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상적 작위ㆍ부작위 청구의 특정과 강제집행에 관하여

        정영수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3

        이 글에서는 침해 방지 조치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고 채무자가 달성해야 할 결과만을 목적으로 하는 추상적 작위・부작위 청구의 소에 있어서 청구의 특정에 관한 문제와 판결주문의 추상성, 집행의 방법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상적 작위・부작위 청구는 채무자가 실현해야 할 작위・부작위의 결과가 특정되면 충분하고 이 경우에 소는 적법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청구를 특정해야 하는 취지가 심리의 대상을 명확히 하고 피고에게 방어의 기회를 주자는 것이라면 원고가 요구하는 작위・부작위의 결과가 명시되는 것으로도 이 취지는 충분히 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이행의 방법까지 특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강제집행이 가능한 정도로 특정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통상의 민사소송에서 강제집행이 불가능하더라도 본안판단이 가능하다고 보는 통설과 판례의 태도를 추상적 작위・부작위 청구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당사자 사이에 타협이나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려면 소를 부적법 각하하기 보다는 소송절차를 진행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강제집행의 가능성을 소의 적법성 요건으로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추상적 부작위 청구는 추상적 작위 청구를 포함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추상적 부작위를 명하는 판결은 침해행위를 모두 멈추고 채무를 이행하도록 채무자에게 명령하는 판결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작위채무에 대해 간접강제에 의해서만 집행되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접근법에서 벗어나 판결주문이 작위의 실시도 포함하는 취지로 해석되는 한 그것은 작위의 집행, 즉 대체집행을 통하여 권리구제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방해나 공해 관련 사건의 경우에 채무자가 임의로 이행할 수 있는 단계에서는 침해의 제거를 위한 수단과 방법은 전적으로 채무자의 선택에 맡겨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택권은 강제집행이 개시되기 전까지 존재할 뿐이다. 채무자가 임의 이행을 거부한다면 채권자는 강제집행의 방법으로 대체집행 또는 간접강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채무자의 추상적 부작위를 명하는 판결이 내려진 경우에 이에 호응하는 집행방법은 간접강제만이라고 보고 있다. 그런데 추상적 부작위를 명하는 판결은 작위의무를 포괄한 것과 같은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적극적인 작위도 할 수 있다면 채권자의 궁극적인 권리구제에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소음의 유입을 금지하는 판결의 경우에 채무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채권자가 소음방지의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다고 볼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채권자는 이러한 대체집행을 강제집행의 개시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채무자는 채권자에 의한 강제집행의 실시 단계에서 임의로 이행을 하거나 아니면 채권자가 원하는 방법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추상적 작위・부작위를 명하는 판결과 집행방법을 고찰한 목적은 효과적인 강제집행 또는 채권자의 실효성 있는 권리만족을 위한 것이었다. 채무자는 법원의 부작위 명령을 작위에 의해 이행하거나 법원이 명한 작위 명령을 부작위에 의해 임의로 이행할 수 있다. 아마도 채무자는 가장 부담이 적은 조치를 선택할 것이다. 채무자가 이행의 방법을 선택하지 않아서 강제집행의 단계로 접어든 이상...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problem of specifying claims, abstractness of judgment orders, and methods of execution in abstract act or omission claims aimed only at the results to be achieved by the debtor without specifying infringement prevention measures. Abstract claim for act or omission is sufficient if the result of act or omission to be realized by the debtor is specified, and in this case, the lawsuit should be considered legitimate. If the purpose of specifying the claim is to clarify the subject of the hearing and give the defendant a chance to defend, this purpose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by specifying the results of the act or omission required by the plaintiff, so there is no need to specify a specific method of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attitude of general opinion and precedents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the merits even if compulsory execution is impossible in ordinary civil lawsuits to the extent that compulsory execution is possible. In particular, in order to leave room for compromise or negotiation between the parties, it may be desirable to proceed with the litigation rather than dismissing the lawsuit illegally.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make the possibility of compulsory execution a requirement for legality of a lawsuit. From the perspective that an abstract obligation to abstain from doing a particular act include an abstract obligation to do, a judgment ordering abstract omission can be interpreted as a judgment ordering the defendant to stop all infringement and fulfill the obligation. Therefore, as long as the judgmen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execution of the act, that is, the effectiveness of rights relief can be secur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act, that is, substitutional execu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that it should only be executed by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In the case of obstruction of living or pollution-related cases, at the stage where the defendant can arbitrarily perform, the means and methods for removing infringement are entirely left to the defendant's choice. However, these options only exist until compulsory execution begins. If the defendant refuses to perform arbitrarily, the plaintiff may choose substitutional execution or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as a method of compulsory execution. In general, when a judgment ordering the defendant's abstract omission is made, the execution method in response to it is considered to be indirect compulsory performance. However, since the judgment ordering abstract omission contains complex contents such as the duty to act, it will be useful for the ultimate remedy of the plaintiff 's rights if it can also act necessary to achieve an appropriate situ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judgment prohibiting the inflow of noise, it is not impossible for the defendant to pay the cost and the plaintiff to install noise prevention facilities. If so, the plaintiff can choose such substitutional execution at the beginning stage of compulsory execution. In other words, the defendant shall not arbitrarily perform at the stage of compulsory execution by the plaintiff or interfere with the method desired by the plaintiff. The purpose of considering rulings and enforcement methods ordering abstract act or omission was to effectively enforce or satisfy the rights of the plaintiff. The defendant may obey the court's omission order or arbitrarily meet his/her obligations. Perhaps the defendant will choose the least burdensome measure. As long as the defendant does not choose the method of performance and enters the stage of compulsory execution, even if the plaintiff's option is recognized, it does not disadvantage the defendant.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the defendant's autonomous choice is protected by having the option of a means to remove the infringement result until the commencement of compulsory execution. If the defendant proceeds to the...

