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동학 인식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동학 인식 개선 방안 연구

        안미애,이채영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인 대학생들의 ‘동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결과를 바탕으로 동학에 대한 청년층 대학생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응답자인 대학생들은 동학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동학을 민족 운동으로 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동학 인지경로는 고등학교 수업이 주요 경로로 그중에서도 한국사 수업을 통해 동학을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학생들은 동학을 대학생의 인성 교육이나 토론의 주제로 활용하는 데 적극적이고 긍정적이지 않았다. 셋째, 동학에 대해적극적으로 알고자 하는 태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이들은동학을 ‘과거’에 유효한, 단순히 역사적인 사건 중 하나인 ‘민족 운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현대와 미래를 이끄는 사상으로기능할 수 있는, ‘동학’에 대한 청년층 대학생들의 지식과 인식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과, 청년층 대학생들의 동학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동학을소재로 한 대학 교육을 강화하고, 청년층이 접근하기 쉬운 문화 콘텐츠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Donghak'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Donghak'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ke a preceding study, the study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Donghak to some extent and they regarded it primarily as a national movement. University students learned about Donghak mainly through Korean history classes in high school classes. Second,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positive about using the Donghak as the subject of their humanism or personality education or debate. Third, they didn't want to know the Donghak actively. The results are to be due to the lack of an accurate education about the Donghak to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strengthe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Donghak and diversify cultural contents that are easy for young people to access to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the Donghak.

      • KCI등재

        장위영 영관 이두황과 보은 장내리 파괴

        홍일교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8

        Lee, Doohwang(李斗璜) was commissioned junior officer in 1882, a local public service officer in 1889, and senior officer in 1890 of Jangwiyeong(壯衛營). Lee, Doohwang had participated for the suppression of the 1st DONGHAK Peasant Revolution(東學農民革命) as a senior officer of Jangwiyeong in 1894, and even for First Sino-Japanese War(淸日戰爭) after then. It seemed that Lee, Doohwang was deeply impressed from victories of Japanese force during the battle between the force of Chung dynasty and them, those had been regarded they were much more stronger then Japanese force themselves. This experience would have led him to showing more cooperative attitude with Japanese force during the suppression to 2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As Lee, Doohwang cooperated 2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his first action before moving was gathering information, increasing his force. It was his suggestion to attack and suppress the DONGHAK stationed in Boeun Jangnaeri(報恩 帳內理), regarded as a heart of Donghak force, with Seong, Hayoung(成夏泳), the governor of Anseong, and Lee, Janghoe(李長會), the millitary officier of ChungCheong(忠淸兵使). The pull down of Jangnaeri was had a great meaning for everyone, since it was the command center of DONGHAK. The collapse of Jangnaeri, the central place for Donghak, had given them tremendous frustration, especially to the North DONGHAK force those had lost the base to return. And for Lee, Doohwang, it was the beginning of the suppression of 2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orce of Lee, Doohwang had suppressed Donghak force in Mokcheon, Seosan, Gongju and Yugu and won the battles, yet not engaged in the war of Ugeumchi(牛金峙). It was the result of performing Yanghodosunmuyeong(兩湖都巡撫營)’s order, not avoiding the battle by his own intention. The Japanese force and his troops had scouted around whole area of Jeollado(全羅道) and arrested many of DONGHAK force, those were captured and being executed by firing squad in December 30th, 73 out of 94, near the base camp of Japanese force. The suppression to DONGHAK force in Daedun Mountain, on the middle of the way to Seoul, the last DONGHAK force the warfare was happened after the execution. 李斗璜은 1882년 무과 급제 후 하급 장교로서 활동하였으며, 1889년에는 지방관으로 임명을 받아 활동하였으며, 1890년 壯衛營 대관으로 임명받는다. 이두황은 1894년 장위영의 대관으로 제1차 東學農民革命 진압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淸日戰爭에 참전하게 된다. 이두황은 일본군이 그들보다 전력이 더 강하다고 평가를 받는 청군과의 전투에서 계속 승리하는 모습을 보면서 일본군에 대해 강렬한 인상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험은 제2차 동학농민혁명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그가 일본군의 지시를 잘 따르게 하는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제2차 동학농민혁명 진압에 참여한 이두황은 먼저 정보수집과 병력 증강 등 사전 준비를 한 후 부대를 이끌고 출발한다. 이두황은 먼저 안성군수 成夏泳, 충청병사 李長會와 함께 동학 교단의 중심지인 報恩 帳內理의 동학농민군을 진압할 계획을 논의하였다. 14일 보은에 도착한 이두황은 동학교단의 본부인 보은 장내리를 철저하게 파괴하였다. 이러한 보은 장내리의 파괴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장내리는 동학의 본부로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장내리의 파괴는 동학의 본부가 파괴된 것이다. 따라서 보은 장내리의 파괴는 동학교도들에게 본부가 파괴되었다는 상실감을 주었고, 특히 북접 동학농민군들에게는 전투 후에 돌아갈 수 있는 근거지가 없어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두황의 보은 장내리 파괴는 2차 동학농민혁명의 본격적인 진압을 알리는 신호였다. 보은 장내를 파괴한 후 이두황은 목천, 서산, 공주 유구 등 여러 지역에서 동학농민군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지만, 공주 우금치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그것은 이두황이 전투를 피한 것이 아니라, 양호도순무영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한 결과이다. 이두황은 일본군과 함께 전라도 여러 지역을 순회하면서 동학농민군들을 체포하는데, 12월 30일 체포한 동학농민군 94명 중 73명을 일본군 진지 앞에서 사살한다. 그리고 서울로 복귀하는 중에 최후까지 저항하던 대둔산의 동학농민군을 진압한다.

