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졸라의 자연주의적 미술 평론과 인상주의의 상관관계

        김미연 ( Mi Yun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에밀 졸라(Emile Zola, 1840-1903)의 예술관을 조명하는데 목적올 두고 있다. 작가의 『미술 명론』(Critique d`art. 1991) 집을 다룬 다는 것이 다소 생경할지 모르지만 작가의 창작기원, 즉 문학 발생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의 예술관이 창작 작업의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음은 분명하다. 언론을 통한 그의 미술 평론은 당시 새로운 미술유파이면서 외연 당하던 인상파 화가들에 대한 변론과 옹호 그 자체이다. 졸라는 인상파 화가들에 대한 투쟁적 옹호의 논리 근거를 진리 탐구와 관용과 현대성에 두고 있다, 이에 입각하여 그는 예술에 대한 “번역” 또는 “해석”은 자연이라는 ‘진리’, ‘사실’에 대한 작가의 실험 의 결과라고 일갈한다. 우리는 그의 『미술 평론』이 자신의 사회사상과 혁신적 예술가들의 기득권을 향한 반동과의 관계를 차분히 그리고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문제화하고 반추하면서 졸라적 미학 이론을 전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당시 대중들의 왜곡된 시선과 현대성에 대한 불관용에 시달리연서 인상파 화가들이 표출한 자아상실과 대립의 문제를 분석할 것이다 여기서 “현대성”은 진보와 동일 개념을 이루고 있음올 밝힐 것이다. 그리고 졸라가 인상파의 옹호를 자신의 창작 작업의 기원으로 승화시켜 그 연관성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인상파와 창작 작업과의 상관관계를 조명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조형 예술에서 혁신이란 우선 조형 언어의 변화이며 졸라에게는 진리 탐구를 위한 실험 정신임을 밝힐 것이다. 또한 글과 그림이라는 형태상 화해할 수 없는 두 예술의 융합은 모두 관찰이나 테마의 종합장이 아니라 현실에서 관찰되고 분석되어 내연화된 요소들의 자율체임을 밝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Zola se recommande en tant que temoin de I`epoque pre-impressionniste et impressionniste. Il a ete mele a ce mouvement presque des ses debuts. Ses .ses-peintres marchent de pair avec son evolution lineraire durantla meme periocle. Science et art ne sont nullement incompatibles, mais ils ne le sont pasdans I`esprit de Zola qui ne peut concevoir I`art sans la science. Ia science pour lui, c`est le soutien et le tremplin de 1`art pour la recherche de la verite. Car le naturalisme zolien se reventique precisement comme la theorie d`art. Le Vrai est avant tout le vivant. L`impressionnisme comme la nature cherche le Vrai dans la nature et produit la Vie. Zola le trouve chez Manet qui seduit Zola. Et celui-ci dec1are celui-Ia ≪naturaliste≫. ≪En peinture la Vie est 1`oeuvre de la lumiere.≫ Elle est la lumiere a l`oeuvre. ≪Cest la lumiere.≫ Et puis,le Vrai pour I`impressionnisme comme pour le naturalisme, c`est le vrai de la science. Voila la modemite pour Zola. ≪La modemite est un combat.≫ Zola et ses amis-peintres luttent contre I`imcomprehension et la discontinuite et I`incontiguite dans I`art. Nous proposons plusieurs buts. Nous presentons d`abord la Critique d`art zolienne qui defend les impressionnistes . Et puis nous expliquons l`esthetique zolien qui se forme sur le naturalisme. Nous tatons de traiter tres sommairement le developpement de ses idees sur le role de I`artiste et sur la fonction et la portee de 1`art aui se reduisent a la moclemite. Enfin, nous eclairons quelle sont les relations entre la creation Iitteraire de Zolae 1`impressionnisme avec lequel il etait lie.

