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적 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

        장사형 ( Sha Hyung Chang ) 한국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ordinary conversation for moral education. N. Noddings has presented for exploring a range of possible uses of conversation in moral education: the highly formal conversation of discourse ethics, the so-called "immortal conversation", and a form of ordinary conversation between adult and children. Conversation of the sort that keep concern for one`s partner paramount and still seek the better way are usually voluntary conversation between people who have some affection for one another. That may be the key and the reason that ordinary conversation of a certain kind is so valuable in moral education. When people have loving regard for one another, they can engage in constructive conflict, although it is by no means easy. To establish the relation in which people may come to have positive regard for one another, we need to engage in conversation about shared interests and everyday events. We may well learn more about the value and the strategies of such conversation by studying the different voice as it speak in sensitive interactions. Once the relation is established, when it has come unthinkable to do violence to this other with whom we disagree, we may be able to address the conflict itself. A compromise may be reached, and the force of the better argument may be acknowledged. Nevertheless, sometimes there will be no resolution. However, if they maintain their regard and remain pledged to do one another no harm, a great moral victory has been won. We can supplement ordinary conversation with healthy religious instruction, with powerful and sensitive intellectual training, with all sorts of common sense parenting techniques and we still cannot demand guarantees. Instead we must place our bets somewhere and remain in relations of care and trust with our children. We must have faith in the outcome.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대화 지도를 위한 요구 분석

        이수화(Soohwa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대화는 우리 삶과 가장 밀접하고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담화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대화를 통해 자아개념과 가치관 등을 확립해가기 때문에 대화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이유로 국어교육에서도 대화 지도를 위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나 청소년들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탓에 실제 대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대화교육을 위해 청소년들이 실제 대화를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하거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대화방법을 교육 내용에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화방법에 대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대화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를 통해 청소년의 대화 실태와 인식을 토대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본조사를 통해 256명의 공통교육과정 대상 청소년의 대화방법 교육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은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두 방법 모두 우선순위로 나타난 대화방법 항목을 최우선순위 대화교육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대체로 이해하기 쉽게 말하기, 명확하게 말하기의 언어적 말하기와 배려하는 말하기, 고운 말 사용하기의 언어 예의 방법에 높은 요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교육 요구에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은 친화력과 자신감 등의 대인적극적 태도에, 여학생은 명확하게 말하기, 맥락과 상황에 맞게 말하기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교육 요구를 살펴본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요구에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중학생은 존중하며 말하기에, 고등학생은 적절한 어휘 사용 방법에 높은 교육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우선순위 대화방법을 대화교육 내용에 반영하고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요구의 차이를 수업 현장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Conversation is the most closely related and frequent discourse in our lives. Especially in adolescence, the importance of dialogue is very great in that self-concept and values are established through conversation. For this reas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presents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for conversation guidance, but since the needs of teenagers are not reflected, the actu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nversation skills is very insignificant. Therefore, for effective convers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conversation methods that teenagers consider important or necessary to carry out actual conversation in the education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enagers on conversation methods and select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education. To this end, a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versation status and perception of teenagers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through the main survey, 256 teenagers subject to the common curriculum were surveyed for communication method education. For the analysis,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pplied, and the conversation method item, which appeared as a priority in both methods, was selected as the highest priority conversation education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generally show high demands on easy-to-understand, clear-speaking language, considerate speaking, and fine langua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 demands on extroversion such as friendliness and confidence,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high demands on speaking clearly and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educational needs by school level,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need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spoke with respect,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 educational demands on how to use vocabulary appropri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top priority conversation method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education, and that the difference in need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lassroom.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옥루몽>을 통해 본 한국 전통 대화의 원리 및 교육적 함의

