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권의 디트리히 본회퍼 연구사 및 새로운 연구과제들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7 No.-

        본 연구는 1945년 4월 9일 본회퍼 사후(死後)부터 최근까지 독일어권에서 진행된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연구사를 다루고, 21세기에 새롭게 요청되는 본회퍼-연구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본회퍼를 연구하는 신진학자들, 소위 본회퍼 연구 3세대들은, 본회퍼 연구 1세대와 2세대가 추구했던 특정한 본회퍼 이미지에 대한 해석적 이해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크리스티아네 티츠가 올바르게 분석한 것처럼, 전 세계의 본회퍼 신진학자들에게는, 본회퍼의 매우 부유한 부르주아적 배경과 그것이 일부 신학적 개념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앞선 연구자들이 자연스럽게 가지고 있던 역사 및 문화적인 지식을 명확하게 습득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동시에 종전의 생각과 행동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평가하는 역사적 배경이 부족하여 시대착오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그들 앞에 놓인 새로운 도전일 것이다. 지금, 여기에서 요청되는 다양한 본회퍼-연구과제들 중에서도 대규모 주제인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소규모 주제,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이라고 하는 연구과제는 21세기 한국의 교회교육과 사회 대통합을 위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research on Dietrich Bonhoeffer in German-speaking countries between his death on April 9, 1945, and recent years and propose new tasks for his research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Today's rising scholars doing research on Bonhoeffer or so-called the third generation Bonhoeffer researchers are making efforts to present and understand the interpretative understanding of specific images of Bonhoeffer clearly sought after by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onhoeffer researchers. As Christiane Tietz conducted the right analysis, new researchers on Bonhoeffer around the world have the task of acquiring clear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knowledge that previous researchers had naturally in order to understand Bonhoeffer's massive bourgeois background and its impacts on some of his theological concepts. Another challenge before them is to be careful to avoid making an anachronistic judgment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backgrounds to assess old ideas and actions from a contemporary viewpoint. Of the various research topics on Bonhoeffer requested here, the small-scale topics based on the large-scale topic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the research task for “Dietrich Bonhoeffer's ecclesio logical community education” are considered as highly important topics.

      • KCI등재

        Die Orientierung der Lebensethik Bonhoeffers - nach Seiner “Ethik”

        Kang, An-Il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5

        This thesis studies the “life ethics” that Bonhoeffer thinks, focusing on the topic of “natural things” in his book “Ethics.” As Bonhoeffer researchers generally admit, It is not easy to organize his ethics and theology systematically. This is because Bonhoeffer's writings exist only as unfinished fragments, except for a few volumes. Therefore, while acknowledging these limitations, it is important for Bonhoeffer research to connect and describe the background of his life and the theological pieces that exist as fragments. The results reveal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onhoeffer reinterpreted “the natural” through the gospel, that is, Christologically, in a unique way from the theologians at the tim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not a personal and internal interpretation that simply stays in the church, but plays an active role in helping people who are threatened by Hitler's policy at the time. In a word, the “life ethics” directed by Bonhoeffer through “the natural” was a cry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pain at the time, served, and at the same time served the function of resistance to the Hitler regim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Bonhoeffer still has a great lesson for the Korean church. First of all, the Korean church should grasp the themes that we have lost anew, just as Bonhoeffer took the theme of “natural things” for the socially suffering people, interpreted it anew, and served and resisted them. For example, although humanity is facing a climate crisis, there is still a lack of depth in the Korean church to harmonize creation with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Despite the efforts of theologians and ethicists, it is difficult to connect creation and faith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that can be seen by connecting creation and faith again. Not only this, but the way Bonhoeffer pursued still gives many inspirations and practical challenges to the Korean church today.