      • KCI등재

        에밀 졸라 소설의 회화적 기법의 양상

        이정옥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7 No.1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mieux comprendre son esthétique du roman à travers l’aspect des techniques de peinture dans les romans d’Emile Zola. Il s’agit des couleurs que Zola a utilisées dans son œuvre et des images qu’il a utilisées dans son œuvre sous l’influence de peintres impressionnistes qui ont été soutenus et amicaux par Zola. D’abord, nous avons examiné l’utilisation de la couleur dans les romans de Zola. Zola souligne le sens de l’œuvre en liant le symbole ou le contraste de la couleur au thème de l’œuvre. Ensuite, nous avons examiné l’image picturale que Zola a décrite comme une technique impressionniste. Il s’agit du paysage des trains et des gares où les peintres impressionnistes étaient intéressés, et le paysage de neige représenté en différentes couleurs blanches. Grâce à cette étude, nous pouvons découvrir son excellent sens de la couleur et l’excellente capacité à exprimer la couleur. Et nous pouvons confirmer que la capacité de Zola à créer de l’art enrichit le sens de son œuvre.

      • KCI등재

        Emile Zola의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에 나타난 욕망의 양상에 관한 연구

        이정옥(LEE, Jung-Ok) 프랑스학회 2014 프랑스학연구 Vol.68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mieux comprendre du sens du roman Au Bonheur des Dames en envisageant des aspects de désirs que l'auteur y exprime. Dans le roman, l'auteur les exprime en utilisant des métaphores et des symboles venant de son imagination poètique, en particulier à travers le 'Au Bonheur des dames', lieu principal du roman et les personnages Mouret et Denise. D'abord, en ce qui concerne 'Au Bonheur des dames', grand magasin, nous l'avons examiné comme le symbol du grand capital. C'est pourquoi Zola l'a utilisé de manière allégorique sa puissance et son aviditél. Plus concrètement, il est comme une machine ou un monstre. En effet, 'Au Bonheur des dames', comme machine, prend des gens pour des simples objets et les manipule. Et 'Au Bonheur des dames', comme monstre, dévore marchandises, clientes, fabricants et vendeurs, et également entraîne à la ruine les petits commerçants. Ensuite, Nous avons examiné Mouret et son emprre. Mouret, un grand séducteur des femmes, les manipule des achats en tant que le maître du magasin, 'Au Bonheur des dames'. En réalité, les clientes achètent de la fantaisie et du désir plutôt que des machandises chez lui. Finalement Mouret bâtit son empire en faisant tomber les femmes dans son piège de la séduction. Et puis, Denise innocente, l'employée de Mouret, joue un rôle important pour affaiblir ces contradictions du capitalisme avec sa vertu éprise de bienfaisance. Au dernier chapitre du roman, 'La grande exposition de blanc' annonce le succès parfait du magasin. Parce que 'La grande exposition de blanc' représente le mariage de Denise et Mouret et le succès de Mouret. En conclusion, nous avons appris que Zola a l'intention de montrer la situation de son époque où on doit accepter l'inévitable, et qu'il propose une vision optimiste bien que les contradictions du capitalisme, parce qu'il est bienveillant avec des gens heureux de vivre dont les jouissances ne ratent pas et qui se gorgent de bonheur et de succès.

      • KCI등재후보

        1920년대 한국 자연주의 담론에 나타난 에밀 졸라의 표상과 자연주의적 묘사

        박성창(Park Sung-chang) 한국현대문학회 200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0

        Description is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Thus, as the description does not exist to ornament rhetorically, we have to consider both the described reality in the work and how that reality is describ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discussions and arguments about description were progressed in many different ways. When Dae-jin, Baek introduced the naturalistic novel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1915, he mentioned that we should describe the dark side of life in an unreserved and a straightforward way. But he didn't mention the name of Emile Zola, representative figure of French Naturalism. Emile Zola and the naturalistic description became the main themes of criticism in the discourse of Korean Naturalism of 1920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eory of 'naturalistic description' advocated in the discourse of Korean Naturalism of 1920s : description of the dark side of life, excessive description. The critics of that time didn't figure out the positive side of naturalistic description but they had a very negative view of it. With the starting of the modern novels and the growing interest of the theory of novels, Dong-in, Kim organized a theory focused on the plot of novel. In his conception of plot, the description (excessive description) had no place and was closely linked to the negative image of French naturalist, Emile Zola. Young-hee, Park objected to excessive description because ha thought description as individualistic taste of the bourgeois. He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Naturalism as only a critic element of bourgeois, negated the description fundamentally. After turning from KAPF, however, he came to face the ironic situation that he should acknowledge the description for the literary truth in the theory of description, as in Ki-jin, Kim's.

