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에 관한 탐구

        임천택(Im, Cheon-t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고의 목적은 쓰기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쓰기 지식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은 일반 지식의 특성을 공유하는데, 그것은 체계적이고, 맥락적이며,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그러나 쓰기 지식의 범주를 구분할 때는 일반 지식의 범주 구분과는 달리 쓰기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쓰기 지식을 사회․문화적 지식, 내용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범주화 하였다. 교육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가르칠 수 있는 것, 안정적인 것,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 국어 교과와 쓰기 영역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쓰기 지식 범주 중에서 교육 내용이 될수 있는 것은 사회․문화적 지식,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초인지 지식의 범주이다. 흔히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는 전략 은 쓰기 지식 범주의 과정 지식이나 초인지 지식으로 대체할 수 있고, 기능 과 태도 는 교육 내용이기보다는 교육 목표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쓰기 교육 내용은 결국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쓰기 지식의 반영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모두에서 지식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 교육 내용 체계와 학년별 교육 내용을 검토한 결과, 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균형 있게 반영되지 못한 점, 쓰기 지식 교육 내용의 범주와 그 관계가 불투명한 점, 쓰기 지식의 습득과 활용이 어려운 내용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논리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는 쓰기 지식의 각 범주가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넷째, 학년별 쓰기 교육 내용은 목표로 제시되어야 하고, 그것은 명확히 나선형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 and a category of the knowledge in writing. And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category where it gropes the education contents reflection direc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Dividing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must reflect the quality of writing. This research regards to writing knowledge dividing knowledge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tents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meta cognitive knowledge. As education contents the condition of the knowledge in writing must be a stable and education value, possibility of teaching,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writing and national language subject. Consequently, the fact that it is the possibility reaching the education contents category from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social and culture knowledge, conversation knowledge, process knowledge,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one side strategy it will be able to substitute with a process knowledge or a meta cognitive knowledge. The skill and attitude correspond to an education aim. Consequently, knowledge finally must be center in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tries to observe reflection aspect of the knowledge in the education contents of writing on the basis of present Curriculum. As a result that it emphasizes knowledge aim and a contents all. But dividing education contents category and that the relationship is opaque, the reflection of writing knowledge is insufficient, the contents system of the knowledge category in writing loose, the finding and application of the writing knowledge with difficult appeared are becoming problem point. It presented direction of improvement with after words for this problem point. First, the contents category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knowledge with the center. Secon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composed of the logic of the writing knowledge. Third, the contents system of writing education must be reflected knowledge of each category with balance. The fourth, grade star education contents must be presented with aim and arranged a spiral clearly.

      • KCI등재

        노트 필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내용 지식 구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학문 목적 듣기 수업을 중심으로

        박혜경 ( Hyekyung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2

        본 연구는 강의 듣기의 유용한 전략 중 하나인 노트 필기 활동이 학습자의 내용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한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수업에서 10분 내외로 제작된 대학 강의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노트필기를 하기 이전과 이후에 각각 요약문을 작성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2회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요약문의 분석 기준은 학습자가 강의 듣기를 통해 내용 지식 구성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인 ‘내용의 선택과 삭제’, ‘내용의 상세화’, ‘문장의 재구성’, ‘논리적 구성’의 4가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요약문을 채점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노트 필기 활동 이후에 작성한 요약문이 이전에 작성한 요약문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나 노트 필기 활동이 학습자의 내용 지식 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 항목별로는 ‘내용의 상세화’에서 가장 큰 향상을 보였고 다음으로 ‘내용의 선택과 삭제’, ‘논리적 구성’, ‘문장의 재구성’ 순으로 나타나 학습자가 강의 듣기에서 내용 지식을 구성할 때 특히 어떤 기술을 어려워하는지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강의 듣기에서 학습자의 내용 지식 구성 능력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수ㆍ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 note-taking activity, which is one of the useful strategies of listening to lectures, affects the learner's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In order to this, a university lecture produced in a video of about 10 minutes was shown in an academic Korean listening class at a university in Seoul and afterward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write a summary before and after taking not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ice in the same way, and the summary sentence analysis criteria was set to four categories: selecting and deleting content, detailing content, reconstructing sentences, and logical composition, which are strategies that learners can use to construct content knowledge through lecture listening. After grading and analyzing the summary by commissioning an expert, it was found that the summary written after the note-taking activity had a higher score than the previous summary, confirming that the note-tak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Each evaluation item showed an improvement with the greatest improvement in ‘detailing content’, followed by ‘selecting and deleting content’, ‘logical composition’, and ‘reorganizing sentences’ so the skills that are particularly difficult for learners were able to be identified particularly when composing content knowledge while listening to lecture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xpl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actually help learners improve their ability to organize content knowledge in university lectures.