      • KCI등재

        사랑의 공동체의 ‘포기’, ‘기도’, ‘용서’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담론 -

        김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What kind of community is Dietrich Bonhoeffer is oriented toward in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For him, the Church represents the reality of "Community of Love(Liebesgemeinschaft)" that is established through the realization(Die Realisierung) through and in Christ and through the actualization(Die Aktualisierung) of Holy Spirit, exists in the form of community, and substitutes Christ existing as a church-community(Christus als Gemeinde existierend). According to Bonhoeffer, Community of Love witnesses the real happening of self-renouncing as an active work "for the neighbor“(Die entsagungswolle, tätige Arbeit für den Nächsten), intercessory prayers "for" others(Fürbittegebet), and the "mutual" forgiveness of sins in God's name(das gegenseitige Spenden der Sündenvergebung im Namen Gottes). The investigator set out to establish a theoretical discourse about Community of love with a focus on Sanctorum Communio by Bonhoeffer, examine how practice discourses about "(self)-renouncing," "prayer," and "forgiveness," which represent the reality in Community of Love, in his life and other works, and put them together to find an alternative and model suitable for the reality for the education of Church Community. A single individual that leaves the world behind and stands before God by him or herself should be a believer in "Community of Love" and march back into the world along with "Christ existing as a church-community." Bonhoeffer emphasizes and proposes what the education of Korean Church today should focus on. He talks about education "for others" in addition to education only for the Church to the Korean Church. "Community of Love," which is Bonhoeffer's theoretical discourse to understand the Church, and renouncing, prayer, and forgiveness for others, which are the Church's specific practical discourses as Community of love, can be a timely alternative and model for the education of Church Community suitable for the reality. Bonhoeffer's "ecclesiological community education" can help to establish a new model for communit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such as "economic community education" in a consumption-oriented society, "educational justice" against meritocracy, "prayer education for the body" to set up an ecclesiastical Diakonia in the village community, "justice, order, and peace education" through "forgiveness of resistance" to terminate the sin, disgust, and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unification, and hospitality education" through "forgiveness of obedience."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be followed by more developmental follow-up studies to build a church for others through "community education for others," establish "Communities of Love" in various forms on this land, and help the Korean society become a society for others through the divers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ourses of Bonhoeffer's life and theology.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이해는 어떠한 공동체를 지향하는가? 본회퍼에게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한 실재화(Die Realisierung)와 성령을 통한 활성화(Die Aktualisierung)를 통해서 설립되고, 공동체로 존재하는 그리스도(Christus als Gemeinde existierend)를 대리하는 ‘사랑의 공동체(Liebesgemeinschaft)’의 현실이다. 본회퍼에 의하면, 사랑의 공동체는 ‘타자를 위한 자기포기’, ‘타자를 위한 기도’, ‘타자를 위한 용서’가 실제로 일어나는 공동체이다. 필자는 『성도의 교제』를 중심으로 사랑의 공동체에 관한 이론적 담론을 마련하고, 본회퍼의 삶과, 다른 저작들 속에서 사랑의 공동체의 현실인 ‘(자기)포기’, ‘기도’, ‘용서’에 관한 실천적 담론들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고찰한 후, 이를 종합하여 교회 공동체 교육을 위한 하나의 현실적합한 대안과 모델로 삼고자 한다. 세상을 떠나 하나님 앞에 홀로 섰던 단독자는 ‘사랑의 공동체’의 성도가 되어 공동체로 존재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세상 속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회퍼는 오늘 한국교회의 교육이 과연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강조하면서 제안한다. 그는 한국교회에 교회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타자를 위한’ 교육을 말한다. ‘사랑의 공동체’라는 본회퍼의 교회이해의 이론적 담론과, 타자를 위한 포기, 기도, 용서라는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의 구체적인 실천적 담론은, 오늘 우리에게 시의적절하고 현실적합한 교회공동체 교육의 대안과 모델이 될 수 있다.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을 통해 소비지향적 사회에서의 ‘경제공동체교육’, 능력주의에 맞서는 ‘교육정의’, 마을 공동체에 교회론적 디아코니아 설립을 위한 ‘몸의 기도 교육’, 역사의 죄, 혐오와 증오를 소멸시키기 위해 ‘저항의 용서’를 통한 ‘정의, 질서, 평화교육’, ‘순종의 용서’를 통한 ‘화해, 통일, 환대교육’이라는 21세기의 새로운 공동체적 교육의 모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타자를 위한 공동체 교육’을 통해 타자를 위한 교회를 설립하고, 나아가 이 땅위에 다양한 형태의 ‘사랑의 공동체’가 생성되고, 본회퍼의 삶과 신학의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담론들을 통해 한국사회가 타자를 위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돕는 더욱 발전적인 후속연구들을 기대한다.

