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아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정유경 ( Yu Kyung Jung ),신재욱 ( Jae Wook Shin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1 No.-

        디지털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면서 예술 환경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상호작용성이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면서 테크놀로지의 지배력도 점차 강화 되고 있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도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급성장 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적 예술품과 다르게 디지털 아트에 사용되는 매체들은 사진이나 동영상 매체로서 삶의 지평에 광범위하게 접할 수 있는 외적인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디지털 아트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 때문에 대중들에게 광범위한 호응을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매체미술의 특유한 속성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갖고 있다. 과거의 소수계층에 의해서 예술과 문화를 움직이는 시대는 지나갔다. 21세기는 디지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문화 예술의 소비 주체는 익명의 수많은 대중들이며 그들을 향해 예술을 팔아야만 하는 시대가 도래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예술 패러다임으로서 대중과 함께 디지털 아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풀어 나 갈수 있는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the impact of digital culture has deeply influenced our daily life deeply, art environment has also entered into new condition. Interactivity has been emerged as a new paradigm of digital era, and the controlling power of technology has been also reinforced. As such, it seems that a digital-based art (i.e., digital art) is sharply growing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is is the case because, unlike the existing analog artworks, any media used in digital are, that is, photographs or video media and computers, have an advantage of external intimacy that can be widely accessed in the daily life. However, in fact, digital art has failed to obtain a far-reaching response from the public due to its unique nature of medial art, but has encountered various difficulties due to its special conditions (expense, distribution and support for artists) unique to digital art, unlike the existing analog artworks.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dentify problems and find out improvements. The era where a few classes move art and culture has gone, and the subject of consuming culture and art in the digital information era of the 21st century is the anonymous public.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a resolution of solving problems of digital art as a new art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together with the public, recognizing the advent of era in which it is necessary to sell arts for the public.

      • KCI등재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미국 대학생 학습자를 중심으로-

        나은영,나은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9

        This study proposes digital storytelling as a vital pedagogical tool that can be utilized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light of the current trends in the use of technology to effect language learning, there is a need to venture into new scopes so as to make this process versatile. Trends in contemporary language learning have continued to mount pressure on the need to impro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based on mutual interac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hence the need for a digitally viable solution. In this case, digital storytelling comes out as one of the best options that have the capacity to develop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besides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the target language. The current gener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very familiar with the use and application of digital devices and can therefore find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both manageable and attractive. As a result, digital storytelling will emerge as an instrumental yet powerful teaching and learning medium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digital storytelling as a Korean language-teaching devic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provide the background of digital storytelling in language learning and introduce the exhaustive examples in usage of digital storytell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digital-story telling)을 활용한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다가갈 수 있는 한국어 수업 방법을 보여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의사소통이라는 것은 일방향의 구조가 아니라 양방향의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상호 작용을 그 근본으로 하고 있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이러한 상호 작용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소통의 매체인 디지털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학습의 도구로 삼아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들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용된다면 한국어 교수ㆍ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 도래에 따른 생애 초기 학습자의 디지털 역량 탐색

        윤민아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23 공학기술논문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contents of digital competencies of young children, learners in the early stages of life, according to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o this e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operate a digital-based future kindergarten curriculum or practice digital play and activities in various ways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digital competencies that young children are thirsting for today are 1) correct digital awareness (recognizing the benefits of digital, recognizing the harms of digital, knowing how to use basic digital), 2) subjective digital participation (learning by using digital technology, playing by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3) safe digital management (regulating digital use time, protecting oneself from digital dangers) were derived. The derived digital competencies for young children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other school-level learners, but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experience is still limi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life learners who need to build basic competencies are reflec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digital competency was proposed.

      • KCI등재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Digital Literacy - A Solution to Digital Divide and Violence

        ( Luo Yang ),( Seo Eun Sook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resulted in numerous opportunities as well as challenges. In Korea, adolescents are confronted with major ethical issues such as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arising from bias and discrimination, and it is vital to reflect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digital literacy and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adolescents. Therefor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causes of the digital divide and digital violence of adolescents, this study proposes to implant five elemen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include embracing cultural diversity, respecting others, living harmoniously, reflecting on bias and discrimination, becoming digital-multicultural citizens into digital literacy, and provide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들 ( Roh Deul ),서수현 ( Seo Suhyun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4

        각 교과에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어과의 도구적 역할도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상황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의 토대로서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관련 연구를 촉구하는 목적에서 초등 제 교과의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2학년 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5-6학년군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에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은 전반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돕는 비계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교과마다 그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에 양적으로도 많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 대한 안내도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교과 리터러시에 대한 재개념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As digitally-mediated learning increases in each subject,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tend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o the digital media-based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ubject to promote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began to appear from the 2nd grade level and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5-6th grade level. It also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relatively evenly in most subjects except math.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ctual level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of learners. To solve this, scaffolding to help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but the variation was large for each subject. The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quantitatively insufficient to support activities in other subjects, and the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as not specific.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part emphasized that additional analysi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of other subjects,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subject literacy, and ways to bridg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gaps that may appear in the classroom are needed.

      • KCI등재

        고령층의 디지털 이용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유신 ( You Shin Lim ),문상호 ( Sang Ho Moon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이용역량이 정보활용수준 및 이용성과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령층의 성별, 학력, 소득수준이 디지털 이용역량과 정보활용수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이용역량은 정보활용수준, 이용성과 및 삶의 만족도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수준과 이용성과가 디지털 이용역량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디지털 이용역량이 정보활용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무엇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디지털 이용역량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며 디지털 이용역량이 정보활용과 이용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고령층 내에서도 학력 수준 등에 따라 디지털 정보활용수준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므로 고령층 내 정책 대상을 세분화하여 디지털 관련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digital skills affect life satisfaction through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In addition, the aim is to verify whether gend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level of the elderly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gital skills had positive effects on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skills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formation utilization in the group with high educational attainment compared to the group with relatively low educational attainment.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all, to make efforts to improve digital skills is required, an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so that these digital skills can enhance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And within the elder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al level.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digital-related policies by subdividing policy targets within the elderly.