      • KCI등재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

        이정옥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bestiality in Emil Zola's novel The Human Beast. Through this work, we try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that Zola presents. For this work, we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and crim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age of progress. In Chapter 2, we first looked at the beastiness through the desire that Jacques Lantier wants to kill only women. It shows a desire for killing by genetic defects that leads to tragic ending by being accomp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This is the part of the story that makes up the entire plot of the novel and confirms Zola's naturalistic determinism, but Zola shows us further that it extends heritage to the fatefulness and permanence of mythical nature of original sin beyond the naturalistic scientific concept. In the end, the phenomenon that appears in Jacques' killing impulses suggests Emotions of the century that people feel in the age of progres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hapter 3, we examined bestiality revealed by the vengeance for love and the disappearance of conscience. The brutality of Flore is revealed by the vengeance on Jacques and his lover, which led to a derailment of the train that caused many casualties. Her suicidal motive also reveals her brutality. It is because her feelings for Jacques are greater than her remorse for train accidents.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by lust and greed. It represents the act of Roubaud murdering Grandmorin by conspiring with his wife, after wielding violence by jealousy and betrayal of his wife's past cheating, Misard slowly poisoning his wife to take the money hidden by her wife, and Pecqueux is prominent in his attempt to kill Jacques with jealousy about Jacques, who is close to his lover. And the fact young Louisette was wounded by Grandmorin with rape and Séverine was also Grandmorin’s sexual victim reveals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by sexual impulse. In chapter 5,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is seen through the immorality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officials. It is manifested by the violence of public officials who obey the power of the state and conceal the truth for their own success. Through such a study, we can confirm that Zola in the human beast with the background of the age of progress has a narrative about the mythological narrative about the destiny of humanity, the contradiction between modern civilization and the primitive human barbarism. In the end,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as a witness to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which is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progressive age of scientific versatility. 본고는 에밀 졸라의 소설 『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작가가 제시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실존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19세기 진보의 시대를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의 폭력과 범죄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2장에서는 먼저 주인공 자크의 살해 욕망을 통한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유전적 결함에 의한 살해 욕망으로 그것이 환경의 영향 하에서 성취됨으로써 비극적 결말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소설 전체의 줄거리를 이루며 졸라의 자연주의 결정론을 확인하게 하는 부분이지만 졸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유전을 자연주의의 과학적 개념을 넘어서는 신화적 성격의 원죄의 숙명성과 영속성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게 한다. 결국 자크의 살해 충동을 통해 재현되는 현상은 19세기 후반 진보의 시대를 사는 인간들의 세기말적 정서임을 암시한다. 3장에서는 사랑에 대한 복수심과 양심의 소멸을 통해 드러나는 플로르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일방적인 사랑의 대상인 자크와 그의 애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기차의 탈선과 그로 인한 많은 인명 피해의 대형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야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녀의 자살 동기 또한 야수성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사고에 대한 그녀의 양심의 가책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개인의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재확인하게 한다. 4장에서는 정욕과 탐욕에 의한 인간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루보가 법원장 그랑모랭과 아내의 과거 부정행위에 대한 배신감과 질투심에 의해 폭력을 휘두르고 그녀와 공모하여 그랑모랭을 살해 하는 행위, 음험한 미자르가 아내가 숨긴 돈을 거머쥐기 위해 아내를 서서히 독살하는 행위, 페쾨가 자신의 정부와 가까워진 자크를 질투하여 자크를 살해하려는 행위 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랑모랭이 강간으로 어린 루이제트에게 상처를 입혀 죽게 하고, 세브린 역시 자신의 성적 희생자로 만든 사실은 성적 충동에 의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강조한다. 5장에서는 국가 기관과 공직자의 부도덕성을 통해서 인간의 야수성을 보게 한다. 그것은 국가의 권력에 복종하고 자신의 출세를 위해 진실을 은폐하는 공직자들의 폭력에 의해 그 양상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는 진보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인간 짐승』에 졸라가 인류 숙명에 관한 신화적 서사, 현대 문명과 원초적 인간의 야만성의 대립에 관한 서사를 그리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증인으로서의 작가 의식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과학 만능의 진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인 것이다.