      • KCI등재

        정의로운 평화를 향하여 -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디트리히 본회퍼 읽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현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1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ad Stanley Hauerwas’s interpretation of Dietrich Bonhoeffer’s theology and ethics. In his “Performing the faith: Bonhoeffer and the Practice of Nonviolence,” Hauerwas argues that Bonhoeffer’s lifelong central concern was the visibility of the church. This means that as God took God’s space in the worl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so the church has to take its own space in the world so that it becomes visible. According to Hauerwas, the church for Bonhoeffer becomes visible in the world through telling the truth because the world is full of lies. Furthermore, the church as the truth-telling community also becomes a visible community by living a peaceable life. This essay argues that Hauerwas’s interpretation of Bonhoeffer seems to be problematic for two reasons. First, Hauerwas does not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justice in Bonhoeffer’s theology and ethics. Second, Hauerwas’s argument that Bonhoeffer was a nonviolent and nonresistant pacifist cannot reasonably explain why Bonhoeffer participated in the plan to kill Hitler. 본 논문은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디트리히 본회퍼 해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시도한다. 하우어워스에 의하면 본회퍼의 일생의 관심은 교회는 세상에 그 자체의공간을 차지하므로 드러나 보여야 한다는 교회의 가시성에 있었다. 이러한 가시성은 교회가 세상에 있지만, 세상과는 구별될 때 드러난다. 그런데 하우어워스에 따르면, 본회퍼에게서 교회와 세상을 구별하므로 교회가 보이게 하는 하나의 실천이 진리 말하기이다. 교회는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의 한 가운데서 진리를 말하는 사람들을 양육해 냄으로써 세상 가운데 자신을 보이게 해야 하며, 또한 진리를 말하는 교회는 폭력이 난무한 세상에서 평화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회퍼의 생각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하우어워스의 본회퍼 읽기에 대하여 두 가지로 비판한다. 첫째, 하우어워스는 진리와 정의가 있는 곳에 평화가 있다는 본회퍼의 언급을 인식하면서도, 진리에 대한 논의만 하지 본회퍼의 정의와 평화에 대한 논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본회퍼 읽기는 단편적이다. 둘째, 하우어워스는 본회퍼를 원리적인 평화주의자로 해석하기 때문에, 본회퍼가 어떻게 히틀러 암살에 참여했는지를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본회퍼의 관심은 하우어워스나 요더처럼 비폭력 평화주의가아니라 정의로운 평화였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능력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책임 - 디트리히 본회퍼의 ‘책임’과 ‘형성의 윤리’ 개념을 중심으로