        김지혜 ( Kim Jl-hy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고전소설 <옥루몽>에 나타난 다양한 대화에서 강조되는 한국 전통 대화의 원리를 밝히고 이러한 원리가 갖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2장은 한국 전통 대화의 원리를 추론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서, 소설의 대화를 ‘대화상황(공적/사적)’과 ‘대화의도(드러냄/감춤)’라는 두 가지 기준에 따라 4가지 상황으로 유형화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유형화한 대화상황에서 성공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한국 전통 대화의 원리를 추론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각각 언행일치의 중요성, 숨김과 드러냄의 중요성, 관계 인식의 중요성, 정서 교감의 중요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첫 번째 대화상황에서는 공적인 삶의 일관성이 실천적으로 검증되어야 한다는 대화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었다. 두 번째 대화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의도의 숨김과 드러냄 사이를 조율할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되었다. 세 번째 대화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서로 소통의 주체로 만나 상대를 인정하는 관계 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네 번째 상황에서는 대화 이면의 말과 말, 사람과 사람 사이에 흐르는 ‘정(情)’의 독법 역시 중요함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옥루몽>에서 중요하다고 전제되어 있는 대화의 원리는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기술적이고, 전략적인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대신 한국의 전통화법문화에서 대화의 의미와 소통에 임하는 자세에 대해 근본적으로 고민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korean traditional principles of con versation which were emphasized in classic novel Ok-Ru-Mong's various conversation and to analys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ko rean tradi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 which were inferred throu gh classic novel Ok-Ru-Mong. To infer the korean tradi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 in chapter 2, it categorizes 4 types according to the 2 criteria which are consist of 'conversation situation(public/private)' and 'purpose of conversation(revealing/hiding)'. In chapter 3, the korean tradi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 which enable people to communicate successfully were inferred through conversation-situation categorized in chapter 2. And the korean tradi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 were said each the importance of consistency of speech and action, the importance of revealing and hid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recognition,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onsensus. In the first conversation-situation, the principle of conversation such as a consistency of public life must be proved practically was operated. In the second conversation-situation, the skills were required to coordinate revealing and hiding of intention to both speaker and listener. In the third conversation-situation,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recognition that speaker and listener met as subject of communication and recognized opponent was emphasized. In the forth conversation-situation, the importance of not only reading conversation ex facie, but also reading of 'heart(Jeong)' flew in words to words, people to people was premised. The principles of conversation premised importantly on Ok-Ru-Mong didn't teach the technical and tactical way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stead the principles of conversation threw the questions what is conversation and w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conversation. And we could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makes us to consider the communication position fundamentally.

      • KCI등재

        치유 내러티브로서 공감적 대화에 관한 연구 - <이슬람 정육점> , <푸른 사자 와니니>와 연계하여 -

        한찬희,진솔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7

        This study illuminates the meaning and value of empathetic conver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re and growth,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mpathetic conversation triggered by literary works. In discussions of empathetic conversation, empathy tends to be considered a secondary element that follows or modifies conversation, but a conversation lacking empathy is a monologue disguised as a conversation, even if it takes the form of an apparent conversation. It's just that. Empathy is not one of many elements involved in conversation. If a true conversation has been established, it must always be seen that empathy is present, and empathy is not different from the act of facing the voice of another and turning one's gaze in the direction it suggests and beckons, that is, conversation (converse-action). Empathy can be seen as a restatement of the practice of conver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y, and at this point, empathetic conversation needs to be newly understood as meaning a conversation that is conversational rather than one of various conversation methods or techniques. The act of having a conversation or participating in a conversation is a special act reserved only for humans. It should be seen that humans can acquire human qualities and attitudes only through conversation, and thus conversation can be said to bring about cure and growth in the fundamental sense of human formation. So what contributes to sparking a conversation worthy of conversation? This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to literary works called the art of speech and writing. Literary works full of metaphors and symbols can serve as a delicate voice that helps readers cure and grow by sparking empathetic conversa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empathetic conversation triggered by literary works, focusing on Islamic Butcher Shop (Hong-gyu Son, 2010, Literature and Jisungsa) and Blue Lion Wanini (Hyun Lee, 2015, Changbi). Empathetic conversation triggered by literary works will encourage readers to reflect on their current lives and redefine their existing voices, thereby promoting cure and growth in the fundamental sense of human formation.

