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요소 평가 요소 구축

        이샘(Lee, Saem),박경진(Park, Kyung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감성디자인은 지금까지는 주로 공산품에 한정하여 적용되었지만 근래 들어 “공간” 에 대한 디자인이 공간속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이미지와 매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에 관해 “감성디자인”이 화두가 되고 있다. 감성디자인(Emotional design)이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개성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디자인 방법을 말한다. 특히 실내 공간에서의 감성디자인은 이용자가 어떤 형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 욕구를 공간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물리적 디자인 요소와 연결시켜서 디자인 요소의 특성을 이미지나 감성 욕구에 알맞게 결정하는 디자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기능보다는 자신의 감성에 이끌려 가치를 부여하는 소비 형태가 등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감성을 자극하고 휴식과 위안을 주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간영역에 있어 인간의 감성이 중심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감각이론을 통한 감성자극요소인 표현감각 연출 특성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또한 실내공간디자인요소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크게 구조적요소, 가구 요소, 장식적 요소, 조명연출요소, 색채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각 구조 요소마다 빈도수가 높은 요인들로 추출하여 표현감각연출 요인들과 관계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항목으로써 실내공간디자인요소에 관계를 통해 평가항목시트를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감성이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연출에 대한 평가로 감각표현에 따른 실내디자인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Emotional design is so far mainly industrial products applied in the case, but days have become a “space” for the design of products sold in the space images and sales. A lot of influence growing perception is that,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space is increasing. Specifically in relation to how will design the space has become an issue at “Emotional Design”. Emotion Design to (emotional design) Iran, idiosyncrasies and consumer needs of diverse as emotional design to apply to the need to design Method of consumers. say.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Space, in particular is image that has for some sort of a specific physical design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nd emotional needs. Image or emotional needs of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for determining design and technology can do it. Further, such function than the pattern of consumption is to assign a value of the sensitivity of the emerging trend. Therefore, it stimulates the emotion and relaxation and comfort consumers need space. As a result, located in the space area were the center of the human emotion, Rudolf Steiner (rudolf steiner)at this point being directed Emotional Elements of expression through the senses theory. I would like to make the attribute.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is also lead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via big structural elements, furniture, decorative elements, as classification, and each color, of lighting design elements. structural elements every sense and expression as factors which has high production factors and about the relationship was required. This study is assimilated with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of Interior Space by the space design for the evaluation item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sheet presented based on this. Emotional is assimilated with the space design with an assessment of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ense of interior design elements can provide.

