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권 남용에 관한 시론적 고찰(대상판결: 대법원 2011. 1. 27. 선고 2009두1051 판결)

        정기상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7

        This paper is a commentary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9Du1051 decided January 27, 2011. This decision held that in a case following the authorization of taking a business where ① the business does not have public interest any more, ② balancing of interests does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③ the operator of the public business does not have intent or ability to carry out the business any more, it is not permissible to exercise eminent domain vested by authorization of taking of the business. This decision suggested a means to deny the effect of 'authorization of taking' substantially by disallowing the exercise of eminent domain. This decision called this principle 'the abuse of eminent domain'. But this decision also has inherent limitations. It restricted the scope of ‘abuse of eminent domain’ to cases that defects as abuse of eminent domain occur ‘after authorization of taking for the business’. Only when the business satisfies public interest is it justifiable to take lands without the owners' will. Exercising eminent domain over businesses without public interest must be prevented, and the principle of ‘abuse of eminent domain’ can be widely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trol over exercise of eminent domain. I believe that there is no rational reason for restricting the scope of ‘abuse of eminent domain’ to cases where abuse of eminent domain occur ‘after authorization of taking for the business’. 일정한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사인(私人)으로부터 재산권을 강제로 취득할 필요성과 사유재산의 보장이념은 서로 충돌하는 국면에 있고, 헌법 제23조 제3항은 이러한 상충국면을 조율하고자 당해 사업에 ‘공공필요’가 있는 경우에 정당한 보상을 거쳐서 재산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공공필요’의 존재는 사인의 재산권을 강제로 취득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기능하는 셈이고, 수용절차에서 공익성의 검증은 수용의 존립근거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그 절차 전반에서 견지되어야 한다. 일정한 사업을 공익사업으로 인정하여 사업시행자에게 수용권을 부여하는 처분인 사업인정은 목적사업에 관한 공익성 판단의 집적체이다. 따라서 공익성의 검증기제 역시 사업인정의 효력을 다투는 것을 중심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해관계인에 대한 사업 관련 정보의 제한적 제공, 사업인정과 수용재결의 엄격한 분리(단절) 등과 같은 현실적·법리적 제약들은 사법심사에 의한 공익성 통제의 영역을 상당히 좁혔다. 사업인정의 내용이나 사업의 목적 등에 관한 토지소유자 등 이해관계인의 충분한 이해와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제소기간의 경과 등으로 더 이상 사업인정의 취소를 구할 수 없게 되었다면, 그 이후에 이루어진 수용재결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으로 당해 사업의 시행을 불가능하게 할 수 없다는 결론이 공고히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대상판결은 ‘공익성의 흠결’을 들어 수용재결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으로 사업인정을 무력화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고, 그것이 ‘수용권의 남용’ 법리이다. 이로써 사법심사에 의한 공익성 검증영역의 실질적인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사업인정 이후에 발생한 공익성 흠결의 하자, 즉 후발적 하자만을 수용권 남용의 법리 내로 포섭한 대상판결의 결론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당초 공익성을 결한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수용절차를 강행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이상, 그 존립근거를 찾을 수 없는 수용권의 집행을 배제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수용권 남용의 법리가 폭넓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minent Domain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Kelo v. New London 사건 분석

        신평 ( Pyung Shin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6 世界憲法硏究 Vol.12 No.1

        Eminent Domain has been a great matter of interest in American society. The 5th Amendment stipulates about eminent domain, meanwhile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23 (3) provides it. Both of the provisions have similar meanings in spite of trivial differences on the forms. In America, opinions have divided over the boundary of eminent domain, especially over private development, which means, in short, a private entity, for example a corporation for private profits projects public development plan. To speak roughly, there has been the conflict between two opinion, the first being what in the case of private development, permit a broader generosity of eminent domain, whereas the second being what gives more importance on private property, so to speak, having eminent domain get more difficulty. Judicial decisions also have been divided, but the main stream being the former. June, 2005 the American Supreme Court eventually adjudicated one more time on this matter in Kelo v. New England, which attracted a great attraction of American society. The majority of 5 to 4 concluded for the former. But powerful dissents was attached. It particularly stressed the sacrifices of the social weakness and ethnic who don`t have proper influence on the process of eminent domain. And this is verified by vivid, corroborative evidences. In interpreting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23 (3),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give a full heed to the American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eminent domain so that the property of the social weakness couldn`t be victimized unfairly under the name of void public welfare.