      • KCI등재

        자녀인도의 강제집행과 실무 -일본 민사집행법 개정으로부터의 시사-

        곽민희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23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7 No.1

        In family-related cases, the nature of the dispute is complex and sensitive because most of the parties and interested parties are people with intimate relationships such as spouses, parents,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mediate or judge such a dispute. In addition, after a judgment is confirmed, the execution needs to be carried out as quickly as possible to stabilize family relations, but in fact, the ultimate resolution is often delayed due to the eth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the parti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compulsory execution of return of child is a very difficult issue in that, unlike execution targeting objects, it is not only execution targeting humans, but also child welfare must be considered in all processes. Since Korea recently joined the Hagu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Convention, the issue of enforcement of the order to return the child was raised when the Korean Family Court ruled that the child who had been taken over to Korea should be returned to habitual residence. Korea enacted th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Act to implement this Convention, which does not provide any special provisions for the enforcement of the return of children. Therefore, the enforcement of return orders of child is governed by Korean domestic law, that is, the Civil Execution Act.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on compulsory execution of return of child in current Korean domestic laws including Civil Execution Act. But, there is a guideline from the Supreme Court on the compulsory execution of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which stipulates that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movables. In addition, the guideline stipulates that execution cannot be performed when a child has a mental capacity and expresses a willingness to refuse execution. This guidelines apply equally to domestic child return cases and international cases under the Hague Convention. However, this guideline is not suitable for the enforcement of return cases for children, and above all, it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child return cases based on the Hague Convention and domestic cases,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pecial nature of the return case for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ases, it needs to be clearly and concretely regulated at the level of laws and regulations, not guidelines. This paper mainly examines the problems of domestic law regulations and theories on compulsory execution of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Regarding this issue, Japan recently revised the Civil Execution Act to enforce domestic child return cases. At the same time, the Hague Convention implementation law was also revised to comprehensively reorganize the rules for children. This paper analyzed in detail the compulsory enforcement regulations of child return under Japan's revised Civil Execution Act and reviewed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laws.

