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문화유산으로서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안대환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7

        Previously, there was a limit to creating and disseminating value because the focus was on the intrinsic and fixed value of a single cultural heritage. However, efforts to create and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re currently being made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esent the concept of complex cultural heritage as a heritage whose value must be understood, including its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thing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value of complex cultural heritage can be created, accumulated, and increased. And it showed that values can be passed down through education.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present the concept of complex cultural heritage and apply it to the Military Garrison in Jeongjoksanseong Fortress, Ganghwa. The Military Garrison in Jeongjoksanseong Fortress, of course, has intrinsic and fixed value as an individu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Military Garrison in Jeongjoksanseong Fortress is a complex cultural heritage that can create value through relationships with various typ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ound it.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plex cultural heritage that not only has value as a local culture but also serves as part of the unique defence system of Ganghwa Island as a whole. It was believed that the Military Garrison in Jeongjoksanseong Fortress had a high possibility of increasing its value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complex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oncept of complex cultural heritage applied to the Military Garrison in Jeongjoksanseong Fortress, we sought to provide a basis for viewing cultural heritage from a more diverse and broad perspective in the future. 기존에는 하나의 문화유산이 가진 내재적이고 고정된 가치에 집중하여 문화유산을 바라보았다. 그렇기에 문화유산의 가치를 만들고 확산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문화유산에대한 가치를 만들고 높이려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복합문화유산이라는 해당 문화유산과 관련된 주변의 것들과 가진 관계성까지 포함하여 가치를 파악하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복합문화유산의 가치는 만들고 축적하고 높일 수있다고 보는 것이며 교육에 의하여 전승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복합문화유산의 개념을제시하고 강화 정족산성진지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정족산성진지는 물론 하나의 개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내재적이고 본원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와 더불어 정족산성진지는 복합문화유산으로서 주변에 위치한 다양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 및 자연환경과 관계를 가지고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찾아내었다. 나아가 주변 지역의 역사문화환경로서의 가치와 강화도 전체에 펼쳐진 독특한 관방체계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합문화유산의 관점에서 보아야 함을 제안하였다. 정족산성진지는 이러한 복합문화유산의 관점에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으며정족산성진지에 적용한 복합문화유산의 개념을 통해 추후 보다 다양하고 넓은 관점에서 문화유산을바라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김지희,이영학 한국기록학회 2018 기록학연구 Vol.0 No.56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formless. It’s of importance to preserve heritage in line with society drastically being transformed. It’s passed down by human being. It is, on the other hand, impossible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olely based on memory, for it’s changed in succession. Thus, it be archived to pass down.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state of affair relat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s, examined the shortages thereupon. Furthermore, Training center should be in charge of documentation for a solu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ttributed to the top-down documentation system by central administrative organ,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viewpoint of different successors, organizations. In addition to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cuments should be of different aspects of community history. Featur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convergent to the Regionality, tendency of variation, transmission, can be magnified when documentating. Finally, Training center is going to play a major role being vitalised. The record manage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and polic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highly complicated sinc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pened and the law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with its recognition attracted. Therewith this study wishes to see a cornerstone of record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laying stress on training center in which educations and pass-dow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lively achieved. 무형문화유산은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을 말한다.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더불어 무형문화유산의 보존은 더욱 중요해졌다. 무형문화유산은 사람을통해 전승된다. 그러나 온전히 사람의 기억에 의존하여 무형문화유산을보존할 수는 없다. 무형문화유산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를 기록에 담아보존하고 전승해야 한다. 이에 현재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제안한다. 전수교육관에서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첫 번째, 현재의 행정기관 위주의 하향식 기록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번째, 전승자와 보유단체의 관점이 담긴 기록화를 가능하게 한다. 세 번째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의 역사와 정체성이 반영된 깊이 있는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를 할 수 있다. 네 번째, 무형문화유산의 전승성, 변이성, 지역성을 살려 기록화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이러한 전수교육관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는 전수교육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무형문화유산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의 개원 이후 무형문화유산에관한 제도, 정책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유산 기록관리도 빠르게 고도화되었으며, 기록에 대한 인식 또한 높아졌다. 변화에 힘입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생생한 현장인 전수교육관에 주목하여무형문화유산 기록의 기반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가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쟁점 모색