      • KCI등재

        옥천 지역의 동학의 전파와 확산

        성강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본 연구는 옥천 지역의 동학 전파와 동학 조직의 확산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최제우의 창도기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1874년 해월의 단양 이주로부터 본격화하였다. 해월은 단양을 거점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경기도까지 교세를 넓혀나갔다. 1883년을 시점으로 충청도의 도인들이 동학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손병희·손천민·박인호·서인주·서병학·조재벽·임규호·권병덕 등이 당시 입도한 인재로 1892~3년의 4차에 걸친 교조신원운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옥천의 동학 유입 시기는 임규호와 조재벽의 활동으로 보아 1886~1887년경으로 보인다. 옥천과 청산은 충청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기에 동학이 전해졌지만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1890년대에 들어와서 옥천과 청산의 동학도들이 관의 수탈 대상이 될 정도로 교세가 급성장하였다. 옥천 동학의 중심인물은 박석규이고 청산의 중심인물을 박원칠이었다. 박석규와 박원칠은 1893년 2월의 광화문복합상소에서 봉소인으로 참여할 정도로 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박석규는 보은 교조신원운동에서는 옥의대접주로, 박원칠은 청의대접주로 활약하였다. 이들은 동학농민혁명 2차 기포에 동참하여 손병희 휘하에서 우금치, 청주, 청산, 보은 북실, 영동 용산시전투 등의 참전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실패로 박석규는 청주병영에 체포되어 참형되었으나 박원칠의 행적은 드러나지 않는다. 옥천 지역의 동학 세력이 성장함에 따라 교주 최시형을 정점으로 대접주-수접주-접주의 조직을 갖추었다. 각 접에는 접사와 성찰이 있었고 포덕을 담당하는 포덕장과 육임의 직책을 맡은 도집과 집강 등이 있었다.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포군, 운량도총감, 선봉장, 군자금 담당 등 군사 활동과 관련한 직책이 늘어났음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옥천 지역의 동학 조직은 동학농민혁명 이전에는 종교적 조직이었지만 동학농민혁명 시기에는 급격히 전투조직으로 변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read of Donghak and its organization in Okche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lux of Donghak in Chungcheong-do began from the opening period of Je-woo Choi. However, the influx of Donghak to Chungcheong-do began in earnest from Choi Si-hyung’s immigration to Danyang in 1874. Based in Danyang, Choi Si-hyung expanded his ties t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gi-do. As of 1883, the church members of Chungcheong Province began to play a key role in the church. Byunghee Son, Cheonmin Son, Inho Park, Inju Seo, Byeonghak Seo, Jaebyeok Cho, Gyuho Lim, and Byeongdeok Kwon were talented people who entered the period at the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four rounds of Gyojosinwon Movement(a movement to reinstate the unjust death of a religious founder) in 1892-3 years. Okcheon’s inflow of Donghak seems to be around 1886~1887 based on the activities of Gyuho Im and Jaebyeok Cho. Okcheon and Cheongsan showed rapid growth, although Donghak was passed on at a relatively late period compared to other areas of Chungcheong-do. In the 1890s, the relationship between Okcheon and Cheongsan became the targets of the exploitation of the pavilion. The central character of Okcheon Donghak was Park Seok-gyu, and the central character of Cheongsan was Park Won-chil. Park Seok-gyu and Park Won-chil played a key role in the denomination so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Gwanghwamun Gyojosinwon Movement in February 1893 as Bongsoin(봉소인). Park Seok-gyu served as a Okeuidaejeobju(옥의대접주) in the Boeun Gyojosinwon Movement, and Park Won-chil served as a Chongeuidaejeobju(청의대접주). They participated in the second phas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participated in the battles of Woogeumchi, Cheongju, Cheongsan, Boeun Buksil, and Yongsan Market in Yeongdong under Son Byeong-hee. For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k Seok-gyu was arrested and sentenced to death by the Cheongju barracks, but Park Won-chil’s actions are not revealed. As the power of Donghak in the Okcheon region grew, the organization of serving Daejubju(대접주), Sujubju(수접주) and Jubju(접주) was established with the peak of the headmaster Choi Si-hyung. There were affixes and reflections at each side, and there were a Podeokjang(포덕장) in charge of spread and a Dojip(도집) and Jibgang(집강) in charge of the post of Yuk-im(육임).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from the records of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t the number of positions related to military activities such as artillery, Unryangdo Superintendent운량도총관), Seonbongjang(선봉장), and military funding increa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Okcheon area was a religious organization before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but during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it rapidly transformed into a combat organization.