      • KCI등재

        에밀 졸라의 소설 『테레즈 라캥Therèse Raquin』안 환상적 요소

        황선경 ( Hwang Sun-kyu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1 No.1

        Therèse Raquin est le premier grand roman à succès d’Emile Zola. Il y experimente sa theorie naturaliste et raconte comment Therèse et son amant Laurent sont conduits au crime par le determinisme de leur corps. Cependant, le roman ne se limite pas à l’analyse scientifique. Malgre son grand projet naturaliste, Zola intègre à son recit des elements fantastiques. Notre etude a pour but d’examiner l’effet produit à la suite d’une fusion des esthetiques naturalistes et des elements fantastiques. Le passage du Pont-Neuf apparait comme un lieu sombre et morbide, ressemblant à un monstre qui devore tous les etres vivants. Ce lieu fatal semble comme synonyme de mort et d’enfermement. La description des cadavres à la morgue est à la fois realiste et symbolique. La dimension realiste se double d’elements fantastiques significatifs : les cadavres qui semblent s’animer presentent bien la peur naissante de Laurent. Le portrait sinistre de Camille que peint Laurent a une valeur premonitoire : il annonce la mort de son modèle. Tous les tableaux, dessines par les mains incontro lables de Laurent, où Camille ne cesse pas d’apparaitre montrent bien sa nevrose d’angoisse et obsessionnelle. Le chat François incarne la culpabilite des amants d’un point de vue emblematique. La cicatrice de Laurent, motif recurrent du roman, est le symbole, la plus absolu de sa culpabilite. Le roman se clot sur le double suicide des amants. L’auteur depasse alors les principes naturalistes enonces dans sa preface en donnant à cette scène finale une visee morale. Dans la mesure où le dernier baiser de Therèse sur la cicatrice suggère une conciliation des amants, la condamnation morale devient attenuee. En conclusion, Therèse Raquin pourra se definir comme une oeuvre rayonnante qui reussit à elucider la passion de façon penetrante et remarquable. Depassant au-delà de la demonstration scientifique et naturaliste, Zola reussit à eclairer de manière brillante les hommes tels qu’ils sont et la veritable caracteristique de l’amour erotique.

      • KCI등재

        에밀 졸라의 소설 『테레즈 라캥Therèse Raquin』안 환상적 요소

        황선경(Hwang Sun-kyung)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1 No.1

        Therèse Raquin est le premier grand roman à succès d’Emile Zola. Il y experimente sa theorie naturaliste et raconte comment Therèse et son amant Laurent sont conduits au crime par le determinisme de leur corps. Cependant, le roman ne se limite pas à l’analyse scientifique. Malgre son grand projet naturaliste, Zola intègre à son recit des elements fantastiques. Notre etude a pour but d’examiner l’effet produit à la suite d’une fusion des esthetiques naturalistes et des elements fantastiques. Le passage du Pont-Neuf apparait comme un lieu sombre et morbide, ressemblant à un monstre qui devore tous les etres vivants. Ce lieu fatal semble comme synonyme de mort et d’enfermement. La description des cadavres à la morgue est à la fois realiste et symbolique. La dimension realiste se double d’elements fantastiques significatifs : les cadavres qui semblent s’animer presentent bien la peur naissante de Laurent. Le portrait sinistre de Camille que peint Laurent a une valeur premonitoire : il annonce la mort de son modèle. Tous les tableaux, dessines par les mains incontro lables de Laurent, où Camille ne cesse pas d’apparaitre montrent bien sa nevrose d’angoisse et obsessionnelle. Le chat François incarne la culpabilite des amants d’un point de vue emblematique. La cicatrice de Laurent, motif recurrent du roman, est le symbole, la plus absolu de sa culpabilite. Le roman se clot sur le double suicide des amants. L’auteur depasse alors les principes naturalistes enonces dans sa preface en donnant à cette scène finale une visee morale. Dans la mesure où le dernier baiser de Therèse sur la cicatrice suggère une conciliation des amants, la condamnation morale devient attenuee. En conclusion, Therèse Raquin pourra se definir comme une oeuvre rayonnante qui reussit à elucider la passion de façon penetrante et remarquable. Depassant au-delà de la demonstration scientifique et naturaliste, Zola reussit à eclairer de manière brillante les hommes tels qu’ils sont et la veritable caracteristique de l’amour erotique.

