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 반항’에 관한 유식학적 접근

        홍성민(洪性敏)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No.-

        ‘감정 반항’의 문제는 현대철학의 감정론에서 중요한 쟁점 중하나이다.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계열에서는 각각 감정 반항의 문제를 해결할 합리적인 관점을 제시하면서, 서로 뜨거운 논쟁을 벌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식학의 관점을 통해 감정반항의 문제를 이해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유식학은 인간의 인식과 감정이 무의식의 種子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점은 유식학이 비인지주의의 주장과 일정한 공유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유식학이 비인지주의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유식학의 근본 목표는 그 종자들을 낱낱이 통찰하여 아뢰야식의 활동을 止滅시키고 현전하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인지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이점에서는 유식학이 강한 인지주의에 가까운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유식학이 강한 인지주의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강한 인지주의는 감정 반항의 문제를 이성적 태도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는 반면, 유식학은 무의식의 영역을 스스로 內觀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결국 유식학은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를 모두 포괄하면서 동시에 지양하는 차별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유식학의 현대적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유식학을 창조적으로 활용한다면, 현대 감정이론들에 의미 있는 양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problem of emotional recalcitrance is th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contemporary emotion theories. cognitivism and noncognitivism in contemporary philosophy suggest rational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respectively, and have a heated dispute each other. This paper argues that Yog?c?ra Buddhism can suggest special answer about this problem. According to this paper, Yog?c?ra Buddhism argues that emotions are originated from unconsciousness, but are not from cognition. In this sense, Yog?c?ra Buddhism seems to support non-cognitivism. However, Yog?c?ra Buddhism is not equal to non-cognitivism. Because the fundamental aim of Yog?c?ra Buddhism is to get an insight into unconsciousness and to get rid of operations of unconsciousness. In this sense, Yog?c?ra Buddhism is rather similar with radical cognitivism. But Yog?c?ra Buddhism does not match up with cognitivism. Because cognitivism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of emotional recalcitrance by rational attitudes, while Yog?c?ra Buddhism emphasizes to introspect one’s unconsciousnes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Yog?c?ra Buddhism embraces and sublates both of cognitivism and non-cognitivism at the same time. Enfin, this paper claims that Yog?c?ra Buddhism can be so meaningful theory in contemporary emotion theories.

      • KCI등재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의 수정과 확장

        공유진 ( You Jin Ko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연구 Vol.0 No.48

        감정을 명제적 믿음 또는 판단으로 정의하는 강한 인지주의는, 믿음 또는 판단과 모순되는 감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에 직면한다. 이러한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지각으로 보는 이론이 더 큰 설득력을 지닌다(1절). 감정을 지각이라고 보는 것은 마치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를 무너뜨리고 비인지주의의 손을 들어주는 것처럼보인다. 지각 자체가 인지적인 것이 아니라 비인지적인 것으로 정의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지각이 인지의 영역 안에 포함된다는 것, 따라서 감정을 지각으로 보는 견해 역시 인지주의의 영역 안에 포함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우선 ‘인지’라는 용어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솔로몬(R. C. Solomon)과 드 수자(R. de Sousa)의 이론을 옹호하고, 그들의 이론을 지각주의적 인지주의라는 명칭으로 정식화할 것이다. 지각주의적 인지주의는 인지 개념을 우리가 세계와 일종의 관계를 형성하는 활동으로서 폭넓게 정의한다(2절). 3절에서는 확장된 인지 개념을 뒷받침하는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체현된 인지와 관련된 두 가지 연구결과가 제시될 것이다. (1) 인지의 주된 기능 중 하나인 개념의 처리과정은 지각과 무관하지 않다. (2) 타인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학습하는 사회적 인지과정은 순수하게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에 체현된 형태로 나타난다. 두 연구결과는 지각적이며신체적인 인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에, ‘인지’가 단지 믿음이나 판단뿐만 아니라 지각 또는 체현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인지주의의 이러한 수정과 확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논할 것이다. 수정된 인지주의는 감정 전체를 단순히 어떤한 가지로 환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각적 특성과 명제적 특성을 아우르는 감정의 다양한 속성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 There is strong cognitivism in the theories of emotion, which defenes an emotion as a propositional belief of judgment. Strong cognitivism is untenable when it deals with emotions that exist despite beliefs or judgments inconsistent with them. In clarifying such emotions, viewing an emotion as a perception is more persuasive than viewing it as a belief of judgment (section 1). Viewing an emotion as a perception appears to indicate that the cognitivist view of emotion is beaten by the noncognitivist view, since perception has not been understood as cognition. However, in section 2. I shallargue that perception is included in the domain of cognition, and the view of an emotion as a perception is therefore included in cognitivism as well. To begin with, I will theoretically extend te term "cognition" by defendeng Solomon and de Sousa, and label their theory as perceptualist cognitivism. The perceptualist cognitivism interprets "cognition as activities in which we have some kind of relation with the world. In oredr to bolster the argument, concrete evidence to support the extended concept of cognition will be provided in section 3. Several researches will be focused on to show as fllows: (1) conceptual processing, which is one of the cognitive activities, is not totally free from perception, and (2) social cognition, like learning through imitating others` actions, is to some expent embodied rather than purely abstra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perceptual and embodied cognition, thus implying that cognition can be understood not only as belief and judgment, but also as perception and embodiment. In the last section (section 4), it will be discussed why this revised and extended version of cognitivism is needed. The extended theory of emotion as cognition can appropriately explain various properties of emotion, inluding both propositional ones and perceptual ones, without reducing all emotions to a simple thing.