      • KCI등재

        옥천지역 동학농민혁명과 진압군 활동 - 『갑오군정실기』 기록을 중심으로

        정을경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옥천지역은 보은과 함께 동학농민혁명의 진원지로서 중요한 곳이다. 보은은 보은집회로 동학농민혁명이 시작한 곳이며, 1893년 10월부터 약 1년 동안 최시형이 기거하면서 동학교인을 통솔한 곳이다. 옥천의 동학농민군들의 움직임은 1894년 3, 4월 경으로 짐작된다. 옥천을 포함한 충북지역 출신의 동학농민군들은 전라도 내려가 전봉준부대에 합류했던 것으로 보이며, 4월 중순 이후 대부분 해산하였다. 이 시기부터 옥천의 동학농민군은 인근 지역의 동학농민군들과 호응하면서 활동하였고, 최시형이 있던 청산리를 중심으로 동학교인들이 세력을 넓혔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첫 기포는 7월 18일에 크게 봉기하였다고 하나, 관련 활동상은 파악되지 않는다. 최시형은 9월 18일 총기포령을 내렸고, 옥천의 박석규를 비롯하여 옥천 일대에서 활동하던 접주들이 합세하였다. 이들의 첫 활동은 10월 2일로 확인된다. 10월 19일을 즈음하여 일대의 동학농민군들이 모여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10월 중순에서 하순까지는 전봉준 부대와 손병희 부대가 공주에서 한다리 ‘한솔벌’ 전투를 시작으로 효포전투, 이인전투 등을 전개했다. 이때 옥천의 동학농민군들이 손병희 부대로 들어가 전투를 전개했고, 한편 동학농민군 주력이 공주 방면으로 이동하고 난 이후의 옥천 주변의 동학농민군들은 10월 중순부터 회덕, 연기, 청주 등지를 거쳐 옥천으로 집결하였다. 이들은 증약전투에 이어 11월 5일에는 청산 석성리에서, 11월 8일에는 문바위골에서 전투를 벌였고 피해가 컸다. 특히, 충북 남부지역에서 민보군에 의한 동학농민군의 탄압이 가장 성행했던 지역이 옥천이었다. 옥천지역에서 양반세력과 동학농민군 사이의 갈등의 골이 깊었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주에 있던 전봉준 부대와 손병희 부대는 10월 말경 논산으로 내려갔고, 11월 6~7일경 다시 공주로 북상했다. 이들은 남북접이 연합하여 우금치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전개하였고, 결국 실패했다. 한편 11월 8일 옥천의 양산장에 동학군 몇 천명이 모여 관군과 접전을 벌였고, 50여명이 희생당했다. 11월경 동학군과 관군에게 옥천은 중요한 장소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옥천을 중심으로 일본군은 11월 9일 옥천에서 금산, 11월 16일 문의에서 옥천, 18일 옥천에서 영동, 아산 등으로 이동했다. 옥천지역의 동학농민군의 피해도 극심했다. 11월 5일을 전후하여 옥천지역의 피해가 컸고, 11월 말경에서 12월 초에는 옥천 일대의 동학농민군들이 관군과 접전을 펼쳐 큰 피해를 입었다. 옥천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진압한 대표 인물은 박정빈, 김재빈, 김진오, 원준상, 육상필 등으로 파악된다. 이후 옥천 동학농민군들은 속리산으로 들어갔다. Okcheon is an important place as the epicenter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with Boeun. Boeun is the place that it began by Boeun Rally and Choi, Sihyeong lived in and directed Donghak believers for about a year since October 1893. Donghak peasants’ movement in Okcheon is estimated to have begun around March and April 1894. Donghak peasants from Chungbuk including Okcheon seems to have gone to Jeolla-do and joined Jeon Bongjun Army and most of them dispersed after Mid April. Donghak peasants in Okcheon responded to the ones near it were active since then. And it is judged that Donghak believers widened their influence with Cheongsan-ri that Choe, Sihyeong stayed in as the center. After that, they say the first uprising on July 8 was great, but the related activities are not understood. Choe, Sihyeong ordered the whole uprising on September 18 and the district assembly leader who had been active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as well as Park, Seokgyu in Okcheon joined it. Their first activity was checked as October 2. Donghak peasants in the whole area gathered and developed their activities around October 19. Starting with ‘Hansolbeol’ Battle in Handari, Gongju, Jeon Bongjun Army and Son Byonghi Army developed Hyopo Battle and Iin Battle from mid to mate October. At this time, Donghak peasants in Okcheon joined Son Byonghi Army and developed battles. Meanwhile, the main forc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moved to Gongju and then the ones around Okcheon gathered in Okcheon via Hoedeok, Yeongi, Cheongju, etc. since mid October. They had battles in Seokseong-ri on November and Munbawigol on November 8 after Jeungyak Battle and were baddly damaged. Especially, it was Okcheon that was the place that Minbogun in Southern Chungbuk most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army. It implies that conflicts between the noblemen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went far deeper in Okcheon. Jeon Bongjun Army and Son Byonghi Army that had been in Gongju went to Nonsan late October and again came back to it aroung November 6 to 7. They fiercely fought in Ugeumchi Battle as Donghak Northern and Southern Assembles united and finally failed. Meanwhile, thousands of people of Donghan Army gathered and back and forth battled with the government army in Yangsanjang in Okcheon on November 8 and more than 50 people were sacrificed. Okcheon is judged to have been an important place to Donghak Army and the government army around November. The Japanese army moved from Okcheon to Geumsan on November 9, from Muneui to it on November 16, and from it to Yeongdong, Asan, etc. on 18 with it as the center. The Donghak peasant army in Okcheon was extremely damaged. Okcheon was badly damaged before and after November 15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badly damaged by having a close battle with the government army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from late November to early December. The representative persons who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whole area of Okcheon are judged to be Park, Jeonbin, Kim, Jaebin, Kim, Jino, Won, Junsang, Yuk, Sangpil, etc. After the Donghak peasant army in Okcheon went to Songnisan Mt.

