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론종결 후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 확장의 법리 ― 판례의 유형화와 그 검토를 중심으로 ―

        김일룡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The article 218.1. of the Civil Procedure Code states that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shall be applicable to not only the party of litigation but also to the party who succeed property under dispute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procedure. There is no doubt that the party who receives the right and obligation of the substantial law which is the object of the lawsuit shall be th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However, there are several opinions on whether the party who succeeds the property under dispute also shall be th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Regarding this issue, the judicial precedents (1) stated the party who succeeds the property under dispute from the plaintiff who lost the case shall not be th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even if the party pleads the same as the plaintiff of the lost case, or (2) states that if the legal substance of the claim is concerned with receivables, the party shall not b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but if the legal substance of the claim is concerned with a real right, the party shall b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or (3) determined whether the party shall be the successor after completion of pleading by considering the general principles on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As mentioned in the above, the judicial precedents seem to lack consistency on application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to successor of the property under dispute, and these judicial circumstances may cause distrust of judicial judgement by diminishing predictability of judgement. Specifically, the judicial precedents (1) did not provide appropriate reason for the inapplicability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even though both claims in prior and subsequent litigations were the same in substance and had problem that legal stability is not provided for the position of the defendant who won the prior case. Meanwhile, it seems that the judicial precedents (2) have ignored the objective scope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by applying determination that is included in basis of judgement rather than in conclusion of judgement. On the contrary, the judicial precedents (3) acknowledged equivalent status for the successor of the property under dispute and determined whether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of the prior litigation shall be applicable to the subsequent litigation by separately applying preclusion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depending upon equivalent relationship, contradicting relationship or prerequisit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of prior and subsequent litigations,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se precedents of type (3) were most reasonable since they did not have the problems indicated for (1) and (2) in the above. 민사소송법 제218조 제1항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변론을 종결한 후의 승계인에게도 기판력이 미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소송물인 실체법상의 권리의무를 양수한 자가 변론을 종결한 후의 승계인에 해당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지만, 계쟁물을 승계한 자도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 판례는 이에 대하여, (1) 패소판결을 받은 원고로부터 계쟁물을 승계한 자는 전소 원고와 동일한 청구를 하더라도 변론종결 후의 승계인이 아니라고 하고, (2) 전소의 소송물인 청구의 실체법적 성질이 채권인 경우에는 변론종결 후의 승계인이 아니지만 물권인 경우에는 이에 해당한다고 하며, (3) 기판력 일반론을 적용하여 계쟁물 승계인의 변론종결 후의 승계인 여부를 판단하기도 한다. 이처럼 판례는 계쟁물 승계인에게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에 대하여 일관성이 결여된 듯한 태도를 보이는데, 이러한 상황은 판결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낮춤으로써 재판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생각건대, 위 (1)의 판례는 전소와 후소의 청구(소송물)가 동일함에도 어째서 기판력이 확장되지 않는지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승소한 전소 피고의 입장에서는 법적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위 (2)의 판례는 판결주문이 아니라 판결이유 중의 판단을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 유무의 기준으로 삼음으로서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를 무시한 해석으로 보인다. 이에 비하여, 위 (3)의 판례는 계쟁물 승계인에게 당사자와 동일한 지위를 인정하고 전소와 후소의 소송물 사이에 동일관계, 모순관계, 선결관계의 존재유무에 따라 실권효(차단효)의 적용 여부를 달리함으로써 계쟁물 승계인이 관여한 후소에 전소의 기판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결정하므로 위 (1),(2)의 판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장 합리적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한정승인항변의 기판력과 집행에 관한 이의 - 대법원 2006.10.13. 선고 2006다23138 판결 -

