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에 근거한 아동반환재판 집행 법제의 비교법적 검토

        곽민희 한국민사법학회 2023 民事法學 Vol.103 No.-

        Korea acceded to the Hague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in 2012. According to the Convention, if a child is abducted and brought into Korea by one parent in violation of the other parent's custody, the Korean court must issue an order for the prompt return of the child to the country of habitual residence, unless certain exceptions are recognized under the Convention. If the child is ordered returned and the abducting parent does not return the child voluntarily, enforcement of the order is required under our law. The Ac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does not make any special provisions for the enforcement of child return judgments, except for stipulating the enforcement order system in the Family Procedure Act, and allows existing domestic laws to be applied. However, the Korean Civil Code and the Civil Enforcement Act do not have any special enforcement provisions for children, except for a fragmentary provision on the right to infant return for incapacitated infants. However, in family law practice, it is only required to follow the enforcement law for the delivery of movable property, and it is difficult to find in-depth discussions on the right of infant delivery other than a short description in conventional academic theories. However, enforcement seeking the delivery of a child requires special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welfare because the target of the enforcement is a child. As there is no specific provision for child return cases based on the Convention in the current law, the core principle of "prompt return" is not fully considered at the enforcement stage. In addition, since domestic practice recognizes only "direct coercion,"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arget of enforcement is primarily an incapacitated infant, the application of domestic practice to Convention cases involv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6 needs to be reconsidered from both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In this regard, some Contracting State legal systems have special provisions for the extradition of children under domestic law, and Germany and Japan have special legal systems for the enforcement of extradition cases involving the Convention. A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Contracting States' legal systems is that, unlike enforcement against property in general, enforcement against "children" requires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welfare of the child. By examining the child return enforcement laws of the Contracting Parties in matters covered by the Convention,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in Korean family law practice and legisl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overall improvement of enforcement laws for children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Korea's enforcement law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return of children, and then examines in detail the features and contents of the laws of Germany and Japan, which have unique child return enforcement laws based on the Convention. Finally, based on these comparative legal studies, the report identifies legislative issues and basic principle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a Convention-based child return enforcement regime, and consider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enforcement regimes for children in general. 우리나라는 2012년 「국제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헤이그 협약」에 가입하였다. 이 협약에 따르면 일방 부모가 상대방 부모의 양육권을 위반하여 그 자녀를 우리나라로 탈취하여 들어 온 경우, 우리 법원은 협약에 근거하여 일정한 예외 사유가 인정되지 않는 한 아동을 종전 상거소국으로 신속하게 반환하라는 명령을 내려야 한다. 그런데 아동반환명령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탈취 부모가 아동을 자발적으로 반환하지 않은 경우, 우리 법에 따라 그 강제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 협약 이행법률인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 이행에 관한 법률」에서는 아동반환심판의 집행에 관해서는 가사소송법의 이행명령 제도를 규정하는 외에는 특별한 규정을 두지 않고, 기존의 국내법을 준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우리 민법 및 민사집행법에는 의사능력이 없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인도청구권에 관한 단편적 규정 외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한 집행규정은 없다. 다만, 가사실무에서는 유체동산인도의 집행방법에 따르도록 하고 있을 뿐이고 종래의 학설상으로도 유아인도청구권에 관한 단편적인 서술 외에 심도 있는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아동의 인도를 구하는 강제집행은 그 집행의 대상이 아동이라는 점에서 아동복리 관점에서의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현행법상 협약에 근거한 아동반환사건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없기 때문에, 협약의 「신속한 반환」이라는 핵심 원칙이 집행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또한, 국내의 실무는 집행 대상을 주로 의사능력이 없는 유아를 전제로 하여 「직접강제」만을 인정하기 때문에, 16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협약 사건에 국내 실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이론적인 측면에서도 실효성의 관점에서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체약국 법제 중에는 국내법상 아동인도 집행에 대한 특별규정을 두는 경우도 있고, 독일이나 일본은 협약을 포함한 섭외사건의 집행에 대한 특별한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체약국 법제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재산에 대한 집행과 달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행에 있어서는 아동복리라는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협약 적용 사안을 대상으로 하는 체약국의 아동반환 강제집행 법제를 검토함으로써, 우리 가사실무 및 법제의 구체적 문제점을 확인하고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강제집행 법제의 전반적 개선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협약 이행법률 및 아동인도와 관련된 현행 집행법제 및 실무를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체약국 중 협약에 근거한 고유한 아동반환 집행법제를 가지고 있는 독일과 일본의 법제의 특징과 내용에 대해서 상세히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비교법적 연구를 바탕으로 협약에 근거한 아동반환 집행법제에서 다루어져야 할 입법적 쟁점 및 기본 원칙을 도출하고,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행 법제 전반에 관한 시사점에 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곽민희,유정문 한국지구과학회 2004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5 No.2

