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에 대한 WTO법적 검토

        이로리 대한국제법학회 2010 國際法學會論叢 Vol.55 No.1

        기후변화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선진국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제도와 보조금 제도 등과 같은 이산화탄소 배출규제제도에 대한 보완 또는 대안으로서 탄소세를 도입하거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탄소세는 화석연료의 탄소함유량을 기준으로 부과되거나 상품의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근거하여 부과될 수 있다. 탄소세가 이산화탄소 배출을 직접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수단이지만 다른 국가가 그러한 규제에 동참하지 않는 상황에서 탄소세를 시행하는 국가의 입장에서는 자국 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탄소누수 문제를 우려할 수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의 도입이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문제는 탄소세가 어떻게 설계 되느냐에 따라 실제 시행상의 기술적, 행정적 문제와 더불어 통상법적 측면의 문제가 수반될 수 있다. 수입품에 대한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은 GATT1994 Ⅱ:2(a)조, 수출품에 대한 탄소세의 국경세조정은 보조금협정 Ⅰ.1(ⅱ)조 각주1) 및 부속서 Ⅰ(h)에 근거하여 검토할 수 있는데, 문제는 탄소와 같이 최종상품에 물리적으로 남아 있지 않은 투입요소에 대한 국경세 조정이 WTO협정상 허용되는가의 문제다. 위 관련 규정들은 동 사안에 대하여 분명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이에 대한 WTO분쟁사건도 없어서 향후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 시 WTO분쟁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 밖에도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과 관련하여 탄소세의 법적 지위(GATT1994 Ⅱ조의 적용 가능성), 비 상품관련 공정 및 생산방식과 상품의 동종성 문제 (GATT1994 Ⅲ조, I조의 위반 문제), 원산지에 따른 국경세 조정의 차별문제 (GATT1994 Ⅰ조의 위반문제) 등이 검토될 수 있다.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이 GATT의 실체적 의무를 위반한 경우라도 동 조치가 GATT1994 ⅩⅩ조 (g)항 또는 (b)항에 해당하고, 모자조항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GATT의무의 일반적 예외로서 정당화 될 수 있다.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에 대한 GATT1994 ⅩⅩ조의 적용 가능성과 관련하여 먼저 조치를 취하는 국가가 WTO회원국과 협상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시도를 했는지 여부, 그러한 협의가 모든 WTO회원국에 비차별적인 방식으로 시행되었는지 여부 그리고 적법절차를 준수하여 투명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적용되었는지 여부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이 실제로 탄소세로 인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주의적 배경을 갖고 있다면 결과적으로 ⅩⅩ조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Some developed countries which implement climate change policies have introduced or considered to introduce carbon tax as a complimentary or alternative measure to CO2 regulation systems such as cap and trade system and subsidies. Carbon tax is generally imposed based on the carbon content in fossil fuels or the amount of CO2 emitted in the course of production of goods. Carbon tax is said to be an effective tool to regulate CO2 emission. However, if there is no equivalent CO2 reduction efforts in the global level, a country implementing carbon tax may encounter a loss of competitiveness in the domestic carbon intensive industry, and carbon leakage. The idea of introducing border tax adjustments of carbon tax is suggested to solve these problems. But in practice, border tax adjustments could bring about not only som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difficulties but also legal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TO law. As the related WTO rules such as the GATT1994 Art. Ⅱ:2(a) (for imports) and the Annex Ⅰ(h) of the WTO SCM Agreement (for exports) are not clear on this issue, specifically the border tax adjustment on the inputs which do not physically remain in the final products, and also there has been no relevant WTO dispute cases so far, the border tax adjustments of carbon tax is likely to be subject to the WTO dispute in the future. Other related legal issues include the status of carbon tax (applicability of GATT1994 Art. Ⅱ:2(a)), non-PPMs and the likeness of products (the violations of GATT1994 Arts. Ⅲ and I), discrimination in the border tax adjustment depending on the origin of products (the violation of GATT1994 Art. Ⅰ) and the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of the border measure under the GATT1994 Art. ⅩⅩ (general exception). If the border tax adjustments of carbon tax have protective purpose for domestic industry, it is not likely to be justified under Art. ⅩⅩ under the current WTO system.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조치와 WTO규범과의 충돌가능성 -탄소세(carbon taxes)를 중심으로

        이영희 ( Young Hee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0 環境法 硏究 Vol.32 No.2

