performed in gutdang, a type of shrine specifically for carrying out the ritual. The first of it came into existence in the wake of the incident of “Tarzan in Mt. Moo-deung,” which took place in 1987. As of now, a total of 13 gutdangs are being run throughout Gwang-ju and its neighbouring towns/counties.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 gut ritual has gone through a massive transformation in big cities like Gwang-ju to be accommodated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such as shifting needs of clients now more in favor of shortness. There is no doubt that the study of traditional hereditary gut performance should be continued.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keep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present aspect of gut, being performed usually in a gutdang or house to practically examine its transformational process and the background behind such changes.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부인과 영역에서 유전성 종양의 임상적 접근

        이채형 ( Chae Hyeong Lee ),노주원 ( Ju Won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유전성 종양 증후군은 가족에서 특정 유형의 암 발생이 일반인에 비하여 증가하는 유전적 배경을 지닌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최근 유전학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유전성 종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들이 많이 밝혀지고, 이에 따라 이러한 종양의 예방, 선별검사 및 치료 등 모든 임상의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유전성 종양의 특징으로는 젊은 연령에서 발병하고, 투과도가 높으며, 양측으로 존재하는 기관인 경우 양측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양측 부모 중 일측으로 주로 전달되며, 여러 다른 종류의 종양이 함께 발생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유전성 종양 증후군 중 부인과 분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유전성 유방암/난소암 증후군 (HBOC),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HNPCC), Li-Fraumeni 증후군, Cowden 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BRCA1, 2, TP53, PTEN, MMR, CHEK2 등의 몇 가지 특정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이러한 부인암과 관련된 유전성 종양의 원인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 부인과 의사로서 이러한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의 선별, 가족력 청취, 임상적 평가, 유전자검사법을 통한 확인 등을 숙지하고,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선별검사, 암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처치 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부인과 분야의 유전성 종양의 발생 및 사망률도 이러한 적절한 임상적 접근을 통하여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 현재의 권고안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자유전학적 지식의 초기 단계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를 임상적으로 개개의 환자 및 가족에게 적용할 때에는 신중한 판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Hereditary cancer syndrome is a genetic condition that causes and increases the risk for specific type of cancers. Recent advances in genetics have identified a number of genes associated with inherited susceptibility to cancer, and this rapid development of knowledge about cancer genetics have implications for all aspects of cancer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screening, and treatment. Hereditary patterns of cancer are often characterized by early age at onset, high penetrance, bilaterality in paired organs, vertical transmission through either parent, and an association with other types of tumors. Most representative hereditary cancer syndromes in gynecologic field are hereditary breast/ovarian cancer syndrome (HBOC),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Li-Fraumeni syndrome, and Cowden syndrome. Several familial mutations of specific genes, such as BRCA1, 2, TP53, PTEN, MMR, CHEK2, are linked to hereditary cancer syndrome, which are responsible for hereditary gynecologic cancers. It would be very important for gynecologic doctors to know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genetic assessment, taking family history, clinical evaluation, genetic testing, screening guideline and risk reduction strategies for women with hereditary high risk factor.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gynecologic malignancies related to these syndromes could be reduced by the adequate clinical approach, although recent guidelines were developed with an acute awareness of the preliminary nature of much of our knowledge regarding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apidly emerging field of molecular genetics, and with an appreciation for the need for flexibility when applying these guidelines to individual families.

      • SCOPUSKCI등재

        Screening and surveillance for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 Hee Man Kim ),( Tae Il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24 Intestinal Research Vol.22 No.2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is a type of cancer that is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colorectal cancer, or who have a known hereditary syndrome, are at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Screening and surveillance are important tools for managing the risk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volves a combination of tests that can detect precancerous or cancerous changes in the colon and rectum. Surveillance involves regular follow-up examinations to monitor disease progression and to identify new developments. The frequency and type of screening and surveillance tests may vary depending on an individual’s risk factors, genetic profile, and medical history. However,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can significantly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reduce mortality rates. By implementing comprehensive screening and surveillance strategies, healthcare providers can help individuals at risk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to receive timely intervention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their health. Specific examples of screening and surveillance tests for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include colonoscopy, genetic testing, and imaging tests. In this review article, we will discuss detailed screening and surveillance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Intest Res 2024;22:119-130)

