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식에 대한 1인칭과 3인칭 접근법의 융합 가능성

        김영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0

        Normally consciousness indicates waking, attentive mental states. In order to pin down the nature of consciousness, there have been two distinct method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 and cognitive science, those two are respectively called “the first-person method” and “the third-person method.” According to Francisco Varela, phenomenological descriptive method represents the former, whereas brain science or neuroscience stands for the latter. It is noticeable that some scholars have recently proposed that those two approaches, in order for them to become a more proper study of consciousness, need to be somehow integrated. In this regard Varela puts forward the idea that the first-person and the third-person methods in consciousness studies should be combined or converged, in a way that can fulfill the condition of mutual constraints between the two methods. We can acknowledge and accept Varela’s view. But Varela’s specific claim that the way in which those two methods are integrated should be “mutual constraints” or “mutual determination” is so strong that it seems to be, rather, implausible. Concerning this matter, the author of the paper argues that the way in which convergence between the first-person and the third-person approaches to consciousness is made,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urrent aspects of the developments of philosophy and sciences, should be “mutual dialogue” or “mutual growth.” 통상적으로 의식은 깨어있거나 주의를 기울이는 심적 상태를 일컫는다. 그러한 의식의 본성을 규명하기 위한 두 대표적인 방법이 있다. 현대 심리철학과 인지과학의 맥락에서 그 둘은 각각 ‘1인칭 접근법’과 ‘3인칭 접근법’으로 불린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에 따르면 전자의 대표적 유형은 후설 버전의 현상학이며 후자의 전형은 뇌과학과 신경과학이다. 한편, 일단의 최근 학자들은 의식 연구가 더 큰 적실성을 갖기 위하여 그 두 방법이 융합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특히 바렐라는 이른바 ‘신경현상학’의 이념을 주창하면서, 의식 연구에 관한 한, 1인칭 방법과 3인칭 방법이 ‘상호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 방식에서 결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바렐라의 입장에 동의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융합 방식이 ‘상호 제약’ 또는 ‘상호 결정’이어야 한다는 주장은 너무 강한 그래서 오히려 그 적실성이 덜한 입장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현 시대 의식의 본성 문제에 관한 철학과 과학의 발달 양상을 고려할 때 1인칭과 3인칭 방법의 융합은 ‘상호 대화’ 또는 ‘상호 성장’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논의한다.

      • KCI등재

        동양 고전에서 사용되는‘心病’의 용례와 의미

        유권종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4 No.-

        Western people's understanding of diseases of mind which have been growing on the context of their culture or spirit and Philosophical consultation or logotheraphy aiming at healing them are outgrowth of their context. But is it possible to apply them to Korean people who belong to another context of culture or spirit? In order to grope a basis for quer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m, the concept of diseases of the mind and methods of healing the mind which are familiar to Korean people are surveyed in this paper. Many kinds of experience relating to the diseases of the mind and the history of conceptualization of them in the books from the Pre-Chin era to Sung China era, which seem to have taken part so long time and so deeply in making Korean people's experience of their mind. The main items of this paper will be proto-type of Chinese people's experiences of the mind in Chunqiu time, Experiences and principles of the mind of Confucianism and Taoism, and meaning and illustrations of diseases of the mind mainly on the context of the Confucianism. 서구인들의 문화적 정신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병통 현상과 그것을 치유하는 철학상담 혹은 로고테라피의 방법은 서구의 문화적 맥락의 소산이다. 그런데 과연 그것과는 다른 맥락에 속하는 한국인에게도 그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그 타당성을 따지기 위한 조건의 모색을 위하여 한국인에게 친숙한 心病의 개념과 治心의 방법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마음 경험의 성립과정에 깊숙하게 개입했다고 보이는 선진시대부터 송대까지의 유교, 도가, 불교 등의 서적에서 心病과 관련된 공통된 경험과 그것이 개념화되었던 역사와 그 의미를 고찰한다. 고찰의 순서는 첫째 춘추시대 중국인의 마음 경험의 원형, 둘째 春秋戰國시대의 마음 경험의 반성과 변화로서 儒家의 마음 경험과 마음 원리 그리고 道家의 마음 경험과 마음 원리를 살핀다. 셋째 심병의 용례와 의미에 관하여 유교 도가 및 불교를 비교하여 논하도록 한다.