        김성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2 No.-

        Although meritocracy began by gaining a lot of sympathy from people, a majority of people feel acutely its brutality in reality contrary to the idea of its justice. This study set out to come up with a couple of alternatives to overcome meritocracy including "formed responsibility" and "Christian ethics of meritocracy" with a focus on Dietric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responsibility" and his concept of "ethics of formation." The Christian education circles may begin their efforts to overcome meritocracy by providing education on formed responsibility by Bonhoeffer or "Christians' responsibility" formed by Jesus Christ's Incarnation, Cross, and Resurrection. If they have conversations with a variety of alternatives to meritocracy including "post-meritocracy," "expansion of favorable policies and balanced personnel systems for minority groups," "personality education to cultivate healthy personalities and values," "securement of equal democratic citizenship," and "consideration into diverse distribution principles for the diversification of bottlenecks" and jointly devise policies to overcome meritocracy, they will be able to alleviate the generalization of meritocracy in modern education rife with neo-nepotism and gradually eliminate "winners' arrogance" and "losers' indignity and anger" within meritocracy. It is urgent for the church community to offer "responsibility" education based on Bonhoeffer's "formed responsibility." Not only does "formed responsibility" resist meritocracy, but it also represents Christian abilities to give up "power" acquired unjustly as an outcome of meritocracy(Incarnation's formed responsibility), recognize the death of meritocracy(Cross's formed responsibility), and pursue permanent competence to assist the creation of new life rather than finite competence(Resurrection's formed responsibility). It is also part of Bonhoeffer's ecclesiological community education demanded here and now. Christian ethics of meritocracy based on the formed responsibility of Incarnation, Cross, and Resurrection carved on the competence(talent) as a gift of God makes a request to build a "society for others" beyond a "church for others" and invites people to a position of responsibility that is oriented toward a society of social equality and answers with a life of building a society of getting along together. "Competence" is a gift from God, and "responsibility" is a life task that God gives to those who receive competence. When people form a community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Jesus Christ, they can have "good power," which is not attainable by human being for themselves. It is established on the land in the form of "ethics of formation" or "formed responsibility" through the formation of Jesus Christ's Incarnation, Cross, and Resurrection. Christian ethics-education of meritocracy, which began with Bonhoeffer's concept of church and is against the backdrop of "formed responsibility" that reorganizes the concept of "ethics of formation" on the horizon of responsibility, is timely "ecclesiological community education" that is urgently requested to move toward a society for others beyond a church for others. The ultimate goals of education on "formed responsibility" and "Christian ethics of meritocracy" are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meritocracy and build a just society, society of social equality, and "society for others" on this land. Furthermore, it is education fit for the reality that seeks after "good power" that Bonhoeffer requested in his poem prayers during a dismal time of crisis following the outbreak of WWII or "God's good power through Jesus Christ" and "competence for others" in a society of meritocracy here and now. 능력주의(Meritocracy)의 시작은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으며 시작됐지만, 능력주의가 공정하다는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현실 속에서 능력주의의 야만성을 절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책임’ 이해와 그의 ‘형성의 윤리’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된 책임’, ‘기독교적 능력주의 윤리’라는 능력주의의 극복을 위한 대안을 마련해보았다. 기독교교육학계는 본회퍼가 말한 형성된 책임, 즉,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 부활의 형상이 형성된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을 교육하면서 능력주의의 극복을 위한 노력을 시작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탈능력주의’, ‘소수집단 우대정책과 균형인사제도 확대’, ‘건강한 인성과 가치관을 고양시킬 수 있는 인성교육’과 ‘평등한 민주적 시민성 확보’, ‘병목의 다원화를 통한 다양한 분배원칙을 고려하기’ 등의 다양한 능력주의의 대안들과 대화하면서, 능력주의 극복을 위한 정책들을 공동으로 마련한다면 신세습주의로 점철된 현대교육의 능력주의의 일반화를 잠재우고 능력주의 안에서의 ‘승자들의 오만’과 ‘패자들의 굴욕과 분노’를 점차 제거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회퍼의 ‘형성된 책임’을 바탕으로 하는 교회 공동체의 ‘책임’-교육이 시급하다. ‘형성된 책임’은 능력주의에 저항하면서, 능력주의의 결과이자 불공평하게 획득한 ‘힘’의 포기(성육신이 형성된 책임), 능력 지상주의의 죽음(십자가가 형성된 책임), 유한한 능력이 아니라 새로운 생명의 창조를 돕는 영원한 능력을 추구(부활이 형성된 책임)할 수 있는 기독교적 능력이며, 지금, 여기에서 요청되는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의 일환이다. 하나님께서 선물하신 능력(달란트)위에 성육신, 십자가, 부활의 형상이 각인된 형성된 책임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적 능력주의 윤리는, ‘타자를 위한 교회’를 넘어 ‘타자를 위한 사회’를 만들어가라고 요청하고, 사회적 평등사회를 지향하면서 더불어 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삶으로서의 응답하는 책임의 자리로 우리를 초대한다. ‘능력’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책임’은 하나님께서 능력을 주신 자에게 부여하는 삶의 과제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공동체적 관계를 이루고 있을 때, 인간의 능력은 ‘선한능력’이 된다. 그 선한 능력은 인간 스스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 부활의 형성을 통해, ‘형성의 윤리’, ‘형성된 책임’의 형태로 이 땅위에서 설립된다. 본회퍼의 교회개념으로부터 시작되고, ‘형성의 윤리’ 개념을 책임의 지평에서 재구성한 ‘형성된 책임’을 배경으로 하는 기독교적 능력주의 윤리-교육은, 타자를 위한 교회를 넘어 타자를 위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시의 적절하고 긴급하게 요청되는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이다. ‘형성된 책임’ 교육, ‘기독교적 능력주의 윤리’ 교육은 능력주의의 폐해를 줄여나가고, 이 땅위의 공정사회, 사회적 평등사회, ‘타자를 위한 사회’ 설립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나아가 2차 세계대전이라는 암울하고 위기에 처한 시대에 본회퍼가 시(詩)로 기도하며 요청했던 ‘선한능력’, 지금, 여기 능력주의 사회 아래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선한능력’, ‘타자를 위한 능력’을 추구하는 현실적합한 교육이다.

