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Stat 및 Multi-Step In Vitro 소화모델을 이용한 Algae Oil과 DAG-Rich Algae Oil의 가수분해 특성 평가

        장현준(Hyeon-Jun Chang),나보람(Bo-Ram Na),이정희(Jeung-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Algae oil의 효소적 glycerolysis 반응을 통해 DAG-rich algae oil을 합성하고 soybean oil, algae oil, DAG-rich algae oil의 지방산과 acylglycerol 조성 및 in vitro digestion 모델을 이용한 소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oil을 oil-in-water emulsion의 형태로 제조 및 gallic acid와 quercetin을 첨가를 통한 소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Soybean oil과 algae oil의 acylglycerol은 대부분 TAG로 구성되었지만, DAG-rich algae oil은 TAG 43.87%, DAG 40.90%, MAG 15.23%로 구성되었다. Algae oil과 DAGrich algae oil의 주요 지방산은 DHA, palmitic acid, DPA로 유사한 조성을 보이지만, sn-2 위치에서는 DAG-rich algae oil이 algae oi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DHA와 DPA 농도를 가지고(P<0.05), palmitic acid 농도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pH-stat in vitro digestion 모델 분석 결과 모든 oil의 가수분해율은 반응시간 15분 동안 지속해서 증가하였고, soybean oil> algae oil> DAG-rich algae oil의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Multi-step in vitro digestion 모델로 가수분해율을 비교한 결과, soybean oil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고(P<0.05), algae oil은 DAG-rich algae oil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Algae oil-inwater emulsion의 지방 가수분해율은 algae oil보다 유의적으로 높고(P<0.05), DAG-rich algae oil-in-water emulsion의 가수분해율은 DAG-rich algae oil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Gallic acid와 quercetin이 첨가된 algae oil과 DAG-rich algae oil의 가수분해율은 비첨가 oil보다 낮게 분석되었다. Oil의 가수분해로 생성된 유리지방산의 조성을 in vitro digestion 모델로 분석한 결과 소화시간이 길어지면 다중불포화지방산인 DHA와 DPA의 생성량은 증가하지만,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의 생성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DHA를 다량 함유하는 algae oil과 DAG-rich algae oil은 일반 oil보다 가수분해율은 낮지만, emulsion의 형태로 제조되면 소화율이 증가하고, 폴리페놀을 함유한 식품과 같이 섭취되면 소화율이 감소될 것으로 생각된다. Diacylglycerol (DAG)-rich algae oil was synthesized by enzymatic glycerolysis using algae oil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docosahexaenoic acid (DHA) (56.8%), and its chemical and digestive proper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oybean and algae oil. Acylglycerol of soybean and algae oils was primarily composed of triacylglycerol (TAG), while DAG-rich algae oil consisted of TAG (43.87%), DAG (40.90%) and monoacylglycerol (15.23%). The major fatty acids of algae and DAG-rich algae oils were DHA, palmitic acid and docosapentaenoic acid (DPA). pH-stat in vitro digestion for 15 min produced hydrolysis rates in the order of soybean> algae> DAG-rich algae oil (P<0.05). When the multi-step in vitro digestion model was employed, the hydrolysis rate of soybean oil was highest (P<0.05), while that of algae oil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DAG-rich algae oil (P>0.05). The formation into an oil-in-water emulsion increased the hydrolysis rate compared to algae and DAG-rich algae oils, while the addition of gallic acid and quercetin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rate (P<0.05). During multi-step in vitro digestion, the composition of free fatty acids released by hydrolysis of algae and DAG-rich algae oils showed that DHA and DPA were more slowly hydrolyzed than palmitic aci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digestion (30 min), but the hydrolysis rate increased with a longer digestion (120 mi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hydrolysis rate of oil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DHA was lower than that of common edible oils, but the digestibility increased when prepared in an oil-in-water emulsion while the digestibility decreased when polyphenol was contained.