      • KCI등재

        행정강제의 정당화 근거와 한계

        최봉석 한국공법학회 2010 공법연구 Vol.38 No.4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is one of the way to compelled by law if people do not fulfill duties in process of law enforcement. Compulsory execution has system to any other ways. But It has many functional limit compared with significance. As a result, it is urgent for us to exam and improve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It was common theory that imperium to people has a right of compulsory execution to realize imperium in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But it is a controversial that government can do compulsory execution without statutory authority. It is solve to interpret positive law beforehand, not permitted to draw compulsory execution from statutory authority to imperium. Imperium essentially has not possibility of compulsory execution. So enforcement to administration action is not essence of administration action, but effect attended by administration action within statutory authority. They make a general law, administrative compulsory law, in germany, but they restrictively allow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and make use to criminal judicial power in france. Moreover they make it a rule to solve civil action in principle and restrictively allow to administrative agnes's execution. But Our administrative compulsory is similar to german but has not unificative and systematic common law. So, it has not the flexibility in choice of a compulsory measure. as a result, it was not to apply proportionality. And it has defective legislation and lacks systematic relation or rationality to each compulsory measure. To tackle this problem, first of all, we can solve to apply relational public law in indefinite administrative compulsory measure. If not relational public law, this once, we can solve to apply relational civil law. Most of all, we must modify administrative compulsory to common law as Germany. This can contribute to protect civil right though requirement and process of compulsory execution. 법을 집행하고 공익을 실현해 가는 과정에서 부과된 의무를 국민이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강제할 수 있는 수단 중 대표적인 것이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이다. 강제집행제도는 다른 수단에 비해 체계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많은 기능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대하여 국민에게 발하는 명령권에는 그 명령을 실현하기 위한 강제집행권이 포함되어 있다고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실정법에 명문규정이 없는 경우에 대해서 별도의 수권규정 없이도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기본적으로 우선 구체적인 실정법의 분석을 통해 해결하여야 하고 명령권의 수권법규에서 강제집행권을 도출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즉 명령권이 강제집행의 가능성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행정행위의 집행력은 행정행위의 본질에 고유한 것이 아니고, 법규가 인정하는 범위 안에서 행정행위에 수반되는 효력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대하여 독일의 경우 일반법인 행정집행법을 제정하고 있는 것에 비해 프랑스의 경우에는 행정상 강제집행을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주로 형사사법권의 힘으로 이행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달리 미국에서는 주로 민사소송 등 사법절차에 의한 해결을 원칙으로 하고 행정청 스스로의 집행은 매우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강제집행제도는 독일과 유사한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일본과 같이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일반법을 규정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강제수단 선택에 있어서 탄력성이 없고 결국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기 힘들다. 또한 이로 인한 입법적 흠결은 물론 개별 강제수단 사이에 체계적 연관성이나 합리성이 결여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행정상 강제집행수단이 명문상 없는 경우에 관련 공법규정의 준용으로 해결하고, 준용할 법령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법규정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를 독일과 같이 일반법 제정방식으로 완전한 규정으로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강제집행의 요건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국민의 권리보호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상속채권자의 상속재산의 강제집행에 대한 실무적 검토

        박재승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4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20 No.-

        상속재산의 강제집행에 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고 이론적으로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강제집행과 관련된 실무현장에서는 해결되지 않는 여러 가지 난제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상속관련 강제집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검토주제를 4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첫 번째 주제는 강제집행당사자와 강제집행대상 재산 문제이다. 강제집행채권자와 강제집행채무자를 확정하고, 상속이 가능한 객체로서의 상속재산과 상속재산에서 제외되는 재산, 그리고 상속재산이 처분된 경우의 상속 대상재산등의 문제의 검토가 필요하다. 두 번째 주제는 상속관련문제가 강제집행에 미치는 영향이다. 단순승인의 경우와, 상속포기, 한정승인을 한 경우, 사해행위취소나 강제집행절차에서 각 채권자들의 우열관계 등 강제집행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가 필요하다. 기타 상속 관련 문제가 강제집행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상속인의 파산, 상속인 불명의 재산에 강제집행 그리고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의 경우의 가압류관련 문제도 살펴보고자 한다. 세 번째 주제는 강제집행대상 재산의 보존 조치이다. 이에는 상속인이 상속절차를 게을리 하는 경우 미등기 상속재산에 대한 대위 상속보존등기와 대위상속이전등기 문제 등의 검토도 필요하다. 그러나 실무상 시급한 주제로서, 네 번째 주제로 부동산공부의 소유자와 피상속인의 동일성 소명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는 판례도 학설도 거의 존재하지 않고 동일성 소명의 판단을 오로지 등기관의 판단에 맡기라는 예규들이 유일한 지침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법규적 보완 등 이를 해결할 심층적인 연구도 시급한 실정이다. Regarding the compulsory execution of inherited property, there are various laws, precedents, and considerable research papers, which theoretically reach a considerable level.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challenges that cannot be solved in the field of compulsory execution, so it is urgent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The review topics necessary for compulsory execution related to inheritanc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compulsory execution creditor and the compulsory execution debtor are identified, and the inherited property as objects that can be inherited and the property excluded from the inherited property, In addition, when the inherited property is disposed of,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ssue of the property subject to inheritance. The second topic is the impact of inheritance-related issues on compulsory execution. In the case of simple approval, abandonment of inheritance, and limited approval.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act on compulsory execution, such as the cancellation of the deadly act or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relationship of each creditor in the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 As for the effects of other inheritance-related issues on compulsory execution, we will als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the bankruptcy of heirs, compulsory execution of unknown assets, and seizure in cases of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nd limited approval. The third topic is the preservation of property subject to enforcement. If the heir neglects the inheritance procedure,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the registration of subrogation and preservation of unregistered inherited property and the registration of transfer of subrogation. However, the most urgent topic in practice is The fourth review topic is the clarification of the identity of the owner and heir of the real estate study. In this regard, there are few precedents or theories, and the only guidelines are that the judgment of the identity is left solely to the judg ment of the registration official. Therefore, in-depth research to solve this problem, such as legal supplementation, is also urgent.