      • KCI등재

        옥천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청산기포’의 의의

        임형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충청북도 옥천은 동학농민혁명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 소위 제 2차 기포로 알려진 옥천지역의 청산에서 실시된 총기포령은 한순간에 동학농민혁명을 전국화시켰다. 비로소 동학농민혁명은 사람이 하늘같이 대접받는 사회를 향한 후천개벽의 혁명을 높이 들은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옥천의 동학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연구가 부족했다. 여전히 논쟁의 소지가 있는 최초의 혁명거사일과 장소의 문제, 해월 최시형의 혁명 관여도의 문제, 동학군의 지휘권 문제 그리고 혁명의 전국화된 일자와 장소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옥천에 동학의 전파는 조재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재벽포는 충청도 남쪽 일대의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다. 그는 해월 최시형의 청산 문바위골을 소개해줄 정도의 신임을 받은 인물이었다. 1차 동학농민혁명 당시에도 옥천지역의 동학도를 이끌고 금산의 혁명에 참여하는 등 이 지역의 대표적인 동학접주였다. 청산에 머물던 해월 최시형은 전주화약 이후 청일전쟁을 일으키고 내정간섭에 나서는 일본에 대한 대일 항전을 선언하고 전국의 동학도들에게 총기포할 것을 명령하였다. 그날이 1894년 9월 18일이었다. 9월 18일 청산기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농민혁명의 전국화이며 둘째, 똑같은 구호와 똑같은 이상사회를 향한 목표를 가지고 진행된 혁명성이고 셋째, 동학조직의 일원회된 지휘체계의 확인이었으며 끝으로 전국 동학도들의 통합성이다. 지난 2014년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기념해서 만든 구호가 동학농민혁명의 전국화, 세계화, 미래화였다. 그 첫 단추인 전국화가 실현된 정소가 바로 옥천의 청산이다 Okcheon(옥천), Chungcheongbuk-do, is a region closely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otal gipo orders(총기포령) carried out in the clearing of the Okcheon area In a momen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nationalized. Finall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 high praise for the revolution toward the society of hucheongaebyeog, where people are treated like heaven. However, in-depth studies have been lacking in Okcheon donghak. These are still the first controversial issue of revolutionary days and places, the issue of Haewol Choe si-hyeong’s involvement in revolution, the issue of command of the Donghak army, and the issue of the nationalized date and place of revolution. The propagation of Donghak in the Okcheon area was centered around Cho Jae-byeok(조재벽). The Chojaebyeokpo, created by him, was the most powerful force in the south of Chungcheong-do. He was trusted enough to introduce Cheongsan munbawigol(청산 문바위골) to Haewol Choe si-hyeong. At the time of the first Donghak peasant revolution, he was the representative Donghak Jeobju(접주) in the region, leading Donghak army in the Okcheon area and participating in the Geumsan(금산) revolution. During the stay in Cheongsan, Choi Si-Hyeong declared a protest against Japan and total gipo orders to Donghak army nationwide. It was September 18, 1894. The significance of the Cheongsan gipo(청산기포) on September 18 is as follows. First is the nationaliz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econd, it is a revolutionary process with the same slogan and goal toward the same ideal society. Third, it was to confirm the unified command system of the Donghak organization. Lastly, it is the integrity of Donghak-do nationwide. The relief created in commemoration of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2014 was the 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futureiz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heongsan in the Okcheon area is the first place where nationalization, the first step, has been realized.