        The effect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Four classes of 9th grade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in which students utilized the Web to interactively carry out their projects was put into practic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instruction was employed with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achievement and attitude scores were estimated through an analysis of covariance.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was seen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particular, the former instruction was most useful for improving higher level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among the higher, middle, and lower level students of both groups, based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effect of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on attitudes toward science was remarkable for female students. Instruction induced their interest in science and may result in eradicating negative cognition about gender difference.

      • KCI등재

        프랑스에 있어서 生存配偶者의 相續法上의 地位

        곽민희 한국민사법학회 2012 民事法學 Vol.59 No.-

        Depuis l'adoption de la loi française 1804 jusqu'à relativement récemment, le conjoint survivant n'a pas été qualifié d’héritier Régulier par la loi de succession, la succession n’a été reconnue qu’avec des exigences et des conditions strictes. La raison principale de refuser le conjoint survivant en héritage, c'est que la propriété de la famille n’est reconnue que dans les relations de sang, en d'autres termes, la protection de la propriété de la famille par le sang, qui est une perception traditionnelle. Cependant, concernant l'héritage, les droit du conjoint successible sont également appelés comme valeurs critiques a protégés. Depuis lors, la révision de la loi française relative à l'héritage peut être qualifié comme un compromis entre les deux valeurs, que ce soit la protection du sang ou du couple. Historiquement, des révisions de la loi en ce qui concerne les questions du conjoint survivant ont été lancées depuis la fin du 19ème siècle. Bien que le statut du conjoint survivant dans le droit des successions ait été amélioré après quelques révisions,l'amélioration globale telle que l'équité d'héritage: la partie héréditaire,orders D'héritiers et la considération pour assurer la garantie à vie du conjoint survivant ont été obtenus par la modification de la loi civile n °1135 du 3 Décembre 2001. Pendant ce temps, lors de l'examen de la révision de la loi pour l'amélioration du statut du conjoint survivant, la pertinence avec le système de propriété du régime matrimonial devrait être considérée comme exhaustive. En d'autres termes, des revisions sont nécessaires sur des questions telles que les dispositions Entre vifs testament dans lequel la décision est prise en conformité avec les parties ou des dispositions testamentaire ou sur le système existant du régime des droits matrimoniaux et le du conjoint survivant. Par conséquent, dans cette étude, tout d'abord, le conjoint survivant a des droits reconnu par le droit civil français, qui sont les droits successoraux du conjoint survivant (II) et des droits spéciaux divers qui sont protégés par les dispositions obligatoires ou bien qu’ils soient différent en nature (III) ou bien la relation avec les institutions existantes (IV)seront examinés. Et enfin, les répercussions sur notre droit seront prises en considération. (V)