      • KCI등재

        강제집행에 있어서 집행관의 강제권에 관한 소고 -민사집행법을 중심으로

        김성태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19 比較法硏究 Vol.19 No.1

        Once a ruling is final in a civil suit, res judicata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claim with execution power generated by its content. Even though a judicial process is over to confirm the right, one should sincerely implement the final civil execution procedure to fulfill the right according to faith. In the actual field of compulsory execution, however, an execution officer trying to carry out compulsory execution faces resistance from an execution debtor trying to avoid it in many case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re is always war going on in places where compulsory execution is happening. It is because an execution officer has a very difficult time making a request for assistance from police officers based on Civil Execution Act to address resistance from debtors due to the absence of related provisions in the actual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despite Article 5, Clause 2 of Civil Execution Act, which states that an execution officer is allowed to make a request for assistance from the police or military in case of resistance from debtors. If the procedure of compulsory execution is not followed according to the content in the secured executive titles, people's trust in judicial order as well as constitutionalism will drop. The fair and fast implementation of civil execution according to the procedure stipulated in Civil Execution Act is a matter of huge importance to all the related parties including the stakeholders as well as the individuals directly involved in the execution. Recognizing the high frequency of physical clashes in the field of execution, this study reviewed the duties and compulsory power of execution officers recognized by the Civil Execution Act and looked into the arrangement of related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compulsory power of execution officers should be exercised right in actual compulsory execution. 민사소송에 있어서 판결이 확정되면 기판력에 의하여 대상이 된 청구권의존재가 확정되고 그 내용에 따라 집행력이 발생하는데, 권리를 확정하는 소송절차가 끝나더라도 그 권리(私權)를 실현하는 마지막 민사집행절차가 신의에 좇아 성실히 이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강제집행의 현장에서는 강제집행을 하려는 집행관이 이러한 강제집행에 피하려는 집행채무자의 저항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강제집행이 진행되는 곳은 항상 전쟁터를 방불케 했는데 그 이유는 집행관은 저항을 받으면 집행관은 경찰 또는 국군의 원조를 요청할 수있다는 민사집행법 제5조 제2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경찰관 직무집행법에는 관련 규정이 전무하여 사실상 채무자의 저항에 대한 경찰관의 원조를민사집행법을 근거로 요청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확보된 집행권원에 기재된 내용대로 강제집행의 절차가 진행되지 않는다면법치주의와 더불어 사법질서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가 떨어지기 때문에 민사집행법상 규정된 절차에 의하여 공정하고 신속한 민사집행의 실현은 집행당사자 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인 등 관계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래서 정당한 법집행임에도 불구하고 강제집행 현장에서의 물리적인 충돌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민사집행법상 인정되고 있는 집행관의 직무와 강제력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를바탕으로 실제 강제집행에 있어서 집행관의 강제권이 제대로 행사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관련 규정의 정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강제집행에 있어 경찰 개입의 법적 근거와 한계 - 사법 및 행정 경찰로서의 권한 행사와 방식 -