        오수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서울법학 Vol.19 No.2

        Concerning to the qualified acceptance of succession which Article 1028 to Article 1040 of Korean Civil Code prescribes, it matters that the heir can claim the limitation of liability in the midst of the action, that is, the established judiciary decision has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on the point of the limitation of liability. And it matters also that if the decision does not have a res adjudicate, how the heir realizes the limitation of liability?First, for the problem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the object Supreme Court decision confirmed that the judgement without the claim of the limitation of liability does not have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The problem of the limitation of the liability is concerned with the executive quality of the debt, not the proceedings. So the objet jurisprudence which affirmed the judgement without reserve of the limitation of liability does not have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is right. And in the problem of realization of the limitation of liability in a execution procedure the object Supreme Court decision confirmed that the heir can claim an action of the objection against the creditors execution. But according to Article 44 of Korean Civil Executive Code, the debtor can claim an action of the objection against the creditors on the base of the fact occurred after the conclusion of debate. In the case of the objet jurisprudence the heir's limitation of liability did not occur after the conclusion of debate. So the objet jurisprudence is not right. The heir should be relieved by the request of the objection of execution according to Article 44 of Korean Civil Executive Code. 민법 제1028조가 규정한 상속의 한정승인과 관련하여 이미 한정승인 수리 심판이 있었음에도 상속채무의 이행을 구하는 소송에서 상속채무자가 이를 주장하지 아니함으로써 책임재산에 관한 유보 없는 판결이 선고․확정된 후 이 확정판결을 집행권원으로 하는 강제집행단계에서 다시 한정승인 사실을 주장하는 것이 위 확정판결의 기판력에 저촉되는지 여부 및 기판력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속인은 한정승인 수리심판을 이유로 어떠한 방법으로 다투어 집행력의 배제를 구할 수 있는지가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대상판결은 유보 없는 판결이 선고․확정된 경우에도 기판력에 저촉되지 아니한다고 하고 한정승인 수리심판을 이유로 삼아 청구이의의 소로써 집행력의 배제를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실체법적으로 소구할 수 없거나 집행할 수 없는 채권은 통상의 완전한 법적 채권이 아니라 불완전한 법적 채권일 뿐이므로 집행력이나 책임도 채권의 효력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상속의 한정승인이 있으면 채무자체의 승계를 인정하고 다만 상속인의 책임이 상속재산에 한정되는 것으로 본다. 절차법적으로도 원래 소송물이란 소송의 객체이며 처분권주의에 의하여 이는 원고가 특정할 책임이 있고, 피고의 방어방법은 소송물을 정하는데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점에서, 상속의 한정승인 주장은 소송물이 아니고, 상계항변과 같은 특별규정이 없기 때문에 한정승인의 항변여부는 기판력과 관계가 없다. 청구이의의 소에서 이의사유는 집행권원에 표시된 청구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멸하게 하고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실효케 하는 사유로서 민사집행법 제44조 제2항에 따라 그 이유가 변론이 종결된 뒤에 생긴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한정상속은 청구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멸하게 하고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실효케 하는 사유가 아니고, 집행권원에 표시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도 있으며, 대상판결과 같이 한정승인사실이 변론이 종결된 뒤에 생긴 것이 아닌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한정승인이 있었다는 사실은 청구이의의 소로써 다툴 수는 없다. 한정승인을 한 경우에 채무자의 고유재산에 대한 압류는 압류할 수 없는 재산에 대한 것으로서 압류금지물에 대한 압류와 같다. 압류금지물에 대한 압류는 집행에 관한 이의사유이다. 그러므로 대상판결이 상속채무 이행소송의 변론종결 전에 상속인이 한정승인의 항변을 하지 않아 무유보의 단순이행판결이 확정되었음에도 기판력을 인정하지 아니한 점은 타당하다. 그러나 이를 집행절차에서 청구이의의 소로써 다투도록 한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 이는 집행대상이 아닌 재산에 대한 집행이므로 집행에 관한 이의로써 다투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사법분야 투고논문 : 민사소송에 있어서 특정승계인의 범위