      • KCI등재후보

        토지수용이 야기하는 사회적 비용 - 우리 토지수용법제의 구조적 문제와 개선방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

        조병구 한국법경제학회 2014 법경제학연구 Vol.11 No.2

        Two basic requirements of eminent domain are public use and just compensation. If those requirements are not fully abided by, social costs rise. Eminent domain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mpulsoriness and deprivation, so it causes the loss of subjective value of land owners. Furthermore, if there are defects in the eminent domain system itself or running the system, they can cause social costs like costs of project failure, costs of project cancellation, costs of legal procedure, demoralization costs, etc. Thorough verification of public use term by legislature, administration and judiciary is essential. To fulfill the just compensation principal, amendment of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standards is needed. And granting some subjective premiums to land owners to a certain amount can be considered to reduce the social costs caused by eminent domain. 토지수용의 기본원칙인 공공필요와 정당한 보상이 토지수용법제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할 경우 이로 인하여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토지수용제도 자체가 재산권을 강제적으로 박탈하는 본질이 있어 피수용자에게 주관적 가치의 상실이라는 비용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제도 및 그 운영상 결함으로 인하여 사업의 수익성 상실로 인한 비용, 사업취소로 인한 비용, 불복절차 비용 그리고 탈도덕화 비용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입법적, 행정적, 사법적 단계에서 공익성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것이 우리 토지수용법제의 현 상황이고, 공시지가 기준원칙 및 개발이익 배제원칙에 따라 보상금이 산정됨으로써 저가보상 혹은 과다보상의 우려가 상존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바람직한 토지수용법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공익성의 철저한 검증, 사법적·사후적 통제의 확대, 협의절차의 실질화 등 절차권 보장, 적정한 수준에서의 주관적가치상실 보상의 인정 등의 보완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Condemnee Repurchase Rights Law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프리만, 트로이 크리스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0 No.3

        Private property rights have long been numbered among some of the most revered human rights and are enshrined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charters. Nevertheless, private property rights are often abused by governments,particularly when they exercise eminent domain powers. One way to assure that eminent domain power is not abused is to assure that it is used to take property only for public use. Condemnee repurchase rights allow those who have had their property taken by government to reclaim it if the condemning authority fails to use the property for its stated public purpose and can protect the public use requirement of reasonable eminent domain laws. This article explains the need for condemnee repurchase rights in the context of the condemnation practices underlying the development involved in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s 2005 Kelo decision and the ill‐fated Seattle Monorail Project. The failure of both projects and the injustices to condemnees involved in both demonstrate the need for condemnee repurchase rights. The Seattle Monorail Project, in particular, highlights the extremely negative burden placed on condemnees who are allowed only to re‐purchase condemned land at market prices at public auction. Even though condemnees only lost their property to the condemning author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 rising real estate market allow the government to claim windfall profits on the backs of ordinary citizens. Before the stark injustices manifest in Kelo and the Seattle Monorail Project are forgotten,jurisdictions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should make sure their condemnee repurchase laws meet the criteria set forth herein. After Kelo, over 40 stat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hanged their laws to better protect condemnees. Most of the focus of such laws focused on restricting the ability of government to use eminent domain to acquire private property for private use. Some also addressed condemnee repurchase rights as well. Remarkably, the State of Washington, the home of the Seattle Monorail Project’s injustices, has failed to enact any post‐Kelo or post‐monorail laws to protect condemnees. While the Washington State’s attorney general did appoint a commission to look at such issues, the legislature has failed to act. Beyond discussing Washington State’s failures, this article reviews and analyzes the repurchase rights laws (or lack thereof) of a few select jurisdiction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Guam, Nevada and New York, as well as the Republic of Korea, and suggests (i) that condemnee repurchase laws should more uniformly protect condemnees in all jurisdictions and (ii) which provisions of such laws are most favorable to the preservation of condemnee rights while maintaining the government’s ability to properly exercise its power of eminent domain. Each of the selected jurisdiction’s statutes a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five fundamental questions: (1) What conditions should trigger a condemnee’s right of first refusal or other repurchase rights? (2) Who has to instigate the reversion or resale procedure, the condemnor or the condemnee? (3) Who instigates the reversion or resale procedure, the condemnor or the condemnee? (4) How long should repurchase rights last and should they be extended for any reason? (5) What should the re‐acquisition price paid by the condemnee be? (6) What impact should (a) improvement or changes on the property or (b) only partial use of condemned property have on a condemnee’s repurchase rights? In the context of the questions raised, major advantages and deficiencies in each of the statutes analyzed are noted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are made.