      • KCI등재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 고찰 ‐ 마르틴 루터의 관점과 연계하여

        김현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4 장신논단 Vol.56 No.2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루터의 관점과의 연결성 속에서 분석한다. 창세기 1장 27-28절의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선언은 인간론의 중요한 진술을 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하나님 형상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기독교 신학의 주류 관점이었던 실체적 신형상론(substantive view ofimago Dei)과는 다르게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인간의 신형상됨의 근원을 인간의 자질과 같은 인간에게서 찾지 않고 인간의 외부인 하나님에게서 찾고자 했다.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로운 관계성을 가진 인간이 신형상이라는 구원론적 신형상론을 제시하였다. 루터의 신형상론을 계승한 근대 루터파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는 루터의 구원론적 신형상론에서 더 나아가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제시하면서 루터의 관점을 심화하고 있다. 본회퍼는 인간의 신형상은 ‘나와 타자(I and the other)’의 윤리적 관계성을 통해 드러난다고 이해하고 있다. 본회퍼는 ‘나와 타자’의 관계를 하나님과 인간, 남성과 여성 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라는 삼중 틀로 확장하여 신형상의 범위를 개인 차원에서 공동체 차원으로 전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회퍼는 신형상론을 타자와의 관계성을 통해 윤리적인 면으로 승화시켜 인간적, 자연적 타자의 존엄성을 강조했으며 인간의 타자를 향한 책임성마저도 하나님이 창조 시부터 인간에게 부여한 사명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관계적 형상론의 확장성과 윤리성에도 불구하고 신적 타자와의 의로운 관계성을 신형상의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그리스도인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해석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또한 타락 후에도 모든 인간이 신형상임을 암시하는 성서의 구절들과의 해석학적 긴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Dietrich Bonhoeffer’s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in connection with Martin Luther’s doctrine. The declaration in Genesis 1:27-28 that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ontains an important statement about anthropology. However, what God’s image entails is left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Unlike the substantive view of imago Dei, which was the mainstream perspective in Christian theology, Martin Luther(1483-1546) sought the origin of imago Dei not in human qualities but in God, external to humans. Luther presented a soteriological view of the image of God in which a human in a righteous relationship with God is considered imago Dei. Dietrich Bonhoeffer (1906-1945), a modern Lutheran theologian who followed Luther’s view, further developed Luther’s soteriological view by proposing a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deepening Luther’s perspective. Bonhoeffer understood imago Dei as revealed through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other.’ He extended the relationship of ‘I and the other’ to a triadic framework of God and humans, males and females, humans and nature, expanding the scope of imago Dei from an individual to a communal dimension. Consequently, Bonhoeffer elevated the doctrine of the image of God to an ethical level through relationality with others, emphasizing the dignity of human and natural others. He even recognized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a mission given to humans by God from creation. Despite the expansiveness and ethicality of the relational view of the image of God, it 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that only Christians can be considered in the image of God by starting with the righteous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other. A review of the hermeneutical tension with biblical passages that imply all humans are the image of God even after the Fall seems necessary.