        김일룡 ( Il Ryong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0 No.1

        In civil suit, the scope of limited successor becomes an issue in two areas. One is the scope of a successor after the completion of oral proceedings with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The other is the scope of a successor in the succession of a lawsuit. Previous discussion on the scope of a successor after the completion of oral proceedings with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introduced the theories on the scope first. Then explaining the scope again by comparing the theory of legal form and the theory of substance was general practice. The scope of a successor in the succession of a lawsuit was also discussed in similar way by understanding it together with the scope of a successor after the completion of oral proceedings. However, there remains a question whether it is reasonable to independently discuss the comparison of theories and the comparison of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picture of successor scope, it is believed that the opposition of theories should be absorbed by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or, the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should be absorbed into the opposition of theories and discussed in a single system. Meanwhile, the reliance theory does not have relation with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which constitutes the substance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effect, because it is based on real right theory, which finds the essence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effect in substantial law. The standing to succeed theory cannot be explained by relating it either to new theory or old theory of lawsuit subject matter because it is supported by both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The due process guarantee theory is being developed without any direct relation with the opposition of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Al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are directly reflected in the theories from historical viewpoint. Consequently, it is believed that the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cannot properly contain these issu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direct intervention of new and old theories of lawsuit subject matter to the scope definition of a successor should be blocked. The theories should be classified into reliance theory, standing to succeed theory based on old lawsuit subject matter theory, standing to succeed theory based on new lawsuit subject matter theory, agent in dispute succeeding the status theory and due process guarantee theory. It would be more useful to understand the whole picture when the opposition in successor scope dependent on the nature of claim right and the opposition between theory of legal form and theory of substance would be analyzed by relating them to above theories. Among the theories, the due process guarantee theory seems the most reasonable theory because it puts priority on the guarantee of process between a successor and the opposite party of the previous owner as it identifies the essence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legal procedure law.

      • KCI등재

        취소소송에 있어서 판결의 기속력

        김창조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2

        This thesis analyze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in this thesis include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legal systems, case laws and theories related to this problem in Korea.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of Korea Article 30 regulate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of Korea Article 30, a final judgment revoking a disposition shall be binding on the parties, an administrative agency and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involved in case. If a disposition revoked by a judgment is involved in the rejection of a request of the party,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has made such a disposition, shall make a new disposition to the previous request in keeping with the aim of such a judgment. This provision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a case where a disposition at a request is revoked for reasons of illegality in its procedure. The function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case law in this thesis. That are the function to revoke illegal disposition, the function to repeat same disposition, the function of restoration, the function to make a new disposition to the previous request in keeping with the aim of the judgment etc. The scope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is not clear in some case laws.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lieving citizens from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or interests by illegal disposi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settling properly disputes over the rights involved in public law. From this view point the scope of the binding force of revocation judgment in the appeal litigation is to be regulated. 취소판결의 기속력이라 함은 취소판결이 확정된 경우, 행정청이 처분을 위법하다고 확정한 판결의 판단내용을 존중하고 수인하여 그 이후의 사건에 대하여 판결의 취지에 따라서 행동하고, 만약 이것과 모순하는 것과 같은 처분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적당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기속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취소판결 후 관계행정청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취소판결이 존재하는 것만으로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실효적 구제가 보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취소판결의 직접적 효과를 넘어 행정청에게 각종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요구가 취소판결의 기속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의 취소소송제도는 행정처분의 존재를 전제로 이에 대한 사후적 사법심사형태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행정처분에 대하여 취소판결이 내려지더라도 이 판결에 따른 행정청의 시정조치가 강구되지 않으면 취소판결의 의미가 반감할 수도 있다. 행정소송법 제30조는 취소소송에서 확정된 위법에 대한 시정을 위하여 적극적 작위명령권을 규정하는 대신에 취소판결의 취지에 따른 시정조치의무를 규정하여 실효적 권리구제를 도모하고 있다. 기속력은 처분청 그 밖의 관계행정청에 대하여 판결이유에서 제시된 취지를 존중하여 취소판결 이후 당해 법률관계처리에 있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국민의 위법상태배제청구권을 만족시키는 것을 의무지우는 힘이라고 해석된다. 판결에 의하여 취소된 행정처분과 관련하여 발생한 일체의 위법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모든 작위․부작위의무가 이에 포함된다. 취소판결의 실현을 방해하는 처분이 남아있는 경우에 이것을 취소하여야 할 부정합처분의 취소의무, 동일한 처분의 반복금지 내지 동일과오의 반복금지의 부작위의무, 취소판결의 취지에 맞지 않는 위법한 사실상태가 남아 있는 경우에 이것을 원상으로 회복할 의무, 거부처분에 대한 적극적 시정조치의무, 절차하자를 이유로 한 처분에 대한 시정조치의무 등이 이러한 의무의 내용으로 설명된다. 취소판결의 기속력은 기판력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의미와 내용을 가진 것으로 행정소송법이 취소판결의 실효성확보를 위하여 인정한 특수한 효력이라고 파악하는 것이 타당한 것 같다. 이러한 입장을 취할 경우 취소판결 기속력의 내용과 한계가 문제되는데, 그것의 구체화과정에는 취소판결의 권리구제기능과 적법성보장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접근이 요청된다. 행정소송법 개정과정에서 기속력 내용의 하나로서 추가되는 행정청의 결과제거의무에 관한 규정도 이러한 관점에서 그 위미와 한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과제거의무가 종래 학설, 판례에서 검토되어져 온 원상회복의무를 행정소송법상 명문으로 규정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원상회복의무를 넘는 소송법상 행정청의 시정의무를 규정한 것인가에 대하여는 이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충분한 논의를 축적하여 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동불법행위자 중 1인이 한 상계의 소송법상 효과