      • KCI등재

        주택가격의 지역간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박해선(Haesun Park),김승년(Seung-Nyeon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DAG방법을 적용하여 주택가격의 지역간 상호의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부동산시장과 정책당국의 관심이 집중되어 왔던 강남지역의 아파트매매가격이 인접지역의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최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AG 분석결과에 따르면 강남구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인접지역으로 전이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강남구의 주택가격은 서초, 송파, 양천, 용산에 영향을 주고, 서초구의 가격은 영등포와 과천에 영향을 주며, 송파는 강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AG 결과를 기초로 VECM을 구축하고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해 시차에 따른 주택가격의 전이현상을 분석하였다. 충격반응함수에서는 강남구의 가격충격이 대부분의 지역에 1년 이상 영향을 주었다. 분산분해에서도 강남구가 1년 시차를 두고 대부분 지역 가격 변동성의 40% 이상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서울 지역 아파트매매가격 변화에 있어 강남구의 선도적인 역할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남구의 가격변화가 서초를 통해 영등포와 과천에 영향을 주는 등 가격변화가 인접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먼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regional interdependency of housing price using the DAG method. We particularly focus on the effect of apartment price in Gangnam area on the price of neighboring areas, which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market and among policy makers. Our DAG results show that housing price in Gangnam affects neighboring areas such as Seocho, Songpa, Yangchun, and Yongsan; housing price in Seocho affects Youngdeungpo and Gwacheon; and housing price in Songpa affects Kangdong. Based on the DAG we build a VECM and derive impulse response functions an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show that the price shock in Gangnam influences all other areas at least for 1 year. The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indicates that Gangnam explains more than 40% of variance in housing price of other areas in 1 year. Our empirical results confirm the leading role of Gangnam in housing price of Seoul area, and the changes of housing price in Gangnam influence neighboring areas first, and then gradually affect distant areas.

      • KCI등재

        ACE Inhibitory Lignan Glycosides Isolat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Ok Soo Joo(주옥수),Sang Hae Nam(남상해)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6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유효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두충의 잎, 껍질 및 줄기를 건조한 것과, 건조한 후 볶은 것에 대하여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실험하였다.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은 pinoresinol-4,4'-di-O-β-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γ’-di-O-β-D-glucoside (DAG)였으며, 이들은 각각 껍질과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즉 pinoresinol-4,4'-di-O-β-D-glucoside(PG)는 자연 건조한 껍질에 135.12 ㎎%, 볶은 껍질에 163.94 ㎎%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dehydrodiconiferyl alcohol 4,γ’-di-O-β-D-glucoside (DAG)는 자연 건조한 잎에 117.43 ㎎%, 볶은 잎에 133.93 ㎎%로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CE 억제활성은 볶은 잎, 말린 껍질 및 볶은 껍질을 10 ㎎/㎖씩 처리하였을 때, 각각 77.49, 75.52 및 75.3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pinoresinol-4,4'-di-O-β-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γ’-di-O-β-D-glucoside (DAG)를 1~10 ㎎/㎖ 처리하였을 때에는 67.1~85.25%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값은 각각 0.6±0.2, 0.5±0.2 ㎎/㎖ 였다. 이것은 PG와 DAG가 두충에서 분리한 천연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o evaluate a potential possibility of Eucommia ulmoides Oliver as a functional food,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leaf, bark, stem and 4 compounds isolated from E. ulmoides were tested. The 4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 Compound I was pinoresinol-4,4'-di-O-β-D-glucoside (PG) and compound Ⅱ was dehydrodiconiferyl alcohol 4,γ'-di-O-β-D-glucopyranoside (DAG) originating from Eucommial Cortex. The highest amount of PG was present at raw and roasted bark as 135.13 ㎎% and 163.67 ㎎%, and the highest amount of DAG was present at raw and roasted leaf as 117.93 ㎎% and 133.93 ㎎% respectively. In an ACE inhibition test, 10 ㎎/㎖ of roasted leaf, raw and roasted bark extracts of E. ulmoides Oliver were 77.49%, 75.72% and 75.36% respectively, and 10㎎/㎖ of PG and DAG were shown to be 78.51 and 81.20% respectively. IC?? values of PG and DAG were 0.6±0.2 and 0.5±0.2 ㎎/㎖ respectively.

