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 산섭운자(山攝韻字)의 자음(字音) 분류

        이경철 ( Lee Kyong-chul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0 No.1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sounds of Joyokanjihyo(2010) into 5 types of Go`on and Kan`on, Go`on, Kan`on, To`on, Kan`yo`on; mainly on the 288 characters 314 sounds in groups of Shan(山). As like chart,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classified that 134 sounds of Go`on & Kan`on, 92 sounds of Kan`on, 77 sounds of Go`on, 10 sounds of Kan`yo`on 1 sounds of To`on in the 315 sounds in groups of Shan(山). Same type of Go`on & Kan`on occupied high proportion and Kan`on occupied higher proportion than Go`on, but it is not big gap.

      • KCI등재

        『磨光韻鏡』 山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 1・2等韻을 중심으로 -

        孟?(맹요),李京哲(이경철) 한국일본어학회 2022 日本語學硏究 Vol.- No.74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the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s of Mako-Inkyo and compared the notations with Go’on・Kan’on focousing on grade 1・2 on Group Shan(山).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rhymes Han(寒)・Huan(桓) appear as -(w)an/-(w)at type in Go’on・Kan’on in Mako-Inkyo. However, the Final -t of all rhymes is described only as Go’on [チ] and as Kan’on [ツ] in Mako-Inkyo. 2) The second opened rhymes Shan(刪)・Shan(山) appear as -en/-et type and some -an/-at types are mixed in Go’on, but are described mainly as -en/-et type in Mako-Inkyo. Further, [セチ察] should be changed to [サツ察] in Go’on in Mako-Inkyo. 3) The second rounded rhymes Shan(刪)・Shan(山) appear as -wen/-wet, -(w)an/-(w)at types in Go’on, but are described mainly as -(w)an/-(w)at type and -en/-et types are mixed in Mako-Inkyo. Further, [クワン關] should be changed to [クヱン關] in Go’on in Mako-Inkyo. 4) The Final -t of Go’on is described only as [チ] and of Kan’on only as [ツ] in Mako-Inkyo. It can also be seen in rhyme tables(韻圖) that appeared after Mako-Inkyo and modern Sino-Japanese dictionaries.