      • KCI등재

        인지주의와 영화학의 융합 -인지주의 영화이론 메타분석

        이상욱 ( Sang Uk L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 아시아영화연구 Vol.5 No.2

        인지주의는 1960년대 이후 ‘마음’에 대한 공통된 주제를 심리학, 신경과 학, 컴퓨터 공학, 과학철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하며 학제 간 연구로 발달된 학문의 흐름이다. 인지주의는 이후 다양한 학문분야에 자극을 주며 확대 발전되었다. 영화학에서도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 노엘 캐롤 (Noel Carroll), 그레고리 커리(Gregory Currie), 조셉 엔더슨(Joseph D. Anderson), 워랜 벅랙드(Warren Buckland) 등의 학자들이 적용시키기 시작 했다. 이 글은 이런 일련의 인지주의와 영화학의 만남을 추적하고 이후 발 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인지주의는 앎의 과정을 즉 ‘인지’와 이것이 이루어지는 ‘마음’을 철 학이나 관념의 영역이 아니라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살펴보기를 주장한다. 우리가 앎을 획득해 가는 과정, 나아가 정서, 판단, 사고, 학습, 언어, 문화, 사고체계 등 다양한 ‘마음’의 작용을 연구하여 얻어진 결과를 다양한 학문분야에 적용하고 발전시켜나간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학제 간 연구, 융합적 학문으로의 성격을 지닌다. 인지주의에서는 우 리의 ‘마음’을 정보처리체계로 간주하고, 그 구성을 그물망형태로 형성된 우리의 뇌 신경계형태로 구성, 작용된다고 여긴다. 그리고 최근에 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ve)’ 관점에서 마음이 단순히 한 개체 의 뇌 안에 머무르지 않고, 뇌-신체-환경 3자가 괴리되지 않는 총합체 로 보며 ‘마음’의 상호작용, 능동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조셉 엔더슨은 제임스 깁슨(James Gibson) 등의 지각심리학의 성과를 가지고 ‘잔상’효과의 허구성을 밝히고, 영화 제작의 기법들을 설명 하는 인지주의 영화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영화제작과 이해의 실질적 인 문제들을 인지심리학적 입장에서 실증적으로 밝히는 선례를 남겼으나 주로 할리우드의 서사영화 형식을 주로 옹호하고, 지각의 상하향처리 모두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데이비드 보드웰, 노엘 캐롤, 그레고리 커리 등의 영미학자들은 인지주의 영화학을 주장 하면서 기존의 ‘거대 담론’, 즉 기호학-정신분석학-비판이론이 중심인 현대영화이론 연구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그들의 이론은 인지 주의 연구를 일부만 차용하고, 거대담론을 반대하기 위하여만 차용하 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영화인지기호학은 주로 유럽학자들에 의하여 기호학적 입장에서 인지주의 연구를 받아들여, 영미 인지주의 영화학 자들과 논쟁을 벌였으나 그들 역시 인지주의적 흐름을 받아들이기보다 기호학을 옹호하기 위한 노력에 열의를 보였다. 인지주의에서 최근 논의되는 ‘체화된 인지’ 및 다양한 연구 결과들은 영화학에서 더욱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이 높고, 인문학적 연구들과 연계하여 서로 대치되지 않으므로 영화학에서 학문적 융합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Cognitivism was started as a flow of study ``minds`` with scientific methods during 1960`s. It was an interdisplinary movement acrosspsychology, neuroscience, computer science and scientific philosophy.It enlarges their boundary of study to other disciplines. In film study, David Bordwell, Noel Carroll, Gregory Currie and Joseph Anderson apply cognitivism. And some European semioticians try to cognitive approach. Joseph Anderson`s ecological cognitive approach to film was very successful to explain ``the myth of persistence of illusion`` and filmmaking grammar. But his studies focus on only Hollywood`s feature film and ``bottom-up`` visual perception. Bordwell, Carroll, Currie use few and old cognitive researches only to oppose to semiotic-psychoanalysis-critical theory film study, call as ``grand theory``. Cognitive film semiotics of film study use cognitive approach on semiotics side, but they usually apply just small parts of cognitivism. ``Embodied cognitive`` is a new paradigm of cognitivism, they explain ``mind`` is not only in brain. They insist ``mind`` is a nexus of brain, body and environment. If we apply ``embodied cognitive`` to film study, we could explain various problem of film, like ``narrative in film``, ``new filmic phenomenon`` and ``gap of film-making and film-theory.``