      • KCI등재

        동학사상에 내재한 실천적 서정성의 가능성 고찰

        이나영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4

        이 연구의 목적은 신동엽의 시 정신을 구명하기 위해 사상적 연원으로써 동학사상과의 연관성을 찾고 나아가 ‘참여시인’으로서의 신동엽 문학의 ‘실천성’의 사상적 토대를 설명하는 데 있다. 동학사상은 신동엽이 서구 문화에 추수하여 비판력과 실천력을 잃어버린 한국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자 선택한 대안이었다. 이에 동학사상에 내재한 서정성의 중요한 성격으로써 상호주체적 서정성과 그것의 현실에서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인 실천적 서정성의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또 나아가 신동엽의 비평을 통해 동학사상에 내재한 실천적 서정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의 핵심 사상인 ‘시천주(侍天主)’는 해월의 「삼경(三敬)」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삼경」 사상은 주체와 객체가 서로 상호 존중하며 공존의 관계를 맺으며 조화롭고 대등한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주체적 서정성의 세계관과 상통하고 있다. 동학사상에 내재한 상호주체적 서정성은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우주 만물의 주체성을 회복하여 근대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의하고 있다고 하겠다. 둘째 동학사상은 회복된 주체성을 바탕으로 사회 변화를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도의 일상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동학의 실천성은 ‘나’와 ‘타인’을 넘어 ‘사물’에 대한 ‘위위심(爲爲心)’을 강조하였다. ‘비아’에 대한 일상에서의 ‘위위심’의 실천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딱딱하게 굳어버린 서정시의 근원적 정신을 일상 속에서 되살려 서정시의 본질을 회복하고 세계와 해조를 이루게 하여 실천적 서정성의 가능성을 찾는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셋째 신동엽의 시정신은 동학사상에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으며, 그의 시선은 항상 민중과 민중의 생활을 주시하고 긍정한다. 그는 일상의 진실 된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랑’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넷째 신동엽은 인간의 세계관(의식)의 변화를 이끌 중요한 임무가 ‘종교’와 ‘예술’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시의 형이상학적 태도를 비판하였으며, 편협하고 고착된 시선에서 벗어나서, 인류를 위해 피 흘리는 희생적 태도, 즉 인류를 향한 ‘사랑’의 실천을 촉구하였다. 즉 이러한 ‘비아’에 대한 실천적 사랑은 실천적 서정성의 길을 여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사상은 서구적 근대성이 야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사상이라고 하겠다. 둘째 신동엽의 ‘시 정신’은 동학사상에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으며, 그의 ‘참여시인’으로서의 실천성 역시 동학사상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해할 때 더욱 분명해 진다. 셋째 신동엽의 ‘생명의 시’는 시인의 정신(사상)이 살아 숨 쉬며, 인류에 대한 희생과 구원을 위해 피 흘리는 종교의 희생적 태도와 실천성이 하나 될 때 참된 시가 될 수 있다는 그의 실천적 서정성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ul of poetry in Shin Dong-yeop's poem relating with Donghak ideology. Furthermore it explainsideological base Shin Dong-yeop as a Part poet. Donghak ideology is optional alternative to open up a new possibility to Korean literature losing critical power and the power of execution against Western culture. Therefo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Donghak is mutually independent and practical lyricism that is concrete actuation principle at present. Also this discussion proceeded to verify practical lyricism in Donghak ideology through Shin Dong-yeop 's criticism. The discussion contents in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ain idea in Donghak, ‘Si Cheon Ju(侍天主)’materialized more through 「Sam Gyeong(三敬)」 by Hae Wol. 「Sam Gyeong」 idea has an aim for harmonious and equal world having mutual respect and coexistence between main agent and object common with mutually independent world view. This mutually independent lyricism in Donghak ideology implicated the possibility to solve modern problems free from anthropocentricism and an independence recovery of the whole creation. Second, Donghak is an eventually aim for societal change based recovered independence. Also it emphasizes usual practical duty. Moreover, practicability in Donghak also emphasizes 'Wi Wi Sim(爲爲心)' toward 'object' beyond 'I' and 'you'. Practice of 'Wi Wi Sim in routine toward 'Nonego' becomes ideologic base to find practical possibility of lyricism made harmony with world recovered nature of lyricism poet. Third, the soul of poetry in Shin Dong-yeop's poem depends on Donghak ideology and his attention always keeps a watch on the public and popular life and he affirms. He emphasizes practical of 'love' in true daily life. Forth, Shin Dong-yeop emphasizes 'religion' and 'art' that is an important mission for leading a human world view (awareness) change, and he demands on getting out of metaphysical attitudes and narrow-minded and fixed attentions in poem. Also he demands bleeding sacrificially attitudes for human, that is practical 'love' toward human. In other words, practical love toward 'Nonego' opens up the practical lyricis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Donghak ideology is an alternative ideology that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western modernity. Second, 'the soul of poetry' of Shin Dong-yeop depends on a large part in Donghak ideology and his practicability as a part poet also manifested in Donghak. Third, 'living poetry' of Shin Dong-yeop draw breaths the soul of poetry and it shows his will of practical lyricism, the poetry can be a true poetry when the poetry becomes one for the bleeding religious sacrifice and salvation for human.