      • KCI등재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내용분석: 예술가의 행동 가르치기(TAB) 예술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송윤나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art play process and art educational environment presented in the digital play Nuri curriculum support Resources. The digital play Nuri curriculum support Resources was collected from the Nuri Course Portal Site(i-nuri.go.kr). The analysis standard was prepared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TAB) art education approach.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young children's digital art play presented i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are as follows. First, cases of digital art play in which young children create a work over several weeks have not been analyz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ent related to the teacher's role supporting the growth of young childre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n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digital art play presented i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had experienced arts that combine digital and non–digital methods through played with digital and non–digital materials. Second, young children were able to experience the courage not to be afraid of failure by easily modifying the picture with digital technology. Third, a digital-based Atelier environment must be builded in order to supports young children's art pla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an explores how to play early childhood digital arts based on the Nuri course. furthermore, it can also provide basic data on the research of digital-based early childhood art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 나타난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과정 및 교육적 환경 내용의 현황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포털사이트(i-nuri.go.kr)에서 디지털 놀이 주제의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예술가의 행동 가르치기(TAB: 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 예술교육 접근법을 토대로 분석준거를 마련하여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현황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는 유아들이 한 작품을 몇 주에 걸쳐 만들어 내는 디지털 예술놀이 사례가 제시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에는 유아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역할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디지털 놀이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유아 디지털 예술놀이 의미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디지털 재료와 비(非) 디지털 재료를 한데 뭉쳐 놀이하면서 디지털과 비 디지털 방식이 결합한 형태의 예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디지털 매체로 그림을 쉽게 수정함으로써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예술놀이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반 아틀리에(Atelier)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이 제시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실천될 수 있는 디지털 예술놀이 방법을 탐색할 수 있으며, 추후 진행될 디지털 기반 유아 예술교육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키치 이미지에 대한 연구

        김은지(Kim, Eun Ji),김형기(Kim, Hyung G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디지털 속성에 따른 키치의 이미지에 대해 연구 고찰해 본다. 수많은 디지털 이미지 속에서 대중적이고 사회적 취향을 내재하고 있는 키치의 정의와 배경, 특징적 요소와 디지털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 한다. 그러한 관계망을 통해 디지털 기술의 용이함과 기술자체가 내재하고 있는 키치성에 대해 분석 해 보았다. 디지털 사회의 소비문화에 따른 디지털 키치 이미지의 문화적, 개인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며 다음 연구의 과제에 대한 고민을 통해 디지털 키치 이미지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상의 차원을 넘어 소비적이고 쾌락적인 디지털 키치의 탄생에 따라 디지털 시대에 보여지는 키치적 표현 방식을 분석한다. 디지털의 속성에 따른 키치와 그것들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통해 디지털 키치의 특성을 세가지로 분류한다. 디지털키치는 비실재성, 탈현재성, 유희성을 띄고 있는데 각각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러한 특징에 따라 디지털 키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디지털키치 이미지는 현대의 우리 사회를 반영한다. 대중의 취향을 반영하는 디지털 키치의 출현에 대한 연구와 매체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intended to review a study on the image of kitsch according to digital attribute. A study is conducted on the defini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elements of kitsch which is popular in numerous digital images, and in which social taste is immanent, and relation with digital. Kitsch property immanent in the technology itself and the easiness of digital technology was analyzed through this network. The cultural and personal effect of digital kitsch image according to the consumer culture of digital society was examined. And digital kitsch image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rough seriously thinking the next research project. Therefore, a kitsch expression method, which is shown in the digital era according to the birth of consuming and hedonic digital kitsch beyond an appreciation level, is analyzed in this study. Kitsch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digital and relation between them are studied. Through this preced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kitsch are classified into 3 kinds. Digital kitsch assumes unreality, post-modernness, and amusement, and is analyzed through each case. And an effect that digital kitsch has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s analyzed. Digital kitsch image reflects our modern society. One study on the advent of digital kitsch reflecting the public taste and the other study on relation between media shall be reviewed.

      • KCI등재

        실크로드 문화의 모듈화와 그 변수 ― 실크로드 문화지도 DB 프로젝트의 관찰・면담 분석 ―

        설배환 중앙아시아학회 2018 中央아시아硏究 Vol.23 No.2

        This paper scrutinizes the methods with which researchers interact with digital mapping models and the many issues that they have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executing their project as they endeavor to modularize historical cultures on the Silk Roads and to formulate these modules on digital maps. To build these maps, the research team in September 2016 began to collect geographical and cultural data from historical texts for its database. At the same time, the cultural information from original analog texts were extracted and transformed into a digital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format. Some error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database due to both digital and human errors. Digital errors resulted from the configuration process of codifying data, which was done by way of a one-to-one match regardless of cultural varieties and variability. Human errors occurred due to researchers’ negligence and insufficient knowledge of digitalization in the analysis of cultural elements, to the project’s three-year time limit, and to variations in the database in terms of areas, periods, and languages. Human and digital errors resulted from the steady interplay between researchers, texts, and digital data. The diversity of texts and personnel probably disturbed digitalization as well as stimulated the drive for new human-centered digitalization. A revolutionary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ilk Roads relies on the credibility and interactivity of data, and variables in history and cultures, despite any unstable deficiencies in the digitize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