        강성용 ( Sungyong Kang ) 한국경찰법학회 2021 경찰법연구 Vol.19 No.1

        민사집행 또는 행정대집행에 있어서 경찰관은 강제집행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거나 이미 일어난 침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현장에 임장을 하게 되고, 때로는 집행관으로부터 직접 강제집행에 개입하여 줄 것을 요청받기도 한다. 위와 같은 강제집행에 있어서 경찰의 개입은 법상 어디까지 정당화되며, 이해관계까 충돌하는 쌍방이 존재하는 강제집행에 있어서 누구를 대상으로 어떠한 형태와 방식으로 개입을 할 수 있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민사집행법 또는 행정대집행법을 분석한 바 경찰은 경찰 고유의 직무와 조화되는 범위 내에서만 당해 강제집행에 대한 원조나 응원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한 후, 경찰관직무집행법 및 형사소송법에 근거하여 경찰이 강제집행에 개입할 수 있는 권한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종류의 권한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한계와 절차-형소법상 한계와 절차와 경직법상 한계와 절차-가 적용된다. 하지만, 비록 사법경찰과 행정경찰 또는 범죄의 수사와 위험의 예방이라는 개념들은 강학상 사후적으로 살펴볼 때 매우 간편하고 쉽게 구분되는 것처럼 보이는 개념들이지만, 실제 급박한 현장에서 이를 구분하고 적절한 한계와 절차를 준수하여 행사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제집행 현장에서 가장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범죄 행위나 위험한 사태를 예시로 들어 경찰 개입의 법적 권한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Police forces are required to be present at the scene of civil execution or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to prevent possible risks and to control crimes committed in due course. Often times, police forces are even requested by the executors to participate in compulsory execution itself. Under such circumstances, could the direct participation by the police forces in compulsory execution be justified? What is the scope of justified involvement by the police forces with compulsory execution? In what manner and form the legal authorities of the police forces need to be exercised? This paper, after analysing that Civil Execution Act or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does not provide any legal basis for the police forces to participate in compulsory execution in a manner in conflict with the original duties of police, illustrat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olice participation in compulsory execution based on the two different legal authorities of police granted under i)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ii)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Each legal authority has its own aim-i) crime investigation as judiciary police and ii) risk prevention as administrative police-requiring to adhere its own procedures and limitations. However, though it may seem simple and easy to distinguish retrospectively the compulsory execution situations requiring different legal authorities to be exercised, police in the field confronting the immergent situations have difficulties in making proper and immediate differenti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proper legal authorities to be exercised and the limitations to be sustained by the police in regard to the crimes or risks usually encountered by the police during compulsory execution.

      • KCI등재

        상반된 집행권원으로 인한 의무의 충돌과 간접강제 저해 사유 - 일본 이사하야만 사례를 소재로 한 절차법적 연구

        김병학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2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8 No.1

        The Isahaya Bay land reclamation case decision addressed in this paper is Japan’s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has clarified this principle: conflicting obligations arising from conflicting titles of obligation among debtors are not grounds to impede an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Based on this decisio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ed requests for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in cases where a title of obligation separately orders an obligation in substantive law and therefore conflicts with the title of obligation of the creditor. The author’s observation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concerning the request for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regarding obstacles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the intention of the debtor, is reasonably interpreted as a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the debtor is exerting the best effort that can be expected in order to obtain the cooperation of a third party. This is argued by theories ⑤ and ⑥ mentioned in III 1 (3), as among the theories referencing discussions of German law. In such cases, the debtor bears the burden of proof on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Second, as regards the idea that the existence of conflicting titles of obligation are grounds to hinder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it must be said that the logical reasoning why such an exception is allowed is unclear with respect to the principle enabling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in cases where performance is possible merely through the intention of the debtor. Further, if the existence of conflicting titles of obligation were allowed as grounds for hindering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there is great concern that this would result in the debtor colluding with a third party to intentionally withdraw from the lawsuit and “break”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this situation cannot be approved. Third, even if there is a final judgment on conflicting titles of obligation, provided this is premised upon the essential theory of res judicata in procedural law, as well as on the idea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n substantive law, no change exists as to the argument that these are not grounds for hindering indirect compulsory execution. 본 원고에서 다룬 이사하야만 간척 사건 결정은 채무자의 상반된 집행권원으로 인한 의무의 충돌이 간접강제의 저해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취지를 명확하게 한 일본 내 첫 최고재판소의 판단이다. 필자는 본 원고에서 해당 결정을 계기로, 채권자가 가진 집행권원과는 별개의 상반된 실체법상 의무를 명령하는 집행권원이 존재할 경우의 간접강제 신청에 대해 검토했다. 본 원고의 고찰을 요약한다. 첫번째로 채무자의 의사로는 배제할 수 없는 장애에 관한 간접강제 신청의 판단은, 독일법의 의논을 참고로 한 학설 중 Ⅲ1(3)에서 언급한 ⑤, ⑥학설이 주장하는 대로 채무자가 제3자의 협력 등을 얻기 위해 기대 가능한 최선의 조치를 끝까지 취했는지 여부를 지표로 삼는다고 해석하는 것이 정당하다. 그 때 작위의 이행 불능에 관한 증명책임은 채무자가 진다. 두번째로 상반된 집행권원의 존재가 간접강제의 저해 사유가 된다고 보는 견해는, 채무자의 의사만으로 이행 가능한 경우 간접강제를 가능케 하는 원칙을 두고 왜 그 예외를 인정하느냐하는 점에 대한 이론적 이유를 명시하는 것이 불명확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또 상반된 집행권원의 존재가 간접강제의 저해 사유가 된다고 하면 채무자가 제3자와 공모소송 내지는 의도적으로 패소하는 등의 행위를 저질러 간접강제 ‘소멸’을 초래할 우려가 높아, 이익 형량의 점에서 봐도 찬성을 하기가 어렵다. 세번째로 상반된 집행권원이 확정판결이 된 경우라고 해도 기판력의 본질론에서의 소송법설 및 실체법의 이행 불능 의논을 전제로 두는 한, 간접강제의 저해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 KCI등재