      • KCI등재

        동학 연구 20년의 회고(1995-2014) - 신관, 신비체험, 그리고 비교연구 -

        임태홍 ( Tai Hong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이 글은 2015년 3월 18일 경북대학교에서 열린 ``동학국가지정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학술용역사업`` 관련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재정리한 것이다. 동학과 중국의 태평천국 및 일본의 천리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필자가 그동안 발표한 동학 논문의 전반적인 소개를 부탁받았는데, 그 자리를 빌려서 필자가 동학관련 석사논문을 제출한 1995년부터 2014년 까지 20년간의 동학 연구를 회고하는 형식으로 발표를 하였다. 필자의 동학관련 연구는 크게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학 신관 연구이며, 둘째는 동학의 신비체험연구, 셋째는 동학의 사상 연구, 넷째는 동학과 태평천국·천리교의 비교연구다. 이를 본고에서는 제Ⅱ장에서 제Ⅴ장까지 4개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동학 신관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서 발표된 논문 편수를 보면 1990년대에 최고조에 달하였다. 필자의 석사학위논문 『동학신관의 형성과정 연구』(1995)는 바로 이때에 발표된 것으로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로 이어지는 신관을 시천주(侍天主) → 양천주(養天主) → 인내천(人乃天)으로 정리하였다. 필자의 뒤에 발표된 논문들도 이러한 흐름을 채택하고 있어 현재는 동학신관의 흐름을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 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필자는 손병희 신관을 각천주(覺天主)로 정리하는 것이 그 사상의 핵심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신비체험 연구는 서구학계나 중국학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중하나이다. 철저하게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신비체험을 연구한다면 다양한 사상적, 문화적인 연구 성과가 도출될 수있으나, 우리 학계에서는 아직 이 분야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동학의 신비체험에 대한 연구는 학계에서 필자의 연구를 포함하여 10편을 넘지 않는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필자의 동학사상 연구는 사실상 이러한 신비체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etrospection of My 20 Years Studies on Donghak(1995-2014): Views of God, Mystical Experience and Comparative Studies / Lim Taihong My studies on Donghak(東學) could be classified roughly four kinds of topics such as Donghak leaders` views of God, their mystical experience, the thoughts and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Donghak and Taiping Rebellion of China or Tenrikyo(天 理敎) of Japan. In Korea, the studies on the Donghak members` views of God, if evaluated b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reaches its peak in nineties. My thesis for master`s degree,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d in Donghak(1995), submitted during this period, argued that Donghak leaders` concept of God developed from Choi Jewoo`s thought of ``Attending on God(侍天主)`` to Choi Sihyeong`s thought of ``Bringing up God(養天主)`` and to Son Byeonghee`s ``Human beings are God(人乃天)``. Almost all the studies after this paper, when examining the views of God in the religious body of Donghak, have followed the same concept. Nowadays, it has become a common view. In the English-speaking or Chinese-speaking world, Mystical experi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hemes. If carefully investigated by scientific grounds, studies on the unusual religious experiences can show various achievements in the researches on the cultural or ideological fields.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mystical experiences. The number of the papers on the mystical experiences of Donghak members, including mines, may count no more than 10. After doctorate degree, in fact, this writer``s almost all the study achievements on Donghak can be said to come from the examination on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Donghak society. In the mean time,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my comparative studies on Donghak may be the thesis for my doctor`s degree, Mystical Experience and its Thought of New Religions in East Asia : Shamanism, Mental Pathology and Spatial Awareness of Hong Xiuquan, Choi Jewoo and Nakayama Miki. This dissertatio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in Korean. And It may be the biggest obligation for me to translate it into Korean.

      • KCI등재

        동학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 해월 최시형과 '영해 동학혁명'의 발자취를 중심으로 -

        조극훈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History is a dialo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a ground of the new future vision through the lesson of the past. The history of the past, ex. Donghak Revolution in Younghae, gives us new vision of the world of the human freedom and the new world in the cultural aspects.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the Choi, Si-Hyung's Donghak Thought and the cultural meaning of Donghak Revolution in Younghae by establishing Donghak Cultural Contents in the humanistic aspects for the creative succession of the Donghak Culture. In the chapter 2, I discussed that Donghak Revolution is not only politics movement, also original civilization movement which exchanges all the aspects of the age, I.e. Posterior Gaebyeok, and Choi, Si-Hyung's Donghak Thought is life peace thought of three worship, equalitarianism of Sainyeocheon, and mind training method of susimjeonggi. In the chapter 3, I discussed the outline of Donghak Revolution in Younghae, and cultural meaning of Conservation of Donghak Revolution Historic Sites. In the chapter 4, I argumented the needs, its concept and feature of cultural contents and that humanistic vision and sensitivity grasping totally all the aspects of thing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Donghak cultural contents, and also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psyc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history, and literature, etc. is needed for the method of Donghak's Cultural Contents. In the Chapter 5,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Donghak Cultural Contents, reexamination of Donghak Culture Indentity, realization of Glocalization of Donghak, Healing Culture, and possibility of memory and transmission of Donghak Revolution Historic Sites. The development of Donghak Cultural Contents is not only meant to make characterizing cultural symbol and marketing it, but also meant to give the sign to have sympathy with Zeitgeist, emotion, and thought of peoples in those days, by knowing fact of cultural sources. In particular, Gaebyeok Will and passion of ideal world, and higher religion mind are contained in Donghak Culture and its Historic Sites. These norms are needed to develop the Donghak Historic Sites and it's Cultural Contents.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며, 과거의 교훈을 통해서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영해 동학혁명은 문화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자유와 새로운 세상에 대한 비전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동학 문화에 대한 창의적 계승을 위해 동학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을 모색함으로써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과 영해 동학혁명의 문화적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2장에서는 동학혁명은 다시개벽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정치혁명일 뿐만 아니라 시대 자체의 근원적 틀을 바꾸는 문명운동이었다는 점과, 해월의 동학정신은 삼경의 생명평화사상, 사인여천의 평등사상, 수심정기의 수련법에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영해혁명의 개요와 유적지를 정리하면서 유적지 보존의 문화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욕구가 생긴 이유와 그 개념 및 특징을 제시하면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이성과 감성을 갖춘 인문학적 안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동학 문화콘텐츠의 방법으로 심리학, 철학, 인류학, 역사학, 문학 간의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동학 문화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그 방향으로 동학 문화의 정체성의 제고,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의 실현, 현대인의 불안하고 외로운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힐링 문화로서의 동학 문화의 정립 등을 들었다. 문화콘텐츠를 개발한다는 것은 문화적 상징을 캐릭터화하여 그것을 상품으로 만든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문화 소재에 대한 사실인식과 함께 그 속에 담긴 시대정신과 그 당시의 사람들의 감정을 느껴보면서 공감하고 기억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호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학의 문화 및 문화유적에는 강력한 개벽의지와 이상 세계에 대한 열망이 들어 있으며 현실의 고통을 수도를 통해 영성으로 고양하는 높은 종교심도 들어있다. 이러한 덕목이 앞으로 동학 유적지 개발 및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 KCI등재

