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축압축시험과 반복재하시험을 이용한 암석의 손상특성 분석

        정진영 ( Gyn-young Jeong ),장현식 ( Hyun-sic Jang ),장보안 ( Bo-a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2

        특성이 서로 다른 화강암, 대리암 그리고 사암에 대하여 일축압축시험과 반복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암석의 손상특성을 분석하였다. 일축압축시험으로 암석들의 강도, 탄성상수 그리고 손상기준응력을 결정하였고 이를 반복재하시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반복재하시험으로 측정된 암석들의 평균 강도는 일축압축시험으로 측정된 값보다 약간 작거나 유사였다. 특히 강도가 높고 공극률이 낮은 암석들이 공극률이 매우 큰 연약한 암석들에 비해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현상에 더 민감하였다. 반복 재하-제하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석의 영구변형률은 암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암석의 손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응력-누적영구변형률 곡선은 화강암과 대리암에 대하여 균열손상응력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험과정에 미소파괴음을 측정하여 암석의 손상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펠리시티비를 계산하였다. 공극이 매우 많고 연약한 사암은 미소파괴음의 방출이 매우 미약하여서 펠리시티 비의 계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공극이 적고 취성의 특성을 보이는 화강암과 대리임의 경우 반복재하단계에서 계산된 펠리시티 비를 통하여 암석의 균열손상응력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더 많은 시료와 다양한 종류의 암석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시험을 진행하여 공통적인 결과를 도출한다면 유사한 조건을 갖는 암반의 손상과 변형 거동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amage characteristics of granite, marble and sandstone whose properties were different were investigat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and cyclic loading-unloading test. Strength, elastic constants and damage threshold stresses were measur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measured by cyclic loading-unloading test. Average rock strengths measured by cyclic loading-unloading test were either lower than or similar with those measur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Rocks with high strength and low porosity were more sensitive to fatigue than that with low strength and high porosity. Although permanent strains caused by cyclic loading-unload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ock types, they could be good indicators representing damage characteristics of rock. Damage threshold stress of granite and marble might be measured from stress-permanent strain curves. Acoustic emissions were measured during both tests and felicity ratios which represented damage characteristics of rocks were calculated. Felicity ratio of sandstone which was weak in strength and highly porous could not be calculated because of very few measurements of acoustic emissions. On the other hand, damage threshold could be predicted from felicity ratios of granite and marble which were brittle and low in porosity. The deformation behaviors and damage characteristics of rock mass could be investigated if additional tests for various rock types were performed.

      • KCI등재

        4방향흔들림방지버팀대의 구조 안정성 및 내진 성능 연구

        오수언,좌성훈,이항준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3

        Purpo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4-way sway prevention brace that efficiently reduces the installation area and has excellent stability and seismic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l sway prevention brace used in existing firefighting facilities.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4-way way prevention brace were analyzed by the tensile, compression tests and seismic tests. Method: As the static test, 4-way sway prevention braces we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ipes to perform the tensile and compression tests based on the KFI certification standard and the maximum movement was measured at the rated load. As a dynamic test, 4-way sway prevention braces were installed in the pipes filled with water, and the test response spectrum to the input excitation wave were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s. After the seismic tests, separation, failure, and local deformation of the pipes, and 4-way sway prevention braces were not observed. Result: The results of the tensile and compression tes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movement of the pipe during tension and compression was 50% to 70% or less compared to the certification values, indicating that the performances of the 4-way sway prevention braces were very excellent. The results of the the seismic tests indicated that the test response spectrum of the 4-way sway prevention braces is within the required response spectrum.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4-way sway prevention braces satisfied the KFI certification standard and were superior compared to the existing sway prevention brace in terms of the stability, cost, and installation area.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방 시설에 사용되고 있는 흔들림방지버팀대에 비하여 설치 면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안정성과 내진 성능이 우수한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성능 및 신뢰성을 인장 및 압축 시험과 내진 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KFI 인증 기준에 따라 정적시험으로서 수평 및 수직 배관에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태을 설치하여 인장 및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정격 하중에 최대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적시험으로서 물이 채워진 배관에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태를 설치하고 가속도센서를 통하여 입력 가진파에 대한 시험응답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진 시험 후 배관 및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이탈, 파손 및 국부변형을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인장 및 압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인장 및 압축 시에 배관의 최대 움직임은 규정 기준 대비 50% ~ 70% 이하로서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태의 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태의 내진 시험결과 ,시험응답스펙트럼이 요구응답스펙트럼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 종료 후에 배관 및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이탈이나 파손 및 국부변형 등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정적 실험 및 동적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4방향 흔들림방지버팀대가 KFI 인중 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기존 흔들림방지버팀대에 비하여 효율성과 경제성 및 안정성과 내진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다짐말뚝 재료로서 쇄석과 저회의 적정 혼합비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임한수(Leem, Hansoo),김선곤(Kim, Sunkon),이주호(Lee, Jooho),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9