      • KCI등재

        경제개발을 위한 사인의 재산권수용의 합헌성 논의

        석인선(Seok, In-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8 No.-

        우리 헌법 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수용은 반드시 공공필요에 의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선언하고 있다. 공공필요의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공용수용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특정한 공익시설의 설치뿐만 아니라 공공성이 큰 사인의 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도 허용될 수 있는지, 즉 사인을 위한 공용수용이 헌법상 공공필요에 합치하는가 하는 점이다. 2009년 9월 24일 헌법재판소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 등 위헌소원 사건에서 우리 헌법상 수용의 주체를 국가로 한정한 바 없으므로 민간기업도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산업입지의 공급을 통해 산업발전을 촉진하며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때문에 민간기업에게 사업시행에 필요한 토지 수용이 허용된다고 선고하였다. 미국의 경우 연방수정헌법 제5조는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 재산을 공적 사용을 위해 수용당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공적 사용을 위해 개인의 사적 재산권을 수용한 권한을 가진다. 20세기 중반이후부터 미국정부는 사회간접시설의 건설이 완성되고 공적 시설들이 더 이상 빈약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여전히 수용권을 발동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수용을 공적 목적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인을 위해서 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오히려 개인들의 주택들이나 사업들이 정부에 의해서 수용되어서 해당토지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을 추구할 목적으로 또 다른 사인에게 이전하는 것이 일상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사인 수용의 증가추세와 이와 관련된 법적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고 미국 등 외국에서도 재산권과 관련하여 많은 헌법적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사인에 의한 수용에서 공공필요성이 약화될 때 따르는 위헌성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던 미국의 경우 미연방대법원의 Kelo v. City of New London판결 이후 사인에 의한 수용에 대한 미연방정부, 주 정부들의 대응을 고찰하는 것은 재개발과 같은 사업을 위해 그러한 사업에 대기업을 참여시키면서 수용권을 부여하는 것이 자주 문제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이에 따르는 법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 헌법적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고의 제1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에 대한 문제성을 제기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미연방헌법상 공용수용 규정 내용과 그에 관한 판례들 속에서 그 규정이 의미하는 바가 어떻게 변화 전개되어 왔는지를 분석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경제개발을 위한 수용과 관련하여 핵심적인 미연방대법원 판례들과 주 대법원 판례들을 분석하고 그 논의를 비교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경제개발과 관련하여 수용문제를 다룬 중요한 미연방대법원 판례인 Kelo v. City of New London판결 이후 사인의 수용에 대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법적 대응을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제3장과 제4장에 걸쳐 살펴본 판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사인에 의한 재산권 수용의 헌법상 허용 여부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경제개발을 위한 사인에 의한 수용과 관련하여 국민의 재산권 보장과 공용수용을 통한 공익 실현간의 형평성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고, 여러 가지 정책적 이유에서 사인의 수용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경우라도 남용되지 않도록 공법상제약요건을 부여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두어야 하며 필요최소한도의 범위 내에서 재산권 침해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한다. The Fif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hereinafter “Taking Clause”) prescribes “Nor shall private property be taken for pub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meanwhile the Korean Constitution section 23(3) provides it. Both of the provisions have similar meanings in spite of trivial differences on the forms. Recently, the statutes which government delegates the eminent domain authority to private entitie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especially for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urban redevelopmen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private takings for individual complex project constitutional takings in 2007 Hunba 114 (2009).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tatute that provides delegation of the power of eminent domain to private entities is constitutional depends on whether the purpose of takings comes under ‘public use’ or not. Since the middle 20th century,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e concept of the public use with a broad sense.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use of eminent domain to transfer property from one private party to another for economic development can satisfy the public use requirement of eminent domain. In this article, Part Ⅰ raises the need to preview the subject and PartⅡ deals with the unfolded debates about meaning of the Taking Clause. In Part Ⅲ, I analyze and examine the cases of state Supreme Court and federal Supreme Court involved takings for economic development. Looking over the legal reactions in states and federal government after Kelo case in Part Ⅳ, I synthetically consider debates on whether private taking for economic development is constitutional in Part Ⅴ. Finally, I suggest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afeguards are needed to protect property right from overreaching private takings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give a full heed to America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eminent domain and to conduct in pursuit of balancing between protecting the property right and promoting the public interest.