        초기 동학 교단과 영해지역의 동학

        성주현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Yeonghae was deeply related in Donghak from early time. After the establishment of Donghak by Choi Jae wu on 5th April, 1860 and first missionary work in June in following year, Donghak was propagated in Gyeongsando, including Gyeongju, and then extended in Yeonghae. By the end of 1862 Choi Jae Wu organized ‘Jeop’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Donghak believers in various places. When Jeop was organized, which was the first institution in Donghak Order, in Yeonghae there were many believers enough to appoint the Master of Jeop. After that time, by the active missionary activities of Choi SiHyung, Yeonghae became the center of the Donghak Order. Through this, in 1871 the Movement Vindication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was developed, which could regard as the first social movement of Donghak. From this, we could find the importance of Yeonghae in early order history. At first, it was the 1861, when Choi Jae Wu started to propagate, that Donghak spread out in Yeonghae. It was in Gyeongju, where was the place of its origin, that was the first place to propagate Donghak. The public who have been discriminated by confucian ideology, speedingly adapted the Donghak. The early Donghak was spread to North-East and coast in South-East around Gyeongju. Yeonghae placed in the important street corner through Chungha – Heunghae – Yeongdeok – Uljin – Samcheok – Gangdeung. Donghak was spread through this route, and equally Yeonghae. The power of Donghak in Yeonghae was expanded to extent that Park Haseon was appointed to Master of Jeop. Secondly, since there was a specific social structure, YeonghaeHyangjeon, in 1840 it was possible to propagate Donghak in Yeonghae. YeonghaeHyangjeon occurred in conflict between existing the power of Hyangchon and concubines sons who took the lead the ascent of status because of Law of Unfair Treatment System of Concubines Sons. From this, SinHyang adapted the Donghak spontaneously. Thirdly, this organization of Donghak developed in the new reformative power by combination with Lee Pill Jae. The central group of Donghak in Yeonghae was the SinHyang from the concubines sons. SinHyang was sought to strengthen their status and influence in conflict with GuHayng. Adapting the Donghak SinHyang grew as the potential reformative power, and by joining in Lee Pill Jae, a revolutionist, place in the center of reformative powers. Finally, the organization of Donghak in Yeonghae played the critical role in the Movement Vindication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The regions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were 14 including Gyeongju, Yeonghae, Yeongdeok. However, the central power of the movement was the Donghak believers in Yeonghae. Thus the Donghak in Yeonghae had the important place in early history of Donghak Order 영해는 일찍부터 동학과 인연이 깊었다. 1860년 4월 5일 수운 최제우에 의해 동학이 창도된 후 그 이듬해 6월 첫 포교 이후 경주를 비롯하여 경상도 일대에 동학이 포교되었는데, 영해지역에도 동학이 전래되었다. 1862년 말경 수운 최제우는 각지의 동학 교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접을 조직하였다. 이처럼 동학교단의 첫 조직인 접이 조직될 당시 영해지역에 접주가 임명될 정도로 적지 않은 동학 교세가 형성되었다. 이후 해월 최시형의 적극적인 포교로 영해는 당시 동학교단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를 계기로 동학교단의 첫 사회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1871년 영해교조신원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를 통해 초기 교단사에 영해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는 영해에 동학이 포교된 것은 수운 최제우가 동학을 포교하기 시작한 1861년부터였다. 동학의 첫 포교는 동학이 창도된 경주였다. 그러나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차별받던 일반 민중들은 누구보다 동학을 먼저 수용하였다. 초기 동학은 경주를 중심으로 동북지역과 동남지역인 해안가로 확산되었다. 영해는 경주를 기점으로 청하-흥해-영덕-울진-삼척-강릉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길목의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이 길을 따라 자연스럽게 동학이 확산되었는데, 영해에도 동학이 포교되었던 것이다. 이에 이해 11월 박하선이 접주로 임명될 정도로 영해는 교세가 확장되었다. 둘째는 영해지역에 동학이 포교된 것은 1840년 영해향전이라는 독특한 사회구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영해향전은 기존의 향촌세력과 서얼차대법 폐지로 인한 신분상승을 주도하였던 신향의 갈등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계기로 신향은 평등사상을 추구하는 동학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었다. 영해향전을 계기로 영해는 동학에서 중요한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셋째는 이와 같은 영해지역의 동학 조직은 이필제와 결합됨으로써 새로운 변혁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영해지역 동학교인의 중심은 서얼 출신이 많은 신향들이었다. 신향은 구향과 갈등에서 자신들의 지위와 영향력을 강화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동학을 수용하면서 잠재적 변혁세력으로 성장하였고, 이필제라는 ‘혁명가’를 만나 변혁세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넷째는 영해지역 동학 조직은 신원운동을 전개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신원운동에 참여한 동학조직은 동학이 창도된 경주를 비롯하여 영해, 영덕 등 14개 지역에서 참여하였다. 그러나 신원운동에 참여한 핵심세력은 영해지역의 동학교인들이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영해지역의 동학은 초기 동학교단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동학농민전쟁과 종교