        UN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가 채택되어 온실가스감축은 법적구속력이 있는 의무가 되었다. 현재 교토의정서상 온실가스 감축의무국들은 국내적으로 다양한 기후변화대응 정책 및 입법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과 같이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없는 국가들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역관련 기후변화 대응조치는 온실가스감축의무를 위한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한편, 비차별을 주된 원칙으로 하는 WTO규범과 상충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또한 국제무역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타국과의 첨예한 통상마찰을 야기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탄소세`는`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효율적인 조치로 거론되고 있으나 WTO규범과 충돌될 가능성이 있는바 이에 대한 통상법적 검토가 요구된다. Carbon taxes are deemed as one of the effective policies to combat climate change. Carbon taxe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urely internal measure which applies to domestic and imported goods in proportion to carbon dioxide emissions; unilateral border carbon adjustment(BCA); globalization of carbon costing which means all countries adopt internal carbon taxes. Among theses, unilateral BCA is highly likely to be incompatible with WTO Rules, in particular non-discrimination principle. BCA`s legal basis lies in GATT Article Ⅱ:2(a), but many relating issues remain unclear including issues of NPR PPMs and inputs not physically incorporated into final products such as fuel or carbon. Unilateral BCA on the imported goods originating from non-Kyoto protocol or post-Kyoto regime parties is highly likely inconsistent with GATT Articles Ⅲ:2 and I. Even though GATT-inconsistent measure can be justified under GATT Article XX, it is difficult for present a complete and documented prima facie case. In order to avoid BCA issue from serving as a catalyst for escalating trade disputes among WTO members, it is necessary to reach an international agreement on BCA.

      • KCI등재

        WTO 체제하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도입 가능성 분석

        장동식 한국무역연구원 2022 무역연구 Vol.18 No.5

        Purpose – This paper analyzes the basis and application method for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which is being introduced to adjust for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arbon pricing system, and the introduction status of major countries. This analyz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CBAM. Design/Methodology/Approach – As a research method, we used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hich arranges various theories and problems suggested by existing studies and new issues related to them, and tries to expand and establish the content. In addition, in order to discover the legal system or legal principles of CBAM that can be introduced under the WTO system, it tried to analyze precedents in the WTO trade dispute. Findings – This paper analyz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CBAM in countries operating environmental measures based on a carbon tax, ETS, and Article 20 (b) and (g) of GATT.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formity with the WTO norms for the introducing and application of CBAM was not guarante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new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introduction of CBA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nalysis of conformity with WTO norms. Research Implications – This study presented legal and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CBAM to be established as an international trade norm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formity with WTO nor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four new approaches for the introduction of CBAM that can be used under the WTO 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WTO 보조금협정과 탄소배출권 무상할당

        김호철 법무부 2011 통상법률 Vol.- No.101

        정부는 지난 4월, 2015년부터 국내에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안」을 마련하여 국회에 제출하였고, 국내적으로 이러한 배출권거래제 도입과 관련된 다양한 법적 쟁점들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규제정책은 현재의 글로벌 통상환경에서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교역에 여러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인해 무역자유화를 규정한 WTO 협정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제기된다. 그 중에서도 본고는 국내 사업자에게 탄소배출권을 무상으로 할당하거나 국내 사업자가 생산하는 제품이 외국으로 수출될 때 탄소배출권 확보 의무를 면제 또는 경감해 주는 조치가 WTO 보조금협정상 의무를 위반하는 것인지, 협정 위반이라면 이를 정당화할 예외조항이 있는지의 두 가지 핵심질문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고 분석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탄소배출권의 무상할당은 그 자체로는 WTO 보조금협정 위반으로 볼 여지가 크지 않다. 설령 보조금의 요건을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수출과 결부되어 부과되는 것이 아니므로 금지보조금이라고 볼 수 없으며, 특정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치가능 보조금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실적 측면에서 탄소배출권 무상할당을 운영하는 방식에 따라 WTO 보조금협정 위반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사업자에게 과거실적에 따라 탄소배출권을 할당함으로써 당해 연도 실제 배출치에 비해 과대계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금협정 위반이 될 소지가 있다. 또한, 정부가 탄소배출권의 무상할당을 향후 단계적으로 유상할당으로 전환해 나가는 과정에 있어, 탄소배출권 무상할당이 특정 수출산업이나 기업에만 집중될 경우 보조금협정상 금지보조금 또는 조치가능보조금에 해당될 여지가 크다. 경쟁력 및 탄소누출 우려 해소방안으로 제기되는 수출상품에 대한 탄소배출권 리베이트의 경우에도 수출과 결부되어 지원되는 조치이므로 보조금협정상 금지되는 수출보조금으로 판단될 여지가 크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가 보조금협정 위반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Last April,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to introduce emission trading system from January 1 of 2015, which stretched the timetable for its introduction out further two years and increased percentage of free carbon allowances in response to strong opposition from domestic industries. Under the system, yet to be approved by the Assembly, the percentage for free allowances is over 95 percent and the rest will be put to an auction. The system is part of its efforts to attain legitimate environmental goal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percent from BAU level by 2020. In this globalized trade environment, however, such a market intervention by the government, even though non-trade measure, would inevitably affect trades with other countries, raising several issues of WTO legitimacy. Among others, this study focuses on issues related to the legality of free carbon emission allowance under the law of WTO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SCM Agreement). The propose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he theoratical aspect, the free allowance alone seems not to be inconsistent with the SCM Agreement because the specificity will not be found. 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al aspect,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to be considered. For instance, under the grandfathering method of allocation, the problem of over-allowance of carbon emission rights may arise. Also, once the government tries to change the scheme into the allocation by auction gradually, the risk of WTO inconsistency would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look into the issue more carefully and discuss all the possible solutions.