      • KCI등재후보

        비계 설정으로서의 쓰기 교수 대화 연구

        이수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caffolding's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For this, I discussed the teaching conversation's meaning as a scaffolding and extracted some categories from the contents of writing‘s teaching conversation. Then I presented the scaffolding's methods, teaching conversation's strategies from protocol data. The summary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onversation is the language that the teachers use in a instruction about learning purposes or themes. The teaching conversation is the essence of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of scaffolding. And the scaffolding's methods is appeared as teaching conversation's categories and strategies. Second, writing's teaching conversation can be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conversation, context-oriented conversation, topic-oriented conversation, and product-oriented conversation. Third, each category's register goes standard referred to choose the proper scaffoldings related with writing instru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발달을 위해 비계를 설정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계 설정으로서 교수대화가 지니는 의미를 논의하고, 쓰기 교수대화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으로부터 몇가지 유형을 추출한 후, 전략에 대한 실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대화란 수업에서 학습 주제나 목표와 관련된 교수 언어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 구성하고 언어적 중재라는 점에서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비계 설정의 역할을 하며, 교사가 비계 설정하는 방식은 교수대화의 유형과 전략으로 나타난다. 둘째, 쓰기 교수대화의 유형은 쓰기 과정에 대한 과정중심 대화, 쓰기 상황과 관련된 맥락적 지식에 대한 상황중심 대화, 쓰기 화제에 대한 화제중심 대화, 학습자의 텍스트에 대한 결과중심 대화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 대화에서는 쓰기 행위를 절차화하는 방식과 사용하는 용어에 따라, 상황중심 대화는 맥락적 지식을 이양하는 방식에 따라, 화제중심 대화는 수업에서 활용하는 텍스트에 따라, 결과중심 대화는 주된 감상이나 평가의 대상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나타난다. 셋째, 쓰기 교수대화의 유형을 형성하는 의미적 선택들은 개별 수업 상황에 적절한 비계를 설정하는 준거가 된다.

      • KCI등재

        부부 대화 실태 조사 연구

        전정미 ( Jung Mi Jeon ) 한말연구학회 2016 한말연구 Vol.-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in marital conversation and in so doing, to discover preferable forms of conversation. The study has developed survey questions, examined the influences of variable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specific factors that are related to satisfaction in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average married couples in Korea converse face to face for 30 minutes per day. They prefer face to face conversation even for deep topics. Also, it has been shown that they converse during meals, mainly about raising children, and talk about their thoughts and their concerns. However, factors influencing conversation between married couples have multiple aspects. Merely maintaining longer conversation times between couples does not result in an increase in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hav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conversation is also necessary. Furthermore, for a better conversation between couples, it is essential to acknowledge that appropriate types of convers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couples and to make an effort to find a conversation method that is most appropriate to oneself.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iscover preferable forms of marital conversation. In particular, examining the factors that differently influence couples of varying marriage lengths in newlywed, middle-aged and senior couples can contribute towards finding appropriate forms of marital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marriages instead of an identical solution applied generally to all couples.