        김윤지(Kim Yun J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2000년대 이후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중·일 삼국은 국가적 자존심을 걸고 자국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과 경합을 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화적 정경(情景)의 원인을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본질에 주목하였고, 문화재 보호법의 주요변경 내용을 통해서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흐름과 변화의 의미를 파악 한 뒤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본질적인 가치 및 쟁점안을 모색한 것이다. 그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5년 3월에 개정된 문화재 보호법은 무형유산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가치 제고에 따른 법적 보호 및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지로부터 시작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을 근간으로 한 국내 무형문화재 범위의 확대와 함께 그 전승과 보전의 방향을 국제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이 개정에서는 ‘원형’의 보존이 아닌 ‘전형’의 보전을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으로 두었다. ‘전형’은 원형의 경직성을 탈피하여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구성하는 가장 본질적인 특징으로 보고 있으며,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로 본다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전승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고유한 기법 또는 변하지 말아야 하는 근본적인 본(本)은 유지하고 그 전승과 발전의 과정 속에서 변용되는 것까지 보전하는 전형을 무형문화재 가치의 본질로 본 것이다. 셋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맹목적인 경쟁이 아닌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진정한 가치에 부합되는 자국의 무형유산들을 등재하는 것이다. 그 등재의 쟁점을 도출해보면, 전통사회로부터의 전승의 지속성·발전의 과정·학술적 근거·계보의 정체(正體)·예술적 특성들의 역사적 고증이 가장 중요한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가장 본질적인 가치와 자격을 규명함으로서 ‘재생산’의 노출과 ‘역사성’ 규명에 취약한 삼국 무형문화재의 등재 갈등을 해소하고, 등재의 실천적인 척도로 반영되기를 기대 해 본다. Korea, China and Japan, together accounted for over 70% of the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humanity which has been newly listed since 2000s, have been involved in fierce disputes and competitions over the ownership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e heritage to maintain their national self-esteem. In this essay, we focus on the essence of the intangible heritage which can “reproduce” the cause of cultural scene, try to find out the meaning of flows and changes i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ystem by menas of changes in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and then seek essentoial values of and issues about, being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have mad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in Mar 2015 has started from recognition that legal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and building-up of a ground for it to be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re required because of growing global concern on intangible assets and rise of its value. And eventually, we could grasp that Government had a strong will to globally develop its direction for traditions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well as local expansion of its scope, based on the International Treaty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Second, in this revision, key criteria for selection was not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but preservation of the paragon. The paragon itself is deemed the most essential feature in the value of a corresponding cultural asset, getting out of rigidity of the original. And,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iented by UNESCO, the paragon in which unique technique handed down and realized over generations and an unchangeable fundamental model shall be maintained and transfiguration made in the process of traditions and development is also preserved is deemed essence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rd,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not reckless competition by reproducible intangible assets, but listing of rach nation s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correspond to real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pursued by UNESCO. Issues involved in such listing are continuity of inheritance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development processes, academic backgrounds, genealogical identity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artistic features, which prove its significance.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essay will resolve three party conflicts in which they are intoxicated by exposure of reproduction and investigation of historicity and make a viable criterion for listing, by investigating the most essential vale and qualification for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KCI등재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가치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오성환(Oh, Su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문화콘텐츠 산업은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콘텐츠와 문화 원형 콘텐츠의 원천이 되는 문화유산은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보존한다는 사회문화적 의의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화는 문화콘텐츠의 개념을 가능하게 만든 동인이며, 문화유산의 복원과정에서 활용 및 서비스의 측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문화유산 데이터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표준화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미래의 사업에도 표준화지침이 필요하겠지만,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업의 결과물을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서도 표준화 지침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이나 국제적 차원의 기준 및 표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으며,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에도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화 사업의 기획부터 데이터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공유가능하며 활용가능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도출해낼 수 있는 표준화 방안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디지털화가 각 기관별 혹은 대상 문화유산별로 진행되다보니 생성되는 정보의 차이, 기관 간의 정보 공유의 어려움, 일반인에 대한 활용도 미흡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표준화된 제작 지침이 없으며, 또한 유관기관 간에 지침이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따라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활용 서비스까지를 고려한 국가 주도적 표준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ent of cultural content and cultural circles,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at preserv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in terms of creating economic value. The digitized drivers, and made possible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and, ranging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erms of servic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digital cultural heritage data to create value-added content is produced in order to be utilized must be fulfilled. Standardized guidelines for future business, but al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the project have been made to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it is time to standardized guidelines.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the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nd the point is not to rais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as not been interested in Lea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andardized methods to derive a recording project from the planning to the use of data can be shared and take advantage of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However,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gencies, and the public about the lack of utilization of digi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looked to be conducted by each agency, or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destin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In addition, guidelines and standardized production,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relevant agencies because they do not share the instruction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measures used in the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creation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s to the state-led.