      • KCI등재후보

        국제상사계약원칙(PICC)상 계약해제 요건으로서 본질적 불이행의 판단기준

        곽민희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國際去來와 法 Vol.- No.18

        PICC Art.7.3.1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vision of the PICC. It sets out the requirements which must be met if one party wishes to terminate the contract in response to the other party’s non-performance. Art.7.3.1(1) gives the basic rule: termination will be available as a remedy if the other party’s non-performance amounts to a fundamental non-performance. This provision applies to any type of non-performance. Art.7.3.1(2) provides criteria tha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non-performance is fundamental. Art.7.3.1 does not attempt to give an exhaustive definition of ‘fundamental non-performance’. Rather, the provision i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determining whether the non-performance was ‘fundamental’ has to be answered by analys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individual case and by weighing different criteria.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requirements of termination of contract, each factors of ‘fundamental non-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review, The following poin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substantial deprivation’ factor in Art. 7.3.1(2)(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whether the non-performance is to be fundamental non-performance. The ‘strict compliance’ factor in 7.3.1(2)(b) emphasizes the nature of the contractual obligation that was breached. The ‘intention’ factor in 7.3.1(2)(c) only concentrates on the non-performing party. The ‘loss of reliance’ factor in 7.3.1(2)(d) addresses the situation where future performances would be due by the non-performing party. Finally, the ‘disproportionate loss’ factor in 7.3.1(2)(e) takes into account the non-performing party’s interest not letting its preparations for performance be frustrated. 현재 글로벌화가 진전되면서 다양한 방면에서 인적․물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국제물품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국제거래시장의 통합화가 진행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자연스레 국제사법질서, 특히 상거래법 질서의 통일화 내지 현대화를 선도하고 있다. PICC는 구속력이 있는 법규범은 아니지만, 그 전문(Preamble)에서 밝히는 바와 같이, 국제무역을 전제로 한 국제상사계약에 있어서 일반적 준칙으로서 또는 국내외 분야에서 입법 및 해석을 위한 유용한 모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국제 상거래 분야에서 의미 있는 일반원칙으로서는 국제사법통일협회(UNIDROIT)의 국제상사계약원칙(UNIDROIT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 이하, PICC)을 대상으로 계약해제 요건인 본질적 불이행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민법 개정안 및 2013년의 민법개정 시안을 작성 논의에서도 CISG와 PECL을 비롯하여, PICC의 조문들도 그 참고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국제거래질서의 통합화 경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계약법 분야에서 세계적 추세에 따라 우리 민법의 내용을 대응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계약 해제와 관련하여서는 국제적 흐름에 부합하고 현행 채무불이행 책임 체계를 정리한다는 취지에서 귀책사유 요부와 본질적 불이행 내지 중대한 불이행 요건을 설정할 것인지 등에 관해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즉, 채무불이행 책임 체계를 유형별로 규율하는 기본 원칙에는 변함이 없지만, 현행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이원적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계약해제에 관한 규정을 폭넓게 재검토함에 있어서 해제요건과 관련하여 귀책사유를 삭제할 것인지가 논의되었고, 「본질적 불이행」이라고 하는 개념을 요건으로서 도입하는 것이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PICC의 채무불이행 책임 체계 및 해제 규정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해제 요건으로서 「중대한 불이행」이 어떠한 의미인지, 또한 그 구체적 판단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KCI등재

        헤이그아동탈취협약의 국내이행입법에 관한 검토 : 일본의 헤이그아동탈취협약 실시법으로부터의 시사

        곽민희 한국가족법학회 2014 가족법연구 Vol.28 No.2

        International parental Child Abduction is a prevalent phenomenon that has aroused the anxious interest of most national governments. It usually arises out of a complex and extreme breakd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t frequently causes acute emotional distress to both parent involved and, most importantly, to the abducted children. Governments from many nations have been co-operating to seek a consistent approach to discourge, and as far as possible, undo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al abductions. Most such abduction cases coming before the courts of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many of other countries' Court. Futhermore, in this cases a speedy return will also be the inevitable and right answer but there are other issues that have to be considered. As the Hague Convention dose not distingushin between parents who are primary carers and those who are not, whatever the outcome of the application there will be a futher hearing on the merits of the cases. But, the situation is changed after the concretion of this Convention in 1980. Recently, it is estimated that 60-70% of Hague Convention applications involve children removed, of retained, by the primary carers, usually their mothers, but without the permission of, and in breach of the legal rights of, the other parent. So, recent legislations of many of contracting countries are made up by taking into account this situation. In Asia, Korea and Japan made the enforcement law of Convention on the Civil Aspects of International Child Abduction. The subjet fo this Article i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Korean enforement law and Japan's by taking into account the purpose of Convention and the situation be changed.