      • KCI등재

        예술 인지주의 논쟁의 철학적 가정들

        임일환 ( Rim Ill-hwan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2

        본 고의 목적은 한 가지 방어 가능한 예술 인지주의 이론형태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고는 예술 인지주의가 개입하는 인지적 논제과 가치론적 논제를 제시하고, 양자 혹은 적어도 하나의 논제를 부인하는 강한 반인지주의 약한 반인지주의를 구분한다. 둘째로 논문은 이런 예술인지주의 기본논제를 기초로 현금의 반인지주의 논증의 대표적 사례로 여겨지는 제롬 스톨니츠의 논증이 어떤 철학적 가정들을 기초로 성립하는지 분석하고. 그 논증이 가정하는 인식론적 가정은 거부해야 하고 가치론적 가정은 개입할 필요가 없는 부적절한 가정이라고 논증한다. 나아가 이런 철학적 가정을 점검하는 것이 방어할 가치가 있는 예술 인지주의의 핵심적인 작업이라고 논증한다. 끝으로 논문이 제안하는 예술 인지주의 한 버전에 가능한 반론들을 살펴봄으로써 본고가 제안하는 예술 인지주의 설득력과 함축을 점검해본다. In this paper, I suggest one defensible version of aesthetic cognitivism in the ongoing debates in the philosophy of Art and Aesthetics. To show the plausibility of my version, I re-exmine one of the most famous argument, i.e., J. Stolnitz's anti-cognitivistic argument. In the first part of my paper, I argue his argument essentially assumes two distinct philosophical presumptions which I dub, 'epistemic' and 'value theoretic' theses, respectively. I will try to show that the former is implausible and why the latter should be avoided by any plausible form of aesthetic cognitivism. In the latter part of my paper, I will show first why 'circularity-charge' against aesthetic cognitivism is unfounded and implausible. Secondly I will show why Stolnitz's notorious "Banality" argument is unfair and confused. In conclusion, I try to show one very plausible form of cognitivism naturally emerges once we can defuse these two snares caused by the argument from banality.