      • KCI등재

        산섭운(山攝韻)의 한(韓)·일(日) 한자음(漢字音)의 수용양상 및 한(韓)·중(中)·일(日) 한자음(漢字音)의 대응체계에 관한 연구 - 한(韓)·중(中)·일(日) 한자음(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최지수 ( Choi Ji-s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본 연구에서는 中古漢語 山攝韻의 <韓·中·日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하여, 韓·日 漢字音의 수용양상 및 韓·中日 漢字音의 대응체계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근거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寒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an형, -e형, -a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1等 桓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an형, -o형, -uo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oan형, -al형, -o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ati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2. 開口2等 刪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an형, -a형, -ia형, -ian형 順으로,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ati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2等 刪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an형, -ua형, -e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oan형, -oal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wan형, -watu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3. 開口2等 山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an형, -a형, -ia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en형, -atu형, -o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2等 山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ua형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oan형, -oal형, -oai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tu형, -an형, -en형으로 반영되었다. 4. 開口3等 元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u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al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on형, -etu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3等 元韻은 現代中國漢字音에서 -yuan(üan)형, -an형, -uan형, -a형, -ue(ü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uən형, -ən형, -an형, -əl형/-al형, -u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an형, -atu형, -etu형, -o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5. 開口3等 仙韻乙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ən형, -jəl형/-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開口3等 仙韻甲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an형, -ie형, -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jən형, -əl형, -j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6. 合口3等 仙韻乙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yuan(ü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uən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an형, -on형으로 반영되었다. 合口3等 仙韻甲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ue(üe)형, -i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jən형, -jəl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7. 開口4等 先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ən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4等 先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üe)형, -uan형, -i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jəl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으로 반영되었다. In this study, the phonetic system of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inese consonants and their acceptance an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on the Group Shan(山).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hinese consonants. 1. GradeⅠopened rhyme han(寒)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an, -e, -a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an, -a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n, -a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Ⅰrounded rhyme huan(桓)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an, -an, -o, -uo,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an, -oan, -al, -oa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n, -atu, -ati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2. Grade Ⅱ opened rhyme shan(刪)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an, -a, -ia, -ian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an, -a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n, -atu, -ati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Ⅱ rounded rhyme shan(刪)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an, -an, -ua, -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an, -oan, -oal, -a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n, -wan, -watu, -a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3. Grade Ⅱ opened rhyme shan(山)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an, -a, -ia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an, -a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n, -en, -atu, -on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Ⅱ rounded rhyme shan(山)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an, -ua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oan, -oal, -oai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atu, -an, -en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4. Grade Ⅲ opened rhyme yuan(元)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ie, -uan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ən, -al, -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on, -etu, -a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Ⅲ rounded rhyme yuan(元)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yuan(üan), -an, -uan, -a, -ue(ü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uən, -ən, -an, -əl/-al, -u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an, -atu, -etu -on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5. Grade Ⅲ opened rhyme contained medial ï xian(仙)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i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jən, -ən, -jəl, -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e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Ⅲ opened rhyme contained medial i xian(仙)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an, -ie, -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ən, -jən, -əl, -j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e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6. Grade Ⅲ rounded rhyme contained medial ï xian(仙)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an, -yuan(üan)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uən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an, -on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Ⅲ rounded rhyme contained medial i xian(仙)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an, -ue(üe), -ian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ən, -jən, -əl, -j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etu, -an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7. Grade Ⅳ opened rhyme xian(先)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i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jən, -ən, -əl, -j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e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Grade Ⅳ rounded rhyme xian(先)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ue(üe), -uan, -ian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jən, -jəl type, in modern Korean consonants and -en, -etu type in Japanese Chinese consonants.

      • KCI등재

        漢和辭典 山攝韻 字音 規定의 문제점

        백혜영(Baek, Hye-Yeong),이경철(Lee, Kyong-Chu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6

        This paper discussed on the Kana notation of characters that belong to group Shan(山) among 2,136 new usual Sino Japanese characters(2010) in the six Sino Japanese dictionari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Final-T was recorded as a Kan’on Tsu[ツ] and Go’on Chi[チ] in the every dictionaries, but Tsu[ツ] and Chi[チ] can not be the factor distinguishing Go’on and Kan’on. And Go’on contained Chi[チ] was classified as a Kan’yo’on in the many dictionaries. 2) Roundness of old Kana notation was omitted in the many dictionaries. 3) To’on as like Ton(團) and Non(暖) was classified as a Kan’yo’on in some dictionaries. 4) Rhyme Shan(刪) appears as a two type of -(w)en/-(w)et and -(w)an/-(w)at in the Go’on because of frontness of main vowel. but Go’on was recorded wrong in the many dictionaries. 5) Rhyme Yuan(元) appears as a three types -on/-ot, -(w)an/-(w)at, -(w)en/-(w)et in the Go’on. but one type of that recorded as a Kan’yo’on. And Go’on was recorded wrong in the many dictionaries. 6) Rhyme Xian(仙) that contained [wï] appears as a three types -wan/-wat, -on/-ot, -wen/-wet in the Go’on. but one type of that recorded as a Kan’yo’on. And Go’on was recorded wrong in the many dictionaries.