      • KCI우수등재

        공용수용의 통제기제로서의 사업인정의 평가 및 개선방안

        정기상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3

        It is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hat the Land Compensation Act(thereafter ‘the Act’) planned as the prototype of the method of establishing eminent domain. Nevertheless, only about 1% of public projects implemented in Korea are authorized to exercise the eminent domain by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he remaining 99% are authorized to exercise the eminent domain by ‘the quasi-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seems to be shunned as the quasi-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has great convenience for smooth implementation of projects and the function of verifying public interest of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is questioned due to the following institutional insufficiency. First, it is difficult for interested parties related to the project to have an opportunity to properly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and defend their rights due to the expertise and information imbalance in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he project implementer shall hold a briefing session or explai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project to the interested parties through other measures. A public hearing shall be held to hear opinions from the interested parties. Second, entrusting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th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does not conform to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under the Constitution. It is desirable to allocate the authority of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o the Minister and the governors of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s. Third, the Act does not stipulate the requirements for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I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to stipulate essential contents such as the requirements for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in the Act. As requirements for the 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public interest, the necessity(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project implementer's intention and ability to implement projects in the Act. 토지보상법이 수용권 설정방식의 원형으로 예정한 것은 ‘사업인정’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수용방식에 의한 공익사업 중 대략 1%만이 사업인정에 따라 수용권을 설정한다. 나머지 99%는 모두 ‘사업인정의제’의 방식으로 수용권을 설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업의 원활한 시행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사업인정의제가 큰 편의성을 가지는데다 사업인정이 제도적 미흡함으로 인해 공익성 검증기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사업인정이 실무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다음과 같이 현행 토지보상법상 사업인정의 제도적 문제를 진단하고, 그 개선방안을 입법론의 관점에서 제시한다. 첫째, 사업인정의 전문성, 정보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해당 사업에 관한 이해관계인이 사업인정의 의미를 제대로 인지하여 자신의 권리를 방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어렵다. 사업인정에 앞서 사업시행자가 설명회를 개최하거나 그 밖의 조치를 통하여 이해관계인에게 사업의 목적 및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고, 사업인정권자가 공청회 등을 열어 이해관계인과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는 절차를 취하도록 하되, 이해관계인에게 공청회 개최요구권을 부여한다. 둘째, 사업인정권한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전속시킨 것은 헌법상 지방자치의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고, 제도적으로 사업인정권한의 일임으로 달성하고자 했던 목적이 오히려 사업인정의 설 자리를 잃게 한 측면도 있다. 사업인정권한을 국토교통부장관과 시·도지사에게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현행 토지보상법에는 사업인정의 요건이 명문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사업인정은 해당 사업의 공공필요를 판단하는 핵심적인 절차이므로, 사업인정의 요건과 같은 본질적인 내용은 토지보상법에 규정하는 것이 헌법상 법률유보의 원칙에 부합한다. 사업인정의 요건으로 공익성, 필요성(과잉금지의 원칙), 사업시행자의 공익사업에 대한 시행 의사와 능력 등을 토지보상법에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용수용의 정당보상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 -공시지가 기준 보상액 산정과 기타요인 보정을 중심으로-