      • KCI등재

        공공공간의 써피스 디자인 감성표현 연구 -어린이 놀이공간을 중심으로-

        치아오슈앙 ( Qiao Shuang ),이수영 ( Lee Su 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기는 생애 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환경은 아동들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대 사회적으로 다변화된 환경에서 어린이 놀이 공간은 대부분 비슷한 형태를 유지해왔으며, 공간기능이 단순하여 어린이 놀이와 아동들의 성격 발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어린이 놀이 공간디자인은 놀이 공간뿐 아니라 감각적이고 재미있는 교육공간이 되어야 한다. 써피스 디자인의 표현요소는 시각과 촉각의 감성표현에 중점을 두어 어린이를 더 매료시킬 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성장 욕구를 만족시키다. 써피스 디자인은 어린이 놀이 공간와 공공공간디자인에 새로운 연구적 의미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감성 디자인의 정의와 과정을 분석하고 기존 어린이 놀이 공간의 개념과 아동 욕구를 연구했다. 둘째, 아동의 욕구와 감성 디자인 내용에 따라서 어린이 놀이 공간과 써피스 디자인의 관계를 정리한다. 셋째, 설계사례를 토대로 전통적 놀이터 3곳과 창의적 놀이터 8곳 등 총 11개 사례를 재질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에 따른 비교 결과을 도출하고, 놀이 공간에서 써피스 디자인의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써피스 디자인이 아동 놀이 공간의 감성적 표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아동 놀이 공간디자인의 제시와 방향에 대하여 연구적 의의를 탐구한다. (결과) 어린이놀이터 사례 분석 결과 전통적인 놀이터는 실용성과 기능성을 강조한 반면 조형 형태가 단조롭고 획일적이며, 전체적으로 심미성이 낮은 수준으로 평가됐다. 조형미가 부족하여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창조적 놀이터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 다양한 유형의 흥미로운 표면 형태가 높게 평가됐다. (결론)감성적인 써피스 디자인은 어린이들이 놀이 공간에보다 빠르고 쉽게 적응하게 하고, 어린이 공간의 교육적 의미를 실현한다. 어린이 놀이 공간은 써피스 디자인 요소가 들어가 되어 있으며, 어린이들의 놀이 공간이 놀이만 가능한 공간에서 미적 감성을 높일 수 있는 감성 공간으로 변화한 것도 놀이 공간디자인 자체에 혁신적이다. 감성 디자인이 적용된 어린이 놀이 공간은 써피스 디자인과 어린이 놀이 공간 모두에 새로운 시지각적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hildhood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development in an individual’s life, and the environ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hysical and mental growth of children. However, in current times, most children’s play spaces maintain a similar shape, and these spaces only have a single function, which cannot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children’s play and character development. The design of children’s game spaces in the future should not only meet the function of children’s games but should also be designed as emotional and interesting educational spaces to meet their growth needs. The presentation element of the surface design focuses on visual and tactile emotional expression, which not only makes children more fascinated but also satisfies their growth needs. Surface design has a new research significance for children's play space and public space design. (Metho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and process of emotional design are analyzed, and the concept of existing children’s play space and children’s needs are studied.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space and surface design according to children’s needs and emotional design content. Based on the design examples, a total of 11 examples, including three traditional playgrounds and eight creative playgroun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aterial classification. Finally, the role of surface design in the play space was described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ampl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surface design, which affected the perceptual performance of children’s play space,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children’s play public space design were explored. (Results) The case analysis of children’s playgrounds showed that traditional playgrounds emphasized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In contrast, the surface had few expression elements, a monotonous shape and form, and a low overall aesthetic. Due to the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elements, the level of spatial emotional design was low; therefore, the attraction to children was reduce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reative playground cases showed that a variety of interesting surface expression elements were reflected in the cases, and the emotional design level of the amusement park was improved; therefore, the amusement park received a high evaluation. (Conclusions) The emotional surface design allows children to adapt to the play space faster and more easily and realiz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hildren’s spaces. Thus, children’s spaces, which contain rich emotional expression elements of surface design, are transformed from a space that can only play games to a perceptual space that can improve aesthetic sense, proving innovative for the game space design itself. In summary, the emotional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s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surface design and children’s play spaces.

      • KCI등재후보

        건축 타일의 감성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조충휘 한국도자학회 2011 한국도자학연구 Vol.7 No.2

        Recently, along with emerging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products, the architectural tile design in its pure functional arena has tended to move toward the direction to pursue the emotional design. And consumers seek the products that will fit into their emotions or aesthetic pleasure, so the emotional factors occupy important position in making a purchase decisi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color of architectural tile can be found by means of the emotion analysis of the tile colors which applied according to space, and the emotional key words will be applied as it is by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space being used.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architectural tiles now being sold into ‘Centralized’, ‘Decentralized’, ‘Continuous’, and ‘Front Type’ according to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surface design of the architectural tile and also investigated those emotional factors that applied to the design by discover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each image design. The reason for classifying the emotional design process into four phases; such as ‘Basic Survey’, ‘Emo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is to provide a help for design development which will fit into consumer psychology in this modern worl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uman emotions in design development phase, and applying it thereto. Architectural tile manufacturers are making use of emotional factors in th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because they know the fact that production of emotional-design products affects sales promotion activities. However, it is the time to develop a more specific process. The industry concern is needed to exert more efforts in order to promote these tile products and also to increase its purchase from consumers and construction firms as well by producing superior quality architectural tiles which are featured with high degree of emotion owing to utilization of emotional design process. 최근 사람과 제품 사이에 관계성의 중요도가 부각되면서 건축타일의 순수 기능적인 부분에서 감성디자인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옮겨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본인의 감성에 맞는 상품을 찾고 구매를 결정하는데 있어 감성요인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건축타일의 색에 대한 감성적 특징은 공간별로 적용되는 타일 색의 감성분석으로 찾아낼 수 있으며, 감성키워드는 사용 공간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적용되어 진다. 또한 현재 판매되는 건축타일을 표면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집중형, 분산형, 연속형, 전면형으로 분류하고 각 이미지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특징을 찾아내어 디자인에 적용 되는 감성요인을 연구하였다. 감성디자인 프로세스를 기초조사, 감성분석, 디자인개발, 생산의 4단계로 분류한 것은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 감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용하여 현대 소비자 심리에 맞는 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주고 타일 프로세서의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감성디자인 제품 생산이 판매 촉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하여 건축타일 생산 업체는 디자인 개발 과정에 감성 요소를 활용하고 있으나 좀 더 구체적인 프로세스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감성디자인 프로세스 활용으로 감성도 높은 양질의 건축타일을 생산함으로서 소비자 및 건설업체의 구매촉진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실용 도자의 감성 디자인에 관한 연구