      • 무형문화유산과 인류 보편의 공공성 :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이수나 ( Suna Lee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문명(文明)이란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노동으로 창출된 결과물의 총체이며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으로 대별된다. 인류문명의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무형문화유산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대문명과 진보는 세계의 문화전통과 창조력, 사회 경제적 발전에 의한 것이라고 정의 내린다. 또한 세계문명은 산업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며 발전과 정신적·민족적 완수에 담당하는 역할을 인식하여 인류문화유산의 보호 및 보존의 확보를 제안함으로써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서로를 지탱해주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문화적 편견을 허물고 보편과 특수의 균형을 회복하는 일은 중요하다. ‘우리 안의 세계’의 당위성을 형성하는 것은 외부로 향했던 시선에서 넘어서 균형있는 해석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배타적인 민족주의와 자국의 고유성, 극단적인 문화 절대주의 관점으로 해석한 국사형 미술사 연구방법론에 문제제기를 하는 바이며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연구방법론으로써 다문화주의 관점으로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자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이 보호되어야 할 규범적 근거인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고 민족적 정체성과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소수집단과 비(非) 서구 사회의 특수성을 수용하되 나아가 인류 전체의 보편적 성질인 공공성 관점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논의하였다.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후대계승과 재창조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 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흐름은 보편적 과학기술문화적 특질과 그 기술의 진보가 드러나며, 사회적 응집력과 정체성이 무형유산의 공적 성질로 특징지울 수 있겠다. 나아가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이 개인, 장인을 중심에 두고 정책을 펼치는데 반해서, 유네스코의 주요 정책 핵심은 커뮤니티인 점을 통해서도 인류 보편의 공공성과 그 가치를 향해 자국의 고유성을 넘어 시야를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의 삶의 여정은 무형문화유산과 자연스럽게 융합되고 사람이 실제로 무형유산을 향유하는 수행주체가 되어 지속적으로 쓰여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이 후대에 전해지기 위해서는 당대의 선택은 물론 달라진 시대의 취향을 이겨내고 시공간을 거듭 넘어 제 소임을 다할 때라야 비로소 유물로 남게 되는 법이다. 이것이 무형문화유산의 본질이다.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한 무형문화유산의 공공성과 나아가야 할 방향, 비전을 모색하는데 일부분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Civilization(文明) is the wholeness of outcomes created by humane spirit and physical labors and is classified by spiritual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What is the reason why we concentrat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n alternative to embodying a better world of human civilization? According to UNESCO, it defines that modern civilization and progress result from global cultural tradition, creativity, an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world civilization headed toward industrialization, recognized the roles of development and spiritual·ethnic accomplishment, and suggested securement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human cultural heritage, so raised an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for humane public goodness. For culture,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re indispensible factors supporting each other. It’s important to pull down cultural prejudice and recover the balance between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The formation of appropriateness of ‘our inner world’ means an improvement of the necessity of balanced interpretation beyond the sight heading the outside. This researcher brings up a problem to research methodology of national history typed art history, interpreted from angles of exclusive nationalism, native land’s peculiarity, and extreme cultural absolutism and raises a necessity to aim for humane universal value from an angle of multiculturalism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li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iscussed from an angle of public concern that is a property appeared universally in humanity as considering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diversity, a normative ground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accepting distinctiveness of ethnic identity as well as minority and non(非)-western society who intend to preserve it. It’s to make the history of future generation succession and recreation for humane public goodness. The historic strea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ws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e and progress of the technology and social cohesiveness and identity may be characterized by public property of intangible heritage. Furthermore, as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splays policies by focusing on individuals and master craftsmen, the point of UNESCO policies is communi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expand our visions for humane universal public concern and the value beyond native land’s peculiarity. The journey of our lives must be naturally combin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eople must be the subject who enjoys intangible heritage actually for continual use. To transf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next generations, it’s necessary to endure not only selection of the period but also the changed preference and fulfill one’s duties across time and space so as to leave relics. It’s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research should be helpful even a little to seek public concer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irection to proceed, and the vision by focusing on craft skills.