      • KCI등재

        『나를 따르라』에서 『윤리학』까지 : 본회퍼에게 있어서 윤리적 사고의 발전에 대한 소고

        강안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본고는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의 발전의 성격을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으로 범위를 제한한 이유는 본회퍼의 다른 저작들보다 윤리적 사고가 가장 중점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회퍼의 윤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상기 두 저작의 정확한 읽기를시도하였다. 우선, 두 저작을 자세하게 살피기 전에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의 발전적 성격에대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왔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 두 저작의 역사적배경을 서술하였다. 그 다음,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에서 논의된 9개의 윤리적 주제를 중심으로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분명해진 것은 본회퍼에게 윤리적 사고 발전의성격은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사이에 일관된 연속성과 연속적인 발전이 함께나란히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계속해서,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의 역사적인 배경과 윤리적 요소들을 비교하는 동안 드러난 본회퍼에게 있어서 윤리적 관심과 윤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연구하였다. 이것을 통해 본회퍼의 윤리적 관심은 현재적 상황을 주목함과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계시된 오늘의 하나님에 대한 생각을 통합적인 연관성안에서 구체화하고 있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그의 윤리적 관심은 확고한 추상적인 원리나 단순한 상황분석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현재적 상황과 깊게 연대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으로부터라는 사실이다. 이런 두 가지 연관성은 교회투쟁시기와 공모(Konspiration)시기에 본회퍼가 전체적인 삶의 영역 안에서 함께 사는 법(mit-leben zu lernen) 을 실천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마지막으로,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가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를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본회퍼 윤리적 사고는 어려움 속에 직면해 있는 한국교회가 다시 한 번교회다운 교회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Bonhoeffer’s view of ethics: especially on how his ethical perspective has developed.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wo of his outstanding works of ethics, Nachfolge and Ethik, both of which reveal Bonhoeffer’s understanding more prominently than any other works of his. For the research a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his ethical view, the two books need to be read meticulously. Before delving into the main texts, this study briefly shows how theologians have discussed Bonhoeffer’s view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Then the historical background is provided on how these two books came to the world. Nine ethical subjects from each book are dealt via the means of comparison. What becomes clear through this analysis is “continuity” in Bonhoeffer’s ethical view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which are permeated in both Nachfolge and Ethik. While the study compares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points at issue, it also brings into focus Bonhoeffer’s concern for ethics and his understanding of its role. Bonhoeffer pays attention to the real world,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rld he is living in. However, at the same time, in an attempt to integrate the world into the Word, he brings the world to “God of today” which is revealed in Jesus Christ. In other words, Bonhoeffer’s ethics begins neither with an objective observation nor from an abstract idea on the principles of the world. Rather, it begins with God in Jesus Christ who actively connects the world to himself through purposeful intervention. Such understan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hoeffer’s life, especially when he had to practice ‘mit-leben zu lernen’ (a life of integration) during NAZI regime and the period of Konspiration. Finally, the influence of Bonhoeffer’s ethical view on Korean church is discussed. It will help guide Korean church, still dampened by ethical crisis, to restoration.

      • KCI등재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교회론 연구: 현대사회 안에서의 본회퍼 교회론의 의미

        전철 ( Chul Chun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본 연구는 독일의 신학자이자 순교자인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2.4-1945.4.9)의 신학에 나타난 교회론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을 따르는 사귐의 공동체인 교회에 대한 본회퍼의 접근과 해석을 이 연구에서 진행한다. 본 회퍼의 교회론은 관계론적 교회론이다. 본회퍼에 있어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을 구성하는 공동체적인 사귐 속에서 존립한다. 자아와 타자, 이 세상과 저 세상, 개체성과 사귐, 고난과 영광의 깊은 단절은 교회라는 그리스도의 몸의 구현을 통해서 새로운 관계로 형성되고 극복된다. 특히 본회퍼의 관계적 교회론은 21세기 문명과 시대의 도전 안에서 매우 선명하게 교회의 본질에 대한 통찰을 주고 있음을 이 연구는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이 시대 교회의 진정한 모습과 교회의 미래의 과제를 이 연구는 본회퍼의 관계적 교회론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an ecclesiology presented in the theology of German theologian and martyr, Dietrich Bonhoeffer(1906- 1945). In particular, it focuses on Bonhoeffer`s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n church as a community of communion which followsthe spirit of Jesus Christ. Bonhoeffer`s ecclesiology can be defined as a relational one. In his understanding, the church exists in a communal fellowship consisting of the body of Christ. The self and the other,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individuality and communion, and the deep rupture of suffering and glory, form a new relationship by realizing the body of Christ as church. This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act that Bonhoeffer`s relational ecclesiology evidently offers unique insight into the nature of church, which faces the challenges of our time and new civiliz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true characteristics and coming tasks of contemporary church through Bonhoeffer`s relational ecclesiology.