      • KCI등재

        과실불법행위로 인한 경제적 손해의 배상 : 대법원 1996. 1. 26, 94다5472 (소위 송전케이블 사안)의 평석

        곽민희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1 法學論集 Vol.16 No.1

        현대 불법행위학에 있어서 기본적인 과제 중의 하나는 불법행위의 손해배상의 범위를 획정하기 위한 기준 내지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불법행위의 손해배상의 범위를 확정한다고 하는 것은 다시 말해서 손해배상책임의 내용이 되는 손해의 주체와 내용을 어떠한 기준으로 확정해야 하는가의 문제로서, 우리 민법은 제763조를 두어 채무불이행에 관한 민법 제393조를 준용함으로써 그 손해배상범위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의 손해를 한도로 하고 있고,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가 있는 경우에는 가해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하는 예견가능성인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서 배상의 책임이 있음을 분명히 함으로써 제한배상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우리 민법이 제한배상주의를 취하고 있고, 나아가 민법 제750조가 이른바 의사책임적 불법행위 유형을 상정하고 있다고 해석한다면, 불법행위의 성립요건과 배상범위의 획정의 문제는 엄격하게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결합되고 통합되어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 불법행위의 성립요건과 배상범위획정의 문제가 구별된다고 하는 사고방식은 독일법과 같은 완전배상주의를 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거나 적어도 우리 손해배상법이 완전배상의 정신을 지향하거나 법 정책적 구현가치로 삼고 있다고 해석되는 경우에 타당하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구체적 사안에서 불법행위의 성립요건과 배상범위 양 영역에 걸치는 경우에서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소위 간접피해자의 문제나 경제적 손해의 문제가 대표적인 현대적 불법행위의 문제로서 그야말로 불법행위의 성립요건과 배상범위의 경계영역에 속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고, 이들의 해석론에도 이러한 관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이들 문제는 직접 그 배상의 긍부를 논의하는 배상론에 있어서는 법 이론적 설명과 해석도 중요하지만, 보다 본질적인 불법행위책임법의 배상원리로서 손해의 공평타당한 분담이라고 하는 법 정책적 가치론의 탐구가 적극적으로 표명되고 요구되는 분야라고 하는 특징이 있다. 궁극적으로 위 경계사례에 대한 해석론에는 불법행위책임법의 체계를 구성하는 현대적 법 원리와 그 배경에 존재하는 본질적 배상원리의 석명이라고 하는 과제가 부가된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중 경제적 손해에 관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될 수 있는 우리 대법원의 의미 있는 판결(대법원 1996. 1. 26, 94다5472)을 소재로 위 과제에 부합하는 해결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만 본고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한정하여 과실불법행위에 있어서의 경제적 손해에 관해서 논의하기로 하고, 위 대상판결의 사안에 해당하는 경제적 손해의 사례 유형, 즉 본고의 간접피해자형 경제적 손해사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직접피해자가 재산침해를 입은 경우에 간접피해자에게 발생한 경제적 손해의 사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다만, 논의에 필요한 경제적 손해에 관한 일반론에 관해서는 비교법적으로 논의의 전개양상이나 특징에 대해서 서술하고, 각 사례유형에 분화된 배상범위론에 대해서 연구, 검토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경제적 손해의 배상론을 테마로 그 개념을 명확히 하고, 문제되는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경제적 손해의 각 유형에 따른 각국의 배상논의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개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우리 법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여 우리 판결에 나타난 경제적 손해배상론-특히 간접피해자형 경제적 손해 유형인 송전케이블사안-에 대해서 평석하고, 마지막으로 우리 법체계에 맞는 경제적 손해의 배상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One of basic tasks in modern studies on torts is laid in how to understand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ettling its scopes on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In other words, settl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on torts is a matter of how to decide damage’s subjects and contents, and Article 763 of our Civil Law is making it decided by applying correspondently to Article 393 of the same law on insolvency. That is, it is interpreted such like compensation for damages owing to illegal acts is limited to ordinary damages, and limiting compensation principle is being adopted by clearing the compensation’s responsibility only when predictable possibilities are accepted such like the injurer knows or could recognize its situations. As our Civil Law is taking limiting compensation principles, and further its Article 750 is interpreted as supposing illegal act’s types of so-called pseudo-responsibility, established requirements of illegal acts and settling matters on compensation scopes have to be combined, integrated, and understood to some extents, not being classified strictly. In fact, viewpoints that established requirements on torts and compensation acts’ settlement are different could be interpreted properly in case of taking perfect compensating principles like German code, or our interpretation on compensation for damages is read as aiming at perfect compensating spirits and considering it as implementing values of legal policies at least. But, our civil law systems on torts is quite different from Germans’. These differences in viewpoints could become problems when it is put on established requirements of illegal acts and compensation scopes together. For example, so-called indirect victim’s problems or economic losses are representative modern torts, and it could be said as being belonged to established requirements on illegal acts and boundary scopes of compensation scopes really, and thus these viewpoints shall be considered to such interpretations. On the other hand, though legal theory’s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are important in compensation theories in which its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s are discussed directly, but these matters have characteristics of requiring fields such like searching for axiology of legal policies called fair shares on damages are expressed and necessary as essential compensating principles in more fundamental tort liability act. Ultimately, tasks of modern legal principles composing systems on tort liability act and explanations on compensating ones existed in its background cannot but be added in the above boundary cases. Among them, this study will grope for a solution matching with the above task by taking a meaningful judgment of our Supreme Court that can be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case on the economic loss as a subject. Merely, this study will discuss about economic losses in negligent torts after limiting discussed objects, and look into cases of economic damages occurred to indirect victims in priority when direct victims suffered from asset infringement corresponding to economic- damaged matters of indirect damage type on this research, that is, cases of economic losses belonged to the above object judgment. However, the study will describe developing aspects of discussions and characteristics from comparative laws on the generalization on economic loss required for discussing, and research, review on compensation scope theories differentiated to each case type. Therefore, this study clarifies its concepts by taking compensation theories on economic loss as a theme, categorizing issued cases, and roughly investigating on compensation discussions from each country according to types of economic loss.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will evaluate and interpret compensation theories on economic loss having been appeared in our judgment while looking into applications to our laws, and aim to suggest a proposition on the economic losses’ compensation that is fit to our legal systems finally.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아동탈취와 헤이그 협약의 적용