      • KCI등재

        쓰기 과정 연구의 이론적 재검토

        김혜연 ( Hye Youn Kim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이 연구는 쓰기 과정 연구의 인지적 기반을 확장하고 적절한 적용 방향을 찾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쓰기 과정 연구들의 이론적 기반을 고전적 인지주의와 연결주의, 작동주의의 세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쓰기의 인지적 과정 모형을 비롯한 일군의 대표적인 인지주의 모형들은 대체로 쓰기 과정을 상징적 인지 국면들을 단위로 체계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며, 이들 사이의 유한하고 결정적인 결합 관계에 의해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사회 인지주의 및 후기 과정 이론에서는 쓰기 과정 연구들 전반에 대하여 “보편적이고 고정적이며 확고한 형태로 인식하려는 경향”이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쓰기 과정 연구들이 모두 이러한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지적 관점들을 토대로 삼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연결주의 관점의 연구들은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징적이고 고정적인 체계 대신 지식의 처리 단위들의 연결 패턴에 관심을 두었다. 한편, 작동주의의 관점에서는, 두뇌 표상을 전제로 하지 않은 쓰기 행위의 의미와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둘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적 적용의 차원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 중에서도 고전적 인지주의의 관점에 국한하여 쓰기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쓰기 과정을 입체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이들 입장들을 통합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교육적 적용의 관건은 인지 과정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포섭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anding the cognitive foundation and examin-ing theoretical background to find proper directions of its application. For this reason, theoretical perspective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ical cognitivism, connectionism, and enactivism. Several representative mod-els of cognitivism such as cognitive process model of Flower and Hayes, generally take a position that they can systematize the writing process with symbolic cognitive phases as a unit. They also construct the process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 finite and decisive combination relation among these phases. This tendency can be related with the point which social cognitivism and postprocess theory have criticized as “the tendency of recognizing as a universal and fixed form”. However, all of the writing process research are not performed from this classical cognitivism per-spectives. There exist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dur-ing writing. Research from the connectionism perspectives, for example, tend to investigate operation system in terms of networks instead of sym-bolic and fixed system. But they showed problems such as deficient re-search results which couldn`t make the most of uniqueness of the writing process or vague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itself. Research from the enactivism perspectives showed possibility of present-ing the new perspectives on the writing process, but they had limits in investigating the high dimensional cognitive process. Application of the writing process theories, however, is problematic since it is restricted to the classical cognitivism. Therefore, we need to deal with the writing processes in a multi-dimensional way and to regard it as an integral phenomena. The question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lies in how we embrace and utilize these various viewpoints on the cog-nitive processes.

      • KCI등재

        도덕 철학에서 감정의 위상 -애덤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고현범(Ko Hyun Bu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2

        현대 도덕 철학에서 중요한 주제들 중 하나는 행위 동기와 도덕적 가치가 조화를 이룬 삶의 문제다. 이 주제에는 우정과 사랑을 통한 정서적 유대, 그리고 동료 의식과 연대의 문제가 함축되어 있다. 그런데 도덕 철학에서 사랑을 비롯한 감정의 문제를 진지하게 논의하려면 우선 감정의 성격에 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감정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현재 인지주의와 비인지주의 간의 논쟁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감정에 대한 철학적 인지주의 입장에서 애덤 스미스가 고찰하는 동감과 공평한 관찰자 개념을 논의하려고 한다. 스미스의 도덕 철학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흄의 아류 정도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 30년 동안 스미스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꾸준히 진행된 결과,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이 쇼펜하우어나 흄의 동감윤리보다 진전된 시각을 제시한다는 주장 또한 제기된다. 현대 도덕 철학자들 중 누스바움과 투겐타트는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을 중심에 두고 연민과 같은 도덕 감정과 행위 동기의 문제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들은, 스미스와 함께, 행위 동기와 도덕적 가치가 조화를 이룬 삶에 있어 감정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In modern moral philosophy,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s the harmony of life between the motive of action and moral values. In the theme, aspects of emotional ties through friendship and love, fellow feeling and solidarity are implied. But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s of emotion (including love), first, the thoughts about the character of emotion must precede. Now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about emotion are presented in the debate between the philosophical cognitivism of emotion and non-cognitivism. This thesis focuses on Adam Smith’s concept of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in terms of cognitivism. As seen in Rawls’ account of him, in recent years, Smith’s moral philosophy has been regarded as Hume’s epigone. But after Smith’s work has been steadily revisited for thirty years, it is proposed that Smith’s theory of moral sentiment presents more productive view than Hume and Schopenhauer’s ethics of sympathy. Modern moral philosopher, M. Nussbaum and E. Tugendhat research into moral emotions like compassion and motives of action. With Smith they emphasize the role of emotion in the harmony of life between the motive of action and moral values.