        자녀인도의 강제집행과 실무 - 일본 민사집행법 개정으로부터의 시사 -

        곽민희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23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6 No.4

        우리 법상 민사사건에서 권리의 종국적 실현은 원칙적으로 민사 소송절차를 거쳐 집행권원을 얻고 강제집행절차를 밟아 이루어진 다. 물론 그 인용 심판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민사집행법상 가압류 와 가처분과 같은 보전처분이 가능하고, 가사사건의 경우에는 가사 소송법상 사전처분이나 가처분을 통해 그 권리의 잠정적 보전이 가 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보전처분이나 사전처분은 잠정처분에 불과 하고 처분의 집행 역시 권리의 종국적 실현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 다. 따라서 통상 실질적인 권리의 보전은 민사집행법상의 강제집행 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가사사건의 경우에는 민 사소송의 성격이 있는 다류 가사소송사건을 제외하면 원칙적으로 집행력이 없고, 그 분쟁이 사적 관계로 얽혀 있어 매우 복잡하고 민감한 측면이 있어 조정이나 심판 등에 의한 해결에 긴 시간이 소 요된다. 또한, 심판이 확정된 후에도 그 집행에 있어서 가사사건의 특성상 사실상 집행이 어렵거나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 경 우 심판 대상이 아동, 즉 ‘미성년 자녀’라는 점 때문이다. 사실 우리 법상 자녀인도심판 및 집행과 관련한 논의는 대체로 ‘유아’인도심판 에 한정되어 논의되어 왔기 때문에 유아인도심판을 집행권원으로 하여 민사집행법상 강제집행을 하는 경우(가사소송법 제41조) 유체 동산인도심판의 예에 따라 집행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자녀인도 의 문제는 ‘유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게다가 비교적 의사능 력이 없는 유아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통상의 물건을 대상으로 하는 집행과 달리 아동복리 관점에서 특히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민사집행법은 아동 대상의 집행방법에 관해 별도의 명문 규정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는 온전히 해석이나 실무에 맡겨져 있다. 그런데 현재 학설이나 실무에서도 이 문제에 관해서 는 정합한 법리가 구축되어 있다고 보기도 어렵고 그 타당성을 담 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다만,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아동탈 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헤이그 협약」에 가입하면서 협약 적용 관 점에서 그 집행이 문제 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아 동대상의 집행에 관한 종합적 담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대해 일본의 경우에는 협약의 이행법률인 헤이그조약실시법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인도심판과 집행의 문제를 총망라하는 규정을 창설 한 것을 계기로 최근 국내 민사집행법을 개정하였다. 이로써 일본 은 아동인도집행에 관한 국제사건과 국내사건 처리의 절차적 정합 성을 도모하고 국내외 규율 체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국내・외를 망 라한 아동집행 법제를 구축하였다. 이에 본고는 자녀인도심판의 강 제집행과 관련하여, 최근 개정된 일본 민사집행법의 내용을 소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법상 가사사건의 집행실무의 문제점과 그 시사점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In family-related cases, the nature of the dispute is complex and sensitive because most of the parties and interested parties are people with intimate relationships such as spouses, parents,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mediate or judge such a dispute. In addition, after a judgment is confirmed, the execution needs to be carried out as quickly as possible to stabilize family relations, but in fact, the ultimate resolution is often delayed due to the eth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the parti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compulsory execution of return of child is a very difficult issue in that, unlike execution targeting objects, it is not only execution targeting humans, but also child welfare must be considered in all processes. Since Korea recently joined the Hagu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Convention, the issue of enforcement of the order to return the child was raised when the Korean Family Court ruled that the child who had been taken over to Korea should be returned to habitual residence. Korea enacted the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Act to implement this Convention, which does not provide any special provisions for the enforcement of the return of children. Therefore, the enforcement of return orders of child is governed by Korean domestic law, that is, the Civil Execution Act.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on compulsory execution of return of child in current Korean domestic laws including Civil Execution Act. But, there is a guideline from the Supreme Court on the compulsory execution of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which stipulates that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movables. In addition, the guideline stipulates that execution cannot be performed when a child has a mental capacity and expresses a willingness to refuse execution. This guidelines apply equally to domestic child return cases and international cases under the Hague Convention. However, this guideline is not suitable for the enforcement of return cases for children, and above all, it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child return cases based on the Hague Convention and domestic cases,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pecial nature of the return case for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ases, it needs to be clearly and concretely regulated at the level of laws and regulations, not guidelines. This paper mainly examines the problems of domestic law regulations and theories on compulsory execution of surrendering custody of child. Regarding this issue, Japan recently revised the Civil Execution Act to enforce domestic child return cases. At the same time, the Hague Convention implementation law was also revised to comprehensively reorganize the rules for children. This paper analyzed in detail the compulsory enforcement regulations of child return under Japan's revised Civil Execution Act and reviewed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laws.