      • KCI등재후보

        유전성 대장암

        김덕우(Duck-Woo Kim) 대한의학유전학회 2010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7 No.1

        대장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급격하게 발생이 증가하는 암종의 하나로 유전성 대장암은 전체 대장암의 5-15%를 차지한다. 유전성 대장암은 크게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과 유전성 용종 증후군에서 발생하는 대장암으로 나눌 수 있고, 유전성 용종 증후군에는 가족성 용종증, 포이츠-예거 증후군, 유년기 용종증, MYH 연관 용종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유전성 대장암은 원인 유전자의 배선돌연변이에 기인하므로 산발성 대장암에 비하여 암이 조기 발생하고, 동시성 및 이시성 암이 흔하며, 대장 이외의 장기에도 종양을 비롯한 질병을 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유전성 대장암은 환자뿐 아니라 가족구성원에 대한 유전자 검사, 유전 상담, 조기 진단을 위한 정기 검진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환자 및 가족구성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유전성종양 등록소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성 대장암에 해당하는 질환들의 임상적/유전적 특성, 치료, 유전자 검사 및 정기검진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steeply increasing malignancies in Korea. Among 398,824 new patients recorded by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between 2003 and 2005, 47,915 cases involved colorectal cancers, accounting for 12.0 % of all malignancies. In 2002, total number of colorectal cancer cases had accounted for 11.2 % of all malignancies. Hereditary syndromes are the source of approximately 5% to 15% of overall colorectal cancer cases. Hereditary colorectal cancers are divided into two type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HNPCC), and cancers associated with hereditary colorectal polyposis, including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Peutz-Jeghers syndrome, juvenile polyposis, and the recently reported hMutYH (MYH)-associated polyposis (MAP). Hereditary colorectal cancers have unique clinical features distinct from sporadic cancer because these are due to germline mutations of the causative genes; (ⅰ) early age-of-onset of cancer, (ⅱ) frequent association with synchronous or metachronous tumors, (ⅲ) frequent association with extracolonic manifestations. The management strategy for patients with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for sporadic cancer. Furthermore, screening, genetic counseling, and surveillance for at-risk familial member are also important. A well-organized registry can plays a central role in the surveillance and management of families affected by hereditary colorectal cancers. Here, we discuss each type of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focusing on the clin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management, genetic screening, and surveillance.

      • 학술논문 : 특집논문 ; 북한 3대 세습체제에 따른 북한의 변화와 대남 영향 : 김정은 세습체제의 군사정책 전망

        박헌옥 ( Hun Ok Park ) 한국군사학회 2010 군사논단 Vol.64 No.-

        North Korea is proceeding with the three generation dictatorship heredity that we cannot find anywhere in the world. This study is aimed at predicting North Korea`s military policy direction by analyzing the military policy environment of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and 2010 military policy behavior.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analyzing North Korea`s military policy flow and 2010 military policy. First, the military policy has a higher proportion of North Korea`s regime. Kim Il-sung could control military force with the help of the Soviet military and seized power through it and since Kim Jung-il has maintained his regime by using the military as the justification for Sungun (military first) politics,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will also adopt a military-first policy. Second, the military policy environment of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is facing troubl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compared to Kim Il-sung and Kim jong-i1`s regime. Internal environment such as cumulative fatigue, economic collapse, public unrest, etc. is not good due to preparing for war for a long time. In terms of inter-Korean relations, strained relations continue due to frequent military provocations and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is losing trus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e to promotion of nuclear crisis and successive military provocations. Third, for the year 2010 North Korean threatening military policies such as provocative military exercises, the sinking of Cheonan ship, the disclosure of the uranium enrichment facilities, the devastating bombing of Yeonpyeongdo, etc. have given some help to internal control and solidarity, but have been unsuccessful externally. Forth, the military policy direction of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will vary depending on success or failure and aspects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1. In case of maintaining the relatively stable hereditary system, it will take a strong military policy. 2. In case of maintaining the unstable hereditary system,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 to South Korea will be weaken because they should mobilize military forces for internal management. 3. In case of failure of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the extreme turmoil such as riot, coup, civil war, etc. will be predicted and with the collapse of North Korea`s regime Korean Peninsula issue will be very crucial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refore, since the military policy of Kim Jong-eun`s hereditary system may be major variables in security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multiple strategi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