        윤선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eligion by studying on how and when the idea of anti-Japanese, anti-feudalism Peasant Revolution changed within Donghak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easant War and Donghak and the Peasant War and the Catholicism. Donghak emerged as a new religio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was transformed into more systematic form by Choe Shihyeong and became more practical by Jeon Bong-ju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the most important issue of Donghak as a new religion was to realize a new society through 'Sicheonju(worshipping God)' and 'Gaebyeok(the dawn of new civilization)'. Choe Shihyeong focused more on humanism than worship of Heaven, which was for organizing the Donghak association and missionary work. Donghak in the 1890s reflected the peasants' political and social needs which led to anti-feudalism reformation and anti-Japanese idea. The first Peasant War was interpreted and practiced Donghak's anti-Japanese, anti-feudalism idea by the demands of the time. Anti-feudalism movement was practiced by peasant government with local governments associated with Donghak organizations. The second Peasant War was started against anti-aggression and peasant armies had to carry out anti-feudalism movement as well. The second Peasant War was led by Donghak leaders in Jeonla area including Jeon Bong-jun. Leadership of Donghak association maintained the religious characters of Donghak and focused on expanding the association. Division into pure religious movement and social reformation within Donghak couldn't be a significant help to the Peasant Wars. The Catholicism, to peasant armies, was the object for destruction that was closely linked to Japanese forces. Even though it was excluded and had the similar form and size of the followers compared to those of the Catholicism, Donghak showed negative views on the Catholicism. The Catholic Church considered Donghak-related peasant wars as rebellion and defined peasant armies as rioters. Peasant armies considered the Catholic Church as the center of foreign forces and had anti-Japanese, anti-Western forces mentality. 이 논문은 동학사상 안에서 반제반봉건의 농민전쟁 이념이 어떻게 시기적으로 변모하는지, 그리고 농민전쟁과 동학, 농민전쟁과 천주교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동학농민전쟁과 종교의 관계를 추적한 것이다. 동학사상은 최제우 때 신종교로서 모습을 드러냈고, 최시형에 의해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전봉준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모습을 표출하였다. 최제우 때에는 신종교로서 시천주와 개벽을 통하여 새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 동학사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이었다. 최시형은 敬天보다 敬人을 중시하였는데 그것은 동학교단 정비와 포교에 주력하기 위해서였다. 1890년대 동학사상은 농민의 정치사회적 요구가 반영됨으로써 반봉건 개혁사상, 반제사상으로 전개되었다. 제1차 농민전쟁은 동학의 반제반봉건사상을 시대의 요구에 따라 해석하고 실천하였다. 그리고 동학 조직과 관련 있는 집강을 중심으로 농민통치를 펼쳐 반봉건활동을 전개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은 반침략을 목표로 시작되었는데 농민군은 반봉건투쟁도 함께 해야만 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 때 주도적인 역할은 전봉준 등 전라도지역의 남접 접주들이 담당하였다. 동학교단 지도부는 동학의 종교성을 유지하고 조직을 확장시키는데 관심을 두었다. 순수 종교운동과 사회개혁운동으로 나뉜 동학의 분열은 농민전쟁에 강력한 힘을 줄 수 없었다. 농민군에게 천주교는 외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타도해야 할 대상이었다. 조선정부로부터 邪學이라는 같은 대접을 받고, 신자 구성이 비슷하였음에도 동학은 천주교에 부정적이었다. 천주교회는 동학과 연관된 농민전쟁을 반란으로 이해하였고 농민군을 폭도라 규정하였다. 농민군은 천주교회를 외국세력과 연계된 근거지로 생각하여 반제 척양의 입장에서 공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