      • KCI등재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에 나타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이찬규 ( Lee Chan Kyu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2

        본고는 프랑스 리얼리즘의 정점(頂點)에 이르고자 했던 에밀 졸라의 작품을 통해 소리에 관련된 표현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적 가능성들을 검토한다. 이는 ‘보이는 대상’이 아닌 ‘들리는 현상’으로 발현하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서 특히 졸라의 『인간 짐승』에 담겨있는 문학적 가치와 전망들을 새롭게 발견하는 단계적 해석 과정을 거친다. 첫째 장에서는 십구 세기 산업혁명시대의 기계 문명을 대표하는 기차의 청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인간 짐승』의 서사 속에 현실적으로 혹은 상징적으로 개입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한편으로 기계 문명에 대한 졸라의 양가적 사유를 헤아릴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소리들 속에 인물들의 ‘심리적 상황’이 투영됨으로써 그것들이 일종의 ‘신호음(Les signaux)’이 되는 의미를 해석한다. 두 번째 장은 졸라의 남다른 글쓰기 전략을 조망해 볼 수 있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역설적 양상과 내적 의미를 분석한다. 이는 『인간 짐승』이 전유하고 있는 ‘자신 안의 낯선 타자’라는 모티브가어떻게 청각적 감각으로 발현되는가에 대한 탐색으로 이어진다. 일테면 그 낯선 타자는 형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몸 안의 소리들을 통해 매번 현전함으로써 결코 규정할 수 없는 이중적 존재의 변증법적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semantic possibilities of the sound in a work of Emile Zola. It is a study that newly finds out a literary value and prospect in Human Beast of Zola through Soundscape which is revealed by not a ‘visible’ object, but an ‘audible phenomenon.’ Firstly, we trace how the auditory image of a train which represents the mechanic civilization is realistically or symbolically involved in the narration. On the one hand, it could be a clue to understand his ambivalent thinking about the mechanic civilization. Secondly, this study interprets the ways that the psychological situation of characters are reflected in various sounds. Thirdly, we analyze the ironical aspect and inner meaning of Soundscape showing the unusual writing strategy of Zola. It is connected to a study on how the motive, ‘the stranger in myself’ which is functioned as metonymy in Human Beast, appears. The ‘stranger’ doesn’t lose the dialectical tension of an ambivalent existence which cannot be defined by presentation all the time through the sounds in a body.