        박성규 ( Sung Kyu Par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1 不動産學硏究 Vol.17 No.4

        Eminent Domain is condemnor`s compulsory purchase of private land. Most of countries concerned about abuse of eminent domain have provided for public purpose and just compensation as conditions for compulsory purchase in their constitutions. The problem is that absence of a market related to take land leads to disputes resulting from actual compensation that is divorced from just compensation. In particular, various measurement errors are made in actual compensation valuations in spite of the general principle that states that compensation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fair market value. At the center of these disputes in korea are the "calculation of compensation based on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and "revision based on other factors". Both of which, in fact, arise from th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being undervalued than the market value and from regionally differing gaps between the two valu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ensation prices and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s, this study finds the national average of revision rate attributed to other factors to be approximately 194 percent. Further, though limited,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ompensation prices and sales prices that compensation prices are valued at just above market values. There is still no concurring opinion among scholars on the standard basis for market-efficient compensation level that allows for market valu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condemnation is compulsory purchase of private land, the main opinion seems to be that compensation value should be higher than market value. It seems that Korea`s compensation valuation is in line with this opinion also. Matters that need to be solved yet and require further policy efforts are revisions arising from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s that remain at lower levels than market values and overcoming regional divergencies.

      • KCI등재

        특집논문 : Kelo 판결(判決) 소고(小考) -논거의 타당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전일주 ( Ii Ju Je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1