      • KCI등재

        비계 설정으로서의 쓰기 교수대화 연구

        이수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05 청람어문교육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발달을 위해 비계를 설정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계 설정으로서 교수대화가 지니는 의미를 논의하고, 쓰기 교수대화 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으로부터 몇가지 유형을 추출한 후, 전략에 대한 실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대화란 수업에서 학습 주제나 목표와 관련된 교수 언어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 구성하고 언어적 중재라는 점에서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비계 설정의 역할을 하며, 교사가 비계 설정하는 방식은 교수대화의 유형과 전략으로 나타난다. 둘째, 쓰기 교수대화의 유형은 쓰기 과정에 대한 과정중심 대화, 쓰기 상황과 관련된 맥락적 지식에 대한 상황중심 대화 쓰기 화제에 대한 화제중심 대화, 학습자의 텍스트에 대한 결과중심 대화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과정중심 대화에서는 쓰기 행위를 절차화하는 방식과 사용하는 용어에 따라, 상황중심 대화는 맥락적 지식을 이양하는 방식에 따라, 화제중심 대화는 수업에서 활용하는 텍스트에 따라, 결과중심 대화는 주된 감상이나 평가의 대상에 따라 다양한 전략이 나타난다. 셋째, 쓰기 교수대화의 유형을 형성하는 의미적 선택들은 개별 수업 상황에 적절한 비계를 설정하는 준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caffolding's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For this, I discussed the teaching conversation's meaning as a scaffolding and extracted some categories from the contents of writing‘s teaching conversation. Then I presented the scaffolding's methods, teaching conversation's strategies from protocol data. The summary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onversation is the language that the teachers use in a instruction about learning purposes or themes. The teaching conversation is the essence of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of scaffolding. And the scaffolding's methods is appeared as teaching conversation's categories and strategies. Second, writing's teaching conversation can be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conversation, context-oriented conversation, topic-oriented conversation, and product-oriented conversation. Third, each category's register goes standard referred to choose the proper scaffoldings related with writing instructions.

      • KCI등재후보

        초월지향적 대화의 전개절차 탐색

        허영주(Hur, Young-j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Noddings의 일상적 대화와 Hutchins의 위대한 대화를 초월지향적 대화로 활용했을 때의 장점과 한계점을 논리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초월지향적 대화가 어떤 절차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행되었다. 두 대화 유형은 각각의 장점과 한계점으로 인해, 초월지향적 대화를 위해 활용하기에는 부분적 적합성을 지니지만, 서로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월지향적 대화는 Noddings의 일상적 대화와 Hutchins의 위대한 대화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입장에서 세 단계로 진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는 위대한 저서들을 순차적으로 꼼꼼하게 읽으면서 위대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일상과 연결될 수 있는 일화를 재구성한다. 둘째, 교사가 추출해 낸 아이디어 또는 주제는 교사의 머릿속에 밑그림으로 존재하며, 교사와 학습자의 실제 대화는 일화를 중심으로 한 일상적 대화로 시작해야 한다. 셋째, 일화를 중심으로 일상적 대화로 진행되던 아이디어와 주제를 내면적 탐색과 이웃, 자연, 인류, 세계, 우주, 신에게로 확장한다. 마지막으로 초월지향적 대화는 교사의 자질적 측면에 전적으로 좌우되기 때문에, 교사들이 자신의 전공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과 관련된 지성을 함양해야 할뿐 아니라, 지식을 조직, 표현, 전달하는 방법인 교양적 기술과 공감능력 및 상상력 등을 함양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교사 자신이 영적 탁월함을 지녀야 하므로 영성함양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Noddings’s ordinary conversation and Hutchins’s great conversation for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and to relate it the how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are going that strengthen the strength and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wo type conversations. Two type conversation have a partial suitability due to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but find that they are the complement of each other. Therefore, I am proposed that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pass through three phase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xplore great ideas through read gradually and carefully ‘great books’, since then build stories around a student’s everyday life based on great ideas. Second, conversation i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begin talking ordinary conversation based on stories, under ideas and themes that teacher extract exist underdrawing in the brain. Third, conversation themes to diverge from ideas that told ordinary conversation based on stories, and to broaden ideas to oneself inside exploration and neighbors, nature, humankind, the whole world, the universe, god. Lastly, I am proposed that teacher not only have intelligence for major and various domain, cultural skills, empathic ability, imagination but also have spiritual excellence, in order that teacher successfully doing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 KCI등재

        갈등적 대화의 원리와 구조 연구 : TV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녀의 대화를 중심으로