      • KCI등재

        행정상 강제집행에 대한 한 · 중 법제의 비교법적 연구 - 대집행을 중심으로 -

        김연(JIN YA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2

        많은 경우에 행정목적의 실현은 행정 상대방의 의무이행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대립되는 이익이 병존하는 사회에서 행정청이 명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위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행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이를 강제할 수단이 필요하다. 이런 수단의 대표적인 예가 행정상 강제집행이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의 입법체계를 고찰하고, 대집행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법제를 중점적으로 비교하면서 중국법의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우선 한국의 행정상 강제집행제도는 대집행에 대해서만 일반법을 제정하고 있으며, 직접강제와 이행강제금 및 기타 행정상 강제집행 수단에 대해서는 개별법에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률에 강제집행 수단이 불비한 때에 의무불이행의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입법체계상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국과 같이 행정강제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현행 「행정대집행법」에 따르면 법령에 의해 직접 명해진 의무의 불이행도 대집행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법령에 의해 명해진 의무는 보통 불특정 다수인의 의무로서의 성질을 가지므로, 행정행위를 통해 특정인의 의무로 확정된 다음에야 대집행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가령 법령에서 명한 의무가 어느 정도 구체적이어도 의무자로서는 특정의무를 인식하기가 어렵다. 이에 의무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대집행의 대상은 중국과 같이 행정행위를 매개로 하는 대체적 작위의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행정대집행법」은 불이행된 의무에 대해 다른 수단으로 이행확보가 어려울 때에 한하여 대집행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지만, 무엇이 다른 수단에 해당되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졸저는 중국과 같이 행정청과 의무자의 의견을 서로 수렴할 수 있고 탄력적으로 양자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협의제도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본다. 궁극적으로 행정상 강제집행제도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이 점차 정비된다면 행정의 실효성 확보는 물론이고, 행정 상대방의 권익보호도 신장될 것이다. In many cases, the realization of an administrative purpose requires the performance of a duty by the administrative counterpart. However, in a society where conflicting interests coexist, the duty order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often not implemented or is violat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 means to coerce the implementation is required. A typical example of such means i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gislativ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in Korea and China, then focused on comparing the legislation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n Korea and China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law for Korea. First of all, according to Korea’s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only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s included in general administrative law, while the use of direct force, compulsion payment or other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measures are restrictively provided in individual laws.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te of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cannot but remain when there is no means of compulsory execution in the law.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legislative system, it is necessary to enact a general legislation on administrative enforcement like China.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Korea’s present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the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directly ordered by the legislation may also be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However, since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usually has a character as that of unspecified individuals, it is judged that it becomes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only after it is confirmed as an obligation of specific persons through an administrative act. For instance, although the obligation ordered by the legislation is specific to some extent,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bound in duty to recognize the specific obligation. Thu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erson bound in duty,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target of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to the alternative obligation mediated by an administrative act like China. In addition,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provided that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could be made only when it would be difficult to secure the implementation concerning an unperformed obligation, but it does not state what comes under the other means. I think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a negotia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which can collect opinions between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person bound in duty like China and solve the conflict between both parties elastically. Ultimately, if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system are gradually maintained,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will be ensured.