        법적 쟁점은 황폐화된 시가지를 정비하고 장기 침체에 따른 경제 부흥을 위해 자치법규를 근거로 민간개발업자들이 공공목적을 증진하기 위해 개인의 재산을 수용 할 수 있는가, 즉 공적사용의 의미를 공공목적 또는 이득으로 확대 해석·적용했을 경우 시 당국의 경제개발계획에 대한 사적 기업의 강제 수용권이 연방수정헌법 제5조상의 수용요건인 공적사용 의미를 충족할 수 있는가 이다. 이에 대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은 Berman(1957년)과 Midkiff(1984년) 판결을 선례로 들면서 연방주의원칙에 따른 의회입법 존중 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2005년 6월 23일에 「사기업에 의한 수용권 행사가 공공목적과 합리적인 관련성이 있으면 수정헌법 제5조상의 공적사용 요건을 충족한다.」라고 그 유명한 Kelo v. City of New London 판결을 선고(5:4로)함으로써 찬반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다수견해는 7개 쟁점 사항과 관련하여 미국 수정헌법 제5조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서는 소수 의견과 차이가 없고 다만 공적사용 범위를 공공 목적과 공공 이득으로 까지 확대해석을 통해서 경제적으로 쇠퇴한 지역경제를 회복하고 황폐지역의 재건을 위해서 근본적으로 개인의 재산을 침해하지 않는 한 의회의 결정을 존중하여 사회경제적 입법에 대한 위헌 심사의 경우에 「합리성-기반 심사기준」을 적용하여 문제의 입법들을 합헌이라고 선언했고, 소수견해는 재산권 보장측면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들어 반론을 제기했다. 이 판결 이후의 각 주의 입법과 판례들은 Kelo 판결의 위험성(큰 재정손실)과 부작용(화이자 회사의 철수)을 심각하게 느끼고 재산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헌법상 재산권의 수용의 한계로 규정된 ‘공공필요’는 지금까지 살펴본 미국 헌법상의 ‘공적사용’과 그 의미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 헌법 판례에서 ‘공적사용’의 범위가 확대해석 되어온 것처럼, 우리나라 헌법재판소 역시 완화된 심사기준을 적용하여 ‘공공필요’의 범위를 확대해석함에 따라서 최근에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대해 합헌결정을 내려(헌재 2007. 9. 24. 선고 2007 헌마 114) 사경제 주체의 의한 공용 수용까지도 허용하게 된 실정이고 더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그 부작용 또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므로 여러 정치 경제상황을 고려해서 7가지 사함을 비교형량하되 「최소 합리성-기반 심사 기준」보다는 「강화된 합리성 기반 심사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헌법이 부여한 본래 수용권의 지위를 확보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The notion of eminent domain (the power to seize property for public use) is directly implicated in the word of th Fifth Amendment (1791) to the Constitution and later in the Fourteenth Amendment (186) in what are as known as the due process clauses. The definition of public use generally is literally construed by the Courts so that even if the government takes private property and turns it over to a private developer, the action may be upheld. A recent controversial 5-4 decision by the Supreme Court in Kelo v. City of New London (2005) extended the limits of the definition of “public use” within the meaning of the taking clause to include a city`s taking of private property to give to a private developer in pursuance of an approved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opinion of the court presented several grounds. Firstly,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is a traditional and long accepted function of government. Secondly, there existed “no principled way of distinguishing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public purposes recognized in Berman and Midkiff. Thirdly, advancing the public interest often benefits private parties. Fourthly, integrated development plans, so long as they served a public purpose, would not merit such scrutiny. Fifthly, given the Court`s great deference to legislative determinations of public use, all development plans legitimate, irrespective of how those plan are enacted. On the contrary, the dissenting opinion also gave various contrary reasons. Firstly, no property is safe from transfer to another private owner under the banner of economic development. Secondly, criticizing the great deference granted to the legislature by the majority, the dissenting opinion argued that, were the political branches the sole arbiters 0f the public private distinction, the Public Use Clause would amount to little more than hortatory fluff. Thirdly, the dissenting distinguished the situation in New London from that in Berman and Midkiff, nothing that, in the latter two cases. the takings were effected to remedy extraordinary situations that had inflicted affirmative harm on the public. Fourthly, by authorizing the condemnation of well maintained property for the sole purpose of generating economic development, the Court had so greatly expanded the definition of public use as to include virtually all exercises of eminent domain. Both sides made an effort in their own ways and some reasons were in what they said. I assert that the scope of the meaning of public use shall be able to interprete more broad view, so lung as the government takes measures to protect expropriated individual properties, namely, pays just compensation, establishes counter measures against unemployment, exercises theirs` good offices, and so forth.

      • KCI등재

        行政判例 30年의 回顧와 展望 - 行政救濟法: 韓國行政判例의 正體性을 찾아서

        홍준형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4 행정판례연구 Vol.19 No.2

        Case law in Korean administrative law is the cardinal source of law, which as “lebendes Recht” shapes and leads the work of administrative law. It does not merely complement loopholes and shortcomings of statutory laws, but also embodies the Rule of Law vis-à-vis state power and public administra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remedy it has been playing the role of connecting law and practice, thus become a precious treasury of pathological precedents and solutions for administrative diseases. During the recent decades, the administrative case law made a remarkable progress towards consolidating the Rule of Law in Korea, by widening access to administrative litigations, reinforcing the system of law relating to state liability for damage and compensation for eminent domain. It also made enormous contribution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though nevertheless, sometimes confronted by obstacles, suffering growing pains. The paper examines and reviews the case law developments made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remedy law during last three decades in Korea and tries to portray the identity of Korean administrative law in its distinctive aspects. 행정판례는 ‘살아 있는 구체화된 법’(Eugen Ehrlich)으로서 법치행정의 원칙을 구현하고 행정법의 흠결과 불비를 보완하여 전체로서 행정법질서를 형성, 향도해 나가는 행정법의 중추적인 원천이다. 특히 행정구제법 분야 행정판례는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 행정법의 발견과 적용에 대한 병리학적 증례들을 집적한 구체화된 행정법의 보고로서 행정법의 법리와 실무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핵심적 고리 역할을 해왔다. 지난 30년 동안 한국의 행정판례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했다. 행정의 행정소송의 문호를 확대하고 국가배상책임과 손실보상을 강화하는 등 행정상 권리구제를 확충하는 한편 행정판례법을 통한 행정법이론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판례는 성장통을 겪기도 했고 또 성장의 한계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난 30년간 행정구제법 분야에서 이루어진 행정판례의 발전 동향을 점검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과제를 검토하였다. 행정구제법 분야별로 주목할 만한 판례를 분석, 평가함으로써 이를 통해 형성되어 온 한국행정법의 독자성을 확인하고 향후의 전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기반시설의 소음·진동 등에 의한 재산상 피해에 대한 권리구제