      • Recreating the Past in the Present: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Challenges

        Brian Cherwick(Brian Cherwick ) 한국캐나다학회 2009 Asia-Pacific Journal of Canadian Studies (APJCS) Vol.14·15 No.-

        Museums that incorporate first-person interpretation provide their visitors with a dynamic means of engaging with the past. In order to accurately present the activities and physical surroundings of actual individuals, such museums must rely on detailed background research. What happens when the most direct connections to the past are not available: when the people to be portrayed, the settlements they lived in, and the industries they engaged in no longer exist?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specific individuals, their physical spaces and the objects used in their everyday lives can be obtained using creative methodological tools. This paper will discuss some of those tools as applied to one example from east central Alberta.

      • KCI등재

        실감콘텐츠 제작을 위한 1인칭 스토리텔링 교육방안 연구

        서현경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1

        In this paper, we propose to present a storytelling educ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content. The need is emerging in the content industry for realistic content along with technological convergence as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This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by COVID-19. In 2019, the government set up strategies to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announced "three major innovation strategies" in the content industry, and emphasized "fostering leading realistic content." Realistic content is a content that users can experience directly. It is first-person storytelling that should be dealt with as important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content.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storytelling classes conducted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a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literary works is described. Through this, we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realistic content. 본 논문은 실감 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술적 융합과 함께 실감 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COVID-19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저변 환경 속에서 2019년 정부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콘텐츠산업 3대 혁신 전략”을 발표하면서, ‘선도형 실감 콘텐츠 육성’을 강조했다. 실감 콘텐츠는 사용자의 직접 체험이 가능한 콘텐츠 영역이다. 실감 콘텐츠 제작에서 기술의 발전과함께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것이 1인칭 스토리텔링이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수업의 결과를 분석하고, 기존의 문학적 글쓰기에서 통용되는 1인칭 시점과의 변별점을 찾아내, 1인칭 스토리텔링이 실감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儒敎的 成就에 관한 現象學的 이해를 위한 시론

        유권종(Yoo, Kwon J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4 No.-

        본 연구는 유학 연구를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을 통해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여기서 말하는 현상학적 관점과 방법이란 특히 메를로퐁티의 인간과 세계의 접촉점으로서의 원본적인 체험인 ‘지각’체험을 현상학적으로 기술한다는 관점을 근거로 주장되는 것이다. 즉 유학자들에게서 이에 해당하는 체험들을 재정리함으로써 유교의 현상학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論語로부터 공자의 이러한 지각 체험들을 선정하여 지각 체험이 그의 학문적 방법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었음을 증명했다. 아울러 조선의 성리학자들 중에서 특히 退溪와 旅軒의 문집에 기록된 그들의 의식상의 체험들을 근거로 공자의 학문방법이 조선의 성리학에 전수되어 발전하였음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현상학적 관점에 입각한 연구는 인지과학적 연구방법의 일인칭방법론에 해당하며, 이를 유학사상 연구에 적용하는 것은 앞으로 유학의 학문적 자산을 현대화하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한국의 유학적 전통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계승하는 중요한 학문적 바탕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아울러 논의된 사항이다.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rgue necess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tudie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cused here is allied with the method of securing the inner world of experience by E. Husserl’s phenomenological ephoche a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perception experience by M. Merleau-ponty’s viewpoint. That is, to show possibility of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fucianism is the point of this paper. For the point, many sentences mentioned by Confucius in the Analects are tested for new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possibility is successfully argued with discovery that in the Analects such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more persuasive and proper wa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fucian learning. That’s because Confucius originally stressed on the change of experiential structure on one’s mind through long term self cultivation. And especially in Joseon Korea Dynasty the Neo-Confucian scholars had emphasized on such Confucius’ idea and commonly made efforts to improve the experiential structure of every mind and as results of the efforts many of them left many descriptions of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mind. Therefore, being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have been focusing on analyses of theories and evaluation of their advancemen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Confucian scholars’s experiences will shed lights on a new area of understanding of history of Confucianism. This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relevant to the first-person methodology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to future studies of Confucianism is believed to open a way to put the Confucian heritage into the context of present time sciences.