      • KCI등재

        DAG모형을 활용한 농촌현장포럼 효과분석

        권동건,장우환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1

        이 논문에서는 2014년 농촌현장포럼에 참여한 마을주민 152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농촌현장포럼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방향지시 비순환 그래프(DAG; Directed Acyclic Graphs)모형을 적용하여 효과성 구성 요소들 간의 인과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현장포럼의 효과를효과성 지수로 분석해본 결과, 농촌현장포럼의 전체 효과지수는 47.82%로 나타나 효과성 지수의 현수준이 최대수준(100%)의 절반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농촌현장포럼의 효과를 최대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여지가 상당히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농촌현장포럼이 주민역량강화, 지역역량강화, 사업추진력 증대 등의 부문별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해 효과요인별 효과성 지수를 분석해본 결과, 사업추진력의 효과성지수가 63.29%, 주민역량의 효과성지수가 44.06%, 지역역량의효과성지수가 41.9%로 나타났다. 즉, 현재 농촌현장포럼 시행으로 인한 사업추진력증대효과가 주민역량강화나 지역역량강화 효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DAG모형을 통한 효과요인별 인과성 분석결과, 농촌현장포럼의 전체 효과성에 영향을미치는 1차 요인은 마을 공동체를 위한 의식(R2)과 마을자원 인지도(R3)로 나타났으며, 또한 전체 효과성은 마을공동사업에 대한 관심도(A1), 주민간 교류 증대(A5), 마을사업을 위한 포럼이나 교육참여(B6), 마을색깔과 발전 방향성 발견(R4), 수립한 마을발전계획에 대한 만족도(R5)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농촌현장포럼의 전체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마을 공동체를 위한 의식(R2)과 마을자원 인지도(R3) 향상에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노력, 관련 부분 정책대안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effectiveness of rural field forum and figured out the current of among factors influence through causality test among effectiveness components by applying DAG(Directed Acyclic Graphs) Model. As for the rural field forum effectiveness, total effect index of rural field forum was 47.82%. Also the project execution effect index of rural field forum was 63.29%, the village capabilities effect index of rural field forum was 44.06% and regional capabilities effect index of rural field forum was 41.9%. Through causality test about effect factor, this study distinguished intensive facto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effect factor. First factor which is affected total effectiveness of rural field forum was ‘the cognition for village community(R2)’ and ‘village resource awareness(R3)’. Also total effectiveness was affected ‘degree of interest in public village business(A1)’, ‘interaction increasing between the residents(A5)’, ‘forum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for village business(B6)’, ‘discovery of village color and developing way(R4)’ and ‘satisfaction of established rural development plan(R5)’. This study could have secured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policy by analysing effectiveness of rural field forum. By analysing causality of effect factor,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because it offers guideline for policy alternative arrangements.

      • KCI등재

        한국 주요 품목 물가지수의 상호의존성 분석

        박해선(Haesun Park),김승년(Seung-Nyeon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한 나라의 물가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물가수준의 변화는 물론 품목별 물가 변화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품목별 물가들간의 인과관계적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기존의 실증연구방법과 달리 DAG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이 관련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물가데이터는 농축수산물 물가지수, 공업제품물가지수, 공공서비스물가지수, 원유수입물가지수, 아파트매매가격지수이며, 1986년부터 2014년까지의 월간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우리나라에 있어 원유가격, 부동산가격, 공공요금 등이 소비자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품목간 물가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DAG 방법을 사용한 예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DAG는 동시적 인과관계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품목간 물가의 상호의존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분석도구가 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원유수입물가가 공업제품에 동시적은 물론 시차를 가지고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공업제품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에서 33%의 가중치를 가지므로 원유수입물가의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원유수입물가를 제외하고는 다른 물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경우를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축수산물가격, 공공서비스요금, 부동산가격의 변동성이 전체 물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반적인 우려가 뚜렷한 실증적 근거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hip among basic group prices in Korea.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national price level, we need to analyze interdependency of changes in basic group prices as well as changes in the general pric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interdependency of changes in major group prices using the DAG method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The price data used are the prices of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industrial products, public utilities, imported oil, and apartment for sale. The time period for analysis is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2014.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oil price, real estate price, and public utility price affect consumer price significantly,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terdependency of group prices. We use the DAG method which, in our knowledge, is new for analyzing this issue. DAG could be a useful tool for analyzing interdependency of group prices in that it reveals contemporaneous causal effects among group pric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il price significantly affects industrial product price contemporaneously and it is the same with time lags. Since the weight of industrial product in the consumer price is 33%, the effect of oil price can be considered as substantial. Except the oil price, none of the prices has significant and continuous effect to other groups of pric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oncern over the changes in prices of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public utilities, and real estate does not have strong empirical base.