        원지반을 절토하여 생성된 토질재료를 입도조절 없이 곧바로 성토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성토의 설계나 밀도관리를 위해 필요한 다짐특성이나 재료정수는 실내시험을 통해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선행된 연구는 주로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입경이 상이한 혼합재료에 관련된 것으로, 최근 건설재료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석탄회를 활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쇄석과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되는 저회를 혼합한 재료의 다짐에 의한 입자파쇄가 재료의 압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짐시험을 실시하여 기본적인 공학적 성질을 파악하였고, 일차원압축시험을 실시하여 다짐특성과 재료특성에 미치는 각 재료 혼합량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다짐시험 결과, 저회의 최적함수비는 약 23%로 나타났고, 동일한 다짐에너지 및 함수비로 저회와 쇄석의 혼합비에 따른 다짐시험 결과 저회의 혼합율이 30%를 넘어서면 건조단위중량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혼합율이 30%일 때 건조단위중량이 약 1.81gf/㎤로 나타났다. 쇄석과 저회의 혼합비에 따른 일차원압축시험 결과, 저회 100%의 경우 입자파쇄에 의한 간극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쇄석 100%의 경우 가장 작게 나타났다. 쇄석과 저회 혼합재료의 경우, 저회 30%에서 압축지수가 가장 작게 나타나 혼합재료로서 공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혼합비로 예상되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soil materials created by cutting in-situ ground directly without adjusting particle size, it is recommendable to seek the compaction property or material constant required for filling design or density control through indoor test, and many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at time. The researches conducted during that time, however, were focused on the mixed materials with different diameters that exist in a natural condition. There has been no study conducted using coal fly ash that is by-product of the thermal power plant that is actively considered as the building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at implementing compaction test and examining the basic engineering property in order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rushing the particles through compacting the admixture of crushed stone and coal fly ash produced from thermal power plant on its engineering property, and then the impact of the admixture volume of each material on compaction property and material property by conducting the One-Dimensional Compression Test. As result of compaction test, the optimum moisture ratio of coal fly ash was shown to be approx. 23%. As result of compaction test in accordance with the mixed ratio of coal fly ash and crushed stone under the same compaction energy and moisture ratio, dry unit weight tended to drop when the mixed ratio of coal fly ash exceeded 30%, while it reached approx. 1.81gf/㎤ when the mixed ratio was 30%. As result of One-Dimensional Compression Test in accordance with the mixed ratio of crushed stone and coal fly ash, the change in void ratio by particle crushing was at the highest level in the case of coal fly ash 100%, while the lowest level in the case of crushed stone 100%. In the case of mixed materials of crushed stone and coal fly ash, compression index was at the lowest level in case of coal fly ash 30%, and therefore this ratio of mixed material was judged to be the most stable from an engineering aspect.