      • KCI등재

        『磨光韻鏡』 山攝韻 字音 규정의 문제점 - 3・4等韻을 중심으로 -

        맹요,이경철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principle of left and right phonetic notation of Mako-Inkyo compared with Go’on and Kan’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cond opened rhyme Yuan(元) appears as -on, -an/-at, -en types in Go’on, butdescribed as -on/-ot, -en/-et types in Mako-Inkyo. 2) The third rounded rhyme of Yuan(元) appears as -(w)on/-(w)ot, -an/-at, -en types inGo’on. However, Velar・Guttural are written in -wan/-wat type, and Labial is describedmainly as -on/-ot type in Mako-Inkyo. 3) The second opened rhyme Xian(仙) appears mainly as -en/-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ベン面] of the initial of Ming(明) should be changed to [メイ] on Kan’on inMako-Inkyo. 4) The third rounded rhyme of Xian(仙) appears mainly as -(w)en/-(w)et type, and -wan, -wen, -on types are mixed in Go’on, but is written in -(w)en/-(w)et type in Mako-Inkyo5) The fourth rounded rhyme of Xian(先) appears -(w)en/-(w)et type in Go’on・Kan’on・Mako-Inkyo. But some characters ending in [チ] will have to be corrected with [ツ] on Go’on inMako-Inkyo. 6) The Final-t of Go’on only as [チ] and Kan’on only as [ツ] in Mako-Inkyo. It can also beseen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본고에서는 『磨光韻鏡』의 左・右音注를 실제 吳音・漢音 資料와 비교・분석하고『磨光韻鏡』 山攝 3・4等韻에 출현하는 字音 규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on형, -an/-at형, -en형으로 출현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on/-ot형과 -en/-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2) 合口3等 元韻은 吳音資料에서 -(w)on/-(w)ot형, -an/at형, -en형으로 나타나는데, 『磨光韻鏡』 左音注에서 牙喉音字는 -wan/-wat형으로, 脣音字는 주로 -on/-o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3) 開口3等 仙韻은 吳音・漢音資料와 磨光韻鏡 左・右音注에서 모두 -en/-et형으로 기재하고있는데, 『磨光韻鏡』 右音注에서 明母의 [ベン面]는 [メン面]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4) 合口3等 仙韻은 吳音資料에서 대부분 -(w)en/-(w)et형으로 나타나며 -wan형, -wen형, -on형이 혼재하는데,『磨光韻鏡』 左音注에서는 -(w)en/-(w)et형으로 기재하고 있다. 5) 4等 先韻은 吳音・漢音資料와『磨光韻鏡』左・右音注에서 모두 -(w)en/-(w)et형으로 기재하고있다. 6) 舌內入聲韻尾를 『磨光韻鏡』에서 左音注는 [チ]로, 右音注는 [ツ]로 규정하려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규정 태도는 현용 漢和辭典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漢和書における音規定の問題点

        이경철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일본문화연구 Vol.19 No.-

        漢和辭典 5종에 나타나는 字音表記의 문제점을 呉音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呉音의 字音形에 대해서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規定을 세울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舌內入聲韻尾는 「チ」형을 유지하고 쓰이는 字音만을 呉音으로 처리하고, 그 밖의 呉音은 漢音과 동형인 「ツ」로 表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通攝・曾攝韻에서 喉內鼻音韻尾가 생략된 字音形은 呉音으로 처리해야 한다. 3)山攝 3等韻의 -an/t형, -on/t형, -en/t형 모두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4)通攝 1等韻의 -ou/ku형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5)蟹攝 1・2等韻의 -ai형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6)蟹攝 3・4等韻의 -ai형, -e형, -ei형 모두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7)止攝韻의 -i형 이외에 -e형, -o형도 呉音으로 規定해야 된다. 8)麻韻의 -a형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9)模韻의 -o형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10)侯韻의 -o형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11)3等甲類 來母字의 直音表記도 呉音으로 規定될 수 있다. 12)漢和辭典의 編纂에는 韻鏡 등에 의한 演繹的 解釋을 탈피하고 실제자료에 근거한 歸納的인 字音規定의 자세가 필요하다.