        곽민희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4

        근대사회의 형성과 함께 국가 간 이동의 자유가 보장되고 국제적 교 류가 활발해지면서 인구의 이동과 유입을 통한 이민이 증가하였다. 한국 은 2000년대를 계기로 혼인을 매개로 하는 이민이 증가하였고 혼인을 통해 유입되는 이민자의 70% 이상이 여성이고, 이는 자녀의 출산과 양 육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이로 인해 소위 다문화 가족이라고 하는 법적 개념이 형성되고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해체에 수 반하는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가 증가하였다. 그 중 국제결혼의 파탄으로 인해 결혼이민자가 자녀를 데리고 모국으로 귀국하는 사례가 우리나라뿐 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헤이그 국제사법회의 는 1980년에「국제적 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협약」을 제정하 였다. 이 협약에는 현재 93개국이 가입하였고, 국제협약으로서는 상당히 성공한 협약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국가의 가입이 기대되고 있다. 우리 나라도 2012년에 이 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이행법률을 제정하였고 이 를 통해 2013년 3월 1일부터 협약의 적용을 받는다. 이 논문은 주로 다 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 대해서 검토한다. 첫째, 결혼이민자의 국제적 아 동탈취 행위에 적용될 협약과 이행법률의 구체적 내용에 관해서 검토한 다. 둘째, 가정폭력을 이유로 하는 결혼이민자의 국제적 아동탈취의 경 우, 협약 해석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서 자발적 반환의 중요 성과 그 실현방안에 대해서 살펴본다. 구체적 내용은 우선, 협약은 공동 양육권자의 양육권을 침해하여 일방 부모가 아동을 국외로 이동 또는 유 치한 경우에는 불법한 것으로 명시하고 있으므로, 탈취국의 법원은 아동 탈취가 발생한 경우 일정한 예외사유가 인정되지 않는 한, 신속하게 아 동을 원래의 상거소지로 반환하는 명령을 내려야 한다. 신속한 반환원칙 은 아동의 복리에 적합하다는 추정을 받는다. 따라서 반환을 거부하는 예외사유는 가급적 제한적으로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 종래의 해석방식이었다. 그러나 협약 적용상 아동 복리(최선의 이익)의 판단과 아동반환의 예외사유 판단은 구별이 어렵고, 특정한 사안에서는 예외사 유 해석의 범위를 완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결혼이민자의 국제적 아동탈취의 원인 중에 하나가 가정폭력을 이유로 하는 경우가 많고, 이 러한 사안에서는 아동의 신속한 반환이라는 협약 원칙의 엄격한 적용에 관해 최근 많은 체약국 학자들로부터 이론적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협약 해석상 문제의 적절한 대안으로서 당사자 간의 자발적인 반 환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근거하여 양국 간 중재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것을 제시한다. The Hague Convention was drafted in 1980 under the auspices of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It was draf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rowing phenomenon of interstate child abduction, in an age when divorce is increasingly more common and the ease of interstate travel has lifted many impediments to interstate marriages. The Increase of marriages among Korean Males and Asian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has brought upon various problems such like domestic violence. The 1980 Hague Child Abduction Convention, as currently applied, imposes unnecessary hardships on domestic violence victims(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These difficult cases require better solutions, and this article suggests how they can be accomplished. Courts need only return to the original structure and purposes of the Convention and inform themselves about the realities of abusive relationships. The Abduction Convention was written to remove the advantages of self-help in child custody cases. Its primary goal was to defeat an abductor's hoped-for advantages, whether practical or legal. Its solution for most cases was to restore the status quo ante as expeditiously as possible by returning the child to its habitual residence. The courts of that place, it was believed, would be in the best position to deal with the merits of any custody dispute. Surely the Convention is brilliant when it calls for the resolution of most custody contests in the place of habitual residence. But surely also, its carefully drafted contours and exceptions deserve faithful application. This is, of course, no easy matter. Yet the gratuitous harm now being inflicted on abused family members in the name of the Convention can be greatly alleviated by a simple return to the scheme the drafters provided. That goal is worthy of our attention and our best efforts. There is growing enthusiasm for the use of mediation to seek to resolve cases arising under the Hague Convention. Enthusiam surrounding the use of mediation as a means to handle this Convention applications is well-founded given the potential advantages as outlined above this article. Principally, mediation offers parents an alternative to th court process which can be more adaptable to their particular needs and circumstances and can thus better take account of th individual interests of their child. Specifically, parents can take a broader look at the situation and seek to resolve the question fo the child’s future place of residence by discussing the broader issues which impact upon that decision, but which would fall outsice the scoupe of the Convention court hearing. As a result mediation offers a response to certain concer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in the present day and thereby provieds a means through which Contracting States can improve their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vention in the interests of families.