      • KCI등재

        디지털 정보와 지식에 관하여

        김학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4

        전통적 지식관에서 지식, 즉 안다는 것은 정당화된 참인 믿음을 가지는 것이다. 믿음의 정당화는 그 믿음이 사실과의 대응하는지, 또는 다른 믿음과 논리적 정합성을 가지는지에 있다. 그러나 이것을 디지털 정보시대에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디지털 지식관은 정보가 사실과의 대응, 논리적 정합성과 같은 근거가 아니더라도 정보의 관계구성과 새로운 정보와의 재구성 그래서 정보의 관계구성 작업의 지속성을 가진다면 지식으로 받아들인다. 디지털 지식은 명제적 지식이지만 실천적, 방법적 지식을 요구한다. 또한 그것은 사용자가 웹문서들에 접근하여 필요와 관심에 따라 선택한 링크를 따라 정보자료를 취하여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주관의 능동적 역할을 요구되며, 그 지식은 객관적일 수도 절대적일 수도 없다. 그러나 이것이 디지털 지식의 의미와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다. 디지털 지식관은 사실과의 대응 여부나 논리적 정합성의 여부라는 절차가 없어도 정보의 관계구성과 그것의 지속성으로 정당화하기 때문에 디지털 지식의 조건은 전통적 지식관에서 정당화 조건의 완화 또는 변경으로 볼 수 있다. In the traditional view of knowledge, knowledge, that is, knowing, is a justified true belief. The justification of a belief lies in whether it corresponds to facts, or whether it has a logical coherence with other beliefs.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his to the digital information age. Even if information is not the basis for correspondence with facts or logical coherence, it is accepted as knowledge if it has the continuity of the relational construction of information and reconstruction with new information. Digital knowledge is propositional knowledge, but requires practical and methodical knowledge. In addition, since it is composed by taking information materials according to links selected by users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interests by accessing web documents, an active role of subjectivity is required to obtain knowledge, and the knowledge cannot be objective or absolute. However, this does not under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digital knowledge. Because the digital knowledge building is justified by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information and its continuity, even if there is no procedure for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fact or whether it is logically consistent, The condition of digital knowledge can be viewed as the relaxation or change of the justification condition in the traditional view of knowledge.

      • A Data Volume Aware Ant Colony Optimization Approach for Geographical Knowledge Cloud Service Composition

        Xiaozhu Wu,Chongcheng Chen,Hongyu Hu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Grid and Distributed Comp Vol.9 No.6

        Geographical knowledge cloud service is a typical online service that provides big spatial data analysis with the function of knowledge discovery or decision-making. The composi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 cloud service imposes stricter requirements for better overall QoS and execut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chain.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 volume aware ant colony optimization approach called DVA-MOACO algorithm for geographical knowledge cloud service composition. Our algorithm utilizes a multi-index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and improves the transition probability while considering the data transfer cost and other QoS constraints simultaneously when ant finding path. Our algorithm could reach the Pareto near optimal solution rapidly with better QoS performance and lower data transfer cost from numerous candidate solutions.