      • KCI등재

        복합재 격자 구조의 강성 평가를 위한 Subelement의 압축, 굽힘 시험

        전민혁,강민송,김인걸,김문국,고은수,이상우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6

        복합재 격자 구조물은 무게가 가볍고 비강성, 비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주로 압축 하중이 작용하는 발사체구조에 적용된다. 그러나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으로 제작되므로 섬유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기공과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설계 하중 도출을 위한 해석 모델 검증을 위해 구조물의 강성, 강도 확인이 필요하지만 Full scale 시험의 경우 시간,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며 구조물의 형상이 복잡하므로 시험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강성 확인을 위한 Subelement 단위의 시험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 격자 구조물을 단위격자구조로 가공하였으며 각각 압축, 굽힘 시험을 수행하여 나선 리브, 원주 리브의 강성을 확인하였다. 휘임, 비틀림 형상을 가진 원통형 복합재 격자 구조물의 강성 평가를 위한 압축, 굽힘 시험법을 제안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The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have advantages of high specific stiffness and strength and are mainly applied to the structures of launch vehicles that carry the compressive load. However, since these structures are manufactured by filament winding technology, there are some defects and voids found in the knots. For these reasons,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lattice structures have to be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model for predicting design load. But, the full scale test is difficult because time and space are limited and the shape of structure is complex, and hence the simple and reliable test methods for examination of stiffness are needed. In this paper, subelements of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were prepared and compressive and bending test were conducted for examination of stiffness of helical and hoop rib. Test methods for subelements of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that has curved and twisted shape were supposed and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점하중시험을 이용한 국내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산정 연구

        김학준(Hak Joon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8 터널과지하공간 Vol.28 No.1

        암반에서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공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대상 암반의 일축압축강도를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일축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현장에서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하중강도 시험을 이용하여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산정하는 방법이 외국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그러나 외국의 암석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그대로 국내에서 적용하는 것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암석에 대한 점하중강도지수와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광범위한 국내외 문헌조사와 실내시험 결과를 통하여 도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urate estimation of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is very crucial for the safety of construction activities occurring in the rock mass. However,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Moreover,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cannot be performed in the field. In order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many foreign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use of the point load strength test for the estimation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However, the result of research obtained for rocks from other countries may not be directly applicable for rocks in Kore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int load strength index and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for rocks in Korea is suggested in the form of table by using the results of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laboratory tests. The suggested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simple and quick estimation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s in Korea.

      • KCI등재

        암석 절리면의 기본마찰각 결정을 위한 실험적 고찰

        장현식 ( Hyun-sic Jang ),정종택 ( Jong-taek Jeong ),장보안 ( Bo-a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4

        이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기본마찰각을 측정할 수 있는 직접전단시험과 삼축압축시험,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울임 시험을 이용하여 톱 절단면, #100 연마면, #600 연마면 등 총 3종류의 면을 갖는 황등 화강암과 Berea 사암의 기본마찰각을 측정하고 시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직접전단시험과 삼축압축시험에서 측정된 기본마찰각은 대체로 정확하지만 면의 상태에 따라서는 매우 차이가 나는 값이 측정되기도 한다. 기울임 시험은 모든 암종에서, 모든 면의 상태에서 유사한 결과를 산출하여 기본마찰각의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오차의 범위는 직접적인 시험에 비하여 비교적 넓은 범위를 보인다. 안정된 기본마찰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톱 절단면 보다는 전단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연마면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연마면 중에서도 #600 연마면 같이 매우 매끄러운 면 보다는 #100 연마면 같은 부드러운 수준의 면에서 보다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100 연마면 시료에서 직접전단시험이나 삼축압축시험으로 측정된 기본마찰각이 가장 신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100 연마면 시료에 대한 기울임 시험도 기본마찰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Samples of Hangdeung granite and Berea sandstone containing sliding planes were prepared by saw-cutting and polishing using #100 or #600 grinding powders. Their basic friction angles were then measured directly in direct shear tests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s, and also in tilt tests, which measure the angles indirectly. Although the angles measured by the direct methods were generally accurate, those measured along certain planes were greatly different from the other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lane. The tilt tests yielded similar angles regardless of the sliding plane condition or the rock type; however, the error range was relatively wide. Sliding planes polished by the grinding powders yielded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ose cut by the saw and tested without polishing, as polishing ensured consistent conditions among all the planes. Sliding planes polished using #100 grinding powder yielded better results than polishing with #600 grinding powder. Therefore, the basic friction angles measured along the sliding planes polished using #100 grinding powder, as obtained in direct shear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s, were the most reliable. The angle could also be measured satisfactorily by tilt testing along sliding planes polished with #100 grinding powder.