      • KCI등재

        한국 상속법상 배우자 상속분의 연혁과 발전-일본의 상속분 개정 논의와의 비교-

        곽민희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국제법무 Vol.11 No.1

        Since the Korean Civil Law was enacted in 1960, the inheritance rule was changed by the amendment of the civil law in 1977 and 1990, and the current civil law is based on the revision in 2005. Thus, the inheritance law of Korea has undergone various change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values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at that time. Therefore, understanding this process can be a clue that we will be able to better grasp the various improvements in relation to the amendment of our inheritance law. In this paper, I review the history of inheritance in the Korean inheritance law, and describe the contents of the current legislation, future improvements and issues on the basis of it. The amendments to the inheritance law in the Korean Inheritance Act recently began to be discussed again in 2006 and 2014.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focus on upward of spouse inheritance, and tend to concentrate on the viewpoint of upward method of inheritance. However, in the recent revision of the inheritance law,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ciousness abou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inheritance system itself and why the inheritance of the spouse should be discussed at this point as well as the inheritance of the spouse. In conclusion, the current discussion on inheritance law should be based on a review of the grounds and meaning of inheritance in Korean Civil Law, and a holistic view of its value and function.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general discussion was pointed out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Japanese inheritance law, and the discussion of revision itself is a lesson in the discussion of our revision in that it has taken various issues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such inheritance law. 1960년 우리 민법이 제정된 이래 상속분에 관한 의미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1977년과 1990년의 민법 개정과 2005년의 개정에 기초한 현행 민법의 규율로 이어져 오면서 한국의 상속법은 당해 시점에서의 시대적 요청과 헌법 정신에 상응하는 가치를 담기 위해 변화를 거쳐 왔다. 따라서 이러한 경위를 이해하는 것은 이후 우리 상속법의 개정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개선할 사항을 보다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 상속법상 상속분에 관한 개정은 2006년, 2014년 개정시안을 통해서 최근에 다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의가 배우자 상속분의 상향에 초점을 맞추고 각론적으로 상속분의 상향 방법이라는 관점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최근 개정상속법 논의에 대해서는 배우자 상속뿐만 아니라 상속제도 그 자체가 갖는 의미와 기능, 그리고 왜 지금 시점에서 배우자 상속이 논의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이 결여되어 있는 느낌이다. 생각건대, 현재의 상속법 논의는 한국 민법상 상속의 근거와 의미, 그리고 그 가치와 기능에 대한 총론적 관점이 보다 강조되고 그 충분한 고찰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다양한 제도의 개선을 이야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일본 상속법 개정 과정에서 처음 상속법제 검토 작업팀 단계에서부터 그 총론적 논의의 중요성이 지적되었고, 개정논의 자체가 상속법에 대한 총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논제들을 이끌어내고 적합한 방안을 강구하였다는 점에서 우리 개정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 상속법의 내용 중 특히 상속분에 관한 연혁에 대해서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현행 입법의 내용과 향후 개선점 및 과제에 대해서 서술한다. 일본 상속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상속분에 관한 논의와 그 입법 제안에 관해서 비교・검토함으로써 향후 우리 입법의 과제에 관해서 고찰하기로 한다.

