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칼빈의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 이해와 실천적 삼단논법

        김지훈(Si Hun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칼빈과 칼빈주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직 논쟁 중인 주제이다.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실천적 삼단논법(Syllogismus practicus)' 역시 이 주제와 관련되어 있다. 즉 초기 개혁자들, 특별히 칼빈에게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논쟁은 찬반으로 갈려서 아직 진행 중이다. 여기서 칼빈에게 실천적 삼단논법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찾는 것과 함께 그의 선택론이 가지는 방향성을 고려할 때, 칼빈의 실천적 삼단논법의 여부와 의미가 분명해진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에서부터 꾸준하게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인 이해를 놓지 않는다. 이 선택에 대한 교회론적인 이해는 기독교 강요 최종판에까지 변하지 않는다. 칼빈이 선택의 확증으로서 그리스도를 강조하는 것은 이러한 교회론적이고, 실천적인 의미가 있다. 이 교회론적인 이해 위에서 칼빈에게서 실천적 삼단논법으로 이해되는 표현의 의미를 더 정확히 알 수 있다. 칼빈이 전개한 하나님의 선택의 교회론적인 이해는 지금의 한국 교회에게도 성도가 함께 누려야 할 참된 위로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m are still the issue under debate. This Topic is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syllogism' brought by refomed Orthodox in 17th century. The Question ist, whether early reformers, especially Calvin, ha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syllogism. When we consider the direct references from Calvin and his opinion the doctrine of election, we can clarify the meaning of the assurance of election. From the first edition of Institutio, Calvin is keeping the eccle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lection, which does not change until the final edition of Institutio. By Calvin's explaination of the assurance of election, his emphasis on Christ as speculum electionis must be understood in both ecclesiological und practical background. From this explanation, churches in Korea can clearly understand Calvin's ecclesiological assurance of 'election in Christ' and truly comfort each other within this understanding.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경제정의에 대한 신학적 고찰

        이상원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현대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경제정의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경제적 재화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구조적 전략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의 개념을 일반적 개념과 특수한 개념으로 분류했으나 이 두 개념 어디에도 분배를 위한 구조적 전략의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 롤즈의 경제정의론은 차별의 원리(the difference principle) 개념을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사회는 근본적으로 차별이 있는 사회 곧, 불평등한 사회이다. 재화를 아무리 평등하게 분배했다 하더라도 재화 소유자의 선천적인 능력의 부족, 사고, 전쟁, 자연재해, 그리고 태어날 때부터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 등 때문에 조만간에 재화의 분배 상태는 불평등해질 수밖에 없다. 롤즈는 이와 같은 해소될 수 없는 불평등을 "깊은 불평등"(deep inequalities)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깊은 불평등을 인정하고 그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사회 전체 특히 사회의 최저계층의 권익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그 후유증을 최소화시키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현실 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인 바, 이 전략이 바로 차별의 원리다. 노직의 자격이론은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이 이론은 소유물에 대한 최초의 획득이라고 불리우는 완전히 합법적인 소유권의 단계를 가정한다. 둘째로, 어느 한 사람의 재화들은 다른 사람에게로 이전된다. 이전의 과정이 도덕적으로 합법적이면, 다른 사람이 결과적으로 그 재화를 소유하는 것은 소유의 형태가 어떠하든지 완전히 합법적이다. 이것을 가리켜서 소유물의 전이라고 부른다. 자격이론에 의하면, 소유물의 최초의 상태와 이전과정이 합법적이면, 이로부터 야기되는 모든 형태의 소유권은 정당하다. 개혁주의적인 경제정의론은 사회의 최저계층의 생존권을 확보하는 일을 최우선순위에 두고 그 바탕 위에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전개하는 전략을 명확하게 지원한다. 롤즈의 차별의 원리가 말하는 사회적 최저선, 그리고 사회보장국가 시스템은 신구약성경이 제시하는 약자를 최우선적으로 배려하는 경제사상의 충실한 현대적 해석이자 적용이다. The question what the defi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t economy within society is means to call for what the structured strategy for a fair distribution of economic goods is. Aristotle defines general concepts of justice and gives its notion of a special classification, but in the two concepts did not exist where even discussing the issue of a structured strategy for the distribution. The economic justice of J. Rawls is on the principle of discrimination (the difference principle). Every society is fundamentally a society of discrimination and so inequal community. Even if the goods were distributed equally, the goods owner's lack of ability is born, accidents, wars, natural disasters, and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him since birth, and the distribution of goods, because sooner or later is bound to become a State of inequality. Rawls called such inequality whoch cannot be resolved as the "deep inequality". Therefore this strategy is the principle of discrimination that in recognition of the deep inequalities and that the lowest tier of society, especially in the best of society as a whole benefits the interests of maximizing and minimizing its effects at the same time, the institutional unit that it is a reality that you can choose from the best strategies. Nozick's qualification theory consists of three stages. First, this assumes the first acquisition for the possession called the completely legitimate ownership. Secondly, the goods which is one of the commodities are relocated to other people. The former process is morally legitimate, it is completely legal in the form of owning it as a result of its own goods. This is called the transition of possession. According to the theory, if the first state of the possession and the status of the transfer process is legitimate, it is justice from any form of ownership. The reformed theory of economic justice the lowest considers it as priority to secure the right of the society's lowest and based on the above, should clearly support the fre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The principle of discrimination saying the social minimum and the national system of social security 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economic thought that the old testament present the priority consideration.