        왕우철 한국도자학회 2022 한국도자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d analyze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theory on ceramic design. Based on the three stages of emotional design proposed by Donald Norman, an American psychologist, this paper selects practical ceramics closely related to People's Daily life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discussion of excellent cases, I hope to explore the specific way of the combination of ceramic and emotional design theory, which is a new attempt in the field of ceramic design.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y of emotional design for the importance of the ceramic design, through the emotional expression of emotion, ceramics and emotional design concept and theoretical analysis, this paper expounds the emotional and aesthetic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ization, personalization and fashion, and the professor Norman's emotional design on different layers of in-depth study. Finall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 series of classic design cases, the basic expression types of ceramic emotional design are summarized, and the general method of ceramic emotional design is discussed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which is meaningful from this point of view. 본 연구는 도자 디자인에 대한 감성 디자인 이론의 영향과 의의를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미국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Donald Arthur Norman)이 제기한 감성 디자인의 세 단계를 근거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실용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감성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우수한 사례에 대한 탐구를 통하여 도자와 감성 디자인 이론을 결 합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모색하는 것은 세라믹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시도이다. 본 논문은 도자 디자인에 대한 감성 디자인 이론의 중요성을 탐구하였으며, 감정, 도자의 감정표현 과감성디자인등의개념및이론을해석하였다. 이를통해감성디자인과심미, 조형, 기능성등의 관계를 논술하고 노먼 교수의 감성 디자인 세 단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전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수한디자인사례의비교분석을통해도자감성디자인의기본표현유형을귀납하고, 이론적시각 에서 도자 감성 디자인을 탐구하였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최은신(Choi, Eun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엑스포는 시대적 패러다임을 빠르게 반영하며 그 전시체계도 진화하여 왔다. 미래의 발전상을 다루어왔던 창조의 장으로써의 엑스포는 21세기 들어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하는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엑스포 파빌리온이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볼 때, 시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엑스포 파빌리온에 대한 디자인 접근방법으로써 감성디자인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 감성디자인의 의미를 파악하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을 밝힌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 표현특성을 도출하고,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 요소와 연관하여 분석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의 결과를 종합한다. 연구의 범위는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2015년 밀라노 엑스포의 국가관으로 한정한다. 공간에서 감성디자인 특성과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요소와의 연계를 통한 감성디자인 표현의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개념을 표현하는 상징성, 공간 프로그램에서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지원성, 공간 구성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는 장면성과 연속성이다. 감성디자인 표현 사례의 분석결과, 파빌리온의 조형성을 표현하는 상징성은 형태의 오브제화, 이미지의 형상화로 나타나며, 공간 프로그램을 통한 지원성은 참여를 통한 경험의 강화, 다중적 의미 생성으로 나타나고, 공간구성을 통한 장면성과 연속성은 비일상적 장면 구성, 비결정적 시퀀스 구성으로 나타난다.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풍부한 체험과 그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표현의 의미는 감성의 자극을 통해 엑스포의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관람객의 정서적 만족감을 갖게 됨과 동시에 세계가 다루는 공통의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은 현 시대가 지향하는 엑스포 패러다임에 부응하며, 엑스포의 문화적 가치가 만들어가는 디자인접근 방법이라 하겠다. Expo has reflected the contemporary paradigms in a timely manner. As a result, Expo"s exhibition system has evolved accordingly. As the realm of creation that has dealt with the future developments, Expo has been evolving into the realm in which the alternatives to various problems the world is facing in the 21st century are sh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significance emotional design has as a design approach method in relation to the Expo pavilion reflecting the contemporary paradigms if Expo favilion is deemed as an important tool to create communications with spectator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re represented. In regard to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is to b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need for an emotional design approach is to be reveal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cedent studies are to b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dedu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and also presenting the analysis criteria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Lastly,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re to be examined and summarize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avilions at Expo Shanghai 2010 and Expo Milano 2015. Following 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symbolism for expressing design concepts, support for inducing interactions with spectators in a spatial program and scene and continuity for inducing diverse experience of spectators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ase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symbolism expressing the formativeness of pavilion was represented as an objet of a form and also as a shape of an image, whereas support through spatial program was represented as reinforcement of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and generation of multiple meanings. Lastly, scene and continuity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were represented as configuration of non-routine scenes and non-deterministic sequences.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creates diverse communications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spectators. In doing so, they can create a wealth of experiences along with the values thereof.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t Expo pavilion is as follows. Spectators can have emotional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diverse meanings and values in relation to the themes of Expo through stimulation of emotions. At the same time,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the alternatives to the common problems, with which the whole world is dealing. On that account, emotional design can be said to fulfill the Expo paradigm of the present day. More importantly, it can be regarded as a design approach method to create the cultural values of Expo.