      • KCI등재

        세상 권세에 어디까지 복종해야 하는가? ― 마틴 루터의 두 정부론에 대한 본회퍼의 기독교 윤리학적 해석

        허석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Modern political theology has agreed with the critical position that Martin Luther (1483-1546) and his theology was an overly compromised theologian with regard to state power. In particular, Luther’s Two Kingdoms theory has been criticized as an approach that neutralize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Meanwhile, there is agreement that Dietrich Bonhoeffer (1906-1945) was a exemplary political theologian who established Christian public ethics against state power. Here is the difficulty in interpreting Bonhoeffer’s theology: Modern political theologians seeBonhoeffer’s theology as a discontinuation of Luther’s. However, it is a problem to understand the theologies of Luther and Bonhoeffer as unconnected. Indeed, Bonhoeffer is inherited Luther’s theology and built his theology thoroughly upon the traditional Lutheran theology. This paper deals with Bonhoeffer’s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Martin Luther’s two government theory, and argues that Bonhoeffer interpreted Luther’s theology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political theology. It further clarifies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Also, this article figures out what solutions Bonhoeffer’s Christian social ethics, which presented the issue of the church’s resistance and obedience to the state under the Nazi dictatorship as an original interpretation of Two Kingdoms, can suggest for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church, law and faith in our context. 현대 정치신학은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를 국가 권력에 지나치게 타협적인 신학자로 보는 비판적 입장에 동의해 왔다. 특별히 루터의 두 정부론은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무력화 시키는 이론으로 비판되어 왔다. 한편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를 국가 권력에 맞서는 기독교 공공 윤리를 확립한 대표적인 정치 신학자로보는 데 이견이 없다. 여기에 본회퍼 신학의 해석의 난점이 있다. 현대 정치신학자들은 루터와 본회퍼의 신학을 불연속적 관계로 파악한다. 그러나 루터 신학의 계승자인 본회퍼는 그의 신학을 철저히 전통적인 루터신학 위에 세웠다는 점에서 루터와 본회퍼를 불연속적 관계로 보는 것은 문제이다. 이 글은 마틴 루터의 두 정부론에 대한 본회퍼의 수용과 해석을 다룬다. 본회퍼는 루터의 신학을 자신의 정치적 신학의 이론적 토대로 해석하였음을 논증하고 둘 사이의 연속성을 해명한다. 또한 나치 독재 권력 하에서 국가에 대한 교회의 저항과 복종의 문제를 두 정부론에 대한 독창적 해석으로 제시하였던 본회퍼의 기독교 사회 윤리가 오늘 우리의 상황에서 국가와 교회, 법과 신앙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 어떤 해법을 제안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타자를 위한 교회, 타자를 위한 사중복음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한 사중복음의 기독교윤리학적 담론들