      • KCI등재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분석

        박상경(Sangkyoung Park) 한국중원언어학회 2017 언어학연구 Vol.0 No.44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writing textbooks, and the consequence of this analysis will be useful to advanced level learners whose goal is to obtain higher educ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writing knowledge’ of the advanced level learners of Korean. With regard to writing, knowledge and quality of the writing are closely related. The less knowledge one has for writing, the more difficult one feels towards writing, which might lead them to avoid it out of fear. This paper focuses on advanced learners who will enter universities in Korea. Advanced academic writing text books are includ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by criteria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hether learners can acquire writing knowledge through textbooks shows that context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are well presented, but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acquisition of content knowledge are very insufficient.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present writing knowledge that should be reflected in writing textbook for advanced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작문 영역의 교사 전문성 탐색

        옥현진 ( Hyoun Jin O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교사의 전문성은 학습자의 발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판단 하에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문식성 발달, 특히 그 중에서도 학습자의 작문 능력 발달을 돕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첫 번째는 교사 전문성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전문성 요소를 작문 영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작문 분야의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21세기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작문 능력과 이를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었다.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작문교사의 전문성을 설계하는 한 축으로 지식, 기능, 태도 및 신념을 상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다른 한 축으로는 여섯 가지 범주 (작문교사의 풍부한 작문 실천 경험, 학습자의 작문 발달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적용, 연계 전문성, 작문교사의 자기인식, 탐구 전문성, 작문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적용)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정교한 체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향후 미처 고찰하지 못한 요소들을 추가하는 작업과 함께 기존에 제안한 요인들을 상세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eacher experti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udents` literacy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development of writing compete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teacher expertise in teaching composition. Literature review was done in two directions in order to extract expertise components, one direction for the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teacher expertise and the other for recent research on teaching composition in the 21st century. Two axes for the specification of expertise components were suggested; the first i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nd belief and the other with six aspects of expertise: a teacher`s rich experience in compositi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expertise in connection, a teacher`s self-conception, expertise in inquiry, a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As a beginning step in the research on teacher expertise in teaching composition, this study will be continued so as to develop a detailed structure of teacher expertise.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program, mentoring program among teachers, and the increase of validity in teacher recruitment exam.

      • KCI등재

        지식산업센터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이상균(Lee, Sang-Kyoon),오준걸(Oh, Joon-G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지식산업센터는 제조업의 공장 중심에서 산업과 사회의 변화로 지식기반 및 정보통신 등 다양한 용도를 포함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요소 를 도출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배치와 외부공간계획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1999년 이전에는 차량 중심으로 건물배치가 이루어졌지만 대지의 형태에 따라 중앙배치, 편측배치로 이루어졌다. 둘째, 분산배치는 저층부인 지원 시설을 통합하고 고층부 공장동을 분산배치하여 부분통합배치로 건물의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1999년 개정된 건축법에 의해 준공업지역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시작으로 외부공간이 넓어지고 건축면적이 줄어들면서 외부공간구성이 오피스나 오 피스텔과 같은 업무시설의 계획기법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ety,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which is a factory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now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nowledge. This study defined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related law into three periods: deduct layout planning type and outside space composition elements by previous research; case analysis; and suggestions of the direction of layout planning and outside space pl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before 1999, the layout of the building is made mainly with a car, but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site, it is configured as a centered, side layout. Second, in the case of distribution, the support facility on the lower part is integrated and the factory on the higher part is distributed, so it is partly integrated and the building is unified. Third, beginning with the activ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in a semi-industrial district according to architecture regulations in 1999, the outside space is wider but the construction area is reduced, so the outside space composition has been changing in a similar manner to the planning methods of business facilities, such as office buildings.