      • KCI등재

        디자인 트렌드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감성디자인

        이명희,차태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Information System is revolutionary developments brought changes in the production line manufacturing system is expected to bring a lot of changes in the future also in human life. Among the biggest thing that mad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trends in accelerated consumer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Information Point. This is a result of the ongoing even now, even in the design, marketing is an important issue. And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Age of Sensibility to the present day, with the information. Industrializ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caused by excessive materialism prevails As we enter the era of mass production in the mechanized era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Relatively popular in the material prosperity enjoyed in these situations has been the question of what is truly human life, was looking for different ways to solve this problem. One of those ways is a return to sensibility society. It is also emerging storytelling with it. Because, simply showing the old-fashioned sense of design is not possible to move the hearts of consumers. By coating the story in the design or the product because it is able to generate another story. This study explores the consumption environment of social change and consumer trend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design found in modern design. And learn about the emotional design through the pros and cons of emotional design, looks at the emotional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design. Also investigate the emotional storytelling that household design practices. Finally, discussions will be on the emotional side and bring any results are applied to the design of storytelling. In conclusion, should contain the emotional design is your fitness and aesthetics, feelings and emotions. Also doubles the excitement of the consumer by giving the story through storytelling here. And consumers will live the dream with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정보화 시스템은 혁신적 발전은 제조업의 생산라인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왔고 앞으로 인간생활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것은 정보화라는 사회적 환경에 맞추어 소비자들의 소비패턴과 트렌드의 변화가 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현재에도 진행 중인 결과이며,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현 시대를 정보화와 더불어 감성의 시대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산업화ㆍ기계화 시대에서 대량생산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지나친 물질주의의 팽배로 인한 정서적 피폐 현상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상대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는 대중들은 진정한 인간적인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방법 중에 하나가 감성사회로의 회귀이다. 또한 이와 함께 대두되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단순히 디자인의 고풍스러움을 보여 주는 것만으로는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 디자인 혹은 제품에 이야기를 입힘으로써 그것은 또 다른 이야기를 생성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트렌드의 변화와 소비자의 소비 환경에 대해 알아보고, 현대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감성적 디자인의 장단점을 통해 감성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감성디자인을 위한 스토리텔링 적용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감성적 스토리텔링이 정용된 디자인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디자인에 감성적인 면과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논의 한다. 결론적으로 감성디자인이란 사용자의 적합성과 심미성, 감정과 감성을 담아야 한다. 또한 여기에 스토리텔링을 통해 이야기를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감동을 배로 늘리는 것이다. 그리고 소비자는 제품을 통해 만족과 함께 꿈을 사는 것이다.