      • KCI등재

        맹자의 윤리적 감정관과 그 인지주의적 성격

        황호식(Hwang Ho sik)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중국의 전국시대 유학자였던 맹자는 윤리적 행위와 관련하여 감정, 특히 네 가지 도덕 감정으로서 '사단'(四端)이 수행하는 역할과 그 의미에 대하여 체계적인 사유를 전개하였다. 맹자가 윤리적 행위의 동기와 근거로서 감정을 이해하는 관점은 합리적 행위 여부와 관련하여 감정에 내포된 인지적 요소를 주목하는 인지주의(cognitivism) 입장과 닮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맹자의 감정에 관한 입론이 인지주의 감정 이론과 상통하는 면모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맹자의 윤리적 감정관에 대한 인지주의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인지주의적 접근을 위한 출발점으로서 과연 현대의 감정 연구자들이 전형적으로 설정해온 '감정'(emotion) 범주가 맹자의 철학에서 찾아질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어서 맹자의 사유에서 드러나는 감정 범주가 어떤 점에서 인지주의 감정 이론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한 다음, 맹자가 윤리적 행위의 원천적 기반으로 제시하는 '사단' 가운데 '측은지심'(惻隱之心)[또는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에 초점을 맞춰 그에 내포된 인지적 요소를 규명해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도는 맹자의 윤리적 감정관과 인지주의 감정 이론 사이에서 발견되는 흥미로운 유사성을 밝혀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도덕 감정으로서 '측은지심'이 지닌 합리적 성격을 재확인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encius, one of Chinese philosopher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had thought systematically on the role and meaning that the emotion concerned with ethical behavior, i.e. the four moral sentiments, so to speak, the four sprouts(四端) can play and suggest. It seems to me that Mencius' argument about regarding the emotion as the motive and ground of ethical behavior has resemblance with cognitivism which focuses on the cognitive elements of emotion that enables us to act rationally. I think that Mencius' viewpoint of emotion can be close to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So in this paper, I try to approach Mencius' ethical position of emotion from a perspective of cognitivism. Before we start to analyze Mencius' ideas of emotion, we should examine first whether Mencius established the category of 'emotion' that contemporary specialists of emotion have paid attention to. Second, I will show that the category of emotion in Mencius' ideas can be similar with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in some respects. Third, I want to analyse the compassion(惻隱之心) or 'the feeling of not being able to endure other people's suffering harm'(不忍人之心) among the four sprouts that Mencius proposes as the basic foundation of ethical action and to point out the cognitive elements in it. After all, I hope that we can disclose an interesting similarity between Mencius' ethical position of emotion and cognitive theory of emotion by means of this course.

      • KCI등재

        헤겔의 감정 개념

        조창오(Cho, Chang Oh)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헤겔은 자신의 전체론적 정신 모델을 통해 감정의 개념을 발전시킨다. 감정은 감각과 신체화와 더불어 발생한다. 감각이 대상에 대한 지향적 관계에서 발생한다면, 감정은 감각에 대한 나의 현상적 의식을 의미하며 신체화는 감각과 감정에 동반된다. 감각-감정-신체화는 동시적인 현상이지 단계적인 과정이 아니다. 헤겔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 현상을 ‘습관’이라는 과정을 통해 자기에 복속시킨다. 이 과정이 없다면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라는 자동적인 과정에 갇혀 있게 된다. 하지만 반복되는 이 과정의 경험을 통해 정신은 이 과정 자체를 습관화한다. 이를 통해 정신은 대부분의 감각-감정-신체화 과정을 의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상태가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 발전한다. 감각과 감정, 신체화는 정신이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상징적 기호가 된다. 감각과 감정, 신체적 변화는 정신에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정신은 이들을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 물론 정신이 표현하려는 의미와 상징적 기호로서의 감각, 감정, 신체적 변화는 불일치하다. 이점에서 인지주의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우리가 감정을 인지주의적으로 해석할 때 발생한다. 이에 따르면 감정은 인지주의적인 내용을 가지지만, 동일한 인지주의적 내용이 서로 다른 감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일한 감정이 서로 다른 인지주의적 내용을 전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헤겔의 감정이론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소된다. Hegel develops the concept of emotion through his holistic mental model. Emotions occur with sensations and somatization. If sensation occurs in a intentional relationship to an object, emotion means my phenomenal consciousness of sensation, and somatization is accompanied by sensation and emotion.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is a simultaneous phenomenon, not a gradual process. According to Hegel, the human mind submits the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phenomenon to self through the process of `habituation`. Without this process, the mind becomes trapped in the automatic process of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However, through the experience of this process, which is repeated, the mind itself becomes habitual. Through this, the mind is not conscious of most of the sensory-emotional-somatization processes. Furthermore, the mind develops as an active subject, not as a passive state influenced by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Sensation, emotion, and somatization are symbolic symbols in which the mind expresses its inner side. Sensory,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do not happen to the mind. Rather, the mind expresses itself through these. Of course, the sense the mind expresses and the sense, emotion, and physical change as it’s symbolic symbols are inconsistent. This leads to a dilemma of cognitivism. The dilemma of cognitivism occurs when we interpret emotions cognitively. According to this, emotion has a cognitive content, but the same cognitive content can generate different emotions. Furthermore, the same emotion may be based on different cognitive content. This dilemma of cognitivism is not solved but canceled by Hegel`s emotional theory.