      • KCI등재

        소설『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

        이정옥 ( Lee Jung-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본고는 에밀 졸라의 소설『인간 짐승』에 나타난 야수성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작가가 제시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실존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19세기 진보의 시대를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의 폭력과 범죄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2장에서는 먼저 주인공 자크의 살해 욕망을 통한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유전적 결함에 의한 살해 욕망으로 그것이 환경의 영향 하에서 성취됨으로써 비극적 결말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소설 전체의 줄거리를 이루며 졸라의 자연주의 결정론을 확인하게 하는 부분이지만 졸라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유전을 자연주의의 과학적 개념을 넘어서는 신화적 성격의 원죄의 숙명성과 영속성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게 한다. 결국 자크의 살해 충동을 통해 재현되는 현상은 19세기 후반 진보의 시대를 사는 인간들의 세기말적 정서임을 암시한다. 3장에서는 사랑에 대한 복수심과 양심의 소멸을 통해 드러나는 플로르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일방적인 사랑의 대상인 자크와 그의 애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기차의 탈선과 그로 인한 많은 인명 피해의 대형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야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녀의 자살 동기 또한 야수성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사고에 대한 그녀의 양심의 가책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개인의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재확인하게 한다. 4장에서는 정욕과 탐욕에 의한 인간의 야수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루보가 법원장 그랑모랭과 아내의 과거 부정행위에 대한 배신감과 질투심에 의해 폭력을 휘두르고 그녀와 공모하여 그랑모랭을 살해 하는 행위, 음험한 미자르가 아내가 숨긴 돈을 거머쥐기 위해 아내를 서서히 독살하는 행위, 페쾨가 자신의 정부와 가까워진 자크를 질투하여 자크를 살해하려는 행위 등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랑모랭이 강간으로 어린 루이제트에게 상처를 입혀 죽게 하고, 세브린 역시 자신의 성적 희생자로 만든 사실은 성적 충동에 의한 인간의 짐승스러움을 강조한다. 5장에서는 국가기관과 공직자의 부도덕성을 통해서 인간의 야수성을 보게 한다. 그것은 국가의 권력에 복종하고 자신의 출세를 위해 진실을 은폐하는 공직자들의 폭력에 의해 그 양상이 드러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우리는 진보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인간 짐승』에 졸라가 인류 숙명에 관한 신화적 서사, 현대 문명과 원초적 인간의 야만성의 대립에 관한 서사를 그리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증인으로서의 작가 의식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과학 만능의 진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이해인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bestiality in Emil Zola`s novel The Human Beast. Through this work, we try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the human being that Zola presents. For this work, we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violence and crim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age of progress. In Chapter 2, we first looked at the beastiness through the desire that Jacques Lantier wants to kill only women. It shows a desire for killing by genetic defects that leads to tragic ending by being accomp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This is the part of the story that makes up the entire plot of the novel and confirms Zola`s naturalistic determinism, but Zola shows us further that it extends heritage to the fatefulness and permanence of mythical nature of original sin beyond the naturalistic scientific concept. In the end, the phenomenon that appears in Jacques` killing impulses suggests Emotions of the century that people feel in the age of progres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hapter 3, we examined bestiality revealed by the vengeance for love and the disappearance of conscience. The brutality of Flore is revealed by the vengeance on Jacques and his lover, which led to a derailment of the train that caused many casualties. Her suicidal motive also reveals her brutality. It is because her feelings for Jacques are greater than her remorse for train accidents.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by lust and greed. It represents the act of Roubaud murdering Grandmorin by conspiring with his wife, after wielding violence by jealousy and betrayal of his wife`s past cheating, Misard slowly poisoning his wife to take the money hidden by her wife, and Pecqueux is prominent in his attempt to kill Jacques with jealousy about Jacques, who is close to his lover. And the fact young Louisette was wounded by Grandmorin with rape and along with the fact that Severine was also Grandmorin`s sexual victim reveals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driven by sexual impulse. In Chapter 5, the bestiality of human beings is seen through the immorality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c officials. It is manifested in the violence of public officials who obey the power of the state and conceal the truth for their own success. Through such a study, we can confirm that Zola in The Human Beast with the context of the age of progress, has a narrative about the mythological narrative about the destiny of humanity, the contradiction between modern civilization and the primitive human barbarism. In the end,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writer`s perspective as a witness to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which is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progressive age of scientific versatility.

      • KCI등재

        『十二月 十二日』 : 이상과 졸라와의 제휴

        심상욱(Shim Sang-wook)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7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ffiliation of Yi Sang’s Twelfth December and Emile Zola’s Experimental Novel by Edward W. Said’s Traveling Theory. Yi Sang wrote it with the main character ‘he’ as alta ego, Yi Sang himself. He dealt with the social background of 1920s in it. Naturalism in literature deals with the evil aspects of human life and is in varying degrees deterministic view. This current thought was affected to Yi Sang with various trends via Japan from Europe. The naturalistic writer uses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current science in his depiction of human life. He described a segment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the laws of scientific causality. The writer analyzes his characters and their social situations as the effects proceeding from various combinations of physic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causes. After all man was a phenomenon caused by certain hereditary and environmental forces. As we read it by comparative literary theory we should read the work according to context. Consequently, we can understand Yi Sang wrote the social situation in December Twelfth with Zola’s limited determinism in the 1930s’ colonial situ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