      • KCI등재

        초등학교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현황과 방향 모색

        조경숙 국립무형유산원 2023 무형유산 Vol.- No.15

        본 연구는 현장의 초등교사들이 무형문화유산 교육을 실행하며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무형문화유산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사례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의미와 방향이 정립되어야 하고, 교육의 내용 요소도 구체화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소재가 되는 무형문화재의 종류와 세부 특성에 따라 유형하고 유형별로 교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내용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로 구체화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정 문화재 중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교육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정 문화재로 교육 대상을 한정할 때, 지정 문화재가 없거나 여러 유형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무형문화유산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유형의 문화유산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다. 셋째, 무형문화재 보존회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학교 교사와 협업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학습자 특성 이해, 교수법 활용 부분 등에서 우수한 현장 교사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실행 능력이 우수한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두 그룹의 협업이 이루어질 때 학교 무형문화유산 교육은 질적으로발전할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icult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face while implemen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 also looked at the cases of teachers who are working hard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Based on this, we propose three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irs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should also be embodied. To this e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and classified accordingly. By classifying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for each classified type, the following content elements should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value and attitude and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subject of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the center of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f the subject of education is limited to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education in areas where there are no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r do not have various types of cultural properties. It will also be biased toward 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you should have many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school teachers. Teachers are excellent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using teaching methods. The transcend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excellent understanding and execution ability of cultural heritage. If the two groups of teachers and transfere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llaborate, the school'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ill develop greatly in quality.

      • KCI등재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홍애령 ( Ae Ryung H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산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을 통해 이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1975년부터 시작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은 다음 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인류의 문화 양식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최근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 관광사업 등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세계화로 인해 각국 문화의 획일화, 종속화, 상업화가 가속되고 있어 각국 고유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 발전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는 문화유산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이 선결되어 가능한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에 관한 이해와 해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한다. 먼저 문화콘텐츠, 교육콘텐츠로서 문화유산의 의미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문화유산교육이 중요한 이유와 문화유산을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즉 문화유산교육과 문화유산을 통한 교육을 설명한다.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몇 가지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더욱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유산의 이해와 해석, 보존과 발전을 고무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마무리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acquiring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or seeking to developing plan. Since 1975, World heritage adopted by the General Conference of UNESCO, cultural heritage begin to be acknowledged as a cultural style of humanity which have to be leave to the next generation. In recent years, business of culture and tourist related cultural heritage have activated. On one hand, culture of various countries confronts uniformity, satel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caused by globalization. For this, preservation,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are needed. There for, in this study suggest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a one way to acquire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irst,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cultural heritage as cultural contents and educational contents also explained why cultural education is important. Second, study argued two kinds of perspectives o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duc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nd education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Lastly, study found some case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utilized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d developing plans. Based on results, the possibil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acquiring righ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bout cultural heritage for seeking to developing plan were present.