      • 건강한 목회지도력 계승의 한 사례

        유종필(Jong pil Lyu)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7

        In last century the korean church has rapidly grown up and taken a great position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issue of transmission of pastoral leadership in the korean church is drawing concerns. In this controversy it is to be praised that we remain a good example for God and people without any private greed. It is of course not easy for an establisher to get the church down from his mind which he established and made grow. Church, however, is by no means "my church" but "Lord's church", and church must not fall into privatization. Therefor I have great respect to senior pastor Choi, Boksu who has walked on the right way in his ministry. Church establishing is for departing. 지난 세기 동안 한국교회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변화하며 한국 사회 속에 큰 세력을 키워왔다. 이와 더불어 많은 교회들이 목회자 리더십 승계의 문제로 다시 한 번 사회적 조명을 받으며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고 있는 시기에 자신의 사사로운 욕심에 이끌리지 아니하고 하나님 앞과 교회 앞에 좋은 선례를 남긴 일은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개척자가 자신이 세운 교회, 자신이 성장시킨 교회를 마음에서부터 내려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교회는 "나의 교회"가 아니라 "주님의 교회"라는 신앙적, 신학적 사실 앞에서 교회의 공공성을 생각하며 교회는 결코 사유화 될 수 없고 임의로 처분 할 수 없다는 신학적 교회론으로 올바른 선택과 그 길을 걸어간 최복수 목사님께 존경의 마음을 가지며 이 좋은 사례가 한국교회에 선한 영향력을 주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최복수 원로목사님은 내게는 아버지 같은 분이시다. 후임자로서 그 분을 곁에서 뵙고 섬기면서 감사와 기쁨을 갖는다. 오래전 어느 책에서 읽은 인상적인 말씀을 몸소 실천하신 목사님의 아름다운 걸음이 한국교회를 더욱 아름답고 복되게 하는 걸음이 되기를 소원한다. "개척은 떠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 통전적으로 읽은 산상보훈의 화해명령 (마 5:23-24)

        김희성(Hee seong Kim)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3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4

        본 논문은 화해에 관한 연구 범위를 산상보훈의 화해명령(마 5:23-24)에만 한정하려고 한다. 화해명령에 관하여는 산상보훈의 강해서들과 마태복음의 주석서들과 소논문들이 역사적-비평적으로 많이 다루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로 말하자면 아직까지 화해명령이 통전적으로 마태복음 전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또 해석학적인 관점에서 그 명령이 어떻게 적용되고 수행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화해명령을 언어학적, 역사비평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마태복음 전체와의 관련성 속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The reconciliation order is the word of Jesus. This order is transmitted to Matthew through the Matthean Sondergut community. Matthew considered this order to be necessary for his community and combined it to the first antithesis in the Sermon of the Mount. The fact that the order attains a warning character becomes clear by a semantical analysis. According to a syntactic analysi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peratives "first be reconciled" and "and then offer" becomes obvious, and the point of this saying is made explicit: reconciliation precedes offering. The audience of this reconciliation order are the disciples and the crowd who are willing to take their cross and follow Jesus. They are to risk their lives in order to obey to it. The category of reconciliation is not only my brothers and neighbors, but it is even expanded to the enemies. Reconciliation is following the example of God whose love is not restricted only to the good ones but also includes sinners. It is at the same time practising mercy which God prefers to offering. Reconciliation is the realization of loving your neighbor which aims to the community of love, and is the shortcut to peace. This reconciliation cannot be achieved by our ability only. It is only possible when Immanuel is realized in us. We Christians have to obey this order in our brotherly community, and fulfill reconciliation and make peace within us, then we, being the light of the world, will illuminate the darkness of the world. The people who lived in that darkness will see the light and learn to walk the wa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And by doing so, with the light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world will become, more and more, a brighter place.

      • 한국의 부의 불평등 문제와 기독교적 대안

        박일렬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최근 부가 소수에게 집중됨으로써 빈부격차와 사회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빈곤층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여러 가지 문제들, 예컨대 인구구조를 비롯한 물가와 세금 그리고 부동산과 사회복지 문제 등 수많은 요인들이 사회적 약자를 고통스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극화 사회는 통합된 사회, 행복한 사회와는 거리가 멀다. 빈부소통과 사회통합을 위해 기독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교인이나 교회 개별적인 구호로는 빈곤을 구제할 수 없기 때문에 기독교 전체의 차원에서 정부와 협력하여 빈곤퇴치를 위한 NGO 활동을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천히 살기' 운동을 벌이고, 사회적 기업의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주도하면서 사회적 임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조직적이고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도서관 건립을 비롯한 사회 종교적 교육과 문화 공간, 체육, 여가와 관련하여 범 기독교적 차원에서 지원시설을 건립하고 운영함으로써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적 기업을 통해 빈곤층의 자립을 도움으로써 신앙 전도와 사회적 임금의 향상을 통해 빈곤층이 인간다운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problem of rich-poor gap and social polarization is more and more worse. various problems that make the poor more difficult such as price, tax, welfare give the social week pain. Such polarized society is far from combined society, happy society. What should the christianity for communicating between rich and poor as well combining society? It is desirable for the church to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for the antipoverty because only individual charity of person and church can not totally overcome poverty. More concretely we have to organize 'slowly living movement', to support actively the promotion of social company and to make campaign for improving the social w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