      • KCI등재

        情感化设计在室内纤维装饰品设计中的应⽤研究

        张潇丹 ( Zhang Xiaodan ),韩善珠 ( Sunju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情感化设计的研究是有必要性的, 其目的是在现如今这样一个生活节奏日渐加快, 网络技术的快速发展在带给人们便利的同时, 也在一定程度上造成了人类情感的缺失, 所以设计的产品大多为了满足使用需求与经济利益而忽视了精神价值, 所以本论文提出情感化设计的重要性。研究意义是当今社会, 社会物质极大的富足, 人们的精神也越来越被重视起来, 精神需求由单纯的使用层面开始转向了人, 其设计理念由“形式追随功能”的同时逐渐变为“形式追随情感”。本论文的研究方法以纤维设计中情感化设计为出发点, 主要从纤维设计在室内装饰品中的情感表达展开研究。具体从室内纤维装饰品设计的色彩质感、绿色环保等方面情感需求分析, 深入分析其在设计中情感化的重要性。探讨如何将我们自身的情感运用在纤维设计之中的必要性。 Emotional design studies is a necessity, the purpose of which is in such an increasingly accelerate the pace of life today,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in brings people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also to a certain extent caused the lack of human feelings, most products designed to meet the use requirements and economic interests and ignore the spiritual value, so this paper puts forwar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design. In today’s society, people’s spirit has been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due to the great material affluence. Spiritual needs have shifted from the simple use level to human, and its design concept has gradually changed from “form following function” to “form following emotion.” Starting from the emotional design in fiber design,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emotional expression of fiber design in interior decoration. Specific from the interior fiber decoration design color texture, gr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other aspects of emotional needs analysis, in-depth analysis of its emotional importance in the design. Explore how we can apply our own emotions to fiber design.

      • KCI등재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감성소비와 패키지디자인 연구

        오용균 ( Oh Yong-k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감성소비의 사회가 대두됨으로써 소비자의 상품 선택 기준이 이성보다는 감성을 우선시하게 되었다. 감성소비, 감성경영, 감성마케팅, 감성소구 등 감성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감성트렌드가 새로운 시대 조류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이에 기업은 감성소비라고 하는 새로운 소비 성향에 대한 전략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들은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서 패키지디자인을 적극 활용하고 있고 그에 따른 감성적 패키지디자인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변화하는 소비시장에서 감성적 패키지디자인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표현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어떠한 의미작용을 일으키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감성소비에 감성적 패키지디자인이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사례로서 감성적 패키지디자인의 경향 중 순수 예술사조로서의 미니멀리즘, 언어학에서의 스토리텔링, 감성마케팅차원에서 감각의 활용이 주는 각각의 특성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앞으로 보다 발전적인 차원의 패키지디자인이 되기 위해서는 고객 감성에 대한 지속적이고 이성적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른 감성소비성향을 바탕으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된 다양한 느낌과 컨셉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하여 제품구매를 유도하고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 패키지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As society of emotional expression arises from the evolving consumption environment, selection criteria for goods by consumers puts emotion in priority over rationality. As the importance of emotion gets higher including emotional consumption, emotional management, emotional marketing, emotional appeal, etc., emotional trend is being positioned to be the tide of new generation. Therefore, packaging design strategies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appeal must be sought to meet consumers` appetite and emotion. Consistent and rational analysis about customers` emotion is needed to be emotional packaging design in a further advanced dimension. Treats from this research and character is like this and to do, the emotional package design having what kind of quality from the consuming market which changes and being expressed and appearing, examined about gets up what kind of meaning action. Also, the goal tries to observe is about affirmative the sensitivity package design affects in sensitivity consuming. Herein, trend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features from case-studies, in which five senses are applied in the dimension of minimalism as the trend of high art, storytelling in linguistics, and emotional marketing, are expressed in packaging design. For this purpose, based on emotional consumption pattern by the evolving consumption environment, radical comparison analysis about case-studies and trends applied to emotional packaging design is needed. By applying each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it to packaging design, emotional packaging design must be what leads consumers to purchase of goods with diversified impressions and concepts differentiated from other goods, and comes across very well for consumers.

      • KCI등재

        감성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혁신적 포괄적 디자인

        최수신 ( Soo Shin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08 감성과학 Vol.11 No.4