      • KCI우수등재

        비균열 인장재하 시험체의 압축장 이론에 기반한 전단전달강도 산정모델

        김민중,이기열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2

        Two different types of shear-friction tests were classified by external loadings and referred to as a push-off and a pull-off test. In a pull-offtest, a tension force is appli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st specimen to produce a shear stress at the shear plane. This paperpresents a method to evaluate shear transfer strengths of uncracked pull-off specimens. The method is based on the compression field theory and different constitutive laws are applied in some ways to gain accurate shear strengths considering softening effects of concrete struts based on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MCFT) and Softened Truss Model (ST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is examined by applying to some selected test specimens in literatures an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A general agreement is observed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at ultimate loading stages in initially uncracked pull-off test specimens. A shear strength evaluation formula considering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 of a concrete strut was propos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ormula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literature. 전단마찰 시험체는 재하형태에 따라 압축재하와 인장재하 시험으로 구분된다. 인장재하 시험의 경우에는 외력으로 작용하는 수직방향 인장력에 의하여 전단응력 및 수직방향 인장응력이 유발된다. 이 연구에서는 압축장 이론을 이용하여 인장재하 시험체의 전단전달강도를 평가하였으며, 2축-응력 상태의 콘크리트 최대 압축강도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수정압축장이론, 연화트러스모델의 구성방정식을 사용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과거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직접전단강도 실험값들과 압축장 이론을 이용하여 구한 값들을 비교한 결과, 비균열 인장재하 시험체의 경우 예측값과 실측치가 대체적으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압축강도를 고려한 전단강도 평가식을 제안하고, 기존 문헌에 수록된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전남 광양지역 연약지반의 피에조콘계수 산정

        오동춘,김기범,백승철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9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0 No.2

        Using the results from laboratory soil test, field vane test and piezocone penetration test,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oft ground at east side of Gwangyang Port, which is located at south coast of Jeollanam-do, were investigated and optimal piezocone penetration test depth was derived to calculate piezocone factor.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61 laboratory soil tests, 226 times of field vane tests and 26 piezocone penetration tests were used. The result of laboratory soil test suggested that som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pecific gravity, moisture content, liquid limit and plastic index and others are higher than other south coast regions, meanwhile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undrained shear strength, defined as mechanical property, appeared to be relatively small, distributed widely. According to the plastic chart, the ground was classified as high compressibility clay and low compressibility clay, mostly represent to Type 3 clay by Robertson (1990)’s classification chart. Piezocone factor was calculated by empirical method, based on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hich was obtained by the field vane t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with 3 different depth range, to set the appropriate measured depth range of piezocone penetration for comparation, using average value of the range of 5 times the vane lengt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전남 남해안 지역인 광양항 동측배후단지 연약지반에서 수행한 실내시험, 현장베인시험 및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피에조콘계수 산정을 위해 최적의 피에조콘 관입시험 심도를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용한 자료는 61개의 실내시험과 226회의 현장베인시험, 피에조콘 관입시험 26개소이다. 실내시험 분석 결과 남해안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중, 함수비, 액성한계 및 소성지수 등의 물리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며, 일축압축강도와 비배수전단강도의 역학적 특성은 넓은 범위로 분포하고 비교적 작은 값을 나타냈다. 소성도에 의한 흙 분류 결과 소성이 큰 무기점토(CH)와 소성이 작은 무기점토(CL)로 분류되었으며, Robertson(1990) 분류도표에 의한 흙 분류 결과 대부분 Type 3인 점성토에 해당하였다. 현장베인시험으로 구한 비배수전단강도를 기준으로 경험적 방법에 의해 피에조콘계수를 산정했다. 이를 위해 현장베인시험 측정심도와 비교되는 피에조콘 관입시험의 적정 측정심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3가지 심도범위로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베인 길이의 5배 범위 측정값의 평균을 사용하는 것이 높은 상관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경인지역 연약지반의 피에조콘계수 평가