        손달임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본고는 TV드라마에 등장하는 갈등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되는 대화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대화는 화행 목적과 관계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화자와 청자는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격식을 준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대화는 대부분 일정한 구조를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때로는 화자와 청자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그 특징 및 구조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나타나는 대화의 특징 및 구조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화자와 청자 간의 의견이나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이러한 의견 대립이 언어 표현으로 나타나며, 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협동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등의 일반적인 대화의 원리나 ‘순서 교대의 원칙’, ‘선호적 대응쌍의 구도’ 등의 대화 구조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 시작 단계와 종료 단계가 자주 생략되며 특히 종료 단계에서 대화 참여자들의 합의 없이 대화가 일방적으로 중단되거나 대화 참여자가 대화장을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갈등적 대화 상황에서는 ‘요구, 명령’과 ‘비난’ 화행이 자주 발견됨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by analyzing the TV dramas. The participants have 'speech act' and 'relationship' as an object in conversation situation, and they keep to the regular forms and principles in order to attain thess two objects of conversation. Conversation we used our daily life appears regular structures. But sometimes speaker and listener have opposite views, conversation appear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s and structures in this ca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t characters and structures of the conflict conversation. As a result, I examined that the interests of the conversers conflict and the difference of opinion is expressed during conversation. And I discussed that the participants violate the 'co-operative principle' and the 'politeness principle' in discord situation, and they disobey the 'rule of turn-taking', 'principle of preferred adjacency pairs'. In addition to, I argued that 'starting step' and 'ending step' is omitted, and conversation is interrupted without mutual agreement or one of the conversers get out of the place especially in the 'ending step'. Lastly, I discussed that 'demand', 'order, and 'blame' are used very well in conflict conversation.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방진하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道德敎育硏究 Vol.21 No.2

        오우크쇼트에 의하면, 교육은 인간을 대화의 기술과 파트너십으로 입문시키는 일이다. 대화는 인간 활동의 여러 목소리가 자신의 어법을 가지면서도 다른 목소리와 소통하는 관계이며, 교육을 대화로의 입문으로 보는 이러한 관점은 인류의 문명 유산과 교육받은 인간에 관한 우리의 이해를 되돌아보게 한다. 대화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시의 목소리가 가진 어법이다. 시의 목소리가 들리는 대화는 대화에서 추구되어야 할 ‘진짜’ 목소리가 있음을 전제하지 않는다. 시적 대화에서는 누구나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이 다시 그 사실을 있게 한 ‘가능성’으로 환원된다. 또한 시적 대화에서는 서로 다른 어법을 가진 목소리들이 ‘관조’의 어법으로 서로 소통하게 된다. 시적 대화의 참여자들은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진위라는 목적에서 해방되어 ‘이미지-만들기’의 즐거움을 향유한다. 교육 장면에서 대화의 기술과 파트너십은 학생과의 대화에 변증법과 시(詩)를 가져오는 교사의 실제적 지식으로 구현된다. According to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In the conversation we learn to recognize the voices, to distinguish the proper occasions of utterance.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there is no voice without an idiom of its own, and as a manner of speaking, each has a conversability. This relationship of conversation reminds us of the meaning of civilized human being as the inheritors of conversation. Plato's dialectic is to be considered as the art of conversation with which the certainties are made into the possible and the probable by questioning. In resemblance with dialectic, Oakeshott's conversation is impossible in the absence of a diversity of voices. Voices acknowledge each other and enjoy an oblique relationship which neither requires nor forecasts their being assimilated to one another. It is a conversation which goes on both in public and within each of ourselves as an educated person. Oakeshott's contemplating is a specific mode of imagining and moving about among images, different from both practical and scientific imaginings. It is playful and not businesslike, because it is free from care and released from both logical necessity and pragmatic requirements. It springs from the self-sufficiency enjoyed by each engagement and by image-making in the conversation. Teacher's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are revealed through his practical knowledge which brings dialectic and poetry into conversation with hi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