        강수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8 민사소송 Vol.12 No.1

        Due to the difficulties in the analyzing each and every case involved in the joint torts considering their unique qualities and different facts, this particular paper focuses only the specific type of an illegal act in its discussion. The joint tort debt is legally characterized by unfaithful joint obligation, and if one person of all joint tortfeasors expresses of the intention to set off, the effect on the substantive law exerts its influence upon other joint tortfeasor.In case where one person of all joint tortfeasor makes the plea in exercise of his/her right to set-off in course of proceedings with a victim or a creditor and his plea is accepted by court adjudication, it is a matter for debate whether the effect of the final adjudication exerts its influence upon other joint tortfeasors or not. The primary aim of the paper is to offer some solution for these issues. It looks into the question of the effect of the final adjudication being expanded to a third party.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qualities and the legal effects of a joint tort debt,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at the results of judgement between a creditor and each joint tortfeasor not contradict and disputes not repeat themselves. Parties have to claim and then prove the relevant facts necessary for judgement of a court in Civil Procedure. Besides it is universally recognized that a substantive law and a procedural law be separa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leave the decision up to the party's oral proceedings rather than recognize the expansion of the effect of the final adjudication.

      • KCI등재

        가사소송법 개정의 방향과 과제

        김원태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verall direction of the Family Litigation Act’s revision, albeit partiall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0 as a special law applying to general family cases,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has not been generally reviewed for more than 20 years. Only some partial revisions for the Family Litigation Act and the Rules on Family Litigation have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everal partial revisions of the Family Law. The purpose of this revision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is to complete a unified law for procedures of family cases which is progressive and self-contained. In specific, I suggest that the following regulations be revised or newly established. Object clauses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must be modified so that the Act is up-to-date and appropriate for its purpose as an adjective law. The Family Litigation Act does not include regulations on basic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Court and the parties during procedures of family cases. Considering the self-contained nature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separate provisions rather than to partially apply the Civil Procedure Act.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contradicts itself when differentiating family cases, and it may be appropriate to categorize family cases by types.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includes only 73 law items even when it serves as the prescribed consolidation on family non-litigation and family conciliation procedures as well as family litigation procedures, relying on other laws or widely delegating family case procedures to family litigation rules. It is necessary to modify legal terminations and rules. In terms of legislative theory, it is desirable that requests for reading or copying records are approved in principle, while criteria should be clarified for exceptions where such requests are denied, and also that the right of appeal of dissatisfaction should be prepared in the cases of non-approval.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becomes ineffective because it does not admit executive force in advance decision. Thus, it is necessary to put the regulation of admitting executive force in advance decision in the Family Litigation Act. Now, international family cases are on the increase due to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due to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those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quiring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international family case procedures in the Family Litigation Act. 