      • KCI등재

        우리나라 휘발유시장 간의 가격발견과 동태적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박해선,이상직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시계열분석기법과 그래프(DAG)이론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7개 대도시의 휘발유시장 간의 가격발견과 동태적 상호의존성을 분석하였다. 2008년 7월 3일부터 2011년 7월 3일까지의 보통휘발유 일별 데이터를 벡터오차수정모형과 DAG분석에 적용하여 휘발유시장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7개 휘발유시장은 장기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통합된 시장으로 나타났으며, 가격발견과정은 시차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DAG분석을 통해서는 경쟁이 치열한 대전이 동시적 가격정보 흐름과 가격발견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장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측오차 분산분해를 통해 시차가 길어질수록 국내최대 규모의 정유공장이 소재하고 있는 울산이 여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mploy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directed acyclic graphs (DAG) to investigate the price discovery processes of the gasoline prices in 7 major cities in Korea. We also analyze dynamic interdependences of the gasoline prices. Data running from July 3, 2008 to July 3, 2011 consist of daily prices of medium level gasoline. Empirical results from VECM and DAG show that the 7 gasoline prices are cointegrated and thus the gasoline markets tend to be integrated in the long run. The variance decomposition indicates the price discovery processes rely on the length of time-horizon. Moreover, DAG anlaysis shows that Daejeon which is the most competitive gasoline mark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low of contemporaneous price information while, according to the variance decomposition, Ulsan in which the biggest petroleum refinery in Korea is located is an important market in the price discovery process as the time-horizon increases.

      • KCI등재

        분산 이기종 컴퓨팅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리스트 스케줄링 알고리즘

        윤완오(Wan-Oh Yoon),윤정희(Jung-Hee Yoon),이창호(Chang-Ho Lee),김효기(Hyo-Gi Gim),최상방(Sang-Ba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6 No.3

        이기종 컴퓨팅 환경에서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DAG)의 효율적인 스케줄링은 시스템의 성능을 높게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기종의 컴퓨팅 환경에서 DAG로 표현되는 프로그램의 최적 스케줄링 방법을 찾는 것은 잘 알려진 '정해진 시간 내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NP-complete)' 이다. 본 논문은 분산 이기종 컴퓨팅 시스템에서 병렬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위한 새로운 리스트 스케줄링 알고리즘인 HRPS(Heterogeneous Rank-Path Scheduling)를 제안하였다. HRPS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프로그램의 실행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위해 DAG 입력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존에 제안되어진 CPOP, HCPT, FLB 알고리즘과 스케줄의 길이를 비교한 결과 성능 향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fficient DAG scheduling is critical for achieving high performance i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Finding an optim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scheduling an application modeled by a directed acyclic graph(DAG) onto a set of heterogeneous machines is known to be an NP-complete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ist scheduling algorithm, called the Heterogeneous Rank-Path Scheduling(HRPS) algorithm, to exploit all of a program's available parallelism in distributed heterogeneous computing system. The primary goal of HRPS is to minimize the schedule length of applications.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has been observed by its application to some practical DAGs, and by comparing it with other existing scheduling algorithm such as CPOP, HCPT and FLB in term of the schedule length. The comparison studies show that HRPS significantly outperform CPOP, HCPT and FLB in schedule length.