      • KCI등재

        CISG에 있어서 물품의 부적합과 계약해제48) -CISG-AC Opinion no.5의 해석에 있어서 본질적 계약위반의 의미를 중심으로-

        곽민희 국제거래법학회 2012 國際去來法硏究 Vol.21 No.1

        CISG-AC Opinion no 5 is about the buyer’s right to avoid the contract in cases of non-conforming goods or documents. When this is interpreted on a fundamental level,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reached. When international goods are being sold, according to article 35, the seller has the responsibility of delivering the appropriate good. However, when this deal is not upheld, and a good that is not in conformity with the contract is delivered, the seller must bear a certain amount of responsibility. In this case, the judgment of the default at hand is left to article no. 35. As stated in said article, an item’s default or inconformity is determined by the two parties’ contract. Hence, on principle, the contract needs to be the standard of judgment. When it is unclear or insufficient, the item’s purpose of use and its quality should be the standards of measure. Additionally, because delivering the inappropriate item is a breach of contract on part of the seller, a uniform liability system is being utilized. The duality liability system that is being upheld in Korean laws (nonfulfillment of an obligation laws and responsibility for the warranty) needs to be rejected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warranty must be threaded in as a requirement. A uniform liability system must be made, and subsequent issues should be judged upon these rules. In this circumstance, in terms of utility, we compared this with our nation’s laws on the effects that a uniform liability system can have in deal making. Also, if the item’s lack of conformity with the contract is also the seller’s fault, according to the way the contract was worded, the buyer has two options to fix the situation. This manuscript has analyzed the actual meaning of the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s based on CISG-AC Opinion no.5 and other annotations. We have also examined actual cases.

      • KCI등재

        메이지시대의 연대채무개념의 형성

        곽민희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4 No.-

        Most of joint liability provisions in Korean civil law stems from JapaneseMeiji Code Civil (Meiji Minpo-). Therefore, structure and content of jointliability law between the two are very similar. However, joint liability lawin Japanese Meiji Civil Code was largely based on the concept of jointliability initiated from yeonincha, an old custom of Japan, and relationshipbetween French civil law based on contemporary joint liability concept andprevious civil law of Japan. There used to be very few research referenceson the subject, but a thesis that explored such matter from a lawhistorical perspective was published recently in Japan. However, Korea hasseen almost no data including thesis on the custom and practices of jointliability in the country and how Japanese joint liability law was establishedin connection with its new contemporary concept. Thus, this study is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of Japanese joint liability law during itsMeiji era until its contemporary concept of joint liability was introduced inthe Meiji Civil Code. It constitutes the main content of Korean jointliability law in terms of law history and law coefficients. Specifically, thisstudy is intended to explore how Japanese joint liability law, which servesas major personal security in stimulating transactions and circulation ofcapital, has been established, along with request for modern property lawsin line with the process of capitalism development in Japan. The ultimate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meaningful data on the origin of Koreancivil law in connection with law history and law coefficients by studyingthe frictions and clash between existing joint liability law in Japan, the unique joint liability concept during the Edo period, and newly-adoptedjoint liability law, which is the contemporary concept influenced by Frenchlaw adopted during the process of reform and transformation after theMeiji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