      • KCI등재

        전통수리시설의 특징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농업유산 선정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정명철,권봉관,김미희 국립무형유산원 2022 무형유산 Vol.- No.12

        As unusual weather such as heat waves, droughts, and heavy rains have become more frequent, interest in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and flood control has increased. Thirty-one of sixty-two GIAHS designated sites by FAO and five out of seventeen designated sites by the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KIAHS) have suggested irrigation systems as key resources, and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rrigation and Drainage (ICID) has selected 105 World Heritage Irrigation Structures (WHIS) since 2014. In this study, the types and functions of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were classifi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review of the old literature, we analyzed the proposals for GIAHS and KIAHS sites, which were selected presenting the irrigation system as key re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value of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as UNESCO and ICID heritage was explored using examples of agricultural heritages related to irrigation facilities registered in world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WHIS. To find ways to link with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the criteria and categories for designating cultural properties were reviewed and their relevance to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was presented.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irrigation facilities and the cultural meaning inherent therein and the abundance of knowledge accumulated by farmers were cultural heritages that no one could deny. Heritage is a concept that emphasizes the meaning of what must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rather than what was left by past ancestors. Registering cultural heritage or agricultural heritage is not the only way to preserve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ies, but in reality,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more effective way to preserve irrigation facilities and discover the value of modern us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rrigation facilities covering the values of livelihood, ecology, knowledge, culture, and landscape are not limited to agricultural heritage, but also expand their scope to cultural heritages such as world heritage, historical sites, scenic spots, natural monuments, folk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폭염이나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이 빈번해지면서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조절에 기여해온 전통수리시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62개 등재지역 중 31개소, 국가중요농업유산 17개 지정지역 중 5개소가 관개시스템을 핵심자원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국제관개배수 위원회(ICID)에서는 2014년부터 세계관개시설유산 108개소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고문헌 검토를 통해 전통수리시설의 유형과 기능을 분류하고, 수리관개시스템을 핵심자원으로 제시하여 선정된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 신청서를 분석하여 문화유산과 관련된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계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관개시설유산에 등재된 수리관개시스템 관련 농업유산을 사례로 유네스코와 ICID 유산으로서 전통 수리시설의 가치를 탐색하였고 국가문화재와의 연계 방안을 제도적 관점에서 모색하기 위해 문화재 지정기준과 범주를 검토하고 전통수리시설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리시설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인 의미와 농부들이 축적해온 지식의 풍부함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문화유산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산은 과거의 선조들이 남겨준 것이라는 의미보다 반드시 미래의 후세대에게 물려줘야 할 것이라는 의미가 더 강조되는 개념이다. 문화유산이나 농업유산 등재만이 전통수리시설을 보전하는 방안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전통수리시설을 보전하고 현대적 활용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데 있어 이보다 더 효과적인 방안은 없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를 통해 생계, 생태, 지식, 문화, 경관의 가치를 포괄하고 있는 전통수리시설이 농업유산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세계유산을 포함하여 국가의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 무형문화재 등 문화유산으로 그 영역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와 다국적유산의 과제

        김동현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3

        유네스코는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체결하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협약을 바탕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하나의 국가가 등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동일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여럿 존재하는 경우 국가 간 합의를 통하여공동의 유산으로 등재 신청하도록 지침을 마련해놓고 있다. 이를 ‘공동등재’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제도의 운영·의의를 살펴보고,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등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무형유산의 공유성(共有性)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무형유산은 공동체, 집단, 개인이 문화유산의 일부로 인지하는 관습, 표상, 표현, 지식, 기술은 물론 그와 관련된 도구와 사물,가공물 그리고 문화공간을 의미하는데, 대대로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은 문화의 경계에 따라 구분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간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문화전파나 사람들의 이동에 의해 퍼져가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 걸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가 존재하게되는 것이다. 둘째,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체결 이후 운영지침의 초안에서 부터규정을 두고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상황에 맞게 수정이 이루어져 왔다. 협약당사국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유산의 등록을 위해서는 등재를 희망하는 국가들 간 등재신청서 작성을위한 비공식적 절차와 등재신청서 제출 이후 정부간위원회까지의 신청서 평가 과정인 공식적 절차로나누어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공동등재는 유산 보호에 대한 책임을 균등하고, 신청서 작성에서부터 문화를매개로한 국가간 대화를 실현하여 유산의 창조적인 전승과 새로운 문화 융합 및 발전단계로 나아가는 발판이 된다. 셋째, 다국적유산의 등재경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국적유산의 등재를 연도별·목록별·지역별, 그리고공동체 유형별로 나누어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공동등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현재 공동등재 제도는 대표목록의 편중 현상이 심한데, 국가 간 협력을 통하여 보호모범사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하며, 그 기반에는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적·물적 자원의 이동과 정보 교류라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In 2003, UNESCO conclud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to safeguar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Based on this Convention, ‘the Intangible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operated. Although one heritage can be listed as a one country's inprinciple, if there are many countries with the same elements, that ICH can be listed as a multinationalheritage. This is called Multi-national nomination. In this article, we tried to discuss the pros and consof multi-national registr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single listing, anddiscuss the development pla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shared nature of intangible heritage,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a joint registration. ICH refers to the customs, representations, expressions, knowledge, and skills, aswell as tools, objects, artifacts, and cultural spaces that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perceive. I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does not necessarilycorrespond to the boundary betwee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likely to be distributed in variouscountries because it spreads by cultural propagation and movement of people. That is why there aremany countries with the same heritage. Secondly, we examined the system of multinational no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based on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nce the conclusionof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rafting of theOperational Directives has been in place since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ime goes by, the regulations have been amended accordingto the situ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order to list heritage jointlyowned by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we divided the informal process for preparing anentry application for the countries that wish to be listed and the formal procedure for evaluatingthe application to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after submitting the entry application. As aresult, the joint listing is a stepping ston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eritageand realize the dialogue between the countries through the culture from the application form to thecreative tradition of heritage and the new cultural fusion and development stage.