      • KCI등재

        유가와 KOSPI 간의 동시적· 동태적 상호구조

        박해선(Haesun Park),이상직(Sangjik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유가와 KOSPI 간 상호관계 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에서는 유가가 주식시장 및 실물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유가, KOSPI, 산업생산지수로 구성한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을 추정하고, DAG(Directed Acyclic Graph)를 적용하여 유가 변동과 KOSPI변동 사이의 동시적 인과관계를 살펴본다. DAG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가가 KOSPI를 인과하고 KOSPI는 다시 산업생산지수를 인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추정한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해 이들 변수 간 동태적 상호관계의 특징을 보면 유가는 시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KOSPI에 영향을 주고 KOSPI는 시차를 두고 산업생산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contemporaneous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oil prices and stock prices in Korea. We use monthly data of oil prices and KOSPI (stock index of Korea) and industrial production index of Korea to construct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employ the Directed Acyclic Graph (DAG) analysis to study the contemporaneou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oil prices and stock prices. The DAG analysis shows that oil prices causes KOSPI which in turn causes industrial production index. The results of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casting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suggest that oil prices influence KOSPI which, in turn, affect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for a long time.

      • KCI등재

        淸 康熙 연간 黑龍江將軍 관할구 駐防 건설 ― 솔론・다구르 등 원주 집단 재편을 중심으로 ―

        고석현 명청사학회 2023 명청사연구 Vol.- No.59

        The conclusion of the Nerchinsk treaty in 1689 meant the Amur River basin was publicly recognized as a part of Qing territory. But it did not mean the area had been a part of Manchu territory since Nurhaci and Hongtaiji. There were Qing dynasty’s expeditions to the Amur River basin before the 1680s. But these expeditions were aimed at capturing the population rather than territorial expansion. Moreover, most of the expeditions were aimed at middle and lower Amur River basin, and the expedition to the upper and middle Amur River basin was only conducted around 1639. The vast Amur-Nun River basin, the northern area of Mukden-Jilin-Ninguta, was still regarded as one of ‘the outer feudatories(waifan)’, which was not under the direct control of Qing. In the 1680s, when Russians built a fortress in Albazin, the indegenous groups in the upper and middle Amur River basins, such as Solon and Dagūr pled for military aid to Qing court. Kangxi emperor proceeded the expeditions to drive the Russians out of the Amur River basin. To secure troops for the Albazin Expeditions, parts of Solon and Dagūr was incorporated into the Eight Banners. Even after the Albazin Expeditions, Qing court continued to organize Solon, Dagūr and neighboring Sibe and Barhu to become the bannermen under Heilongjiang general and to be stationed at the banner garrisons such as Mergen and Cicigar. At the same time, Solon and Dagūr of Butha Niru, which was one of the outer feudatories and under the jurisdiction of Court of Colonial Dependencies(lifanyuan), became jurisdiction of the military district of Heilongjiang general. As a result, people living in the Amur-Nun River basin cam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litary district of Heilongjiang general. The Amur-Nun River basin changed from one of the outer feudatories, which had only a loose relationship with Qing court, to ‘the military district of Heilongjiang general’, a ‘direct territory’ governed by a Garrison General of Qing.

      • KCI등재

        주요 원유 현물시장 및 선물시장의 가격발견에 관한 연구

        박해선(Haesun Park),이상직(Sangjik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주요 원유인 WTI, 브렌트유, 두바이유의 현물 및 선물시장을 대상으로 가격발견과정을 분석하였다. 벡터오차수정모형(VECM)과 그래프(DAG)이론을 이용하여 2010년 1월 4일부터 2016년 8월 31일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공적분 검정으로 분석 대상 현물가와 선물가들 사이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균형관계가 추정되었다. 또한 WTI 선물시장이 WTI 현물시장을 선도하고 Brent 선물시장이 Brent 현물시장 및 Dubai 현물시장을 선도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특히 DAG기법에 따른 가격정보전달체계를 보면 Brent 3개월 선물이 중요한 가격정보 전달 매개체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use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nd directed acyclic graphs (DAG) to investigate the price discovery processes of three major crude oils such as WTI, Brent and Dubai. We include spot market prices of the tree major crude oils as well as all futures market prices of WTI and Brent. Our data runs from January 4, 2010 to August 31, 2016. We find that these spot and futures prices are cointegrated and WTI futures markets lead WTI spot market while Brent futures markets lead Brent spot and Dubai spot markets. Moreover, DAG analysis shows Brent 3-month maturity contrac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ransmitter of price information to other futures pr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