      • KCI등재

        On the Methodological Constrains that a Theory of Phenomenal Consciousness Ought to Adopt

        Young-Jin Kiem(김영진)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2 No.-

        철학자들과 과학자들 양자 모두 현상적 의식에 관한 바른 이론을 세우고자 시도한다. 하지만 그와 같은 이론을 건립하기 위해서, 현상적 의식이 개입하는 여러 다양한 현상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어떤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려가 먼저 필요하다. 이 점은 현상적 의식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채택해야 하는 방법론적 제약조건을 세밀하게 검토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와 같은 이론적 제약조건을 분명하게 밝혀내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현상적 의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규명과 연관한 두 방법론적 제약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한편으로, 현상적 의식에 대한 방법론은 최소한의 방식에서 자연주의적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현상적 의식 경험을 한 전체로서의 경험이 관계하는 여러 상이한 차원-말하자면, ‘뇌’, ‘뇌를 포함하는 신체전반’, ‘인간이 속해 있는 자연적ㆍ사회적ㆍ문화적 환경’의 제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 필자는 이 제약조건들을 패트리셔 처치랜드와 프랜시스코 바렐라가 제시하는 의식 이해 접근법의 명과 암을 검토함으로써 규명한다. 이러한 제약조건에 대한 해명은 현상적 의식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확립하는 데에 한 본질적 틀을 구성한다. Both the philosophers and the scientists hope to build an adequate theory of phenomenal consciousness. In constructing such a theory, however, some critical considerations of a methodology that can properly cope with various phenomena associated with such consciousness are needed. This, in turn, leads us to scrutinize some methodological constraints or norms that a serious research on phenomenal consciousness has to adop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at theoretical constraints thus considered. In the present paper I put forward two methodological constraints for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PC as follows: First, the methodology of PC needs to be minimally naturalistic. Second, it should deal with a phenomenal conscious experience on the different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as a whole, i.e. on the dimensions of, say, ‘the brain’, ‘the whole body that includes the brain’, and ‘the natural/social/cultural environments to which human beings belong’. I suggest these constraints by means of examining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Patricia Churchland’s and Francisco Varela’s ideas on how to approach consciousness. The explication of such constraints constitutes the cardinal framework for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for PC in question.

      • KCI등재

        龜巖 金慶長의 生涯와 學問

        劉權鍾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3 No.-

        龜巖 金慶長(1597~1653)은 旅軒 張顯光의 문인으로서 매우 덕행이 뛰어난 학자였지만, 그의 문집과 저술은 최근에 이르러 간행되었다. 이 글은 구암의 행적과 학문의 내용이 아직까지도 고찰되고 발표된 바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차적으로 그의 문집을 근거로 생애와 학문의 대강을 정리하여 설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고찰 내용은 그의 가계와 생애, 및 저술 등을 먼저 살피고, 이어서 그의 위기지학적 지향성과 그 구체적 내용을 재구성해보고, 아울러 그가 남긴 저술들 가운데 역학과 예학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역학에 관해서는 그가 남긴 도상들을 그의 전후로 등장한 타 유학자들의 도상들과 비교함으로써 그의 역학 도상의 표현적 특징을 살펴본다. 본고에서 특히 초점을 맞춘 것은 그의 학문적 과정을 위기지학으로 규정하고, 그 성취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소개하는 일이다. 이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방법이지만, 앞으로 유학자들의 학문세계를 더 진실에 근접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Kim, Kyung Jang(1597~1653) as a disciple of Jang Hyun Gwang was very famous for his virtuous conduct. But his collection of works has been published recently. There has never been any studies about his thoughts, learning and life. Therefore this study has a target to arrange the process of his life and events, and to introduce outlines of his learning. The items of this study will be as follows: The first category will be his lineage, his life, and writings. The second category will be his learning. This category has two lower categories. The first will be focused on his intention to morally accomplished self by the method of self cultivation and practise of Confucian proprieties. The second will be focused on his learning of the Change and of the Confucian proprieties. And giving attention to his 6 diagrams that have symbolized principles of the Change, this paper tries to compare these to the other scholars ones and so will explane the features of his diagram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paper is to define his learning as so called in the rhetoric of Confucianism Wi-gi-ji-hak(爲己之學), which means self organization of one's moral personality by the method of self cultivation and to distinguish the steps of his learning developed. This method has never been applied, but this is expected to become a effective method for explanation of the truth of the Confucian scholar‘s world of 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