        첫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을 진정으로 포용적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들이 사용자들에게 그다지 매력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사용성의 개선에 치중하면서도 제품과 사용자를 연결해 주는 감성적 가치를 간과하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크게 하는 등의 사용성의 개선책은 때로 제품을 매력이 없고 관심을 끌지 못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원래의 의도와는 달리 포용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게 된다. 감성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재미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기 즐거운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감성적 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호감을 증가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연결감을 고양시키고, 이러한 감성적 연결감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즐겁게 할뿐만 아니라, 사용 방법을 배우는 것 조차 즐겁게 만든다. 또한 제품에 대한 주의를 높이고 지루함을 줄여서 사용성에 따르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 준다. 더 많은 사람이 즐겁게 사용한다면 그 제품의 포용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두번째 질문-포용적 디자인은 혁신적인 상품성이 있을 수 없는가. 대개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은 혁신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새로운 시장 기회를 만들지 못한다. 감성적 접근방법이 사용자 측면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라면, 혁신적 디자인 접근 방법은 시장에서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이는 더 많은 기업의 포용적 디자인 제품의 개발을 촉진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용적 디자인에서의 감성적 디자인 방법의 효과를 조명하고, 감성적 디자인 접근 방법이 포용적 디자인 제품을 혁신적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룬다. 또한 제시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러한 과정의 사례를 보여준다. First question: What makes inclusive design truly inclusive? Most inclusive design products are far from being appealing to their intended customers. This is mainly because designers are typically concerned with enhancing the usability, and not the emotional value that cre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 and the users. Typical solutions are larger displays and larger buttons, and these solutions often make the product less tasteful, graceful, and favorable. As a result, such products become less inclusive, veering fro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designers. Emotional design is not about making fun products, but about enjoyable products. Positive emotional design increases the affection value in products that enable users to create emotional connection with products. With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user can engage in learning about the product as well as enjoy using the product. This can also resolve most usability issues by increasing the attention level and decreasing boredom. When more people feel that a product is enjoyable, it becomes more inclusive. Second question: Can`t inclusive design have innovative value? Most inclusive design products are far from being innovative, and thus, they cannot create market opportunities. While emotional design approach increases value for users, innovative design approach creates value for the businesses. This will eventually promote development of inclusive products. This paper discusses the benefits of emotional design approach in inclusive design. It also argues how emotional design can help make inclusive design more innovative. Accompanied exemplar design process illustrates how emotional design contributes to inclusive design and how it leads to innovative products.

      • KCI등재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의한 DMB 휴대폰 디자인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하나의 디자인이 완성되기까지는 수많은 요인들이 충족되어야한다. 그 요인들 중에서 매우 중요한 것은 첫째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즉 사용자(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사용자의 생활과 디자인 가치를 함께 높일 수 있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으며, 둘째로는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와 향후의 변화를 정확히 조사, 분석, 예측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여 사회와 인간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도 여러 요인들이 많이 있지만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먼저 선택되어야할 과정이 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조사, 분석, 예측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를 보면 환경친화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감성디자인, 디지털 컨버전스 디자인, 미니멀리즘 디자인, 네오 아날로그 디자인,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등의 트렌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최근에는 감성디자인 트렌드가 가장 많이 디자인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DMB 휴대폰을 선정하였으며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이 어떻게 적용되며 그에 따른 트렌드 키워드 이미지 들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창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정들을 실제 디자인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DMB 휴대폰의 특징에 따른 감성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를 분석 도출하여 이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어떻게 접목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감성디자인 트렌드에 대한 연구와 함께 연구 분석된 감성디자인 요소를 DMB 휴대폰 디자인에 적용하여 신개념의 DMB 휴대폰 디자인을 실제적인 디자인 개발과정을 통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DMB 휴대폰에 대한 개념과 감성디자인 트렌드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성디자인 트렌드를 접목한 실제적인 DMB 휴대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범위를 정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디자이너들이 감성디자인 트렌드 요소들을 신제품 디자인 개발 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 numerous elements will have to be fulfilled until a design is completed. The most critical element, among others, is the user-oriented design, that is, a design that will enhance the user`s life and design value by fulfilling user`s (consumer`s) needs. Secondly, it shall be able to accurately investigate, analyze and forecast the changes to current design trend as well as the trend in the coming days so as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design, making commitment to the society and the people. Besides, the process to be adopted the first, among many other elements, is the investigation, analysis and forecast of design trend. Viewing the current design trend, included in the leading trends are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user interface design, emotional design, digital convergence design, minimalism design, neo analogue design and entertainment design. And emotional design trend, among other design trends, has been applied the most to design development. In this study, DMB mobile phone design was selected as the product that makes use of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the most, and the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have been applied in DMB mobile phon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evaluate the process to identify the commitment by the trend keyword image to creating the idea for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real cases of the design. The study thus was aimed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DMB mobile phone so as to identify the tre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for design development of DMB mobile phone, thereby working out the measures for incorporating it into the DMB mobile phone design. Hence, the study was intended to apply the emotional design elements analyzed together with the current study on emotional design trend so as to propose the new concept of DMB mobile phone design in the actual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gn. When it comes to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they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ocuments and the scope of study was determined in such a way to proceed it through the actual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incorporating emotional design trend. The outcome of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great commitment to developing the design industry when the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trend are utilized by the designers for developing the new product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