      • KCI등재

        현행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

        김연태(Kim, Yeon-Tae)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행정강제는 행정상의 강제집행과 즉시강제로 나누어지고, 행정상의 강제집행의 수단으로는 다시 대집행, 이행강제금, 직접강제, 행정상 강제징수가 열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행 행정강제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과 그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럼에도 입법적 개선이 이루어기보다는 행정벌, 금전적 제재수단, 새로운 유형의 실효성 확보수단 등 행정목적을 간접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수단으로 행정집행을 대체하거나 또는 개별법을 통해 한정적으로만 인정하려 했던 이행강제금, 직접강제 등의 수단을 허용하는 입법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혼용되고 있다. 더욱이 행정주체는 상대방에 대한 권익침해 여부에 대하여는 고려함이 없이 간편하게 의무의 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활용하는 데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공권력의 지나친 행사라는 비난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현행 법제의 문제점, 특히 행정집행제도의 체계상의 문제점으로서 법적 근거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개별 행정집행수단의 문제와 각 집행수단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올바른 행정집행제도의 정립과 체계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행정상 강제집행수단의 체계화의 필요성은 주로 비금전적 의무 불이행에 대한 강제수단에 있어서 문제되므로, 금전적 급부의무의 불이행에 대한 강제수단인 강제징수에 대하여는 논외로 하고, 행정상 의무의 불이행에 대하여 의무이행을 강제하는 것을 직접 목적으로 하는 직접적 의무이행확보수단인 대집행, 이행강제금, 직접강제에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행정상 즉시강제는 엄밀한 의미의 행정의 의무이행확보수단은 아니지만, 긴급한 경우에 행정목적의 실현을 위해 예외적으로 행해지는 강제수단이라는 점에서 행정집행제도에 포함시켜 논의하였다.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compulsion i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and immediate execution. The means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are then commonly listed as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charge for compulsion of performance, direct execution and administrative compulsory collection. The problems of the administrative compulsory system as well as legislative plans to improve the system have been brought up to the surface on multiple occasions in the past. Nonetheless, rather than implementing legislative improvements, administrative execution has often been replaced with means to indirectly realize the administrative purposes such as administrative penalty, monetary sanction and other new forms of actions to procure effectiveness.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legislations allowing means such as charge for compulsion of performance and direct execution, which were originally allowed in a restrictive manner through individual legal regulations. The cases for the use of the aforementioned means to achieve administrative fulfillment of obligations have mainly been indistinguishable and caused much confusion. In addition, the administrative agency has faced a large number of criticisms for immoderate use of public authority as its interest mainly lies with simply securing fulfillment of obligation without much consideration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individuals.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systematic problems of the administrative execution system in two aspects, namely the issues of individual means of administrative execution with references to legal basi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individual means. By doing so, this paper will seek settlement and systemization of the appropriate institution of administrative execution. The necessity to systemize the means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execution primarily refers to cases of non-performance of non-monetary obligations. For this reason, this paper will not discuss matters relating to compulsory collection as a result of non-performance of monetary obligations.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vicarious administrative execution, charge for compulsion of performance and direct execution that are used as means to ensure direct fulfillment of obligation. Although administrative immediate execution is not strictly classified as a means to ensure fulfillment of obligation, it is discussed as a part of the administrative execution system as it is used as a compulsory means to achieve administrative purposes in exceptional as well as urgent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