이 글은 가사소송법 전부 개정과제 중 일부에 한정하여 개괄적으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은 1990년에 가사사건 일반에 적용할 단행법으로 제정된 이후 20여 년이 넘도록 전면적인 검토는 단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가족법의 몇 차례의 부분 개정에 따른 가사소송법 및 가사소송규칙의 부분 개정이 있었는데 그쳤다. 이번 가사소송법의 개정 목표는 선진적이고 자기완결적인 가사사건절차 통일법을 완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규정들을 개정하거나 신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사소송법의 목적조항을 시대상황과 절차법의 목적에 맞게끔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가사소송법에는 가사사건절차에서 가정법원 및 당사자의 기본적인 책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가사소송법의 자기완결적 정비차원에서 민사소송법의 부분적 준용보다는 독자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행 가사소송법상 가사사건의 구별에는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가사사건을 유형별로 묶어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은 가사소송절차뿐만 아니라 가사비송절차 및 가사조정절차에 관하여 통합규정을 하고 있으면서도 겨우 73개 조의 법률만을 가지고 있을 따름이다. 가사사건절차에 다른 법률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는 외에 가사소송규칙에 폭넓게 위임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사항과 규칙사항을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 입법론으로서는 기록열람·복사를 청구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인정되도록 하고 예외적으로 신청을 허가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그 기준을 명확히 하고, 불허가에 대해서는 불복신청권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에서는 사전처분에 집행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실효성이 없는 제도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가사소송법에서 사전처분에 집행력을 인정한다는 규정을 정면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발달, 특히 교통과 통신 수단의 발달로 국제교류의 확대에 따른 국제가사사건의 증가를 가져왔다. 따라서 가사소송법에서 국제가사사건절차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변론종결 후 계쟁물 승계인의 소송법적 지위 : 최근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일룡(Kim, Ilryo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比較私法 Vol.27 No.3

        In interpreting Article 218 paragraph 1 of the Korean Civil Proceedings Act, which has been measured the regulation on the successor after closing argument from Japan, the history of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applicable regulations of the Japanese Civil Proceedings Act, the mother law, cannot and should not be ignored. Recently, new opinions have been raised over the status of the successor of subject-matter in dispute under the Legal Procedure Law in Japanese academia of the Civil Proceedings Act, leading to active discussions. In this thesis, the issues raised in the above new opinions are condensed into three as follows. First, it is the discussion on how to interpret the application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on the successor in harmony with the regulation of the objective scope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second, it is the discussion of the extent to which the procedure security can be accepted for the successor of subject-matter in dispute without spoiling the legal stability, and third, It is a discussion of the newly drawn conclusions by considering the opinions surrounding the inherent protest of the successor of subject-matter in dispute and relevance of the extended structure of the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In general, as the new opinions emerge by indicating their irrationality based on traditional theories an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accepted or rejected by academia or business circles through strict evaluation for them,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is thesis was also conducted by presenting traditional theories first for each issue and introducing new opinions and then adding to the review by the disputant. 변론종결 후의 승계인에게 기판력을 확장하는 우리 민사소송법 제218조 제1항은 일본으로부터 계수하였으므로 이를 해석함에 있어서 모법인 일본 민사소송법의 해당 규정에 대한 입법사와 해석사를 무시할 수도 없고 무시해서도 안 된다. 최근 일본의 민사소송법학계에서는 변론종결 후 계쟁물 승계인의 소송법적 지위를 둘러싸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롭게 제기된 일본에서의 논의들을 세 가지 쟁점으로 압축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쟁점은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의 작용을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에 관한 규정과 어떻게 조화롭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 쟁점은 법적 안정성을 해치지 않고 계쟁물 승계인에 대한 절차보장을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며, 세 번째 쟁점은 기판력의 확장구조에 대한 견해 차이에 따라 계쟁물 승계인의 항변사유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견해는 전통적 이론을 바탕으로 그 불합리성을 지적하면서 출현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거쳐 학계나 실무계에 수용되거나 배척되므로, 이 논문의 서술방식도 이에 맞추어 각 쟁점별로 먼저 전통적 이론을 제시하고 새로운 견해를 소개한 후 이에 대한 평가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KCI등재