      • KCI등재

        An Evidence-Based Critique of Intention Cognitivism

        John McGuire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2022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23 No.3

        “Intention Cognitivism” (IC) refers to a family of theories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of intention and belief. While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theories that belong to this family, each is committed to the idea that an agent intends to X only if they believe that they (probably) will X. In this article I argue against this core commitment of IC on the basis of recent experimental evidence concerning the ways in which ordinary speakers of English use the concepts of intention and belief. After summarizing some of this evidence, I consider a possible defense of IC, one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full versus partial intentions and beliefs. I report on a new study that was conducted specifically to evaluate this defense of IC, the results of which indicate that this distinction fails to protect IC against the compelling empirical evidence against it. Additionally, I consider, and argue against, two recent arguments for IC.

      • KCI등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 기초 연구 - 누스바움 감정론을 중심으로 -

        KANG KYUNGHEE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guidance to improve one's life by observing and exploring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disjunction between thought and emotion not only gives one a narrow understanding of one's actions, but also hinders one's journey to human flourishing. Emotion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offers us the opportunity to face what we value, to change our thoughts and actions, and consequently takes us a step closer to human flourishing. I selected the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as the basi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rough Self-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o deline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means of developing philosophical counseling. To do so, I first describe the outline of Stoic emotional theory and of Nussbaum's emotional theory, and then exp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in section two.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largely based on that of Stoic’s, stems from the position of cognitivism. But Nussbaum argues that something emerging from the attachment to external things does not always imply that such emotion is unreasonable, and realization of the holistic life needs to embrace human's imperfection and not exclude emotional life. Section three depicts how emotional experience can act as the passage of self-comprehension referred to in the statement in section two. Emotion informs what is valuable to us; the intensity of the felt emotion depends on the eudaimonistic evaluation. In section four, I propose how to deal with such emotional experience in philosophical counseling, explicating how to apply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comprehension to the steps of counseling by capturing one scene from the novel “Kim Jiyoung born in 1982”. 이 글은 사고와 감정을 분리시키는 것은 행위에 대한 이해를 편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향한 여정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에서 출발하여 감정경험을 관찰하고 탐색함으로써 삶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경험은 우리에게 자신이 귀중하게 여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사고와 행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행복한 삶을 향해 한걸음 더 다가가도록 하는 계기가 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논자는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의 이론적 근거로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채택하고, 철학상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감정경험과 자기이해의 상관관계를 해명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소개하고, 이 둘이 갈라지는 지점을 지적한다. 누스바움은 스토아학파의 감정론을 기초로 하여 감정이란 믿음과 판단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지향적 대상을 갖는다는 인지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누스바움의 감정론은 외적인 것에 대한 애착으로 생겨난다는 사실이 감정이 반드시 비합리적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온전한 삶은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감정적 삶을 배제하지 않을 때 실현된다고 보는 점에서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차이를 보인다. 제3절에서는 제2절에서 지적한 내용을 토대로 감정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이해의 통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인다. 감정이 자기이해의 통로가 되는 근거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는 점과 감정적 반응의 강렬한 정도의 차이는 행복주의적 가치평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제4절에서는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을 포착하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가 철학상담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임으로써 상담에서 감정경험이 다루어져야 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