      • KCI등재

        국가유산법체계의 재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섭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0 No.3

        “Korean Cultural Property (Heritage) Protection Law” is a fundamental right of all laws on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rotection, but according to this law, there is no definition of natural heritage. However, the concept of cultural goods includes artificial culture and natural factors. That the term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generally refers to all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other cultural assets from damage, destruction, theft and loss. But the concept of cultural goods in applicable laws is inappropriate for embracing artificial culture and natural factor, and consequently it neglects the factor of natural inheritance. As far as the international agreements are concerned, therefore, there ar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and frequent accidents increase the need for protection of national heritage from destruction.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e independence of the concept of natural heritage and prepare special protection rules for it. Consequently, through the definition of heritag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s and objectives of conservation and cultural protection, and harmonizes conservation and cultural protection aspects through practical cases to establish a normative system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국가적 유산에 관한 문화재행정이 이제까지 불균형하고 불완전한 규범체계로 인해 유형적 문화재에 지나치게 편중된 채 운영되어 왔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규범과 외국법제의 전반적 환경을 고려하여 ‘국가적·민족적 유산을 보다 실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규율체계’(이른바 ‘국가유산법체계’)의 새로운 구축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현행법상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정의된 기존 개념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여 편향된 법제도적 체계를 재편하고 국제규범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규범체계의 구상과 그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유산’의 의미가 ‘가치개념’으로 이해됨에 따라 유무형의 문화가치와 자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까지 포함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문화재의 개념은 세계유산협약에서 세계유산과 같이 ‘국가유산’이라는 개념으로 확정함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에 따라 문화유산, 자연유산의 개념확정은 국가유산법의 새로운 재구조화에 있어서 시발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국가유산법체계의 구조화방안으로, 문화유산에 관해서는 현행 문화재보호법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여 ‘문화유산에 관한 기본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또는 유적, 유물 중심으로 문화유산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율하도록 하고, 개별적 사항에 규범체계는 무형문화재의 특별한 보호를 위한 ‘무형문화재보호법(현행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포함하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과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등의 기존의 법률을 최대한 활용토록 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문화재보호법을 세계유산협약에 부응할 수 있는 규범으로 재편하고 개념적 오류의 수정을 통해 국가유산에 관한 명확한 범주화를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자연유산에 대한 법제에 있어서는 포괄적 요소(가령 ‘자연유산보호법’) 또는 개별적 요소(가령 ‘명승 및 천연기념물의 보호에 관한 법’)를 대상으로 독자적 법제를 제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시민의식과 발전과 함께 자연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규범구조의 확산을 통해 영역별로 완전히 이원화시키거나, 세계유산협약과의 일체성을 강화시키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