        김성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3 No.-

        Dietrich Bonhoeffer said the followings in prison on August 3, 1944: "The Church is the Church only when it exists for others." The topic of his life and theology was "Church(Kirche)," and Church for others(Kirche für andere) was at the core of hi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the Fourfold Gospel throug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develop a Christian ethical discourse based on it. The Fourfold Gospel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derogated as the propagation titles of the Holiness Order or remain only within a doctrinal study discourse. The Fourfold Gospel without a Christian ethical discourse leaves room for offering "cheap grace" and "cheap Fourfold Gospel" according to terms of Bonhoeffer. What Christian ethical and practical discourses can be developed by the Fourfold Gospel of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rooted in the spirit of doctrines summarized into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through its encounter wit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The ethical discourse of the Fourfold Gospel examined throug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gives a task for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nd churches on this land for the gift of God's precious grace.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should realize "responsibility," "love," "freedom," and "hope," respectively, as Christian and ethical content at various places of life. In this sense, the Church should be a church for others, and the Fourfold Gospel should be Fourfold Gospel for others to be expensive Fourfold Gospel rather than cheap Fourfold Gospel. Instead of remaining within a doctrinal study discourse without obedience, the Fourfold Gospel should answer Jesus Christ's invitation to a place of responsibility with a "responsible life for others" right for the realization through and in Christ(Die Realisierung). One should live a "life of love for others" and the love community's love for God filled with "coexistence," "vicarious representative action," "intercessory prayer," "forgiveness," and "giving up his or her own happiness for the happiness of others" based on the baptism of the spirit, the grace of Holiness with the indwelling spirit, and the actualization of Holy Spirit((Die Aktualisierung)." One should move toward a path of restoring relations with all creatures and actualize a "life of freedom for others" to give up his or her own freedom through the grace of Divine Healing and his or her relations newly restored with God within Christ. Clearly recognizing Second Coming as an element of religious life, one should build "ethics of Hope for others" for coming Jesus to be with those who are in pain and hardship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way" and the "formation" of Jesus Christ's incarnation, cross, and resurrection. The Fourfold Gospel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with a focus on serving others, meets Dietrich Bonhoeffer's concept of the "Church for Others" and is reproduced as a Christian ethical concept that embodies responsibility, love, freedom, and hope. This can be a new horizon for "ecclesiological community education" here and now. 본회퍼는 1944년 8월 3일 옥중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교회는 타자를 위해 존재할 때만 진정한 교회이다.” 본회퍼의 삶과 신학의 주제는 ‘교회’였고, 그의 교회 이해의 핵심은 ‘타자를 위한 교회’이다. 본 논문은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해 사중복음을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기독교윤리학적 담론을 마련하는 데 있다. 사중복음은 단지 성결교단의 전도 표제로만 이해되고 폄하되거나, 교리학적인 담론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기독교윤리학적 담론이 없는 사중복음은 본회퍼의 용어를 빌리자면 ‘값싼 은혜’, ‘값싼 사중복음’을 제공할 여지가 있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복음으로 요약된 교리의 정신을 근간으로 하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은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만나 어떠한 기독교윤리학적 담론, 실천적 담론을 마련할 수 있는가? 본회퍼의 교회이해로 조명해 본 사중복음의 윤리적 담론은, 하나님의 귀한 은혜의 선물에 대한 한국 성결교회와 이 땅의 교회의 과제이다.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은, 각각 ‘책임’, ‘사랑’, ‘자유’, ‘소망’이라는 기독교적이면서도 윤리적인 내용들을 다양한 삶의 자리에서 구현해 내야한다. 이런 면에서 교회는 타자를 위한 교회, 사중복음은 타자를 위한 사중복음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사중복음은 값싼 사중복음이 아니라 값비싼 사중복음이 될 것이다. 순종없는 교리론적 담론에 머무르는 사중복음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책임적 장소로 부르시는 초대하심에, 참여하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그리스도 안에서의 실재화’에 합당한 ‘타자를 위한 책임적 삶’으로서 응답해야 한다. 성령세례가 부어지고, 성령이 내주하시는 성결의 은혜, ‘성령의 활성화’로 인해 ‘공존’, ‘대리’, ‘중보기도’, ‘용서’, ‘타자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행복을 포기함’이 가득한 사랑의 공동체의 ‘하나님 사랑’과, ‘타자를 위한 사랑의 삶’을 살아야 한다. 신유의 은혜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 새롭게 회복된 관계를 통해, 모든 피조물들과의 관계회복의 길로 나아가며, 타자의 자유를 위해 나의 자유를 포기하는 ‘타자를 위한 자유의 삶’을 구현해야 한다. 재림이 신앙생활의 요소임을 분명히 알고, 오고계시는 예수를 위한 ‘길 예비’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 부활의 형상의 ‘형성(Formation)’으로, 고통 받고 고난당하는 자들과 함께하는 ‘타자를 위한 소망의 윤리’를 세워나가야 한다. 중생·성결·신유·재림을 핵심으로 하는 사중복음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 개념을 만나 책임·사랑·자유·소망을 담는 기독교윤리학적 개념으로 재생산되고, 이는 오늘, 여기에서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을 위한 새로운 지평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