        2009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05

        The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09 contain the traditional parts of jurisdiction, parties, co-litigation, oral proceeding, right to elucidation, principle of free conviction,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rechtsschutz-interesse, evidence, recourse(appeal & re-appeal), retrial etc.. And we can find in them some special tendency of evidence, international jurisdiction, approval of foreign decision, retrial connected with constitutional appeal. This indicates a new direction to where the Korean action procedure law should go to develop it's theory and practise. First needed a new study on the unification of evidence-theory not only in civil procedure but also in criminal procedure. Second we are to consider retrial provisions by and large and study a unified retrial system connected with constitutional appeal in all its aspects. 2009년도 민사소송에 관한 대법원 판례의 특징은 증명책임, 자유심증주의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증거법 분야와 재심과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한 비상불복신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한국의 민사소송도 증거능력, 증거가치, 증명책임을 중심으로 하여 증거법 분야에 관하여 민사소송은 물론 형사소송까지 포함하여 새로 독립된 분야로서의 정립과 집중적인 연구가 시작되어야 하고, 또한 재심제도와 관련하여 재심사유, 재심요건, 재심절차에 관한 전반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헌법소원에 의한 비상구제와 관련하여 통합적인 시각에서의 새로운 제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한편 글로벌 시대를 반영하듯이 국제민사소송 즉 국제민사재판관할권, 외국판결의 승인 등에 관한 것이 특히 하급심 판례에서 활발히 논의되었다.

      • KCI등재

        2011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4

        2011년에 선고된 민사소송에 관한 판결은 예년에 비해서 그 양은 줄지 않았으나 내용에 있어서는 민사소송만에 관한 특별한 쟁점이 부각된 것은 비교적 적었고 오히려 민사실체법과 결합된 사례로서 광우병 보도 정정, 군정권시대의 불법행위에 기한 과다한 위자료의 지연손해금 등 흥미로운 사건이 더러 보인다. 전통적인 법원, 당사자, 공동소송의 소송 주체론, 자유심증주의 및 증명책임 등 증거법분야와 변론, 기판력, 소의 이익, 상소, 항고, 재심은 물론 소송비용, 민사집행, 도산, 특히 헌법소원과관련하여 다양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The decisions of the Court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11 abound in its’ contents with diversity. They contains interesting complicated civil cases like as request of correction about mad cow disease news, enormous delayed loss for consolation money etc. And they range from the traditional parts of jurisdiction, parties, co-litigation in principal, of principle of free conviction and burden of proof in evidence, and oral proceeding, right to elucidation,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rechtsschutz-interesse, recourse(appeal &re-appeal), complaint, retrial to the new parts of costs of a lawsuit, execution, bankruptcy and especially constitutional appeal etc.

      • KCI등재

        2010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5

        The decisions of the Court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10 abound in its’ contents with diversity. They contains complicated civil cases of evidence as principle of free conviction and burden of proof. And they range from the traditional parts of jurisdiction, parties, co-litigation,costs of a lawsuit, oral proceeding, right to elucidation, principle of free conviction,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rechtsschutz-interesse, evidence, recourse(appeal & re-appeal), retrial, to execution, bankruptcy and constitutional appeal etc. Comparing to recent years precedents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dministrative measure and patent have reduced this year. 2010년도에는 민사소송에 관한 판결이 다양한 내용으로 대법원은 물론 하급심에서 상당한 양이 선고되었다. 민사실체법과 결합되어 있는 자유심증주의 및 증명책임 등 증거법 분야는 물론 소송비용, 민사집행, 도산, 헌법소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재미있는 쟁점에 대한 판결도 더러 보여 민사소송법의 일반법적 성격을 보여 주고 있다. 예전에 비해 국제거래, 행정처분이나 특허쟁송 등과 관련한 판결이 별로 보이지 않는 것도 특이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