      • KCI등재

        지식기반 기업의 사무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 핵심 업무유형에 따른 공간 면적비율의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우승현,최효식,윤혜경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본 연구는 지식기반기업의 업무유형에 따른 공간구성과 업무효율에 관한 연구로써 연구의 목적은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켜 기업의 성공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무공간 디자인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겐슬러가 2008년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류한 네 가지 핵심 업무유형인 집중(Focus), 협업(Collaborate), 학습(Learn), 친화(Socialize)의 공간이 전체 업무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비교분석의 대상은 외국기업의 사무실 네 곳과 국내의 사무실 네 곳으로 도면분석과 면적비율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비교․분석의 결과 국내사무실 네 곳 모두에서 집중공간의 면적이 전체 업무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해외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협업공간과 학습공간에서는 큰 편차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국내 지식기업은 개인적인 업무활동에 치중되어있으며, 팀 작업이나 자기개발을 위한 배움에 대한 공간적 배려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친화공간은 한 곳을 제외한 세 곳에서 해외사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이는 국내 지식근로자들의 유무선상의 커뮤니티를 통한 활발한 사회활동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국내 기업의 사회적 활동 정도는 해외기업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파악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지식기업들이 생산성 향상과 물리적인 사무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네 가지 핵심 업무유형에 필요한 각각의 업무공간 확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지식기업의 사무공간 디자인에 필요한 근거가 되는 연구로써 향후 지식기반 경제에서의 업무공간 계획에 대한 기틀을 마련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육성방안

        이상규(Sang Kyu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08 한국경제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기대되고 있는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정의와 구분 그리고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육성방안을 논의하였다. 한국은행의 산업연관 표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2003년 우리나라 국내총산출액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0.6%로 제조업(44.5%) 다음으로 나타났다. 지식기반서비스업은 전체의 18.1%를 차지하고 있고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은 산업 중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나타났으며 타산업으로의 파급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본 연구는 사업서비스를 전략산업으로 선정하는 등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대 경제에서는 기업의 역할을 상품을 제조ㆍ생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생산 이전단계부터 생산된 제품의 판매와 AS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적 요소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토탈업체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기업이 생산ㆍ판매하는 제품을 재화 또는 서비스로 구분하기보다는 두 가지 성격을 다 포함하고 있는 복합재로 인식하여 이들 간 상호 연관성을 중시하여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더욱더 올바른 방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hroughly discusses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which has been highly expected to be our new engine of growth. In order to defin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we have used the concept of composite commodities, from which we can distinguish services from good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2003 service industry and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have produced 40.6% and 18.1% of the total output in Korean economy respectively. It is also turned out that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comparatively produces higher value added than the others. However, no commodities can be produced without service activities and the modem economy expects the firms to act as the total firm that not only produce commodities but also manage service activities which include sales and after-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recognize goods and services as composite commodities, which include both goods and service component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ies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 KCI등재후보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 작문교육의 관점에서 -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1

        이 논문은 작문이론 중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을 작문교육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작문교육을 위한 이론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은 글쓰기의 주체를 담화공동체로, 쓰기 행위를 사회적 행위로 본다는 점에서 다른 이론과의 차별성을 갖는다. 담화공동체는 담화 관습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이를 습득하면서 개인은 사회화된다. 그동안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은 이러한 담화 관습을 무의적으로 습득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습 속에 담긴 이데올로기를 비판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 연구는 담화 관습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흘러갔다. 또한 담화 관습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습득할 수 있는 형태의 수행적 지식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역시 문제이다.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작문 연구는 작문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이며,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이 원래 지향하고 있는 작문에 대한 비판적 문식력 교육은 그 차후에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criticize the composition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in terms of the writing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way about the writing education. In terms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concept of writer is socialized member of discourse community and concept of writing is social action. The special feature of this theory is that discourse community makes a set of discourse conventions, so the members of this community have to acquire the conventions.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pointed out problems of uncritical acquisition of conventions, not the way of acquisition of conventions. This theory in our country was misunderstood focusing on acquisition of conventions. However, the demand from schools in writing education is developing writing ability, so study of writing theory heads for specific and performative theory. Because the social constructivism assumed discourse conventions, it could make contribute to produce performative knowledge. Then it will be possible to teach the critical literacy about acquisition of discourse conventions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