      • KCI등재

        백거이(白居易) 구로회(九老會)와 그에 대한 고대 한국 문인의 인식

        이봉상 ( Bong Sang Lee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8

        본 연구는 당대 문인집회와 백거이 구로회 및 구로회에 대한 고대 한국 문인의 인식에 대한 고찰이다. 당대는 문인집회의 행위가 보편적으로 나타났던 시기였다. 당시 문인집회의 양상 중에는 과거고시와 연결되어 문인의 입신출세와 영향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로회는 그러한 모임의 특징과는 달리 고령의 치사관들이 모여 시를 짓거나 주흥을 즐기며 한가로운 노년을 보내는 집회의 양상의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로회는 후대 상치회의 모범이 되어 송대 기로회 결성의 표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대 한국 문인결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이는데, 한국 문인들의 시문을 살펴보면 고려·조선조에 구로회를 모방하여 상치회를 결성했다고 하는 기록이 상당수 보인다. 일부 문인은 구로회가 정식으로 성립되기 전에 결성되었던 칠로회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신의 작품 속에서 칠로회부터 시작된 구로회 결성 과정을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렇게 고려·조선의 문인들이 구로회를 언급하고 자신들이 조직한 모임의 본보기로 삼고 있는 것은 구로회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그들은 노인 결사에 있어서 모범이라고 평가되는 구로회를 비교대상으로 하여 본인들 모임의 가치를 높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구로회가 상치회의 으뜸이라고 직접 언급하기도 한다. 구로회에 대하여 이렇게 긍정적인 인식하고 있던 고대 한국 문인들은 구로회를 모방·수용하여 그들 나름대로의 집회 문화를 형성하였다. 본 논문은 고대 한국문인의 백거이에 대한 수용 양상을 엿볼 수 있는 작업의 한 부분에 불과하다. 향후 이를 시작으로 하여 한중 문인들의 창작활동 및 그들의 정신적인 사유방식과 생활방식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시각으로 그 영향 관계를 고찰해 본다면 좀 더 흥미있는 연구 성과가 출현될 것이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ncient Korean writers understanding in Tang Dynasty scholar group and `Bai Ju Yi`s Jiu Lao Hui(九老會)`. Scholar group ubiquitously appear upon In Tang Dynasty. At the time, almost Scholar groups have relations with a lift in his career. But, In contrast to such a stream of this times, `Jiu Lao Hui(九老會)` show specially characteristic of An `Old person`s gathering(尙齒會)`. This `Jiu Lao Hui(九老會)` set a model to after ages An old person`s gathering, and affects ancient Korean writers gathering. In a Korea·Joseon Dynasty writer`s anthology, be found a record that Korea·Joseon Dynasty writers imitate `Jiu Lao Hui(九老會)`. Some writers`s understanding of `Jiu Lao Hui(九老會)` is well expressed in their works. Korea·Joseon Dynasty writers frequently referring to they imitate `Jiu Lao Hui(九老會)`, because they take a cheerful view of `Jiu Lao Hui(九老會)`. They evaluated `Jiu Lao Hui` is the model of the old person`s gathering, with this raise the value of their gathering. In conclusion, I discovered following data; Ancient Korean writers was heavily affected by `Bai Ju Yi`s Jiu Lao Hui(九老會)`, they organized an association are in their own way, and then they have a positive evaluation and imitate behavior of `Jiu Lao Hui`.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조선 문인의 백거이(白居易)에 대한 인식