        정남철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49

        Compensation may be considered in case of property damage caused by lawful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n infrastruct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eminent domain for public use because the violation of noise, vibration, etc. neither falls within the scope of public power nor constitutes a direct and intentional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In Germany, “quasi-expropriation infringement theory” is applied to these cases, but this theory has lost its legal basis in Germany. There is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admitting compensation by analogical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foregoing theory. However, applying such an analogy based on an enforcement rule (regulation), rather than a law,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legal compensation of Article 23 (3)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direct loss, in principle, is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for public eminent domain. The legislative method is the most desirable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respect, Article 42 of the German Federal Nuisance Prevention Act provides for adjustable compensation in relation to passive noise prevention. Even if compensation is recognized for indirect loss exceeding the range specified in the Act on Acqu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Etc. for Public Works Projects (hereinafter “Land Compensation Act”) through application of analogy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form of the lawsuit must be based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because the social infrastructur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for the realization of public service projects.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go through the adjudication first. Article 34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is a provision on the form of adjudication, but does not prescribe to go through the adjudication process first. However, an appeal may be filed against the adjudication of the Central Land Tribunal or a local Land Tribunal. It is more realistic to approach with a method of a claim for damages rather than to admit compensation by the application of unreasonable jurisprudence or analogy interpretation. If a social infrastructure i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public institution or public organization, it may claim damages in accordance with Article 758 (1) of the Civil Act and Article 44 (1)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While liability without fault under Article 44 (1)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is recognized, but this is a very comprehensive provision, so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in a limited sense. 사회기반시설의 적법한 설치·운영에 의해 재산상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손실보상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소음·진동 등에 의한 침해행위는 고권적 법률행위가 아닐 뿐만 아니라 직접적이고 의도적인 재산권 침해가 아니라는 점에서 공용수용의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례와 관련하여 독일에서는 종전에 ‘수용적 침해이론’이 적용된 경우가 있으나, 이 이론은 그 법적 근거를 상실하여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러한 이론에 따라 유추적용에 의한 손실보상을 인정한 대법원 선례가 있으나 법률이 아닌 시행규칙(법규명령)에 근거하여 이러한 유추적용을 하는 것은 헌법 제23조 제3항의 ‘법률보상주의’에 반한다. 간접손실은 원칙적으로 공용수용에 대한 손실보상(수용보상)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문제는 입법적 해결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 연방임미시온방지법 제42조에는 소극적 소음방지와 관련된 (조정적) 보상을 규정하고 있다. 관계 법령의 유추적용을 통해 토지보상법에 규정된 범위를 초과한 간접손실에 대해 손실보상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사회기반시설은 공익사업의 실현을 위해 설치되고 운영되는 것이므로 그 소송형식은 행정소송에 의하여야 한다. 손실보상청구에 대해서는 공법상 당사자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재결전치주의를 반드시 강제할 이유는 없다. 토지보상법 제34조는 재결의 형식에 관한 규정일 뿐, 재결전치주의를 규정한 것은 아니다. 물론 지방토지수용위원회 또는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을 거친 경우에는 항고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다. 사견으로는 무리한 법리의 적용이나 유추해석 등에 의해 손실보상을 인정하는 것보다는 손해배상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공공기관이나 공공단체에 의해 사회기반시설이 설치·운영되는 경우에는 민법 제758조 제1항 및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에 따라 무과실책임이 인정되고 있지만, 이는 매우 포괄적인 규정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