      • KCI등재

        WTO체제와 조화를 이루는 배출권거래제도의 설계

        김홍균(Hong Kyun Kim) 서울국제법연구원 2012 서울국제법연구 Vol.19 No.1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 Scheme)를 도입하고 있는 국가의 대부분이 유럽연합(EU)에 불과하고 우리나라의 주된 경쟁 상대인 미국, 일본 등이 도입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섣불리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로부터 우리나라가 온실가스(greenhouse gas) 감축의무 대상국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압력이 가중되고 있고,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가 어느 정도 기후변화 대응에 선도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문제에 마냥 두손놓고 있을 수도 없다. 이러한 점을 모두 고려할 때 경쟁력 약화를 이유로 그리고 산업계의 입장에 휘둘려 배출권거래제도에 소극적이기 보다는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향에서 전향적으로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배출권거래제도와 같은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선택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배출권거래제도를 도입·시행하기 위해서는 그 제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치한 설계가 필요하다. 2012년 5월 2일 국회를 통과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는 우리나라 산업의 경쟁력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발견하기 힘들고 국제통상법적 분쟁을 막기 위한 장치는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미국 리버만 워너 법안(Lieberman-Warner Climate Security Act of 2008)에서 도입하고 있는 수입제품에 대하여 그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의 양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구입해서 제출하도록 하는 조치(배출권 구입 요건)는 충분히 검토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건은 일방적인 무역규제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도입 시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통상분쟁을 막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출권 구입 요건이 탄소유출(carbon leakage)의 방지, 온실가스의 감축, 기후변화의 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할 경우 GATT 예외 규정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 산업의 경쟁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이는 보호주의에 다름 아니며, 정당성이 떨어지는 일방적 조치에 불과하다. WTO체제에 부합하게 배출권 거래제도를 정치하게 설계하더라도 그 적용이 자의적(arbitrary)이고 부당한 차별(unjustifiable discrimination)을 구성할 경우에는 통상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우선 해당 조치를 시행하기 전에 외국과 먼저 충분하고 진지한 협상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의사결정에 영향을 받는 국가의 참여, 심리 및 반론기회의 제공, 심사 및 이의절차의 제공, 승인·거부 등에 대한 서면통보, 적절한 공개 등을 보장함으로써 절차의 투명성, 공정성, 합법성, 예측가능성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may not be a wise idea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o introduce the Emission Trading Scheme into Korea when its main rival states, such as the US and Japan has not yet induced the Scheme into their countries. The only countries that have imported the Scheme are those from the European Union (EU). However,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pressure pushing Korea to mandatorily decreas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makes it harder for Korea to solely ignore the problem on climate change. Regarding all this, rather than condemning the Scheme and being tossed around by the industries` views, it is necessary to seek a way to introduce the Emission Trading Scheme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introduce the Scheme and fully practice it as well in such a situation, there must be a delicate plan that will enabl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cheme. It is hard to find any measure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eclining competence of Korea`s industry in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Emission Trading Scheme. The law also lacks any device that can block dispute regarding the international trade law. It would be helpful to look into the ``conditioning access to domestic markets on the purchase of GHG emission allowances`` adopted by the Lieberman-Warner Climate Security Act of 2008. However, since such buy-in requirement has an element of unilateral trade restri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rade disputes through additional devices. If the buy-in requirement aims to prevent carbon leakage, reduce greenhouse gas and prevent climate change, it can be justified through the GATT Article XX`s exceptions. However, if it mainl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national competence, it can be regarded no more than a protectionism, thus it loses justification. Even if the WTO regime plans the Emission Trading Scheme quite delicately, if it forms arbitrary and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then it also may cause trade disputes. Regarding this, it is necessary to give serious and good faith attempts at negotiation with foreign countries before enforcing the measure. It is important for countries concerned to participate, provide opportunity to be heard and to respond, provide procedures for review or appeal, give opportunity to notify approval or denial, maintain transparency, equity, constitutionality, and predictability through appropriate level of publ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