        박수용(Park, Soo-Yong),김기범(Kim, Ki-Beom),이윤규(Lee, Yun-Kyu),백승철(Baek, Seung-Cheol)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5

        경기 서해안 지역인 인천 청라지구 및 송도지구, 경기 안산 시화지구 연약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각 지역에서 수행된 실내시험, 현장베인전단시험과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압축지수의 상관식, 피에조콘계수 산정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액성한계, 소성지수, 함수비, 간극비, 압축지수는 지반심도에 따라 분포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인자들은 상호 관련이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지역에서 실시된 실내시험으로부터 각 지역 연약점토의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물리적 특성과 압축지수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각각 상관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베인전단시험과 삼축 압축시험에 의한 비배수전단강도를 기준강도로 하여 경험적 방법에 의해 산정한 피에조콘계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피에조콘계수인 kT를 연구지역의 콘계수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 in-situ vane shear test and piezocone penetration test in the study area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ft soils at Cheongra District, Songdo District in Incheon City, the west coast of Gyeonggi province, and Sihwa District in Ansan city. The correlations among compression index, and in-situ vane shear test, and cone resistance were obtained. The variations of liquid limit, plasticity index, water content and compression index with respect to depth exhibit strong similarity. This means that they have strong correlations,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Thus, the correlations between compression index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sed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ft soil in the study area.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asured piezocone factor by empirical methods,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obtained by triaxial compression test or in-situ vane shear test were compared. It show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piezocone factors, NkT are suggested for the study area.

      • KCI등재

        연직 매트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지지력 특성

        신은철(Eun-Chul Shin),이길호(Gil-Ho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6

        일반적으로 심층혼합공법에 의한 점토지반의 개량효과는 물리적 개량효과에 비해서 훨씬 크며 조기에 큰 개량 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국내 시공실적이 부족하고 시멘트-점토의 혼합방법에 따른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래, 점토의 배합비에 따른 강도특성과 연직MAT의 형태에 따른 연약지반의 개량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성점토를 이용하여 일축압축 강도시험과 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를 기준으로하여 모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고, 시멘트는 점토중량대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고 대상지반토의 함수비는 40%, 60%, 80%로 조정하여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습윤방법을 이용하여 7일, 14일, 28일간 양생하여 양생기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지력시험은 모형토조를 제작하고 Mat식으로 개량한 지반을 형성한 다음 개량률에 따른 지지력을 비교하고 연직MAT 장벽 상호간의 간섭효과를 분석하였다. Generally, the effect of the cement deep mixing method on the improvement of clay ground is far greater than the effect of physical improvement. Although it leads to great improvement strength in the initial stage,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al precedents in Korea and it is hard to manage quality according to the cement-clay mixing meth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cement, sand, and clay and the improvement characteristics of weak ground according to the forms of the specimens to be improved, marine clay was used in this study to conduct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and soil bin model test. The test piece specimens for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were mixed with sand in a fixed ratio with the criterion of the water cement ratio. The cement was mixed with clay in the ratios of 10%, 20%, 30%, and 40% to the clay weigh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ground was made in the ratios of 40%, 60%, and 80%. The test piece specimens went through curing by moistening for 7, 14, and 28 days and underwent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according to the curing period. For the bearing test, the soil bin models were made and the ground improved in the Mat type was formed. After that, the bearing strength was compar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ratio and analyzed the intervening effect between the walls of the improved specim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