        이봉상 ( Bong Sang Lee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본 논문은 고대 한국 문인의 백거이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한중 양국은 지리적인 근접성과 역사적인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문화적 교류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 문학의 교류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 주지하다시피 한국 고전문학이 중국문학의 영향을 받아왔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각 시기의 중국문인이나 그들의 작품을 바라보는 한국 문인의 태도가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李白·杜甫·蘇軾 등의 문인에 대해서는 상당히 적극적인 수용태도를 보이는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白居易에 대한 평가와 인식은 냉담한 편이다. 그렇다면 실재 고대 한국 전적에 기록되어 있는 백거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했을까?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우선 고대 한국 문인의 시문집 및 사서에 출현하고 있는 백거이와 관련된 문자를 추출하였다. 그 1차 작업으로 『韓國文集叢刊』과 『朝鮮王朝實錄』을 참고하여 그 기본 자료를 정리하였고, 위의 두 전적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집이 존재하여, 『韓國詩話叢編』과 『東文選』 등의 자료를 추가로 검색한 결과 최종적으로 한국 전적에 기록되어 있는 백거이 관련 문자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여 고대 한국문인들의 백거이에 대한 인식을 크게 5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安度晩年의 致仕문인`에서는 만년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던 백거이가 고령의 치사관들과 모임을 조직하여 평안한 노경을 보낸 것에 대한 고대 한국 문인들의 인식을 다루었다, 둘째 `宦路不遇의 左遷문인`은 강주로 좌천되어 정치생애에서 불우함을 겪은 인물로 백거이를 바라보는 것인데, 여기서는 강주사마 관복의 색상인 `靑衫`과 적소의 명칭인 `江州`로 백거이를 표현하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셋째, `生死超然의 향산거사`에서는 생사에 집착하지 않고 불교에 심취하여 도솔천으로 회귀하려 하거나 불교로 귀의하려고 하는 백거이의 모습을 하나의 유형으로 하여 고려·조선문인 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넷째, `淸廉潔白의 정치관리`에서는 諫官으로 임직해 있을 당시 직언을 피하지 않는 모습이나 당쟁에 휩싸이지 않은 賢臣의 모습으로 백거이를 바라보는 고려·조선문인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蓄妓와 八節灘 개수`에서는 백거이의 기녀로 유명한 번소와 소만을 통해 보여지는 백거이의 모습과 만년에 팔절탄을 개수했다고 하는 고사를 기록한 것으로 고대 한국 문인들의 백거이 전기 일화에 대한 인식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방대한 연구주제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각 부문별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다. 그러나 향후 추출된 자료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한다면 백거이와 고대 한국 개별 문인과의 관계·정치 및 종교와의 관계 등등 참신한 연구 주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specific features of Bai Ju Yi in Ancient Korean Writers. The Korean-Chinese both nations in period of old duration interchanged because of historical and geographic`s cause. Among the rest, Literary interchange occupied the location which is importan. As is generally know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influenced by Chinese literature. But, Attitude of Korean writers about Chinese writers and literary works of each time has differenced. In other words, Korean writers take a positive receipt attitude in Li Bai·Du Fu·Su Shi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indifferent to Bai Ju Yi.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how to receive Bai Ju Yi`s literary works on ancient literature of Korea. In the introduction, I showed how to select the theme of my dissertation and how to research through Bai Ju Yi`s studies. In order to examine the reception of his studies conscientiously, I have researched them in relation to Bai Ju Yi`s literary work through the Korean scholar`s studies who had already studied Bai Ju Yi at 『A collection of Korean Works(韓國文集叢刊)』·『A collection of Korean SHI HUA(韓國詩話叢編)』·『Dong Wen Xuan(東文選)』·『A Chronicles of Choson Dynasty (朝鮮王朝實錄)』.In this process, I have arranged 5 specific features which had shown in Ancient Korean Writers: First, the feature of satisfaction in his current life; Second, the feature of his demotion and banishment; Third, the feature of Buddhism; Fourth, the feature of politics; Fifth, the feature of having a lover or a gisaeng. Koryo & Choson literary men all take positive attitude toward Bai Ju Yi`s literary works. I could not finalize it due to the sphere of intellectual information. But, hereafter I would like to research more of Bai Ju Yi`s literary works in the near future: For instance, Bai Ju Yi and Korean writers`s relations; Bai Ju Yi and Ancient Korean political relationship of effect and the 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